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 크레스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 크레스타는 1980년에 출시된 니치부츠의 아케이드 슈팅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단일 레이저 캐논으로 무장한 우주선을 조종하며, 4개의 외계인 공격 파도를 완료한 후 다른 우주선과 도킹하여 무기를 강화하며 진행한다. 이 게임은 우주선 도킹 메커니즘, 다채로운 시각 효과, 중독성 있는 게임 플레이로 호평을 받았으며, 여러 이식판과 후속작을 낳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0년 비디오 게임 - 배틀존 (1980년 비디오 게임)
    배틀존은 1980년 아타리에서 출시한 1인칭 시점의 벡터 그래픽 아케이드 슈팅 게임으로, 두 개의 조이스틱으로 탱크를 조종하여 적 탱크와 UFO를 파괴하는 게임이며, 독특한 아케이드 캐비닛 디자인과 가상 현실 게임의 선구자라는 평가를 받았다.
  • 1980년 비디오 게임 - 미사일 커맨드
    미사일 커맨드는 1980년 아타리에서 출시한 아케이드 게임으로, 트랙볼을 사용하여 떨어지는 미사일을 요격해 도시를 방어하며, 냉전 시대 핵전쟁에 대한 불안감을 반영한 배경과 독특한 게임 방식으로 인기를 얻어 상업적 성공과 함께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는 등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 슈팅 게임 - 탄막 슈팅
    탄막 슈팅은 화면을 가득 채우는 탄막을 피하며 적을 격추하는 슈팅 게임의 하위 장르로, 《배츠군》에서 기원하여 《도돈파치》 시리즈를 통해 장르적 특징이 확립된 후 다양한 작품으로 발전해왔으며,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장르로 확장되고 한국 인디 게임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다.
  • 슈팅 게임 - SD건담 캡슐파이터
    SD건담 캡슐파이터는 기동전사 건담을 원작으로 소프트맥스가 개발하고 넷마블에서 서비스한 온라인 게임으로, 다양한 모빌 슈트 수집 및 육성, 가위바위보 속성 시스템, 사용자 지정 기능을 제공했으나 2015년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문 크레스타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북미 아케이드 홍보물
북미 아케이드 홍보물
개발사니치부츠
배급사일본/유럽: 니치부츠
북미: 세가/그렘린/센추리
디자이너후지와라 시게키
출시일일본: 1980년 2월 15일
북미: 1980년 6월 15일
유럽: 1980년
플랫폼아케이드
ZX 스펙트럼
코모도어 64
BBC 마이크로
암스트래드 CPC
드래곤 32
X68000
SNES
플레이스테이션
플레이스테이션 2
플레이스테이션 4
스위치
장르고정 슈팅 게임
시리즈크레스타 시리즈
모드1-2인 교대 플레이
아케이드 시스템남코 갤럭시안
일본어 정보
제목ムーンクレスタ (Mūn Kuresuta)
장르고정 화면 슈팅
개발사조르단
일본물산
배급사일본물산
디자이너후지와라 시게키
출시일아케이드: 1980년 7월
C64, ZX: 1985년
CPC, BBC, DRA: 1986년
X68: 1992년 11월 20일
Windows: 2001년 3월 9일
Java 앱: 2001년 8월 15일
i앱: 2001년 11월
PS: 2002년 6월 20일
EZ앱: 2004년 3월 16일
Windows (염가판): 2004년 4월 9일
PS2: 2005년 7월 21일
PS3, PSP: 2007년 11월 14일
Wii: 2010년 3월 9일
Android: 2012년 1월 22일 (국제), 2012년 1월 24일 (일본)
PS4: 2014년 8월 26일 (일본), 2015년 5월 29일 (북미), 2015년 9월 29일 (유럽)
NS: 2019년 1월 31일
조작 장치2방향 레버, 1 버튼
아케이드 시스템CPU: Z80 (@ 3.072 MHz)
사운드: 디스크리트
디스플레이: 래스터 스캔, 세로 모니터, 256×224 픽셀, 60.61 Hz, 팔레트 98색
한국어 정보
제목문 크레스타
개발사일본물산
배급사일본물산
타이토
세가 게임스-그렘린
센추리
HAMSTER
디자이너후지와라 시게키
출시일1980년 7월
장르진행형 슈팅 게임
모드1-2인 (턴제)
플랫폼아케이드
ZX 스펙트럼
코모도어 64
BBC 마이크로
암스트래드 CPC
드래곤 32
X68000
아케이드 시스템남코 갤럭시안
세가 Z80
캐비닛업라이트, 칵테일
사운드톤 생성기 및 이산 회로
디스플레이래스터, 224x256 화소 (수직), 98 화면 색

2. Gameplay

게임 스크린샷


플레이어는 단일 레이저 캐논으로 무장한 작은 우주선으로 게임을 시작한다. 처음 4개의 외계인 공격 웨이브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면, 플레이어는 우주선을 다음 단계의 우주선 유닛과 도킹을 시도해야 한다. 이 두 번째 유닛은 기존 레이저 외에 두 개의 레이저를 더 가지고 있다. 도킹된 각 유닛은 플레이어의 목숨 중 하나로 취급된다.

외계인 웨이브를 두 번 더 성공적으로 클리어하면, 플레이어는 다시 세 번째이자 마지막 우주선 유닛에 도킹해야 하며, 이 유닛에도 두 개의 레이저가 추가되어 총 5개의 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합체된 우주선은 크기가 훨씬 커져 적의 공격에 더 큰 표적이 된다는 단점이 있다. 두 번의 도킹 시도 중 정렬에 실패하면 도킹하려던 유닛은 파괴된다.

처음 8개의 웨이브를 완료한 후, 플레이어의 우주선은 다시 첫 번째 유닛 상태로 돌아가며 과정이 반복된다. 만약 플레이 도중 세 개의 우주선 유닛 중 하나라도 잃게 되면, 이후에는 4개의 웨이브를 완료한 후에만 도킹 시퀀스가 발생한다. 플레이어의 세 우주선 유닛이 모두 파괴되면 게임 오버가 된다.

이 게임은 타이토의 『스페이스 인베이더』(1978년)의 성공 이후 등장한 여러 슈팅 게임 중 하나로, 남코의 『갤럭시안』(1979년)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아케이드 게임 기판 역시 갤럭시안의 것을 활용했으며, 배경의 별하늘은 완전히 동일하다[25]. 모양이 다른 3개의 우주선 유닛을 합체시켜 파워 업하는 도킹 시스템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요소였다.

3. 시스템



플레이어는 좌우 2방향 레버와 1개의 버튼을 사용하여 자 기체(총 3기: 1호기, 2호기, 3호기)를 조작한다. 각 기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1호기: 기체가 가장 작아 적의 공격을 피하기 쉽지만, 탄은 중앙에서 한 발만 발사할 수 있다.
  • 2호기: 1호기보다 약간 크며, 좌우 돌기에서 동시에 두 발의 탄을 발사한다.
  • 3호기: 좌우에서 탄을 발사하지만, 발사 위치가 기체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적을 맞추기 어렵다. 또한, 기체가 다른 두 기체보다 훨씬 커서 기동성이 떨어지고 적의 표적이 되기 쉽다.


게임이 시작되면 3기의 기체가 합체된 상태로 화면 아래쪽에 나타난 후, 1호기만 분리되어 전투를 시작한다.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분리된 기체들을 순서대로 다시 합체(도킹)할 수 있다.

익스텐드(추가 목숨)는 점수가 30,000점 오를 때마다 1개씩 주어지며, 1, 2, 3호기 모두에게 적용된다. 시작 시 보유한 기체가 모두 소멸하면, 익스텐드로 획득한 기체 수만큼 다음 플레이 시작 시 기체가 주어진다.

초기 설정된 최고 점수(하이스코어)는 5,000점이며, '일본물산 주식회사'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다. 플레이어는 점수 랭킹 상위 5위 안에 들 경우 알파벳으로 자신의 이름을 남길 수 있다.

이 게임은 신일본기획(후의 SNK)이나 미국의 세가 그렘린 등 다른 회사에 라이선스 생산되기도 했다. 이러한 버전에서는 최고 점수 기록이 없을 경우 각 제조사의 이름이 표시된다. 특히 신일본기획 버전의 인스트럭션 카드 하단에는 シンニホンキカク|신니혼키카쿠jpn라고 가타카나로 표기되어 있다.

또한, 클록 속도를 높여 게임 진행 속도를 빠르게 만든 개조 버전도 유통되었으나, 이것이 제조사의 정식 버전인지 무단 개조 버전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3. 1. 도킹

또는 1호기 + 3호기 (2호기 손실 시)×200점남은 20초 × 200 = 4000점1·2호기 + 3호기×300점남은 22초 × 300 = 6600점



처음 8개의 웨이브를 모두 완료하면, 플레이어의 우주선은 다시 첫 번째 단계(1호기) 상태로 돌아가며 과정이 반복된다. 만약 게임 도중 우주선 단계 중 하나라도 잃게 되면, 도킹 시퀀스는 첫 4개의 웨이브를 완료한 후에만 발생한다. 플레이어의 세 단계 우주선이 모두 파괴되면 게임은 종료된다.

참고로, 게임 내에서 사용되는 "역분사"라는 용어는 실제로는 기체 후방에서 연료를 분사하는 것이므로 '정분사'가 더 정확한 표현이지만, 게임 설명서(인스트럭션 카드)의 표기를 따르고 있다. 이 게임에서는 중력 방향으로 하강하는 속도를 줄이기 위한 분사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4. 게임의 흐름



플레이어는 단일 레이저 캐논으로 무장한 작은 우주선으로 게임을 시작한다. 처음 4개의 외계인 공격 웨이브를 성공적으로 막아내면, 플레이어는 우주선을 다음 단계의 우주선에 도킹을 시도해야 한다. 이 두 번째 단계는 기존 레이저 외에 두 개의 레이저를 더 가지고 있다. 도킹된 각 단계는 플레이어의 "목숨" 중 하나로 취급된다.

외계인 웨이브를 두 번 더 성공적으로 클리어하면, 플레이어는 다시 세 번째이자 마지막 부분의 우주선에 도킹해야 한다. 이 부분에도 두 개의 레이저가 추가되어 총 5개의 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합체된 우주선은 크기가 커져 적의 공격에 더 쉽게 노출되는 단점이 있다. 두 번의 도킹 시퀀스 동안 단계 정렬에 실패하면 도킹 중인 단계는 파괴된다.

처음 8개의 웨이브를 완료한 후, 플레이어의 우주선은 다시 첫 번째 단계로 돌아가며 과정이 반복된다. 만약 플레이어의 세 우주선 단계 중 하나라도 도중에 파괴되면, 처음 4개의 웨이브를 완료한 후에만 도킹 시퀀스가 발생한다. 플레이어의 세 우주선 단계가 모두 파괴되면 게임은 종료된다.

적의 등장 순서는 다음과 같다.

순서적 종류수량
1콜드 아이 (자주색)8
2콜드 아이 (노란색)8
3슈퍼 플라이 (노란색)8
4슈퍼 플라이 (자주색)8
-(도킹)-
5포디 (노란색)8
6포디 (자주색)8
7메테오 (자주색)2 × 4
8메테오 (노란색)2 × 4
-(도킹)-
9아토믹 파일 (노란색)8
10아토믹 파일 (자주색)8


5. 적 캐릭터

5종류의 우주 생물이 등장하며, 탄을 쏘지 않고 몸통 박치기 공격만 해온다. 격파되었을 때와 화면 밖으로 사라진 후에 전선 복귀할 때의 효과음이 각각 특징적이다. 각 캐릭터는 8마리씩 색깔이 다른 개체가 총 2번 출현하며, 예측하기 어려운 움직임으로 공격해온다. 기본적으로는 8마리를 모두 격파하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지만, 메테오는 격파하지 않고 피해서 지나칠 수도 있다. Atomic Pile|아토믹 파일eng을 모두 격파하면 "FAR OUT!"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자기가 화면 상단으로 사라지며 1주차 클리어가 된다.

각 적의 강함에는 큰 차이가 없다. 또한, Atomic Pile|아토믹 파일eng은 게임 주차 수만큼 동시에 수직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8주차에서는 8마리가 모두 동시에 낙하한다. 6주차와 13주차부터는 모든 적이 1마리만 남으면 속도가 매우 빨라진다.

자기가 파괴되면, 남은 적들이 플레이어를 조롱하듯이 사라지는 것도 특징이다.

; '''콜드 아이''' (50점)

: 눈알 모양의 적이다. 2개조 1편대로 총 4편대가 공중에서 ∞자 모양으로 날아다닌다. 공격하면 반으로 갈라져 좌우 번갈아 반원을 그리며 내려온다. 때로는 반원이 아니라 그대로 원을 그리며 공중제비를 돌기도 한다. 공격하지 않고 내버려 두어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분열하여 비슷한 움직임으로 내려온다. 내려올 때는 비행 속도가 불규칙하게 변한다. 보라색 → 노란색 순서로 출현한다.

: 자기가 파괴되면, 화면 중앙에서 작아지며 사라진다.

; '''슈퍼 플라이''' (30점)

: 파리와 비슷한 모습의 적이다. 화면 상단에서 8마리가 동시에 나타난다. 내려오는 궤도는 콜드 아이와 거의 같지만, 비행 속도는 거의 일정하다. 노란색 → 보라색 순서로 출현한다. 이 적이 출현한 후 첫 번째 도킹 장면이 나온다.

: 자기가 파괴되면, 화면 중앙에서 작아지며 사라진다.

; '''포디''' (60점)

: 전투기와 비슷한 모습의 적이다. 움직임은 슈퍼 플라이와 거의 같지만, 비행 속도가 더 빠르다. 자기 근처에서 갑자기 나타나 그대로 부딪혀 파괴되는 경우도 있다. 보라색 → 노란색 순서로 출현한다.

: 자기가 파괴되면, 화면 중앙에서 여러 개의 점이 모인 듯한 모습으로 변한다. 화면 밖으로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날 때는, 점들이 늘어나 선이 되고, 이 선들이 모여 기체를 형성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메테오''' (200점)

: 운석과 같은 적이다. 독특한 효과음과 함께 2마리씩 화면 약간 위쪽에서 비스듬히 가로지른다. 속도가 빠르고, 나타나는 타이밍을 예측하지 못하면 부딪혀 파괴될 수 있지만, 화면 가장자리로 피해서 지나칠 수도 있다. 이 적은 유일하게 화면 밖으로 사라져도 다시 공격해오지 않는다. 보라색 → 노란색 순서로 출현한다. 이 적이 출현한 후 두 번째 도킹 장면이 나온다.

: 자기가 파괴되면, 화면 약간 위쪽에서 비스듬히 가로질러 화면 아래로 사라진다.

: 이 공격 후에 도킹 장면이 있기 때문에, 게임 진행을 고려하여 중앙 부근에서 공격하지 않으면 도킹 시간을 낭비하게 될 수 있다.

; '''Atomic Pile|아토믹 파일eng''' (100점)

: 작은 오각형 모양의 적이다. 화면 상단에서 좌우로 작게 움직이다가, 미사일과 같은 모습으로 변형되면서 동시에 직선으로 떨어진다. 화면 아래로 사라진 후에는 미사일 모습 그대로 자기 위쪽 상공에서 다시 나타난다. 노란색 → 보라색 순서로 출현한다.

: 자기가 파괴되면, 작은 오각형 모습으로 돌아가 화면 위에서 천천히 화면 아래로 사라진다.

6. 이식판

ZX 스펙트럼, 코모도어 64, BBC 마이크로, 암스트라드 CPC, 드래곤 32/64, X68000용 가정용 버전이 출시되었다.

센츄리는 북미 지역의 아케이드에서 그래픽을 변경하고 독수리 모양의 적을 추가하여 ''이글''이라는 제목으로 게임을 출시했다.[16] 이 게임의 광고 전단에는 "독수리가 착륙했다"라는 문구가 사용되었다.[6]

현재는 햄스터가 권리를 계승하고 있다[27]

No.제목발매일대응 기종개발원발매원미디어형식비고
1문 크레스타1985년 (EU)코모도어 64
ZX 스펙트럼
Incentive SoftwareIncentive Software플로피 디스크
카세트 테이프
-
2문 크레스타1986년 (EU)Amstrad CPC
BBC Micro
Dragon 32/64
Incentive SoftwareIncentive Software플로피 디스크
카세트 테이프
-
3비디오 게임 앤솔로지 Vol.1
문 크레스타 & 테라 크레스타
1992년 11월 20일 (JP)X68000덴파 신문사마이컴 소프트5인치 플로피 디스크DP-3205023
4닛부츠 아케이드 클래식스1995년 5월 26일 (JP)슈퍼 패미컴닛폰물산닛폰물산롬 카세트SHVC-AACJ아케이드 버전 이식
5닛부츠 아케이드 클래식스1995년 12월 29일 (JP)PlayStation닛폰물산닛폰물산CD-ROMSLPS-00184아케이드 버전 이식
6Ultra2000 문 크레스타2001년 3월 9일 (JP)Windows닛폰물산미디어 카이트CD-ROM-아케이드 버전 이식
7문 크레스타2001년 8월 15일 (JP)[28]J-Phone
(Java 앱)
이 트랙 재팬이 트랙 재팬다운로드
(닛부츠 컬렉션)
-오리지널, 어레인지 버전 2종류 선택 가능
8문 크레스타2001년 11월 (JP)[29][30]i 앱남코남코다운로드
(남코 앱 캐럿)
-
9Major Wave 시리즈 아케이드 히츠
문 크레스타
2002년 6월 20일 (JP)PlayStation닛폰물산햄스터CD-ROMSLPM-87082
10W 셀렉션 15
크레이지 클라이머 & 문 크레스타
2002년 8월 20일 (JP)Windows닛폰물산미디어 카이트CD-ROM-
11문 크레스타2004년 3월 16일 (JP)[31][32]EZ 앱일본 엔터프라이즈일본 엔터프라이즈다운로드
(최강! GAME 왕국)
-아케이드 버전 이식
12유유 문 크레스타2004년 4월 9일 (JP)Windows닛폰물산미디어 카이트CD-ROM-아케이드 버전 이식
13우리들 게임센터족
문 크레스타
2005년 7월 21일 (JP)PlayStation 2닛폰물산햄스터CD-ROMSLPM-62645아케이드 버전 이식
14아케이드 히츠 문 크레스타2007년 11월 14일 (JP)PlayStation 3
PlayStation Portable
(PlayStation Network)
닛폰물산햄스터다운로드
(게임 아카이브스)
-아케이드 버전 이식
15문 크레스타2010년 3월 9일 (JP)Wii닛폰물산햄스터다운로드
(버추얼 콘솔 아케이드)
-아케이드 버전 이식
16문 크레스타2012년 1월 22일 (INT),
2012년 1월 24일 (JP)[33]
Android닛폰물산햄스터다운로드-
17문 크레스타2014년 8월 26일 (JP),
2015년 5월 29일 (NA),
2015년 9월 29일 (EU)
PlayStation 4
(PlayStation Network)
닛폰물산햄스터다운로드
(아케이드 아카이브스)
JP: CUSA-00649,
NA: CUSA-00982,
EU: CUSA-02669
18문 크레스타2019년 1월 31일 (JP)[34][35][36]닌텐도 스위치닛폰물산햄스터다운로드
(아케이드 아카이브스)
-



; PC-8001 버전

: "월간 아스키"에 게재되었다. 용량 문제로 적은 콜드 아이만 등장하지만, 그래픽은 충실하게 재현되었다.

; X68000 버전

: "비디오 게임 앤솔로지 vol.1 테라 크레스타/문 크레스타"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었다. 플로피 디스크를 드라이브 1에 넣으면 문 크레스타가 실행된다(테라 크레스타는 드라이브 0에서 실행).

; 닛부츠 아케이드 클래식스 버전

: 슈퍼 패미컴 버전은 『크레이지 클라이머』(1980년), 『프리스키 톰』(1981년)과 함께 수록되었다. PlayStation 버전은 여기에 『SF-X』(1983년) 등 3개의 게임이 추가로 수록되었다.

; PlayStation 버전

: Major Wave 시리즈 아케이드 히츠의 첫 번째 타이틀로 발매되었으며, "SF-X"도 함께 수록되었다. 2007년 11월 14일부터는 게임 아카이브스를 통해 다운로드 판매가 시작되었다.

; PlayStation 2 버전

: "우리들 게임센터족" 시리즈의 첫 번째 타이틀로 발매되었다.

; Wii 버전

: 2010년 3월 9일부터 버추얼 콘솔 아케이드를 통해 다운로드 판매가 시작되었다.

; PlayStation 4 버전

: 2014년 8월 26일부터 아케이드 아카이브스를 통해 다운로드 판매가 시작되었다.

; 닌텐도 스위치 버전

: 2019년 1월 31일부터 아케이드 아카이브스를 통해 다운로드 판매가 시작되었다.

7. 평가

''문 크레스타''는 니치부츠(Nichibutsu)가 비디오 게임 사업에 진출하는 데 기여했으며, 그들의 가장 성공적인 아케이드 게임 중 하나였다.[15] 일본에서는 ''팩맨'', ''갤럭시안'' 및 ''크레이지 클라이머''에 이어 1980년 네 번째로 높은 수익을 올린 아케이드 게임이었다.[12]

출시 당시 ''컴퓨터 앤 비디오 게임스''(Computer and Video Games)는 게임의 밝고 다채로운 시각 효과와 매혹적인 게임플레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3] 일본의 ''게임 머신''(Game Machine) 잡지 역시 게임플레이와 메커니즘 덕분에 아케이드에서 확실한 히트작으로 인정했다.[14]

인센티브 소프트웨어(Incentive Software)에서 출시한 ZX 스펙트럼 이식판은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Your Spectrum''은 게임 플레이가 아케이드 원작과 거의 동일하지만, 시대에 뒤처지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11] ''싱클레어 유저''(Sinclair User)도 비슷한 반응을 보이며, 게임 플레이 자체가 구식이고 시스템의 다른 게임만큼 재미있지 않다고 지적했다.[10] 반면, ''크래시''(Crash) 잡지는 90%의 높은 점수를 주며 게임에 훨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크래시 스매시" 상을 수여했다.[8] 그들은 단순한 게임 플레이, 아케이드 게임의 정확한 묘사, 전반적인 중독성을 칭찬하며, 복잡한 게임이 주류인 시대에 구식 슈팅 게임을 출시한 인센티브의 시도를 용감하다고 평가하고 재미를 인정했다.[8]

1998년, ''올게임(Allgame)''은 5점 만점에 2.5점을 부여하며 ''문 크레스타''가 우주선 도킹 메커니즘, 매끄러운 조작감, 빠른 속도의 액션 등 몇 가지 독특한 아이디어를 가졌다고 평가했지만, 높은 난이도가 단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들은 어려운 게임 플레이가 캐주얼 게이머들에게는 장벽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7] 반면 2007년 ''유로게이머(Eurogamer)''는 10점 만점에 9점을 주며 게임의 중독성, 창의성, 그리고 도전적인 난이도가 후속 게임의 기준을 세우는 데 기여했다며 높이 평가했다.[9] 그들은 단순한 조작만으로도 아드레날린이 솟구치는 재미를 선사하는 초기 아케이드 게임의 매력을 잘 보여준다고 덧붙였다.[9]

2016년 회고적 리뷰에서 ''하드코어 게이밍 101(Hardcore Gaming 101)''은 ''문 크레스타''를 당시 영향력 있고 호평받는 슈팅 게임으로 평가하며, 특히 우주선 도킹 메커니즘이 ''갤럭시안'' 및 ''갤러가''와 차별화되는 주요 특징이라고 칭찬했다.[15] 다만 슈퍼 패미컴 및 플레이스테이션 이식판의 변경점에 대해서는 원작 팬들을 실망시킬 수 있다며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15] ''레트로 게이머(Retro Gamer)'' 역시 아케이드 원작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갤럭시안''이나 ''갤러가''와 구별되는 특징들을 통해 그 자체로 재미있고 중요한 게임이라고 언급했다.[16] 특히 전략적인 요소와 점수 시스템, 도킹 메커니즘을 높이 평가했다.[16] ''레트로 게이머''는 ''문 크레스타''가 ''갤러가''의 복수 우주선 메커니즘보다 앞서 등장했고 다양한 적을 도입함으로써 아케이드 슈팅 게임 발전의 중요한 단계로 여겨진다고 결론지었다.[16]

일본의 게임 잡지 게메스트가 1991년에 실시한 독자 인기 투표에서는 역대 아케이드 게임 중 52위를 차지했다.[42] 1998년에 발간된 게메스트 무크 '더 베스트 게임2'에서는 '명작・수작・천재적 타이틀'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해당 책에서는 3종류의 기체에 각각 특징이 있다는 점과 '도킹' 시스템에 대해 "자기 기체가 파워업하는 것은 당연한 인식이었지만, 이때는 모든 것이 참신했다"며 혁신성을 높이 평가했다.[43] 또한 적 캐릭터에 이름이 붙여진 점, 적탄이 전혀 없는 점 등도 특징으로 언급하며, 익스텐드(잔기 추가) 시스템 역시 게임의 매력 중 하나로 꼽았다. 이 시스템은 이후 『테라 크레스타』로 계승되었다고 지적했다.[43]

8. Legacy

1998년, 올게임은 ''문 크레스타''가 우주선 도킹 메커니즘, 매끄러운 조작감, 빠른 속도의 액션 등 몇 가지 독특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지만, 높은 난이도가 단점이라고 지적했다.[7] 어려운 게임 플레이가 많은 플레이어를 실망시킬 수 있으며, "매끄러운 조작, 독특한 그래픽, 거의 음악과 같은 사운드 효과가 기억에 남는 패키지를 만들어냈지만, 일부 캐주얼 게이머가 마스터하기에는 너무 어려웠다"고 덧붙였다.[7] 반면, 2007년 유로게이머는 게임의 중독성, 창의성, 그리고 후속 게임의 기준을 세우는 데 기여한 도전 과제를 높이 평가했다.[9] 유로게이머는 "나는 오늘날까지도 ''문 크레스타''가 초기 아케이드 게임의 단순한 게임 도전 과제를 잘 보여주는 아드레날린이 솟구치는, 군더더기 없는 슈팅 게임이라는 점을 존경한다. 좌, 우, 발사 버튼만으로도, 과녁 맞히기가 주된 도전 과제였던 어린 시절의 나 같은 십 대를 다른 세계로 데려다 놓기에 충분했다"고 언급했다.[9]

2016년 회고적 리뷰에서 하드코어 게이밍 101은 ''문 크레스타''를 당시 영향력 있고 호평받는 슈팅 게임으로 평가하며, 우주선 도킹 메커니즘과 같이 갤럭시안갤러가와 같은 게임과의 주요 차이점을 칭찬했다.[15] 다만 슈퍼 패미컴 및 플레이스테이션 이식 버전에 대해서는 적의 속도와 게임의 다른 특징을 수정하여 원작 팬들을 실망시킬 수 있다는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15] 레트로 게이머 역시 아케이드 원작에 대해 비슷한 평가를 내렸는데, ''문 크레스타''가 ''갤럭시안'' 및 ''갤러가''와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며 그 자체로 재미있고 중요한 게임이라고 평가했다.[16] 게임의 전략과 점수 시스템, 특히 우주선 도킹 메커니즘을 긍정적으로 보았다.[16] 레트로 게이머는 리뷰를 마무리하며 "''갤러가''의 복수 우주선 메커니즘보다 앞서 등장하여 다양한 적을 소개함으로써, ''문 크레스타''는 아케이드 슈팅 게임 발전의 중요한 단계로 여겨진다"고 결론지었다.[16]

''문 크레스타''는 타이토의 스페이스 인베이더(1978년) 성공 이후 등장한 남코갤럭시안(1979년)을 기반으로 한 게임 중 하나이다. 아케이드 게임 기판도 갤럭시안의 것을 사용했으며, 배경의 별하늘은 완전히 동일하다.[25] 이 게임은 크레이지 클라이머(1980년)와 함께 일본물산을 대표하는 게임으로 꼽힌다. 세로 화면 구성에 모양이 다른 3종류의 우주선을 사용하고, 우주선끼리 도킹하여 파워 업하는 시스템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요소였다. 테이블 기기의 정가는 58만이었다.[26]

''문 크레스타''는 여러 후속작과 파생작을 낳으며 ''크레스타 시리즈''의 시작을 알렸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관련 작품들이 존재한다.

현재 게임에 대한 권리는 햄스터가 계승하고 있다.[27]

9.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Video Game Flyers: Moon Cresta, Nichibutsu (EU) https://flyers.arcad[...] 2021-04-07
[2] 웹사이트 Moon Cresta (Registration Number VA0000061564) https://cocatalog.lo[...] 2021-05-26
[3] 웹사이트 Moon Cresta (Registration Number TX0000505343) https://cocatalog.lo[...] 2021-05-26
[4] 뉴스 Coin Machine - Manufacturers Equipment https://archive.org/[...] 2020-02-29
[5] 웹사이트 Sega's Astro City Mini Is Getting A 'TATE' Version Packed With Shmup Goodness https://www.nintendo[...] Nlife Media 2021-12-17
[6] 웹사이트 Eagle https://flyers.arcad[...]
[7] 웹사이트 Moon Cresta - Review http://www.allgame.c[...] All Media 2020-02-29
[8] 뉴스 Moon Cresta (Trip to the Space War) http://www.crashonli[...] Newsfield Publications Ltd 2020-02-29
[9] 웹사이트 Moon Cresta https://www.eurogame[...] Gamer Network 2020-02-29
[10] 간행물 Spectrum Software Scene 1985-05
[11] 간행물 Joystick Jury 1985-05
[12] 간행물 ベストスリー 本紙調査 (調査対象1980年) 〜 アーケードゲーム機 https://onitama.tv/g[...] Amusement Press, Inc. 1981-02-15
[13] 뉴스 Arcade - Moon Cresta: Keep On Docking https://www.solvalou[...] Future Publishing 2020-02-29
[14] 뉴스 ムーンクレスタ https://onitama.tv/g[...] Amusement Press, Inc. 2020-02-29
[15] 웹사이트 Moon Cresta http://www.hardcoreg[...] 2020-02-29
[16] 뉴스 The Definitive Moon Cresta Imagine Publishing 2018-11-30
[17] 웹사이트 Terra Cresta http://www.hardcoreg[...] 2020-02-29
[18] 웹사이트 Dangar Ufo Robo https://www.arcade-m[...] The International Arcade Museum
[19] 뉴스 Arcade Action - Terra Force https://www.solvalou[...] 2020-02-29
[20] 웹사이트 Terra Cresta II http://www.hardcoreg[...] 2019-11-16
[21] 웹사이트 Terra Cresta 3D http://www.hardcoreg[...] 2019-11-16
[22] 뉴스 Terra Cresta 3D https://archive.org/[...] 2019-11-16
[23] 웹사이트 PlatinumGames' April Fool Game, Sol Cresta, Is Real and Releases This Year https://www.ign.com/[...] IGN 2021-04-02
[24] 문서 ジョルダン株式会社 代表取締役社長 佐藤俊和氏 第1回「起業10年後の決意」 http://jidainokai.jp[...]
[25] 문서 「BEEP!メガドライブ」連載「バイナリ・アナリシス」1993年9月号および書籍「それは『ポン』から始まった」225Pより
[26] 웹사이트 ゲームマシン no.151 p.12 https://onitama.tv/g[...] アミューズメント通信社 2019-06-07
[27] 보도자료 ハムスター、ニチブツの権利を取得 https://web.archive.[...] ハムスター 2015-08-21
[28] 웹사이트 クレイジークライマーなどニチブツのゲームがJ-フォンに登場 https://k-tai.watch.[...] インプレス 2019-11-10
[29] 웹사이트 「MOON CRESTA」「CRAZY CLIMBER」がiアプリに https://nlab.itmedia[...] ITmedia 2019-11-10
[30] 웹사이트 往年の名作『クレイジークライマー』『ムーンクレスタ』がiアプリで復活! https://dengekionlin[...] KADOKAWA 2019-11-10
[31] 웹사이트 「ムーンクレスタ」がEZアプリで登場! https://nlab.itmedia[...] ITmedia 2019-11-10
[32] 웹사이트 日本エンタープライズ、EZweb向けゲーム「ムーンクレスタ」などを配信 https://www.itmedia.[...] アイティメディア 2019-11-10
[33] 웹사이트 ニチブツ「ムーンクレスタ」がAndroidアプリで登場 https://k-tai.watch.[...] インプレス 2019-11-10
[34] 웹사이트 『アーケードアーカイブス ムーンクレスタ』がNintendo Switchで1月31日に配信決定! https://www.famitsu.[...] KADOKAWA 2019-11-10
[35] 웹사이트 「アーケードアーカイブス ムーンクレスタ」Nintendo Switch版が配信。日本物産のマシン合体シューティング https://game.watch.i[...] インプレス 2019-11-10
[36] 웹사이트 アーケードアーカイブス「ムーンクレスタ」,Switchで1月31日に配信決定 https://www.4gamer.n[...] デジタルハーツホールディングス|Aetas 2019-01-30
[37] 웹사이트 Moon Cresta for Arcade (1980)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38] 웹사이트 Moon Cresta for ZX Spectrum (1980)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39] 웹사이트 Moon Cresta for Commodore 64 (1985)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40] 웹사이트 Moon Cresta for BBC Micro (1986)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41] 웹사이트 Moon Cresta for Dragon 32/64 (1986)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42] 저널 가장 사랑받은 게임들!! 독자가 선택한 베스트30 신성사 1991-07-01
[43] 저널 자・베스트 게임 신성사 1998-01-17
[44] 웹인용 Moon Cresta https://www.arcade-h[...]
[45] 문서 에너지 충전을 안하면 폭발해 버린다.
[46] 웹인용 Moon Cresta - Review http://www.allgame.c[...] All Media 1998
[47] 뉴스 Moon Cresta (Trip to the Space War) http://www.crashonli[...] Newsfield Publications Ltd 1985-03
[48] 웹인용 Moon Cresta https://www.eurogame[...] Gamer Network 2007-10-26
[49] 저널 Spectrum Software Scene 1985-05
[50] 저널 Joystick Jury 198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