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미국 배구 협회에서 관리하며,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등 국제 대회에 참가한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올림픽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또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여자 국가대표팀 - 미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
    미국 여자 농구 국가대표팀은 WNBA 선수와 대학 선수로 구성되어 올림픽에서 7연패를 달성하고 FIBA 여자 농구 월드컵에서 11번 우승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다이애나 타우라시가 올림픽 최다 금메달 기록을 보유하고 지노 오리에마가 감독을 맡고 있다.
  • 미국의 여자 국가대표팀 -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여자 월드컵 4회 우승, 올림픽 5회 금메달 획득 등 세계 최강의 여자 축구팀으로, 임금 형평성 문제와 같은 법적 분쟁을 겪었으나 꾸준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 미국의 국가대표팀 -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여자 월드컵 4회 우승, 올림픽 5회 금메달 획득 등 세계 최강의 여자 축구팀으로, 임금 형평성 문제와 같은 법적 분쟁을 겪었으나 꾸준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 미국의 국가대표팀 -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와 CONCACAF 회원국으로서 월드컵 3위, 골드컵 7회 우승, 네이션스리그 3회 우승을 기록했으며, 최근 유럽 리그에서 활약하는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미국 국기
국기
국가 연맹합중국 배구 협회
웹사이트www.usavolleyball.org
대륙 연맹NORCECA (북중미카리브 배구 연맹)
FIVB 랭킹2위 (2024년 2월 기준)
올림픽
올림픽 출전 횟수13회
올림픽 첫 출전1964년 하계 올림픽
올림픽 최고 성적[[파일:Gold medal icon.svg|16x16px]] 금메달 (2020 도쿄)
세계 선수권
세계 선수권 출전 횟수16회
세계 선수권 첫 출전1956년 세계 선수권 대회
세계 선수권 최고 성적[[파일:Gold medal icon.svg|16x16px]] 1위 (2014 이탈리아)
월드컵
월드컵 출전 횟수11회
월드컵 첫 출전1973년 월드컵
월드컵 최고 성적[[파일:Simple silver cup.svg|16px]] 준우승 (2011, 2019)
선수단
감독카치 키랄리
주장켈시 로빈슨
유니폼
홈 유니폼pattern_la1:
pattern_b1: _thinredsides
pattern_ra1:
leftarm1: 000066
body1: 000066
rightarm1: 000066
shorts1: 000066
원정 유니폼pattern_la2:
pattern_b2: _thindkbluesides
pattern_ra2:
leftarm2: ffffff
body2: ffffff
rightarm2: ffffff
shorts2: ffffff
주요 대회 성적
올림픽 배구[[파일:Olympic rings.svg|center|80px]]
2020년 하계 올림픽[[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1984년 하계 올림픽[[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008년 하계 올림픽[[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012년 하계 올림픽[[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024년 하계 올림픽[[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92년 하계 올림픽[[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16년 하계 올림픽[[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14년 FIVB 여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1967년 FIVB 여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002년 FIVB 여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82년 FIVB 여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1990년 FIVB 여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11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파일:Simple silver cup.svg|16px]] 은메달
2019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파일:Simple silver cup.svg|16px]] 은메달
2003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07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15년 FIVB 여자 배구 월드컵[[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05년 FIVB 여자 배구 그랜드 챔피언스컵[[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013년 FIVB 여자 배구 그랜드 챔피언스컵[[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017년 FIVB 여자 배구 그랜드 챔피언스컵[[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18년 FIVB 여자 배구 네이션스리그[[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19년 FIVB 여자 배구 네이션스리그[[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21년 FIVB 여자 배구 네이션스리그[[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1995년 FIVB 월드 그랑프리[[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01년 FIVB 월드 그랑프리[[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10년 FIVB 월드 그랑프리[[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11년 FIVB 월드 그랑프리[[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12년 FIVB 월드 그랑프리[[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15년 FIVB 월드 그랑프리[[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16년 FIVB 월드 그랑프리[[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003년 FIVB 월드 그랑프리[[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04년 FIVB 월드 그랑프리[[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1981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1983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01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03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05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11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13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15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1975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77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79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85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87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91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93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95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97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99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007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019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023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69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1973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1989년 NORCECA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1967년 팬아메리칸 게임[[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15년 팬아메리칸 게임[[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1955년 팬아메리칸 게임[[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59년 팬아메리칸 게임[[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63년 팬아메리칸 게임[[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83년 팬아메리칸 게임[[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95년 팬아메리칸 게임[[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87년 팬아메리칸 게임[[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1999년 팬아메리칸 게임[[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03년 팬아메리칸 게임[[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07년 팬아메리칸 게임[[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11년 팬아메리칸 게임[[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03년 여자 팬아메리칸 컵[[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12년 여자 팬아메리칸 컵[[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13년 여자 팬아메리칸 컵[[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15년 여자 팬아메리칸 컵[[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17년 여자 팬아메리칸 컵[[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18년 여자 팬아메리칸 컵[[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19년 여자 팬아메리칸 컵[[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04년 여자 팬아메리칸 컵[[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014년 여자 팬아메리칸 컵[[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002년 여자 팬아메리칸 컵[[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10년 여자 팬아메리칸 컵[[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11년 여자 팬아메리칸 컵[[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16년 여자 팬아메리칸 컵[[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21년 여자 팬아메리칸 컵[[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22년 여자 팬아메리칸 컵[[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23년 여자 팬아메리칸 컵[[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2023년 NORCECA 팬아메리칸 컵 파이널 식스 여자 배구[[파일:Gold medal icon.svg|16px]] 금메달
2022년 NORCECA 팬아메리칸 컵 파이널 식스 여자 배구[[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024년 NORCECA 팬아메리칸 컵 파이널 식스 여자 배구[[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009년 파이널 포 여자 배구 컵[[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91년 몽트뢰 배구 마스터스[[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004년 몽트뢰 배구 마스터스[[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010년 몽트뢰 배구 마스터스[[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014년 몽트뢰 배구 마스터스[[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1995년 몽트뢰 배구 마스터스[[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1996년 몽트뢰 배구 마스터스[[파일:Bronze medal icon.svg|16px]] 동메달
1994년 굿윌 게임[[파일:Silver medal icon.svg|16px]] 은메달

2. 역사

미국은 배구 종주국이지만, 국내 리그가 없어 해외 리그에서 뛰는 선수 외에는 협회 주최 트라이아웃 합격자로 대표팀이 구성된다.

2001년 요시다 토시아키 감독이 취임하여 그 해 월드 그랑프리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준결승에서 러시아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지만, 이탈리아에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4]

2004년 국제 배구 연맹(FIVB) 세계 랭킹 1위에 올랐다.

2005년부터 전 중국 대표팀 에이스 공격수 랑핑이 감독을 맡았다. 월드 그랑프리에서는 8위, 북중미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9위를 기록했다.

2007년 북중미 선수권 대회에서 쿠바에 패했지만, 월드컵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베이징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2008년 12월 15일, 휴 맥커천이 대표팀 감독으로 취임했다.[5]

2009년 월드 그랑프리 예선 라운드 탈락, 북중미 선수권 대회 4위에 그쳤지만, 데스티니 후커, 폴케 아킨라데워 등 기대주들의 활약으로 2010년 몬트뢰 배구 마스터스 준우승, 월드 그랑프리 우승을 차지했다.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2011년 월드 그랑프리 2회 연속 우승, 월드컵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2년 월드 그랑프리 3연패를 달성했다.[6]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8]

2. 1. 올림픽 도전사

연도라운드순위경기승리패배획득 세트실점 세트
1964조별 리그5위514312
1968조별 리그8위707421
1972, 1976 불참
1980기권
1984결승은메달541126
1988조별 리그7위523913
19923위 결정전동메달642169
19968강7위8531612
20003위 결정전4위8531812
20048강5위6241313
2008결승은메달8621914
2012결승은메달871225
20163위 결정전동메달871239
2020결승금메달871217
2024결승은메달6421410
2028개최국 자격
2032미정
총계1회 우승13/18885434190133



2000년 시드니 올림픽 8강에서 대한민국을 풀세트 접전 끝에 이겨 4강에 진출했지만, 러시아브라질에 패해 메달 획득에 실패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요시다 토시아키 감독 지휘 아래 5위를 기록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예선 리그에서는 개최국이자 감독의 모국인 중국과 대결하여 풀세트 접전 끝에 승리했다.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8강에서 이탈리아, 준결승에서 쿠바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으나, 세계 랭킹 1위 브라질에 1-3으로 패해 은메달에 머물렀다. 이는 바르셀로나 올림픽 동메달 이후 4개 대회 만의 메달 획득이었다.[4]

2012년 런던 올림픽 결승에서 다시 브라질에 패하며 첫 우승 달성에 실패했다.[7]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준결승에서 세르비아에 풀세트 접전 끝에 패했지만, 3위 결정전에서 네덜란드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결승에서 브라질을 꺾고 올림픽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결승에서 이탈리아에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2. 2. 주요 국제대회 성적

미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올림픽, 세계선수권, 월드컵, 네이션스리그 등 주요 국제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2020 도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오랜 숙원을 풀었다.

대회
합계
올림픽1427
세계선수권1102
월드컵0235
네이션스리그3003
월드그랑프리6219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0213
NORCECA 선수권107421
합계21181150


  • '''월드그랑프리'''에서는 2001년 요시다 토시아키 감독 부임 후 우승을 차지했고, 랑핑 감독 시절을 거쳐 휴 맥커천 감독 체제에서 2010년, 2011년, 2012년 3회 연속 우승을 달성했다.[6]
  • '''세계선수권'''에서는 2002년 은메달, 2014년 금메달을 획득했다.[8]
  • '''월드컵'''에서는 2003년, 2007년, 2015년에 동메달, 2011년과 2019년에 은메달을 획득했다.
  • '''네이션스리그'''에서는 2018년, 2019년, 2021년 3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2. 2. 1. 올림픽

하계 올림픽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승리패배획득 세트실점 세트선수 명단
1964조별 리그5위514312선수 명단
1968조별 리그8위707421선수 명단
1972불참
1976
1980기권
1984결승-- 은메달541126선수 명단
1988조별 리그7위523913선수 명단
19923위 결정전-- 동메달642169선수 명단
19968강7위8531612선수 명단
20003위 결정전4위8531812선수 명단
20048강5위6241313선수 명단
2008결승-- 은메달8621914선수 명단
2012결승-- 은메달871225선수 명단
20163위 결정전-- 동메달871239선수 명단
2020결승
금메달
871217선수 명단
2024결승-- 은메달6421410선수 명단
2028개최국 자격
2032미정
총계1회 우승13/18885434190133


2. 2. 2. 세계선수권

연도순위경기승리패배획득 세트실점 세트
1998년13위
2002년
은메달
2006년9위
2010년4위
2014년
금메달
2018년5위
2022년



200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예선 라운드부터 좋은 컨디션을 유지하며 준결승에서 러시아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지만, 이탈리아에 2-3으로 패해 은메달을 획득했다.[4]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9위를 기록했다.[4]

201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예선 라운드를 전승으로 통과하여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러시아에 패했고, 3위 결정전에서 일본에 2-3으로 패하여 4위를 기록했다.[4]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준결승에서 숙적 브라질을 꺾고, 결승에서도 중국에 3-1로 승리하여 3대 메이저 대회에서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다.[8]

2. 2. 3. 월드컵

연도순위
1973년6위
1977년7위
1981년4위
1991년4위
1995년7위
1999년9위
2003년-- 3위
2007년-- 3위
2011년-- 준우승
2015년
3위
2019년-- 준우승


2. 2. 4. 네이션스리그

'''우승'''   준우승   3위   4위

네이션스리그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승리패배획득 세트실점 세트선수 명단
2018결승우승
2019결승우승
2021결승우승
20228강5위
20233위 결정전4위
총계3회 우승5/5colspan=8 |


2. 2. 5. 월드 그랑프리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실세트 실점선수 명단
1993풀 리그4위선수 명단
1997불참
2001풀 리그5위선수 명단
2005풀 리그준우승선수 명단
2009불참
2013풀 리그준우승선수 명단
2017풀 리그3위선수 명단
총계0회 우승4/6



2001년 요시다 토시아키 감독이 취임하여, 그 해 월드 그랑프리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4] 2005년 랑핑 감독 부임 후, 월드 그랑프리에서는 8위를 기록했다. 2009년 휴 맥커천 감독 체제하에, 월드 그랑프리에서는 예선 라운드에서 탈락했다. 이후 데스티니 후커, 폴케 아킨라데워 등 기대주들의 활약으로 월드 그랑프리에서는 9년 만에 우승했다. 2011년 월드 그랑프리에서 2회 연속 우승을 달성하며 4번째 정상을 차지했다. 2012년 월드 그랑프리에서 3연패를 달성했다.[6]

2. 2. 6. 기타 대회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세트 득실세트 실점선수 명단
1993풀 리그4위선수 명단
1997불참
2001풀 리그5위선수 명단
2005풀 리그준우승선수 명단
2009불참
2013풀 리그준우승선수 명단
2017풀 리그3위선수 명단
총계0회 우승4/6



NORCECA [팬아메리카컵] 파이널 식스 기록
연도라운드순위경기 수승리패배획득 세트잃은 세트
2022결승준우승
2023결승우승
2024결승준우승
총계1회 우승3/3


  • 1973년 - 6위
  • 1977년 - 7위
  • 1981년 - 4위
  • 1991년 - 4위
  • 1995년 - 7위
  • 1999년 - 9위
  • 2003년 - 3위
  • 2007년 - 3위
  • 2011년 - 준우승
  • 2015년 - 3위
  • 2019년 - 준우승

3. 선수 명단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으므로, 선수 명단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3. 1. 2024년 하계 올림픽 대표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2024년 하계 올림픽 대표팀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섹션에 내용을 채울 수 없다. 따라서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빈 문자열을 출력한다.

3. 2. 2016년 하계 올림픽 대표팀

2016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한 미국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명단이다.[10]

감독: 카치 키랄리(Karch Kiraly)

번호이름출생일몸무게스파이크 높이가로막기 높이2015–16년 소속 팀
1얼리샤 글래스1988년 4월 5일184cm72kg305cm300cmImoco Volley|이모코 볼레이it
2케일라 밴워스 (리베로)1989년 1월 21일178cm75kg295cm283cmUSA Volleyball|USA 볼리볼영어
3코트니 톰프슨1984년 11월 4일170cm66kg276cm263cmRio de Janeiro VC|리우데자네이루 VCpt
5레이철 애덤스1990년 6월 3일188cm81kg318cm307cmImoco Volley|이모코 볼레이it
6칼리 로이드1989년 8월 6일180cm75kg313cm295cmVBC Pallavolo Rosa|VBC 팔라볼로 로사it
10조던 라슨1986년 10월 16일188cm75kg302cm295cmEczacıbaşı|에지자즈바시으tr
12켈리 머피1989년 10월 20일188cm79kg315cm307cmAgeo Medics|아게오 메딕스일본어
13크리스타 하모토 (주장)1986년 10월 12일188cm79kg322cm300cmFenerbahçe|페네르바체tr
15킴벌리 힐1989년 11월 30일193cm72kg320cm310cmVakıfBank|바키프방크tr
16폴루케 아킨라데워1987년 10월 5일191cm79kg331cm300cmVolero Zürich|볼레로 취리히de
23켈시 로빈슨1992년 6월 25일188cm75kg306cm300cmImoco Volley|이모코 볼레이it
25카스타 로1993년 2월 2일193cm75kg315cm305cmFutura Volley|푸투라 볼레이it


4. 역대 감독

취임 년도이름주요 업적
2001년요시다 토시아키2001년 월드 그랑프리 우승, 2002년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 2004년 아테네 올림픽 5위
2005년랑핑2005년 월드 그랜드 챔피언스컵 준우승,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은메달
2008년휴 맥커천2010년 월드 그랑프리 우승, 2011년 월드 그랑프리 우승, 2011년 월드컵 배구 준우승, 2012년 월드 그랑프리 우승, 2012년 런던 올림픽 은메달
2014년카치 키랄리2014년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우승,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동메달, 2020년 도쿄 올림픽 금메달
2024년미상2024년 파리 올림픽 은메달


5. 상대 전적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상대 전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Karch Kiraly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FIVB Women’s Volleyball World Ranking https://en.volleybal[...] 2024-02-24
[3] 웹사이트 Norceca Volleyball Confederation (NORCECA) http://www.fivb.org/[...] FIVB 2010-07-30
[4] 웹사이트 U.S. Women Claim Olympic Silver Medals http://usavolleyball[...] USA Volleyball 2008-08-23
[5] 웹사이트 McCutcheon Accepts U.S. Women’s National Team Head Coach Position http://usavolleyball[...] USA Volleyball 2008-12-15
[6] 웹사이트 アメリカが大会3連覇 FIVBワールドグランプリ2012 http://www.jva.or.jp[...] 2012-07-02
[7] 웹사이트 Women's Volleyball http://www.london201[...] 2012-08-16
[8] 웹사이트 FIVB Women's World Championship - Day 20 - LIVE http://italy2014.fiv[...] 2014-10-13
[9] 웹사이트 https://en.volleybal[...]
[10] 웹인용 USA Team Roster http://rio2016.fivb.[...] 국제 배구 연맹 2016-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