몽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구스는 인도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족제비와 유사한 작은 육식 포유류를 통칭한다. 몽구스는 길쭉한 몸, 짧은 다리, 꼬리를 가지며, 뱀독에 대한 내성을 지닌 종도 있다. 몽구스는 곤충, 게, 지렁이, 도마뱀 등을 먹으며, 아프리카, 아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일부 종은 쥐나 뱀을 퇴치하기 위해 도입되었지만, 생태계를 파괴하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몽구스는 문화적으로도 묘사되며, 뉴질랜드와 미국에서는 애완동물로 기르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구스과 - 작은아시아몽구스
작은아시아몽구스는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며 곤충을 주식으로 하는 단독 생활을 하는 몽구스과 동물로, 서식지 파괴와 포획으로 위협받고 있으며 과거 자바몽구스로 불렸으나 DNA 분석 결과 별개의 종으로 여겨진다. - 몽구스과 - 미어캣
미어캣은 아프리카 남서부 건조 지역에 서식하며 2~30마리가 무리를 이루어 굴에서 생활하는 몽구스과의 사회적인 작은 포유류로, 협력적인 먹이 사냥과 포식자 감시 행동을 보인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판새류
판새류는 상어, 가오리, 홍어 등을 포함하는 연골어류 아강으로, 아가미구멍과 여러 열의 이빨을 가지며 기름으로 가득 찬 간으로 부력을 조절하고, 턱 구조의 다양성을 보이는 특징을 지니며, 데본기에 출현하여 전 세계 해역과 일부 담수에 분포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샤를 뤼시앵 보나파르트가 명명한 분류군 - 공기호흡메기과
공기호흡메기과는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등지에 서식하며, 공기 호흡을 가능하게 하는 상아가미 기관을 통해 육지에서도 이동할 수 있는 메기목 조기어류의 한 과이다. - 인도의 포유류 - 부탄타킨
부탄타킨은 부탄, 중국, 인도에 서식하며 해발 1,000~4,500m 고도의 숲에서 풀, 새싹, 나뭇잎 등을 먹는 주행성 포유류로, 불법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으며 부탄의 국가 동물이다. - 인도의 포유류 - 황금랑구르
황금랑구르는 인도 아삼 주와 부탄에 분포하며 크림색에서 황금색 털을 가진 멸종위기종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몽구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과 | 마아아아아아아앙구우우우우우우우스과 (Herpestidae) |
학명 | Herpestidae Bonaparte, 1845 |
이명 | Rhinogalidae, Gray, 1869 Suricatinae, Thomas, 1882 Cynictidae, Cope, 1882 Suricatidae, Cope, 1882 Herpestoidei, Winge, 1895 Mongotidae, Pocock, 1920 |
속 | Atilax 늪마아아아아아아앙구우우우우우우스속 Bdeogale 술꼬리마아아아아아아앙구우우우우우우스속 Crossarchus 쿠우우우우우우시마아아아아아안세속 Cynictis 노오오오오오오오란마아아아아아아앙구우우우우우우스속 Dologale 푸우우우우우우살그마아아아아아앙구우우우우우우스속 Galerella 호오오오오오오오소마아아아아아아앙구우우우우우우스속 Helogale 코오오오오오오오비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잇마아아아아아아앙구우우우우우우스속 Herpestes 이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에지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이입트마아아아아아아앙구우우우우우우스속 |
2. 어원
이 이름은 인도에서 ''헤르페스테스'' 종에 사용된 이름에서 유래했다.[3][4][5][6]
- 고전 힌디어에서는 muṅgūshin 또는 maṅgūshin.[7]
- 마라티어에서는 muṅgūsmar.[8]
- 텔루구어에서는 mungisatel.[9]
- 칸나다어에서는 mungikan, mungisikan, mungulikan이다.[10]
영어 이름의 형태는 1698년 이후 민간 어원에 의해 "-goose"로 변경되었다.[11] 18세기와 19세기에는 "mungoose"로 표기되었다.
복수형은 "mongooses"이다.[12]
3. 특징
작은 종류가 많고 땅이나 물가에서 지내며 나무에는 잘 오르지 않는다. 대표종인 인도몽구스는 몸길이 37cm-45cm, 꼬리길이 35cm-38cm이다.[66] 꼬리는 길며[65], 어떤 종은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보다 길기도 하다.[66] 몽구스는 길쭉한 얼굴과 몸, 작고 둥근 귀(귓바퀴)[65][66], 짧은 다리[65][66], 길고 가늘어지는 꼬리를 가지고 있다.
앞뒷발에는 다섯 개의 발가락이 있으며[66] (일부 종은 4개[65]), 앞발에는 날카롭고 구부러진 발톱이 있다. 뒷발은 발뒤꿈치까지 드러나 있다. 발톱은 움푹 들어가지 않으며[65][66] 주로 땅을 파는 데 사용된다. 발가락 사이에는 물갈퀴가 없거나 그다지 발달하지 않았다.[66]
털은 억세고[66] 노르스름한 회색 바탕에 검은 털이 섞인 경우가 많다. 대부분 얼룩무늬 또는 회색을 띠며[66], 일부 종(얼룩몽구스류, 미어캣)은 족제비과 동물과 비슷하게 뚜렷한 줄무늬를 가지고 있다.[65]
몽구스는 염소와 마찬가지로 좁고 타원형의 동공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종은 영역 표시와 생식 상태를 알리는 데 사용되는 큰 항문 냄새샘(항문선)을 가지고 있다.[65][66] 상세하게는 앞니가 위아래 6개, 송곳니가 위아래 2개, 작은 어금니가 위턱 6-8개, 아래턱 4-8개, 큰 어금니가 위턱 4개, 아래턱 2-4개로 총 34-40개의 이빨을 가진다.[66] 젖꼭지는 복부에 4-6개가 있다.[66]
머리에서 몸통까지의 길이는 꼬리를 제외하고 24cm 에서 58cm이며, 몸무게는 320g에서 5kg까지 다양하다.[13]
성질이 사나워 코브라 같은 독사도 잽싸게 잡아채 죽일 수 있다. 이는 몽구스가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뱀독으로부터 보호하는 돌연변이를 가진, 적어도 4개의 알려진 포유류 분류군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14] 이 변형된 수용체는 뱀독의 α-신경독이 결합하는 것을 막는다. 이러한 보호 능력은 4개의 분류군에서 각기 독립적인 돌연변이를 통해 나타났으며, 몽구스의 경우 당화(glycosylation)에 의해 이러한 변화가 독특하게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15] 성질은 사납지만 길들일 수 있어 인도에서는 독사(코브라) 구제용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밤낮으로 활동하며 뱀, 작은 포유류, 물고기, 게, 곤충, 죽은 고기, 나무뿌리, 새알 등을 먹는 잡식성이다. 숨는 장소는 바위 틈이나 나무의 빈 구멍, 땅 구멍과 같은 곳이다. 임신 기간은 60-65일이며, 한 배에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남아시아, 남유럽, 아프리카, 인도 등지에 서식한다.
4. 생태
몽구스는 길쭉한 얼굴과 몸, 작고 둥근 귀, 짧은 다리, 길고 가늘어지는 꼬리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 얼룩무늬 또는 회색 털을 띠며, 일부는 족제비과와 매우 흡사한 뚜렷한 무늬를 가지고 있다. 대표종인 인도몽구스는 몸길이 37cm~45cm, 꼬리길이 35cm~38cm 정도이다. 꼬리는 길고 앞뒷발에는 다섯 개의 발가락이 있으며, 앞발에는 땅을 파는 데 주로 사용되는 날카롭고 구부러진 발톱이 있다. 이 발톱은 움푹 들어가지 않는다. 뒷발은 발뒤꿈치까지 드러나 있다. 인도몽구스의 털은 억세고 노르스름한 회색을 띠는데, 거기에 검은 털이 섞여 있다. 몽구스는 염소와 마찬가지로 좁고 타원형의 동공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종은 영역 표시와 생식 상태를 알리는 데 사용되는 큰 항문 냄새샘을 가지고 있다. 몽구스의 치아 공식은 위턱 3.1.3–4.1–2, 아래턱 3.1.3–4.1–2 이다. 머리에서 몸통까지의 길이는 꼬리를 제외하고 24cm에서 58cm 사이이며, 몸무게는 320g에서 5kg까지 다양하다.[13]
몽구스는 숲이나 사바나, 사막, 물가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한다.[65] 작은 종류가 많고 주로 땅에서 지내며 나무에는 잘 오르지 않는다.[65] 숨는 장소는 바위 틈이나 나무의 빈 구멍, 땅 구멍과 같은 곳이다. 많은 종이 지상성이지만, 물이나 나무 위 생활에 적응한 종도 있다.[65] 활동 시간은 종에 따라 다양하여 주행성, 야행성, 또는 새벽이나 해질녘에 주로 활동하는 박명박모성[66]을 보인다. 인도몽구스는 밤낮으로 활동한다. 주로 단독 생활을 하지만, 얼룩몽구스 등 일부 종은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66]
몽구스는 잡식성으로, 주로 곤충, 게, 지렁이, 도마뱀, 조류 및 그 알, 설치류 등을 먹는다.[57][66] 또한 뱀, 작은 포유류, 물고기, 연체동물, 갑각류, 파충류, 썩은 고기, 나무뿌리 등도 먹는다.[57][66]
인도몽구스의 임신 기간은 60-65일이며, 한 배에 2-4마리를 낳는다.
몽구스는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돌연변이가 있어 뱀독에 면역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포유류 중 하나이다.[14] 이 변형된 수용체는 뱀독의 α-신경독이 결합하는 것을 막는다. 몽구스의 경우, 이러한 변화는 수용체에 당 분자가 붙는 독특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15] 이러한 능력 덕분에 성질이 사나운 몽구스는 코브라 같은 독사도 잽싸게 잡아채 죽일 수 있다. 성질은 사납지만 길들일 수 있어 인도에서는 독사(코브라) 구제용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일부 종은 간단한 묘기를 배울 수 있으며, 해충을 구제하기 위한 애완동물로 길러지기도 한다.[58] 남아시아, 남유럽, 아프리카, 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5. 분포
아프리카 대륙에서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남유럽에 걸쳐 서식하는 것이 원산지이다.[65][66] 이후 쥐 등을 없앨 목적으로 서인도 제도, 하와이, 피지 등 여러 지역에 도입되었다. 일본의 경우, 줄무늬몽구스가 1910년 오키나와섬에, 1979년 아마미오섬에 각각 이입되었다.[69]
6. 하위 분류
몽구스과(Herpestidae)의 분류는 역사적으로 변화해왔다. 1845년 샤를 루시앙 보나파르트는 몽구스를 하나의 아과(Herpestina)로 제안했으며,[16] 1864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몽구스를 갈리디아아과, Herpestinae, Mungotinae의 세 아과로 나누었다.[17] 레지널드 이네스 포콕은 1919년에 이 분류를 지지하며 과명을 "Mungotidae"로 칭하기도 했다.[18]
초기에는 사향고양이과의 아과로 여겨지거나,[66] 마다가스카르몽구스과의 일부 종(얼룩꼬리몽구스, 사라노몽구스 등)을 포함시키기도 했다.[64] 그러나 핵 DNA와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등 유전자 연구 결과, 갈리디아아과는 포사, 마다가스카르 시벳 등 마다가스카르 고유의 육식동물과 더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져[19][20] 현재는 마다가스카르식육과(Eupleridae)의 아과로 분류된다.[21]
현대의 몽구스과는 주로 몽구스아과(Herpestinae)와 뭉고스아과(Mungotinae)의 두 아과로 나뉜다. 각 아과에 속하는 현존하는 속과 종에 대한 상세한 분류는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다음은 현재까지 알려진 멸종된 몽구스 속 및 종의 일부이다.
'''멸종된 속 및 종'''
속 | 종 |
---|---|
아틸락스 (Atilax) (퀴비에, 1826) | †A. mesotes (Ewer 1956) |
헤르페스테스 (Herpestes) (일리거, 1811) | †H. lemanensis (포멜, 1853) |
렙토플레식티스 (Leptoplesictis) (Major, 1903)[56] |
전반적인 분류 및 종 목록은 주로 MSW3 (Wozencraft, 2005)[62] 및 Patou ''et al''. (2009)[67] 등의 연구 결과를 따른다.
6. 1. 몽구스아과 (Herpestinae)
Herpestina는 1845년 샤를 루시앙 보나파르트가 몽구스를 과의 아과로 간주하여 제안한 학명이었다.[16] 1864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몽구스를 갈리디아아과, Herpestinae, Mungotinae의 세 아과로 분류했다.[17] 이 분류는 1919년 레지널드 이네스 포콕에 의해 지지되었으며, 그는 이 과를 "Mungotidae"라고 칭했다.[18]유전자 연구는 핵 DNA와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을 기반으로, 갈리디아아과가 포사와 마다가스카르 시벳을 포함한 마다가스카르 육식 동물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19][20] 갈리디아아과는 Eupleridae의 아과로 간주된다.[21] 이전에는 사향고양이과의 아과로 여겨졌다.[66] 또한 마다가스카르몽구스과 중 얼룩꼬리몽구스나 사라노몽구스 등을 본과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었다.[64]
아과 | 속 | 종 | 모식종의 이미지 |
---|---|---|---|
Herpestinae | Herpestes (일리거, 1811)[22] | ![]() | |
Atilax (퀴비에, 1826)[28] | 늪몽구스 (A. paludinosus) (퀴비에, 1829)[29] | ![]() | |
Cynictis (오길비, 1833)[30] | 황색몽구스 (C. penicillata) (퀴비에, 1829)[29] | ![]() | |
Urva (호지슨, 1836)[31] | ![]() | ||
Ichneumia (조프루아 생틸레르, 1837)[37] | 흰꼬리몽구스 (I. albicauda) (퀴비에, 1829)[29] | ![]() | |
Bdeogale (페터스, 1850)[38] | ![]() | ||
Rhynchogale (토마스, 1894)[44] | 멜러몽구스 (R. melleri) (그레이, 1865)[17] | ![]() | |
Paracynictis (포콕, 1916) | 셀루스몽구스 (P. selousi) (드 윈턴, 1896) | ![]() | |
Xenogale (앨런, 1919)[45] | 긴코몽구스 (X. naso) (드 윈턴, 1901)[46] | ![]() |
6. 2. 뭉고스아과 (Mungotinae)
1864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몽구스를 갈리디아아과, Herpestinae, Mungotinae의 세 아과로 분류했다.[17] 뭉고스아과(Mungotinae)는 다음 속과 종을 포함한다.속 | 종 | 모식종의 이미지 |
---|---|---|
Mungos (E. 조프루아 생틸레르 & F. 퀴비에, 1795)[47] | ![]() | |
Suricata (데스마레, 1804)[50] | 미어캣 (S. suricatta) (슈레버, 1776)[51] | ![]() |
Crossarchus (퀴비에, 1825) | ![]() | |
Helogale (그레이, 1861) | ![]() | |
Dologale (토마스, 1920) | 포우사게스몽구스 (D. dybowskii) 푸사르그, 1894[52] | ![]() |
Liberiictis (헤이먼, 1958) | 라이베리아몽구스 (L. kuhni) 헤이먼, 1958 |
7. 계통 분류
몽구스과(Herpestidae)는 식육목 고양이아목에 속하는 과이다. 상위 분류로는 사향고양이과, 하이에나과, 마다가스카르식육과 등과 함께 몽구스상과를 형성한다.[78]
1845년 샤를 루시앙 보나파르트는 몽구스를 하나의 아과(Herpestina)로 간주하여 학명을 제안했다.[16] 이후 1864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는 몽구스를 갈리디아아과(Galidiinae), 헤르페스티나아과(Herpestinae), 뭉고티나아과(Mungotinae)의 세 아과로 분류했다.[17] 이 분류는 1919년 레지널드 이네스 포콕에 의해 지지되었으며, 그는 이 과를 "Mungotidae"라고 명명하기도 했다.[18]
그러나 핵 DNA와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을 기반으로 한 유전자 연구 결과, 과거 몽구스과에 포함되었던 갈리디아아과(Galidiinae)는 포사, 마다가스카르 시벳 등 다른 마다가스카르 고유의 식육류와 더 가깝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9][20] 이에 따라 갈리디아아과는 현재 마다가스카르식육과(Eupleridae)의 아과로 재분류되었다.[21]
현재 몽구스과는 크게 헤르페스티나아과(Herpestinae)와 뭉고티나아과(Mungotinae)의 두 아과로 분류된다. 각 아과에 속하는 속과 종은 다음과 같다.
아과 | 속 | 종 | 모식종의 이미지 |
---|---|---|---|
헤르페스티나아과 (Herpestinae) | 헤르페스테스속 (Herpestes) (일리거, 1811)[22] | ||
아틸락스속 (Atilax) (퀴비에, 1826)[28] | 늪몽구스 (A. paludinosus) (퀴비에, 1829)[29] | ||
키닉티스속 (Cynictis) (오길비, 1833)[30] | 노랑몽구스 (C. penicillata) (퀴비에, 1829)[29] | ||
우르바속 (Urva) (호지슨, 1836)[31] | |||
이크네우미아속 (Ichneumia) (조프루아 생틸레르, 1837)[37] | 흰꼬리몽구스 (I. albicauda) (퀴비에, 1829)[29] | ||
브데오갈레속 (Bdeogale) (페터스, 1850)[38] | |||
린코갈레속 (Rhynchogale) (토마스, 1894)[44] | 멜러몽구스 (R. melleri) (그레이, 1865)[17] | ||
파라키닉티스속 (Paracynictis) (포콕, 1916) | 셀루스몽구스 (P. selousi) (드 윈턴, 1896) | ||
크세노갈레속 (Xenogale) (앨런, 1919)[45] | 긴코몽구스 (X. naso) (드 윈턴, 1901)[46] | ||
뭉고티나아과 (Mungotinae) | 뭉고스속 (Mungos) (E. 조프루아 생틸레르 & F. 퀴비에, 1795)[47] | ||
수리카타속 (Suricata) (데스마레, 1804)[50] | 미어캣 (S. suricatta) (슈레버, 1776)[51] | ||
크로사르쿠스속 (Crossarchus) (퀴비에, 1825) | |||
헬로갈레속 (Helogale) (그레이, 1861) | |||
돌로갈레속 (Dologale) (토마스, 1920) | 푸사르그몽구스 (D. dybowskii) (푸사르그, 1894)[52] | ||
리베리익티스속 (Liberiictis) (헤이먼, 1958) | 라이베리아몽구스 (L. kuhni) (헤이먼, 1958) |
18종의 몽구스를 대상으로 한 계통발생 연구에 따르면, 주로 단독 생활을 하는 몽구스(헤르페스티나아과)와 사회적 생활을 하는 몽구스(뭉고티나아과)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분기도를 형성한다.[53] 최근의 연구들은 각 아과 내 속과 종 간의 세부적인 유연관계를 밝히고 있다.[54][55] 예를 들어, 뭉고티나아과 내에서는 미어캣(수리카타속)이 가장 먼저 분기했으며, 헤르페스티나아과 내에서는 아시아 지역에 서식하는 우르바속이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다른 속들과 구분되는 분기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4][55]
8. 인간과의 관계
몽구스는 성질이 사납지만 길들일 수 있어 인도에서는 코브라와 같은 독사 구제용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광견병을 매개하거나 가금류를 해치는 유해 동물로 여겨지기도 하며, 다른 지역으로 옮겨졌을 때 생태계를 파괴하는 경우도 있다.[65] 특히 쥐나 살무사 등의 구제를 목적으로 특정 지역에 도입된 몽구스는 원래 구제 대상에 대한 효과는 낮은 반면, 오히려 농업이나 가금류에 피해를 입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69] 또한, 서식지 파괴나 수렵 등으로 인해 일부 종은 생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70]
8. 1. 몽구스 퇴치 사례 (일본 아마미오 섬)
아마미오섬에서는 1979년, 독사 하브 퇴치를 기대하며 줄무늬몽구스 약 30마리가 섬으로 반입되었다.[72] 그러나 낮에 활동하는 몽구스는 야행성인 하브를 거의 포식하지 못했고, 오히려 국가 특별 천연기념물인 아마미 검은 토끼 등 재래종을 공격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해수(害獸)'로 여겨지게 되었다.이에 환경성은 2005년 지역 주민 주도의 포획 전문팀 '아마미 몽구스 버스터즈'를 결성했다. 섬 내 약 3만 개의 덫 설치, 몽구스 탐색견 및 감시용 센서 카메라 등을 활용한 방제를 추진한 결과, 2018년 4월 마지막 포획 이후 몽구스의 생식 정보는 확인되지 않았다.[73]
1993년부터 시작된 포획 작업으로 잡힌 몽구스는 총 32,600마리에 달했다.[73] 2024년 2월, 전문가 검토회는 '포획 제로' 상황 지속을 근거로 근절 확률을 98.8~99.8%로 산출하고, '현 상황이라면 근절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고 잠정 평가했다.[74] 같은 해 9월, 환경성은 전문가 검토회의 '근절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평가를 바탕으로 '근절 선언'을 발표했다.[75] 2024년 9월 기준, 아마미오섬은 외래종 몽구스 근절에 성공한 10개 섬 중 하나가 되었다.[71]
한편, 방제가 진행 중이던 2012년, 당시 민주당 정권의 행정 쇄신 회의는 사업 분류 과정에서 몽구스 방제 사업을 대상으로 삼았다. 포획 수 감소로 1마리당 포획 비용이 증가했다는 이유로 '근본적인 재검토'를 요구했고, 포획 수에 관계없이 정액 임금을 지급하는 대신 포획 시 보상금을 지급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하지만 '생식 수가 줄면 포획 수가 줄어드는 것은 당연하며, 이를 비효율적이라 하는 것은 논외'라는 지적 등 연구자뿐 아니라 일반인에게서도 비판이 제기되었고, 결국 사업 재검토는 이루어지지 않았다.[76][77]
8. 2. 문화적 상징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몽구스가 뱀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신성한 존재로 여겨졌다. 몽구스는 마법의 신 닌기라마와 동일시되는 신 닌킬림에게 신성한 동물이었다. 바빌로니아의 속담에는 생쥐가 몽구스를 피해 뱀 구멍으로 도망치며 "뱀 조련사로부터 안부를 전하러 왔소!"라고 외쳤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몽구스와 유사한 생물이 고대 바빌로니아 각석 예술에도 등장하지만, 그 정확한 의미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59]몽구스는 여러 문학 작품과 미디어에도 등장한다. 가장 잘 알려진 예는 러디어드 키플링의 ''정글북''(1894)에 실린 단편 소설 '리키티키타비'이다. 이 이야기는 인도를 배경으로, 어린 애완 몽구스 리키티키타비가 자신의 인간 가족을 커먼 크레이트와 두 마리의 코브라(나가, 나가이나)로부터 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이야기는 여러 차례 영화로 만들어졌고, 가수 도노반의 노래 소재가 되기도 했다. 브람 스토커의 소설 ''하얀 뱀의 굴''에서도 주인공 애덤 살턴이 뱀을 사냥하기 위해 몽구스를 구매하는 장면이 나온다. 아서 코난 도일 경의 셜록 홈즈 시리즈 중 하나인 "구부러진 사나이의 모험"의 결말에도 몽구스가 등장한다. 인도의 타밀 힌두교 영화 ''파다이 베투 암만''에서는 타밀 배우 비누 차크라바르티가 연기한 인물이 사악한 만트라를 사용하여 여신 암만과 싸우기 위해 몽구스로 변신하지만, 결국 여신에게 죽임을 당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법적으로 몽구스는 특정 지역에서 규제 대상이 되기도 한다. 뉴질랜드에서는 ''Suricata suricatta''를 제외한 모든 몽구스 종이 유해 물질 및 신규 유기체 법 1996에 따라 "금지된 신규 유기체"로 지정되어 수입이 금지되어 있다.[60] 미국에서도 몽구스 종을 애완동물로 기르는 것이 금지되어 있다.[61]
참조
[1]
MSW3 Carnivora
[2]
서적
Handbook of the Mammals of the World
Lynx Edicions
[3]
서적
Museum museorum, oder, Vollständige Schau Bühne aller Materialien und Specereyen
Johann David Zunners Sel. Erben, und Johann Adam Jungen
[4]
서적
The mammals of India; a natural history of all the animals known to inhabit continental India
J. Wheldon
[5]
서적
Natural history of the Mammalia of India and Ceylon
Thacker & Spink
[6]
서적
A hand-book to the Carnivora. Part 1: Cats, civets, and mungooses
Edward Lloyd Limited
[7]
서적
A dictionary of Urdu, classical Hindi, and English
W. H. Allen & Co.
[8]
서적
A dictionary, Marathi and English
Printed for Government at the Bombay Education Society's Press
2020-04-05
[9]
서적
A Telugu-English dictionary
Promoting Christian Knowledge
[10]
서적
A dictionary, Canarese and English
Wesleyan Mission Press
[11]
서적
The Etymologicon: A Circular Stroll Through the Hidden Connections of the English Language
Penguin Books
2012
[12]
서적
Mongooses: Their Natural History and Behaviou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Oxford University Press
[14]
간행물
How the mongoose can fight the snake: the binding site of the mongoose acetylcholine receptor
https://www.pnas.org[...]
1992
[15]
간행물
Why the honey badger don't care: Convergent evolution of venom-targeted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s in mammals that survive venomous snake bites
2015
[16]
서적
Catalogo Methodico dei Mammiferi Europei
L. di Giacomo Pirola
1845
[17]
간행물
A revision of the genera and species of viverrine animals (Viverridae) founded on the collection in the British Museum
https://archive.org/[...]
1865
[18]
간행물
The classification of mongooses (Mungotidae)
https://zenodo.org/r[...]
1919
[19]
간행물
Single origin of Malagasy carnivora from an African ancestor
[20]
간행물
Molecular phylogeny of the Carnivora (Mammalia): Assessing the Impact of Increased sampling on resolving enigmatic relationships
2005
[21]
MSW3
[22]
간행물
Überblick der Säugethiere nach ihrer Verteilung über die Welttheile
http://bibliothek.bb[...]
2019-12-28
[23]
서적
Caroli Linnæi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Laurentius Salvius
[24]
서적
Neue Wirbelthiere zu der Fauna von Abyssinien gehörig
S. Schmerber
[25]
간행물
Über die Verwandtschafts-Verhältnisse der Pharaonsratte
https://archive.org/[...]
1839
[26]
간행물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Herpestes'', from Abyssinia
https://archive.org/[...]
[27]
간행물
Mammifère d'Angola et du Congo
https://archive.org/[...]
[28]
서적
Histoire Naturelle des Mammifères: avec des figures originales, coloriées, dessinées d'aprèsdes animaux vivans. Tome 5
A. Belin
[29]
서적
Le règne animal distribué d'après son organisation, pour servir de base à l'histoire naturelle des animaux et d'introduction à l'anatomie comparée
Chez Déterville
[30]
간행물
Characters of a new Genus of carnivorous Mammalia from the collection of Mr. Steedman
https://archive.org/[...]
[31]
간행물
Synoptical description of sundry new animals, enumerated in the Catalogue of Nepalese Mammals
https://archive.org/[...]
[32]
서적
Description de l'Égypte, ou, Recueil des observations et des recherches qui ont été faites en Égypte pendant l'éxpédition de l'armée française
Commission des Sciences et Arts d'Egypte
[33]
간행물
Remarks on some Mammalia from Travancore, including a New Species of Herpestes
https://archive.org/[...]
[34]
간행물
Description of some or little known Mammalia, principally in the British Museum Collection
https://archive.org/[...]
[35]
간행물
On two new species of Mammalia, from the Society's collection, belonging to the genera ''Gerbillus'' and ''Herpestes''
https://archive.org/[...]
[36]
논문
New species of Mammalia
https://archive.org/[...]
[37]
논문
Notices sur deux nouveaux genres de Mammifères carnassiers, les Ichneumies, du continent Africain, et les Galidies de Madagascar
https://archive.org/[...]
[38]
논문
Bdeogale
https://archive.org/[...]
[39]
논문
Mittheilung über die in Mossambique beobachteten Mangusten
https://archive.org/[...]
[40]
논문
Les Mammifères de la côte occidental d'Afrique
https://archive.org/[...]
[41]
논문
On a new African Genus of Mustelidae
https://archive.org/[...]
[42]
논문
New antelopes and carnivores from British East Africa
https://archive.org/[...]
[43]
간행물
"''Bdeogale omnivora''"
2016
[44]
논문
On the mammals of Nyasaland: third contribution
https://archive.org/[...]
[45]
논문
Preliminary notes on African Carnivora
https://archive.org/[...]
[46]
논문
Description of a New Mongoose from West Africa
https://archive.org/[...]
[47]
서적
Magasin Encyclopédique: ou journal des sciences, des lettres et des arts
I'lmprimerie du Magazin Encyclopédique
[48]
서적
Caroli a Linné,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Georg Emanuel Beer
[49]
논문
Descriptions of Mammalia and Birds from the Gambia
https://archive.org/[...]
[50]
서적
Nouveau dictionnaire d'histoire naturelle appliquée aux arts: principalement à l'agriculture et à l'économie rurale et domestique
Deterville
[51]
서적
Die Säugethiere in Abbildungen nach der Natur, mit Beschreibungen
Expedition des Schreber'schen Säugthier- und des Esper'schen Schmetterlingswerkes
[52]
논문
Description d'une nouvelle espèce de mammifère du genre Crossarchus et considérations sur la répartition géographique des crossarques rayés
https://archive.org/[...]
1894
[53]
논문
Molecular systematics and origin of sociality in mongooses (Herpestidae, Carnivora)
2004
[54]
논문
Evolution and systematics of the feliform Carnivora
2005
[55]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Herpestidae (Mammalia, Carnivora)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Asian Herpestes
https://www.research[...]
2009
[56]
논문
Creodonta and Carnivora from the Early Miocene of the Northern Sperrgebiet, Namibia
https://www.research[...]
[57]
논문
Food choice and feeding on carrion in two African mongoose species in an urban environment
2018
[58]
서적
Tending Animals in the Global Village: A Guide to International Veterinary Medicin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7
[59]
서적
Gods, Demons and Symbols of Ancient Mesopotamia: An Illustrated Dictionary
https://books.google[...]
The British Museum Press
[60]
웹사이트
Hazardous Substances and New Organisms Act 2003 - Schedule 2 Prohibited new organisms
http://legislation.g[...]
New Zealand Government
2012-01-26
[61]
웹사이트
Remembering Duluth's famous mongoose, Mr. Magoo
http://www.duluthnew[...]
2010
[62]
문서
Order Carnivor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3]
문서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64]
서적
知られざる動物の世界 8 小型肉食獣のなかま
朝倉書店
2013
[65]
서적
動物大百科 1 食肉類
平凡社
1986
[66]
서적
世界の動物 分類と飼育2 (食肉目)
東京動物園協会
1991
[67]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Herpestidae (Mammalia, Carnivora)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Asian ''Herpestes''
https://doi.org/10.1[...]
2009
[68]
웹사이트
世界哺乳類標準和名リスト2021年度版
https://www.mammalog[...]
日本哺乳類学会
2021-12-24
[69]
논문
マングース根絶への課題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70]
서적
ジャクソンマングース
講談社
[71]
웹사이트
奄美大島における特定外来生物フイリマングースの根絶の宣言について
https://www.env.go.j[...]
環境省
2024-09-03
[72]
웹사이트
奄美大島のマングース根絶、世界最大規模…これまでに3万2600匹捕獲
https://www.yomiuri.[...]
読売新聞社
2024-09-03
[73]
웹사이트
マングース | 奄美野生生物保護センター
https://kyushu.env.g[...]
九州地方環境事務所
2024-09-03
[74]
뉴스
奄美大島のマングース根絶宣言へ…ハブ退治期待し移入、実際はアマミノクロウサギなど襲うため駆除
https://www.yomiuri.[...]
2024-08-31
[75]
웹사이트
奄美大島のマングース、根絶を宣言 外来種対策では「世界的成果」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4-09-03
[76]
웹사이트
マングースはハブと闘わない 有害外来生物をつくり出した学者の責任(THE PAGE)
https://news.yahoo.c[...]
LY Corporation
2024-09-06
[77]
웹사이트
회장メッセージ
https://www.esj.ne.j[...]
日本生態学会
2024-09-06
[78]
논문
Pattern and timing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mmalian order Carnivora inferred from multiple nuclear gene sequences
[79]
논문
Evolution and systematics of the feliform Carnivora
2005
[80]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Herpestidae (Mammalia, Carnivora)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Asian Herpestes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