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병호 (신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병호는 대한민국의 신학자이며,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려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 영국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개혁신학회 회장, 한국칼빈-개혁신학연구소 소장, 대한성서공회 개정 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고, 정통 개혁신학을 연구하며, 칼빈의 기독교 강요를 한국어로 번역했다. 또한, WCC와 WEA의 신학적 문제점을 비판하는 저술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십자가지기교회 담임 목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뱅연구가 - 로버트 M. 킹돈
로버트 M. 킹던은 16세기 제네바를 중심으로 한 프랑스 개신교 운동, 특히 종교 개혁 시기에 대한 연구로 알려진 역사가이다. - 장로교도 - 리덩후이
리덩후이는 중화민국의 정치인으로, 장징궈 총통에 의해 발탁되어 총통직을 승계한 후 대만의 민주화 개혁을 주도하며 '대만 민주주의의 아버지'로 불리지만, 양안 관계에서는 양국론을 제시하여 중화인민공화국과 긴장 관계를 형성하기도 하고 퇴임 후에는 대만 독립 운동을 지지했다. - 장로교도 - 요시하라 시게토시
요시하라 시게토시는 1845년 가고시마에서 태어나 일본 최초의 예일 대학교 유학생이 되었고, 일본은행 초대 총재를 역임했으며, 근대적 금융 제도 정비에 힘쓰다 42세에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신학자 - 함석헌
함석헌은 평안북도 출신의 인권운동가, 언론인, 재야운동가, 문필가로서, 일제강점기와 독재 정권에 맞서 민주화 운동을 펼치며 '씨알의 소리'를 통해 '씨알사상'을 알렸고, 비폭력·민주·평화 사상으로 '한국 간디'라 불리며 노벨 평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신학자 - 강원용
강원용은 함경남도 출신의 개신교 목사이자 사회운동가로, 경동교회 설립과 대화문화 아카데미 창설을 통해 한국 사회의 민주화와 인권 신장에 기여했으며, 언론, 사회,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문병호 (신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활동 기간 | 2000년 ~ 현재 |
출생일 | 1963년 08월 04일 (60세) |
직업 | 대학 교수 저술가 |
언어 | 한국어 영어 |
장르 | 조직신학 목회 저술 |
종교 | 개신교(예장합동) |
국적 | 대한민국 |
소속 | 총신대학교 교수 |
학력 | |
학력 | 영국 에든버러 대학교 박사 |
2. 학력
대구 영남고등학교를 졸업했다.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를 졸업했다.(B.A.)
[https://csts.csu.ac.kr/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했다.(M.Div., 학위논문: "그리스도의 양성론: 칼케돈 전통과 루터의 신학" [1995])
미국 Western Theological Seminary를 졸업했다.(Th.M., 학위논문: "Three Perspectives on Calvin's Concept of Natural Law and Their Relevance for His Commentary on Seneca's ''De Clementia''" [2000]) 지도교수는 존 헤셀링크 이다.
영국 스코틀랜드 University of Edinburgh에서 Ph.D.를 받았다.( [http://www.riss.kr/search/download/FullTextDownload.do?control_no=d54705fc0eb5f77bffe0bdc3ef48d419&p_mat_type=be54d9b8bc7cdb09&p_submat_type=403472a69dbe320f&fulltext_kind=dbbea9ba84e4b1bc&t_gubun=&convertFlag=&naverYN=&outLink=K&nationalLibraryLocalBibno=&searchGubun=true&colName=bib_t&DDODFlag=&loginFlag=1&url_type=&query=&content_page=
미국 Calvin Theological Seminary에서 연구했다.
스위스 Université de Genève의 [https://www.unige.ch/ihr/fr/linstitut/ Institut d'histoire de la Réformation (IHR)]에서 연구했다.
3. 경력
4. 학자적 관심 및 활동
문병호 교수는 테르툴리아누스, 아타나시우스, 아우구스티누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를 비롯한 초대 교부들로부터 칼빈을 거쳐 튜레틴과 오언 등으로 대변되는 정통 개혁신학자들과 청교도 신학자들 그리고 바빙크와 핫지와 워필드를 위시한 근현대의 개혁신학자들에 이르는 정통 기독교의 입장을 계승하고 심화시켜 참 신학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수립하는 데 학자적 관심을 두고 있다.
슐라이어마허, 바르트, 라너를 필두로 하는 자유주의, 신정통주의, 로마 가톨릭 신학, WCC(World Council of Churches, 세계교회협의회)와 WEA(World Evangelical Alliance, 세계복음주의연맹)로 대변되는 신복음주의 신학과 에큐메니즘 및 에큐메니컬 활동에 대해서는 비판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문병호 교수는 기독론 교리 전반을 아우구스티누스를 비롯한 초대교부들로부터 칼빈과 그를 잇는 개혁신학자들의 정통적 입장에 서서 구속사적-구원론적 관점으로 개진하고 가르치며 변증하는 데 주력해 왔다. 그의 책 『기독론: 중보자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서울: 생명의말씀사, 2016)은 이러한 노력의 주요 결실이다. 본서는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인 *Christ the Mediator of the Law: Calvin’s Chris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Law as the Rule of Living and Life-Giving* (Paternoster, 2006)을 모판으로 하며, 개혁파 언약신학이 칼빈의 기독론적 율법관에 정초하고 있음을 논증한다.
문병호는 정통 개혁신학적 입장을 견지하며, 『30주제로 풀어 쓴 기독교 강요: 성경교리정해』(서울: 생명의말씀사, 2013 수정증보판), 『칼빈신학: 근본 성경교리 해석』(서울: 지평서원, 2015), 『개혁신학과 한국 장로교 보수신학』(서울: CLC, 2019), 『말씀으로 풀어 쓴 사도신경』(서울: 익투스, 2020)을 저술했다. 또한, 『교회의 ‘하나 됨’과 교리의 ‘하나임’: WCC의 ‘비(非)성경적,’ ‘반(反)교리적’ 에큐메니즘 비판, 정통 개혁주의 조직신학적 관점에서』(서울: 지평서원, 2012)와 『WEA 신복음주의 신학과 에큐메니칼 활동 비판: WEA에 편승하여 로마 가톨릭과 신학적 일치를 추구하고 포용주의, 혼합주의, 다원주의로 나아감』(서울: 솔로몬, 2021)을 통해 WCC와 WEA의 신학적 문제점을 비판했다.
문병호는 칼빈신학을 교리 조목별로 다룬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칼빈 외 다른 여러 신학자의 기독론(언약, 위격적 연합, 속죄론) 및 그들의 삼위일체론(삼위일체론적-기독론적 관점), 계시론(계시의 정점 그리스도), 구원론(그리스도와 연합, 믿음, 의의 전가), 교회론(교회의 기독론적 본질과 당위), 성찬론(성례적 연합과 그리스도의 위격적 연합 가운데서의 현존) 등을 기독론에 주안점을 두고 다수의 논문을 집필했다. 테르툴리아누스와 아우구스티누스를 비롯한 초대교부들, 도르트 신경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비롯한 개혁 신경들, 윌리엄 틴델, 피터 마터 버미글리, 존 녹스, 프란시스 툴레틴, 찰스 핫지, 아브라함 카이퍼, 헤르만 바빙크, 벤저민 B. 워필드를 비롯한 개혁신학자들의 입장을 조직신학적으로 개진한 글들과, 중세 유명론자 가브리엘 비엘과 트렌트 신경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로마 가톨릭 신학을 비판하거나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칼 바르트, 폴 틸리히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한 자유주의와 신정통주의 신학 비판을 하는 글들이 포함되었다.
문병호는 존 칼빈의 『기독교 강요』 1536년 초판과 1559년 마지막 판을 한국 최초로 라틴어 판에서 직접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이 두 번역서에서 라틴어 원문에 충실한 자구적 번역과 문맥을 살리는 신학적 번역을 추구하였는데, 특히 마지막 판 번역에는 칼빈이 달지 않았던 1,277절의 제목을 달고, 각주를 새로 붙이고, 라틴어 용어집을 수록하였다.
문병호는 목사로서 2011년부터 십자가지기교회를 개척하여 시무하고 있으며 복음의 요체를 풀어서 전하고 성경 전체를 교리적으로 강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칼빈의 『기독교 강요』를 순서에 따라 교리적으로 해설하는 “문병호 교수 직역직강 『기독교 강요』 주제별 200강좌”가 매주 한국칼빈-개혁신학연구소 홈페이지와 유튜브에 업로드되고 있다.
4. 1. 정통 개혁신학 연구
문병호 교수는 테르툴리아누스, 아타나시우스, 아우구스티누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를 비롯한 초대 교부들로부터 칼빈을 거쳐 튜레틴과 오언 등으로 대변되는 정통 개혁신학자들과 청교도 신학자들 그리고 바빙크와 핫지와 워필드를 위시한 근현대의 개혁신학자들에 이르는 정통 기독교의 입장을 계승하고 심화시켜 참 신학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수립하는 데 학자적 관심을 두고 있다.슐라이어마허, 바르트, 라너를 필두로 하는 자유주의, 신정통주의, 로마 가톨릭 신학, WCC(World Council of Churches, 세계교회협의회)와 WEA(World Evangelical Alliance, 세계복음주의연맹)로 대변되는 신복음주의 신학과 에큐메니즘 및 에큐메니컬 활동에 대해서는 비판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4. 2. 비판적 신학 연구
문병호는 슐라이어마허, 바르트, 라너를 필두로 하는 자유주의 신학, 신정통주의, 로마 가톨릭 신학, WCC(World Council of Churches, 세계교회협의회)와 WEA(World Evangelical Alliance, 세계복음주의연맹)로 대변되는 신복음주의 신학과 에큐메니즘 및 에큐메니컬 활동에 대해 비판적 연구를 하고 있다.4. 3. 주요 학술 및 교수 활동
문병호 교수는 기독론 교리 전반을 아우구스티누스를 비롯한 초대교부들로부터 칼빈과 그를 잇는 개혁신학자들의 정통적 입장에 서서 구속사적-구원론적 관점으로 개진하고 가르치며 변증하는 데 주력해 왔다. 그의 책 『기독론: 중보자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서울: 생명의말씀사, 2016)은 이러한 노력의 주요 결실이다. 본서는 그의 박사 학위 논문인 *Christ the Mediator of the Law: Calvin’s Chris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Law as the Rule of Living and Life-Giving* (Paternoster, 2006)을 모판으로 하며, 개혁파 언약신학이 칼빈의 기독론적 율법관에 정초하고 있음을 논증한다.문병호는 정통 개혁신학적 입장을 견지하며, 『30주제로 풀어 쓴 기독교 강요: 성경교리정해』(서울: 생명의말씀사, 2013 수정증보판), 『칼빈신학: 근본 성경교리 해석』(서울: 지평서원, 2015), 『개혁신학과 한국 장로교 보수신학』(서울: CLC, 2019), 『말씀으로 풀어 쓴 사도신경』(서울: 익투스, 2020)을 저술했다. 또한, 『교회의 ‘하나 됨’과 교리의 ‘하나임’: WCC의 ‘비(非)성경적,’ ‘반(反)교리적’ 에큐메니즘 비판, 정통 개혁주의 조직신학적 관점에서』(서울: 지평서원, 2012)와 『WEA 신복음주의 신학과 에큐메니칼 활동 비판: WEA에 편승하여 로마 가톨릭과 신학적 일치를 추구하고 포용주의, 혼합주의, 다원주의로 나아감』(서울: 솔로몬, 2021)을 통해 WCC와 WEA의 신학적 문제점을 비판했다.
문병호는 칼빈신학을 교리 조목별로 다룬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칼빈 외 다른 여러 신학자의 기독론(언약, 위격적 연합, 속죄론) 및 그들의 삼위일체론(삼위일체론적-기독론적 관점), 계시론(계시의 정점 그리스도), 구원론(그리스도와 연합, 믿음, 의의 전가), 교회론(교회의 기독론적 본질과 당위), 성찬론(성례적 연합과 그리스도의 위격적 연합 가운데서의 현존) 등을 기독론에 주안점을 두고 다수의 논문을 집필했다. 테르툴리아누스와 아우구스티누스를 비롯한 초대교부들, 도르트 신경과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를 비롯한 개혁 신경들, 윌리엄 틴델, 피터 마터 버미글리, 존 녹스, 프란시스 툴레틴, 찰스 핫지, 아브라함 카이퍼, 헤르만 바빙크, 벤저민 B. 워필드를 비롯한 개혁신학자들의 입장을 조직신학적으로 개진한 글들과, 중세 유명론자 가브리엘 비엘과 트렌트 신경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로마 가톨릭 신학을 비판하거나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칼 바르트, 폴 틸리히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한 자유주의와 신정통주의 신학 비판을 하는 글들이 포함되었다.
문병호는 존 칼빈의 『기독교 강요』 1536년 초판과 1559년 마지막 판을 한국 최초로 라틴어 판에서 직접 한국어로 번역하였다. 이 두 번역서에서 라틴어 원문에 충실한 자구적 번역과 문맥을 살리는 신학적 번역을 추구하였는데, 특히 마지막 판 번역에는 칼빈이 달지 않았던 1,277절의 제목을 달고, 각주를 새로 붙이고, 라틴어 용어집을 수록하였다.
문병호는 목사로서 2011년부터 십자가지기교회를 개척하여 시무하고 있으며 복음의 요체를 풀어서 전하고 성경 전체를 교리적으로 강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칼빈의 『기독교 강요』를 순서에 따라 교리적으로 해설하는 “문병호 교수 직역직강 『기독교 강요』 주제별 200강좌”가 매주 한국칼빈-개혁신학연구소 홈페이지와 유튜브에 업로드되고 있다.
5. 작품 수상
5. 1. 저술 부문
문병호는 2008년 "칼빈의 경건신학" 논문으로 총신학술상을 수상하였다. 2013년에는 『교회의 ‘하나 됨’과 교리의 ‘하나임’』으로 총신학술상 저술 부문을 수상하였다. 2016년에는 『기독론: 중보자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으로 제33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대상을 수상하였다.5. 2. 번역 부문
문병호는 2009년 『라틴어직역 기독교 강요: 경건에 대한 순수한 가르침』(1536년 라틴어 초판 직역)으로 제26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최우수상(번역 부문)을 수상했다.[7] 2020년에는 『기독교 강요: 1559년 라틴어 최종판 직역』으로 제37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최우수상(번역 부문)을 수상했다.[8]6. 저서 및 역서
6. 1. 저서
https://www.amazon.com/Christ-Mediator-Law-Christological-Understanding/dp/1597527823 ''Christ the Mediator of the Law: Calvin’s Christ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Law as the Rule of Living and Life-Giving.'' Paternoster, 2006.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6477074 『교회의 ‘하나 됨’과 교리의 ‘하나임’: WCC의 ‘비(非)성경적,’ ‘반(反)교리적’ 에큐메니즘 비판, 정통 개혁주의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지평서원, 2012.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5635990 『30주제로 풀어 쓴 기독교 강요: 성경교리정해』. 생명의말씀사, 2013 수정증보판.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66728747 『칼빈신학: 근본 성경교리 해석』. 지평서원, 2015.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83007528 『기독론: 중보자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 생명의말씀사, 2016.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17571226 『기독교의 진리』. 생명의말씀사, 2016.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49477327 『서기행 목사 평전: 교역과 교정 그리고 한국교회』. CLC, 2018.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86275006 『개혁신학과 한국 장로교 보수신학』. CLC, 2019.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28128011 『말씀으로 풀어 쓴 사도신경』. 익투스, 2020.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278389327 『WEA 신복음주의 신학과 에큐메니칼 활동 비판: WEA에 편승하여 로마 가톨릭과 신학적 일치를 추구하고 포용주의, 혼합주의, 다원주의로 나아감』. 솔로몬, 2021.
6. 2. 역서
문병호는 『라틴어직역 기독교 강요: 경건에 대한 순수한 가르침』(1536년 라틴어 초판 직역, 생명의말씀사, 2009)과 『기독교 강요: 1559년 라틴어 최종판 직역』 (생명의말씀사, 2020)을 번역 출간했다.참조
[1]
웹인용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https://www.csu.ac.k[...]
2022-09-08
[2]
웹인용
십자가지기교회 - 그리스도인의 삶의 교리
http://www.crossbc.o[...]
2022-09-08
[3]
웹인용
한국칼빈-개혁신학연구소
https://kicrts.org/4[...]
2022-09-08
[4]
웹인용
개혁신학회
http://tsrt.kr/html/[...]
2022-09-08
[5]
서적
문병호 기독교 강요
https://search.kyobo[...]
[6]
웹인용
“신앙일반 강세, 미래세대 고민은 깊어져야”
http://www.kidok.com[...]
2022-09-08
[7]
웹인용
1~33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수상작 [갓피플몰]
https://mall.godpeop[...]
2022-09-08
[8]
웹인용
제37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갓피플몰]
https://mall.godpeop[...]
2022-09-08
[9]
웹사이트
십자가지기교회 홈페이지
http://www.crossb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