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 수정 헌법 제10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수정 헌법 제10조는 연방 정부에 위임되지 않았거나 주에 금지되지 않은 권한은 각 주나 국민이 보유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조항은 연방 정부의 권한을 제한하고 주 정부의 권한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수정 헌법 제10조는 연방 정부의 권한이 헌법에 명시된 권한으로 제한된다는 자명한 진리를 명시하며, 주 정부는 이를 근거로 연방 규제로부터 면제를 주장하려 시도해 왔다. 연방 대법원은 수정 헌법 제10조를 해석하면서 연방 정부가 주 정부에 법률을 통과시키거나 시행하도록 강요하는 것을 금지하는 판례를 확립했으며, 통상 조항 및 연방 우위 조항과의 관계 속에서 그 의미가 해석되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1년 12월 - 미국 수정 헌법 제6조
    미국 수정 헌법 제6조는 형사 피고인에게 공정하고 신속한 공개 재판을 받을 권리, 공정한 배심원단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 혐의 내용 고지, 증인 대면 및 소환 권리, 변호인 조력 권리 등 여러 권리를 보장하여 공정한 재판을 보장한다.
  • 1791년 12월 - 미국 수정 헌법 제5조
    미국 수정 헌법 제5조는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대배심 고발, 이중 처벌 금지, 자기 부죄 거부권, 적법 절차에 따른 법 집행, 정당한 보상 없는 사유 재산 수용 금지 등을 규정한다.
  • 1791년 미국 - 미국 수정 헌법 제6조
    미국 수정 헌법 제6조는 형사 피고인에게 공정하고 신속한 공개 재판을 받을 권리, 공정한 배심원단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 혐의 내용 고지, 증인 대면 및 소환 권리, 변호인 조력 권리 등 여러 권리를 보장하여 공정한 재판을 보장한다.
  • 1791년 미국 - 권리장전 (미국)
    미국 권리장전은 강력한 중앙 정부에 대한 우려와 개인의 자유 보장 요구를 반영하여 미국 헌법에 추가된 첫 열 개의 수정 조항으로, 종교, 언론, 집회, 무기 소지 등의 자유와 적법 절차, 이중처벌 금지, 자기부죄 거부권 등 개인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연방 정부의 권한을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1791년 법 - 미국 수정 헌법 제6조
    미국 수정 헌법 제6조는 형사 피고인에게 공정하고 신속한 공개 재판을 받을 권리, 공정한 배심원단에 의한 재판을 받을 권리, 혐의 내용 고지, 증인 대면 및 소환 권리, 변호인 조력 권리 등 여러 권리를 보장하여 공정한 재판을 보장한다.
  • 1791년 법 - 1791년 프랑스 헌법
    1791년 프랑스 헌법은 프랑스 혁명의 결과로 제정된 프랑스 최초의 입헌 헌법으로, 왕권신수설을 폐기하고 입헌군주제를 수립했으나 제한된 선거권으로 사회적 불만을 야기했고 튈르리 궁전 습격으로 무력화되어 역사적 의미를 잃었다.
미국 수정 헌법 제10조
개요
이름미국 수정 헌법 제10조
영어 명칭Tenth Amendment to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내용미국 헌법에 의해 연방 정부에 위임되지 않았거나, 각 주에게 금지되지 않은 권한은 각 주 또는 국민에게 유보됨.
제안일1789년 9월 25일
비준일1791년 12월 15일
전문
원문The powers not delegated to the United States by the Constitution, nor prohibited by it to the States, are reserved to the States respectively, or to the people.
번역헌법에 의하여 합중국에 위임되지 아니하고, 각 주에 금지되지 아니한 권한은 각 주 또는 인민에게 유보된다.
해석
권한 유보미국 헌법에 명시적으로 연방 정부에 부여되지 않은 권한은 주 정부와 국민에게 유보됨을 확인한다.
연방 권한 제한연방 정부의 권한은 헌법에 명시된 권한으로 제한된다는 원칙을 강조한다.
주 권한 보장주 정부는 연방 정부에 의해 침해받지 않는 고유한 권한을 가진다.
역사적 맥락
권리 장전미국 권리 장전의 일부로, 연방 정부의 권한 남용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추가되었다.
연방주의연방 정부와 주 정부 간의 권력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원칙을 확립한다.
주요 쟁점
연방 권한 범위연방 정부의 권한 범위에 대한 논쟁이 있을 때마다 제10조가 자주 인용된다.
주 정부 자율성주 정부의 자율성을 옹호하는 데 사용된다.
논쟁연방 정부와 주 정부 간의 권한 분배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 인해 논쟁이 발생한다.

2. 수정 헌법 제10조의 내용

수정 헌법 제10조는 헌법에 의해 미국에 위임되지 않았거나 주에 금지되지 않은 권한은 각 주 또는 국민에게 유보된다고 명시하고 있다.[45][6]

국립 문서 기록 관리청에 보관된 권리 장전

2. 1. 전문

헌법에 의하여 미국 연방에 위임되지 아니하였거나, 각 주에 금지되지 않은 권력은 각 주나 국민이 보유한다.[45]

3. 수정 헌법 제10조의 기원과 채택 과정

미국 수정 헌법 제10조는 연합 규약 제2조와 유사하게 주 정부의 권한을 명시하고 있다. 연합 규약 제2조는 "각 주(州)는 주권, 자유, 독립을 유지하며, 이 연합에 의해 의회가 명시적으로 미국에 위임하지 않은 모든 권력, 관할권 및 권리를 유지한다"고 규정하고 있다.[7] 토머스 버크는 대륙 회의에서 주 권리를 옹호하며 이러한 내용을 연합 규약 수정안으로 제안했다. 그는 주 정부와 연방 정부 간 권한 차이를 명확히 하고자 했으나, 제임스 윌슨, 존 디킨슨, 리처드 헨리 리 등의 반대에 부딪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수정안은 대륙 회의를 통과했다.[8]

미국 독립 전쟁 이후 헌법 제정 회의와 헌법 비준 과정에서, 토머스 튜더 터커와 엘브리지 게리는 연방 정부의 권한을 "명시적으로" 위임된 것으로 제한하는 수정안을 제안했다. 이는 묵시적 권한을 부정하려는 시도였다.[9] 그러나 제임스 매디슨은 헌법이 모든 세부 사항을 열거할 수 없으므로 묵시적 권한이 필요하다고 반박했다.[9] 결국 "명시적으로"라는 문구는 삭제되었고, 로저 셔먼이 작성한 수정 헌법 제10조는 필요 조항에 따른 묵시적 권한을 폭넓게 해석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10][11]

제임스 매디슨은 수정 헌법 제10조를 의회에 제출하면서, 여러 주에서 이 수정안을 요구하고 있으며, 비록 불필요하다는 비판도 있지만, 주 정부의 권한을 명확히 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12] 주들은 수정 헌법 제10조를 비준했지만, 열거되지 않은 권리가 존재함을 명시하는 것은 거부했다.[13][14]

3. 1. 연합 규약 제2조와의 유사성

미국 수정 헌법 제10조는 연합 규약 제2조와 유사하다. 연합 규약 제2조는 "각 주(州)는 주권, 자유, 독립을 유지하며, 이 연합에 의해 의회가 명시적으로 미국에 위임하지 않은 모든 권력, 관할권 및 권리를 유지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7] 토머스 버크는 대륙 회의에서 주 권리의 열렬한 지지자였으며, 원래 수정 헌법 제10조가 될 내용을 연합 규약에 대한 수정안으로 제안했다. 그는 주 또는 연방 권력의 차이에 대한 모호성을 없애고 싶어했다. 미국 건국의 아버지 중에는 제임스 윌슨, 존 디킨슨, 리처드 헨리 리 등이 이 수정안에 반대했지만, 수정안은 대륙 회의에서 통과되었다.[8]

미국 독립 전쟁 이후, 헌법 제정 회의가 완료되고 헌법 비준이 이루어지자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표 토머스 튜더 터커와 매사추세츠 대표 엘브리지 게리미국 연방 정부를 "명시적으로" 위임된 권한으로 제한하는 유사한 수정안을 별도로 제안했는데, 이는 묵시적 권한을 부인하는 것이었다.[9] 제임스 매디슨은 "정부를 명시적인 권한의 행사로 제한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헌법이 모든 세부 사항을 일일이 열거하지 않는 한, 묵시적인 권한을 반드시 인정해야 한다"고 말하며 이 수정안에 반대했다.[9] "명시적으로 위임된"이라는 문구를 추가하려는 수정안에 대한 투표가 부결되자, 코네티컷 대표 로저 셔먼은 비준된 형태의 수정 헌법 제10조를 초안하여 "명시적으로"라는 문구를 삭제했다.[10] 셔먼의 수정안은 필요 조항에 의해 묵시적으로 부여된 권한을 광범위하게 해석할 수 있게 했다.[10][11]

제임스 매디슨이 수정 헌법 제10조를 의회에 제출했을 때, 그는 많은 주들이 이 수정안을 비준하기를 열망했으며, 이 수정안을 불필요하다고 간주하는 비판가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나는 주 협약에서 제안된 수정안을 살펴보니, 여러 주가 헌법에 위임되지 않은 권한이 여러 주에 유보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기를 특히 열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마도 현재 문서 전체보다 이를 더 정확하게 정의할 수 있는 단어가 불필요하다고 여겨질 수 있습니다. 저는 그들이 불필요하다고 여겨질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신사들이 사실이 진술된 바와 같다고 인정한다면, 그러한 선언을 하는 데 아무런 해가 없을 것입니다. 저는 그렇게 이해하고 있으므로 이를 제안합니다.[12]

주들은 수정 헌법 제10조를 비준했으며, 열거되지 않은 권한 외에 열거되지 않은 권리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을 거부했다.[13][14] 이 수정안은 이전에 단지 제안이나 암시에 불과했던 것을 명확하게 만들었다.

3. 2. 제정 과정에서의 논쟁

연합 규약 제2조와 유사하게, 미국 수정 헌법 제10조는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각 주(州)는 주권, 자유, 독립을 유지하며, 이 연합에 의해 의회가 명시적으로 미국에 위임하지 않은 모든 권력, 관할권 및 권리를 유지한다."[7] 토머스 버크는 대륙 회의에서 주 권리를 강력하게 지지했으며, 훗날 제10조가 되는 내용을 연합 규약의 수정 조항으로 제안했다. 그는 주 정부와 연방 정부 간 권한 차이에 대한 모호함을 없애고자 했다. 미국 건국의 아버지 중 제임스 윌슨, 존 디킨슨, 리처드 헨리 리 등은 이 수정안에 반대했지만, 대륙 회의에서 통과되었다.[8]

미국 독립 전쟁 이후, 헌법 제정 회의가 완료되고 헌법 비준이 이루어지자,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표 토머스 튜더 터커와 매사추세츠 대표 엘브리지 게리미국 연방 정부를 "명시적으로" 위임된 권한으로 제한하는 유사한 수정안을 각각 제안했다. 이는 묵시적 권한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의미였다.[9] 제임스 매디슨은 "정부를 명시적인 권한 행사로 제한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헌법이 모든 세부 사항을 일일이 열거하지 않는 한, 묵시적인 권한을 반드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반대했다.[9] "명시적으로 위임된"이라는 문구를 추가하려는 수정안이 부결되자, 코네티컷 대표 로저 셔먼은 "명시적으로"라는 단어를 삭제한 수정 헌법 제10조를 비준된 형태로 기초했다.[10] 셔먼의 수정안은 필요 조항에 의해 묵시적으로 부여된 권한을 광범위하게 해석할 수 있도록 했다.[10][11]

제임스 매디슨이 수정 헌법 제10조를 의회에 제출했을 때, 그는 많은 주들이 이 수정안의 비준을 원했으며, 일부 비판가들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나는 주 협약에서 제안된 수정안을 살펴보니, 여러 주가 헌법에 위임되지 않은 권한이 여러 주에 유보되어야 한다고 명시하기를 특히 열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마도 현재 문서 전체보다 이를 더 정확하게 정의할 수 있는 단어가 불필요하다고 여겨질 수 있습니다. 저는 그들이 불필요하다고 여겨질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합니다. 그러나 신사들이 사실이 진술된 바와 같다고 인정한다면, 그러한 선언을 하는 데 아무런 해가 없을 것입니다. 저는 그렇게 이해하고 있으므로 이를 제안합니다.[12]


주들은 수정 헌법 제10조를 비준하면서, 열거되지 않은 권한 외에 열거되지 않은 권리가 있다는 것을 명시하는 것은 거부했다.[13][14] 이 수정안은 이전에 단지 제안이나 암시에 불과했던 것을 명확하게 만들었다.

3. 3. "명시적으로" 문구 삭제

미국 독립 전쟁 이후, 헌법 제정 회의가 완료되고 헌법이 비준되자,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표 토머스 튜더 터커와 매사추세츠 대표 엘브리지 게리미국 연방 정부를 "명시적으로" 위임된 권한으로 제한하는 유사한 수정안을 별도로 제안했는데, 이는 묵시적 권한을 부인하는 것이었다.[9] 제임스 매디슨은 "정부를 명시적인 권한의 행사로 제한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헌법이 모든 세부 사항을 일일이 열거하지 않는 한, 묵시적인 권한을 반드시 인정해야 한다"고 말하며 이 수정안에 반대했다.[9] "명시적으로 위임된"이라는 수정안에 대한 투표가 부결되자, 코네티컷 대표 로저 셔먼은 비준된 형태의 제10조를 초안하여 "명시적으로"라는 문구를 삭제했다.[10] 셔먼의 문구는 필요 조항에 의해 묵시적으로 부여된 권한을 광범위하게 해석할 수 있게 했다.[10][11]

4. 수정 헌법 제10조에 대한 사법적 해석

미국 연방 대법원은 수정 헌법 제10조에 대한 해석을 통해 연방 정부와 주 정부 간의 권한 관계를 명확히 해왔다. 주요 판례는 다음과 같다.


  • 연방 정부의 권한 제한: 수정 헌법 제10조는 연방 정부의 권한이 헌법에 명시된 권한으로 제한된다는 자명한 진리를 확인한다.[15]
  • 주 정부의 자율성 보장: 연방 정부는 주 정부를 자신의 도구로 사용할 수 없으며, 주 정부에게 특정 법률을 제정하거나 시행하도록 강요할 수 없다.[23] 이는 프린츠 대 미국 판례에서 확립되었다.
  • 협력적 연방주의: 의회는 주 정부가 국가적 기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시행하도록 장려하기 위해 연방 재정 지원을 조건으로 걸 수 있다. 협력적 연방주의의 예로는 IDEA 준수, 전국적인 속도 제한 (현재는 폐지됨), 법적 혈중 알코올 농도 제한, 전국적인 21세 음주 연령[22] 등이 있다.
  • 강압적인 재정 지원 금지: 연방 정부가 주 정부에게 특정 정책을 강요하기 위해 재정 지원을 사용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전미 자영업 연맹 대 시벨리우스 (2012년) 판결에서 환자 보호 및 적정 의료법 (오바마케어)의 메디케이드 확장 조항이 강압적이라고 판결되었다.[43]


이러한 판례들은 수정 헌법 제10조가 연방 정부의 권한을 제한하고 주 정부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4. 1. 자명한 진리 (Truism)

미국 수정 헌법 제10조는 연방 정부의 권한이 헌법에 부여된 권한으로 제한된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미국 연방 대법원은 이를 자명한 진리라고 선언했다. 미국 대 스프라그 사건 (1932)에서 미국 연방 대법원은 수정 헌법이 "원래 비준된 [헌법]에 아무것도 추가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5]

주 정부와 지방 정부는 헌법 제10조를 근거로 하여 특히 노동 조합 및 환경 규제 분야에서 다양한 연방 규제로부터 면제를 주장하려 시도해 왔다. 미국 대 다비 목재 회사 사건[16]에서 자주 인용되는 문구는 다음과 같다.

"이 수정 조항은 양도되지 않은 모든 권한이 유지된다는 자명한 진리를 명시하고 있다. 이 조항의 채택 역사에는 그것이 수정 조항 전에 헌법에 의해 확립된 국가 및 연방 정부 간의 관계를 선언하는 것 이상이었거나, 새로운 연방 정부가 부여되지 않은 권한을 행사하려고 시도하고 주가 그들의 유보된 권한을 완전히 행사할 수 없다는 우려를 완화하는 것 외에 다른 목적이 있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은 없다."

가르시아 대 샌안토니오 광역 교통국 사건 (1985)에서[17] 대법원은 전미 도시 연맹 대 유저리 사건 (1976) 판례를 뒤집었다.[18] 전미 도시 연맹 대 유저리 사건에 따르면, 연방 규제로부터 주 면제가 있는지 여부는 주 활동이 주 정부에 "전통적"이거나 "필수적"인지에 달려 있었다. 가르시아 사건에서 대법원은 이러한 분석이 "원칙적으로 타당하지 않고 실제적으로 실행 불가능하다"고 지적하고, 제헌 헌법 초안 작성자들은 헌법에 의해 확립된 정치 체계를 통해 주권이 유지될 수 있다고 믿었다고 결론 내렸다. 공정 노동 기준법을 정부가 운영하는 대중 교통 시스템까지 확대하면서 동시에 해당 시스템에 상당한 자금을 지원한 동일한 의회를 언급하며, 대법원은 제헌 헌법 초안 작성자들이 만든 구조가 실제로 연방 정부의 과도한 권력 행사로부터 주를 보호했다고 결론지었다.

사우스캐롤라이나 대 베이커 사건 (1988)에서[19] 대법원은 과잉적 발언을 통해 연방 정치 과정에 "참여할 권리"가 없고 연방법에 의해 "정치적으로 고립되고 무력하게" 된 경우 가르시아 사건의 예외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20]

4. 2. 주 정부의 연방 규제 면제 시도

주 정부와 지방 정부는 헌법 제10조를 근거로 하여 특히 노동 조합 및 환경 규제 분야에서 다양한 연방 규제로부터 면제를 주장하려 시도해 왔다. 미국 대 다비 목재 회사 사건[16]에서 자주 인용되는 문구는 다음과 같다.

'''이 수정 조항은 양도되지 않은 모든 권한이 유지된다는 자명한 진리를 명시하고 있다. 이 조항의 채택 역사에는 그것이 수정 조항 전에 헌법에 의해 확립된 국가 및 연방 정부 간의 관계를 선언하는 것 이상이었거나, 새로운 연방 정부가 부여되지 않은 권한을 행사하려고 시도하고 주가 그들의 유보된 권한을 완전히 행사할 수 없다는 우려를 완화하는 것 외에 다른 목적이 있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은 없다.'''

가르시아 대 샌안토니오 광역 교통국 사건 (1985)[17]에서 대법원은 전미 도시 연맹 대 유저리 사건 (1976) 판례를 뒤집었다.[18] 전미 도시 연맹 대 유저리 사건에 따르면, 연방 규제로부터 주 면제가 있는지 여부는 주 활동이 주 정부에 "전통적"이거나 "필수적"인지에 달려 있었다. 가르시아 사건에서 대법원은 이러한 분석이 "원칙적으로 타당하지 않고 실제적으로 실행 불가능하다"고 지적하고, 제헌 헌법 초안 작성자들은 헌법에 의해 확립된 정치 체계를 통해 주권이 유지될 수 있다고 믿었다고 결론 내렸다. 공정 노동 기준법을 정부가 운영하는 대중 교통 시스템까지 확대하면서 동시에 해당 시스템에 상당한 자금을 지원한 동일한 의회를 언급하며, 대법원은 제헌 헌법 초안 작성자들이 만든 구조가 실제로 연방 정부의 과도한 권력 행사로부터 주를 보호했다고 결론지었다.

사우스캐롤라이나 대 베이커 사건 (1988)[19]에서 대법원은 과잉적 발언을 통해 연방 정치 과정에 "참여할 권리"가 없고 연방법에 의해 "정치적으로 고립되고 무력하게" 된 경우 가르시아 사건의 예외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20]

4. 3. 주 정부 강제 금지 (Commandeering)

1992년 이후, 연방 대법원은 수정 헌법 제10조가 연방 정부가 주 정부에게 특정 법률을 통과시키거나 통과시키지 않도록 강요하거나, 연방법을 시행하도록 강요하는 것을 금지한다고 판결했다.

뉴욕 대 미국 (1992)에서[21], 연방 대법원은 1985년의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정책 수정 법안의 일부를 무효화했다. 이 법은 주 정부가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를 제공하기 위한 법적 의무를 준수하도록 세 가지 인센티브를 제공했다. 처음 두 가지는 금전적 인센티브였다. 이 사건에서 문제가 된 세 번째 인센티브는 1996년 1월 1일 이전에 처리되지 않은 자국 내 모든 폐기물을 주 정부가 인수하도록 하고, 각 주 정부가 폐기물과 직접 관련된 모든 손해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하는 것이었다. 법원은 주 정부에 그러한 의무를 부과하는 것은 수정 헌법 제10조를 위반한다고 판결했다. 샌드라 데이 오코너 대법관은 연방 정부가 지출 권한을 통해 주 정부가 특정 규정을 채택하도록 장려할 수 있지만(예: 연방 기금 수령에 조건을 부과, 사우스 다코타 대 돌 참조)[22], 또는 상거래 권한을 통해 주 법을 직접적으로 우선할 수 있지만, 의회가 주 정부가 연방 규정을 시행하도록 직접 강요할 수는 없다고 썼다.

프린츠 대 미국 (1997)에서[23], 법원은 브래디 핸드건 폭력 예방법의 일부가 수정 헌법 제10조를 위반한다고 판결했다. 이 법은 주 및 지방 법 집행 공무원이 권총 구매를 시도하는 사람에 대해 신원 조회를 수행하도록 요구했다. 다수 의견을 작성한 안토닌 스칼리아 대법관은 ''뉴욕 대 미국''을 적용하여 이 법이 수정 헌법 제10조를 위반한다고 판결했다. 이 법은 "연방 프로그램의 실제 행정에 주 정부 행정부의 참여를 강요"했기 때문에 위헌이었다.[23]

머피 대 전국 대학 운동 협회 (2018)에서[24], 연방 대법원은 법이 제정될 당시 스포츠 도박을 금지했던 주 정부가 이를 합법화하는 것을 금지하는 1992년 프로 및 아마추어 스포츠 보호법이 반(反)강제 원칙(anti-commandeering doctrine)을 위반한다고 판결하고 법 전체를 무효화했다. 법원은 반강제 원칙이 의회가 주 정부가 연방법을 시행하도록 요구한 ''뉴욕''과 ''프린츠''에서 적용된 것과 마찬가지로, 의회가 주 정부가 특정 조치를 취하는 것을 막으려는 시도에도 적용된다고 판결했다.[25]

4. 4. 통상 조항 (Commerce Clause)과의 관계

미국 수정 헌법 제10조는 연방 정부의 권한이 헌법에 명시된 권한으로 제한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미국 연방 대법원은 이를 자명한 진리라고 선언했다. 20세기 동안, 통상 조항은 연방 의회 권한의 가장 빈번한 근거 중 하나가 되었으며, 그 해석은 연방 정부의 허용 가능한 범위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6]

미국 대 다비 목재 회사 사건에서 대법원은 수정 헌법이 "양도되지 않은 모든 권한이 유지된다는 자명한 진리를 명시하고 있다"고 판결했다.[16]

가르시아 대 샌안토니오 광역 교통국 사건(1985)에서 대법원은 전미 도시 연맹 대 유저리 사건(1976) 판례를 뒤집었다.[17][18] 전미 도시 연맹 대 유저리 사건에서는 주 정부 활동이 "전통적"이거나 "필수적"인지에 따라 연방 규제로부터의 주 면제 여부가 결정되었으나, 가르시아 사건에서 대법원은 이러한 분석이 "원칙적으로 타당하지 않고 실제적으로 실행 불가능하다"고 판결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 대 베이커 사건(1988)에서 대법원은 연방 정치 과정에 "참여할 권리"가 없고 연방법에 의해 "정치적으로 고립되고 무력하게" 된 경우 가르시아 사건의 예외가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20]

대공황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은 강력한 국가 경제 유지를 위한 통상 조항 권한 사용에 대해 의회와 대법원에서 재평가를 촉발했다.[27] Wickard v. Filburn(1942) 사건에서[28] 대법원은 농부가 자가 소비를 위해 재배한 밀도 주간 통상에 상당한 누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연방의 밀 생산 규제가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United States v. Lopez(1995) 사건에서[29] 대법원은 공립 학교 안팎에 "총기 없는 구역"을 의무화하는 연방법이 통상 조항에 따른 정부 권한을 제한하는 최초의 현대 대법원 판결이라고 판시했다.

Gonzales v. Raich(2005) 사건에서[30] 대법원은 캘리포니아 주법에 따라 합법화된 의료용 대마초 재배가 통제 물질법에 의해 연방 차원에서 금지될 수 있다고 판결했다. 대법원은 개인이 자신의 소비만을 위해 대마초를 재배하더라도, 이는 대마초의 주간 시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4. 5. 연방 우위 조항 (Supremacy Clause)과의 관계

미국 수정 헌법 제10조는 연방 정부의 권한이 헌법에 명시된 것으로 제한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미국 연방 대법원은 이를 자명한 진리라고 선언했다. 미국 대 스프라그 사건 (1932)에서 연방 대법원은 수정 헌법이 "원래 비준된 [헌법]에 아무것도 추가하지 않았다"고 판결했다.[15]

주 정부와 지방 정부는 헌법 제10조를 근거로 노동 조합 및 환경 규제 등 다양한 연방 규제로부터 면제를 주장해왔다. 미국 대 다비 목재 회사 사건[16]에서 자주 인용되는 문구는 다음과 같다.

> 이 수정 조항은 양도되지 않은 모든 권한이 유지된다는 자명한 진리를 명시하고 있다.

가르시아 대 샌안토니오 광역 교통국 사건 (1985)에서[17] 대법원은 전미 도시 연맹 대 유저리 사건 (1976) 판례를 뒤집었다.[18] 전미 도시 연맹 대 유저리 사건에서는 주 활동이 주 정부에 "전통적"이거나 "필수적"인지에 따라 연방 규제로부터 주 면제 여부가 결정되었다. 그러나 가르시아 사건에서 대법원은 이러한 분석이 "원칙적으로 타당하지 않고 실제적으로 실행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제헌 헌법 초안 작성자들은 헌법에 의해 확립된 정치 체계를 통해 주권이 유지될 수 있다고 믿었다고 결론 내렸다. 대법원은 공정 노동 기준법을 정부 운영 대중 교통 시스템까지 확대하면서 동시에 해당 시스템에 상당한 자금을 지원한 의회를 언급하며, 제헌 헌법 초안 작성자들이 만든 구조가 실제로 연방 정부의 과도한 권력 행사로부터 주를 보호했다고 판결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 대 베이커 사건 (1988)에서[19] 대법원은 연방 정치 과정에 "참여할 권리"가 없고 연방법에 의해 "정치적으로 고립되고 무력하게" 된 경우 가르시아 사건의 예외가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20]

1958년 Cooper v. Aaron 판례에서[31] 연방 대법원은 주의 권리와 수정 헌법 제10조를 다루었다. 이 사건은 Brown v. Board of Education (1954) 판결에 대한 반발로 발생했다.[32] ''Brown'' 판결에서 연방 대법원은 공립학교에서 인종 차별적 격리가 위헌이라고 판결했다.[33] ''Brown'' 판결 이후, 대법원은 지방 법원과 학교 위원회에 "신중한 속도"로 통합을 진행하라고 명령했다.[33]

아칸소 주 주지사 오벌 포버스는 이 결정에 반대했다.[33] 리틀 록 나인으로 알려진 흑인 학생들은 백인만 다니던 센트럴 고등학교에 다닐 예정이었으나, 포버스 주지사가 주 방위군에게 이들의 학교 진입을 막도록 명령했고,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이들을 호위하기 위해 연방군을 투입하면서 긴장이 고조되었다.[34]

통합 위기가 발생한 지 5개월 후, 학교 위원회는 통합 시행을 2년 반 동안 연기해 줄 것을 요청했고, 지방 법원은 이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미국 제8 순회 항소 법원은 지방 법원의 결정을 뒤집고 대법원에 상고했다.[35] 이 사건은 주의 권리와 수정 헌법 제10조에 대한 논쟁으로 발전했다.

대법원은 연방 우위 조항 및 ''Marbury v. Madison'' 판례를 인용하여 주가 ''Brown'' 판결을 따라야 한다고 판결했다.[35] 많은 주의 권리 지지자와 주 관계자들은 이 판결을 수정 헌법 제10조에 대한 공격이라고 비판했다.[36]

4. 5. 1. 무효화 (Nullification)와 개입 (Interposition)

무효화는 주(州)가 연방법의 합법성을 평가하고 미국 헌법에 비추어 위헌이라고 선언할 수 있다는 법적 이론이다. 이는 해당 주의 경계 내에서 법률의 효력을 무효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관련된 개념인 개입은 주가 연방 정부가 위헌이라고 간주하고 자국민에게 해를 끼친다고 여기는 연방법의 시행을 방해할 권리가 있다는 믿음을 의미한다. 주는 연방 정부와 주의 국민 사이에 스스로를 "개입"한다고 말한다.

무효화 개념은 주들이 연방 정부를 연합에 가입하기 위한 합의("협약")에 의해 창설했기 때문에 주만이 연방 당국에 얼마만큼의 권한을 위임할지 결정할 수 있다는 이른바 협약 이론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현재 오직 연방 법원만이 문제가 되는 연방법에 대한 사법 심사를 수행하는 관행과는 반대된다. 제임스 매디슨토머스 제퍼슨은 무효화 주장의 근간이 되는 켄터키 및 버지니아 결의안을 작성했다.[37] 19세기에는 여러 주들이 이러한 해석에 의존하여 연방법이나 미국 대법원의 판결에 대한 무효화를 선언했지만, 대법원은 이러한 모든 노력을 무효화했다. 가장 유명한 사례 중 하나는 무효화 위기로, 사우스캐롤라이나는 무효화 조례를 통해 1828년 관세와 1832년 관세를 주에서 무효라고 선언했지만, 이는 관세가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만족에 맞춰 인하되고 앤드루 잭슨 대통령이 주가 굴복하지 않으면 군사적 개입을 위협하면서 해결되었다. 그러나 미국 남북 전쟁은 모든 주권 항소를 종식시켰고, 헌법 해석의 최고 권위자로서 대법원의 권위는 더 이상 도전받지 않게 되었다.[38]

무효화 아이디어는 1950년대에 대법원이 ''브라운 대 교육위원회'' 판결에서 학교의 미국 내 인종 차별 폐지를 명령하면서 새로운 추진력을 얻었고, 이에 대응하여 남부 주들은 연방 인종 차별 폐지 명령이 주 권리를 침해한다고 주장하며 이에 반대하는 대규모 저항 운동을 벌였다. 10개의 남부 연합 주들은 이러한 노력에 반대하는 개입 선언을 통과시켰다.[39] 그러나 대법원은 ''쿠퍼 대 에런'' 판결에서 이러한 선언을 거부하고 무효화와 개입을 허용할 수 없다고 판결했다.[40]

오늘날, 대법원 판결이나 연방법을 회피하는 것으로 보이는 법률은 연방법에 명시적으로 저항하거나 연방 권위에 저항할 것을 촉구하지 않더라도 때때로 무효화 법률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러한 용법의 예로는 텍사스 심장 박동법과 미주리 주의 수정 헌법 제2조 보존법[41] 또는 이민 및 마리화나 관련 법률이 있다.[42]

4. 6. 연방 재정 지원 (Federal Funding)

미국 연방 대법원은 수정 헌법 제10조가 연방 정부의 권한을 헌법에 명시된 권한으로 제한한다는 것을 자명한 진리라고 선언했다. 그러나 의회는 종종 주 정부가 국가의 최소 기준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하도록 장려하는 방식으로 권한을 행사하려 한다. 이를 협력적 연방주의라고 한다.

이러한 방식의 예로는 특정 주법이 연방 지침을 따르지 않을 경우 연방 자금 배분을 제한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IDEA을 준수하는 특수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지 않으면 연방 교육 자금을 받을 수 없다. 마찬가지로, 전국적인 주 약 88.51km 속도 제한, 0.08 법적 혈중 알코올 농도 제한, 그리고 전국적인 주 21세 음주 연령[22]은 주 정부가 이러한 법을 통과시키지 않으면 고속도로 자금을 잃게 하는 방식으로 시행되었다 (단, 전국 속도 제한은 이후 폐지됨).

전미 자영업 연맹 대 시벨리우스 (2012년) 판결에서,[43] 대법원은 환자 보호 및 적정 의료법 (일반적으로 ACA 또는 오바마케어로 불림)이 주 정부가 메디케이드를 확장하도록 강요하는 것은 강압적이라고 판결했다. 대법원은 ACA의 조항이 메디케이드 기금의 지속적인 제공을 빈곤선 133% 미만의 모든 개인을 포함하도록 메디케이드 자격 기준을 변경하는 것에 동의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사실상 주 정부가 연방 프로그램에 가입하도록 강요했기 때문에 강압적이라고 판단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Bill of Rights: A Transcription https://www.archives[...] United Stat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0-09-20
[2] 웹사이트 Bill of Rights https://www.archives[...] 2015-10-30
[3] 웹사이트 Essay on the Tenth Amendment:Reserved Powers of the States https://www.heritage[...] 2014-09-11
[4] 간행물 Freedom and Diversity in a Federal System: Perspectives on State Constitutions and the Washington Declaration of Rights https://digitalcommo[...] Digitalcommons.law.seattleu.edu 2010-07-18
[5] 서적 Powers reserved for the people and the states: a history of the Ninth and Tenth Amendments Praeger Publishers 2006
[6] 웹사이트 Tenth Amendment – Reserved Powers – Contents https://www.govinfo.[...]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7] 웹사이트 Articles of Confederation: March 1, 1781 https://avalon.law.y[...] Yale Law School 2020-02-15
[8] 서적 Thomas Burke: Restless Revolutionary https://doi.org/10.2[...]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80-12
[9] 웹사이트 House of Representatives, Amendments to the Constitution http://press-pubs.uc[...] University of Chicago 2007-12-16
[10] 서적 The First Congress: How James Madison, George Washington, and a Group of Extraordinary Men Invented the Government Simon and Schuster
[11] 웹사이트 Constitutional Myth #7: The 10th Amendment Protects 'States' Rights' https://www.theatlan[...] 2011-07-11
[12] 웹사이트 Bill of Rights Documents: Document 11: House of Representatives, Amendments to the Constitution http://press-pubs.uc[...] University of Chicago. June 8; July 21; August 13, 18-19, 1789 2015-06-19
[13] 문서 "Gibson v. Matthews'', 926 [[F.2d]] [https://law.justia.com/cases/federal/appellate-courts/F2/926/532/258315/ 532], 537 ([[6th Cir.]] 1991): The ninth amendment was added to the Bill of Rights to ensure that the maxim expressio unius est exclusio alterius would not be used at a later time{{nbsp}}..."
[14] 간행물 The President's Power to Execute the Laws https://digitalcommo[...]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웹사이트 Federalism and Intergovernmental Tax Immunity Now Rest In Peace: South Carolina v. Baker https://dspace2.crei[...] 2018-05-25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뉴스 Opinion analysis: Justices strike down federal sports gambling law (Updated) https://www.scotusbl[...] 2018-05-14
[26] 서적 The Classical Liberal Constit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The Classical Liberal Constit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웹사이트 Brown v. Board of Education https://www.history.[...] A&E Networks 2018-05-25
[34] 웹사이트 Little Rock Nine https://www.history.[...] History 2018-05-25
[35] 간행물 The Supreme Court and the Rule of Law: Cooper v. Aaron Revisited https://scholarship.[...] 1982
[36] 논문 Cooper v. Aaron and the Faces of Federalism https://scholarship.[...] 2008
[37] 논문 The Principles of '98: An Essay in Historical Retrieval https://www.jstor.or[...]
[38] 논문 Judicial Review and its Alternatives: An American Tale https://lawcat.berke[...]
[39] 논문 The Southern Manifesto and Southern Opposition to Desegregation https://www.jstor.or[...]
[40] 논문 The Irrepressible Myth of ''Cooper v. Aaron'' https://www.law.geor[...]
[41] 웹사이트 Did SCOTUS Finally Wake Up to the Threat of State Nullification of Federal Law? https://verdict.just[...] 2023-10-25
[42] 웹사이트 State Legislators Want to Nullify Federal Gun Control https://reason.com/2[...]
[43] 간행물
[44] 웹인용 The Bill of Rights: A Transcription http://www.archives.[...] United State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2010-09-20
[45] 웹인용 TENTH AMENDMENT ---- RESERVED POWERS ---- CONTENTS http://www.gpo.gov/f[...] gpo.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