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림픽 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배구는 하계 올림픽의 정식 종목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처음 채택되었다. 남녀부 경기가 모두 진행되며, 각 대회에는 12개 팀이 참가한다. 경기는 예선 라운드와 결선 라운드로 진행되며, 예선 라운드에서는 풀 리그를 통해 각 조 상위 팀이 결선 라운드에 진출한다. 결선 라운드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개최국 1개국, 올림픽 예선 통과 6개국, FIVB 랭킹에 따라 5개국이 출전 자격을 얻는다. 역대 올림픽 배구에서는 소련, 미국, 브라질 등이 강세를 보였으며, 최우수 선수(MVP)는 매 대회 남녀부에서 각각 선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구 대회 -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배구 연맹 소속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는 국제 배구 대회로, 1975년 시작되어 일본이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월드컵 등 국제 대회 출전권 부여 및 아시아컵 진출권과 연계되어 운영된다.
  • 배구 대회 - 유니버시아드 배구
    유니버시아드 배구는 전 세계 대학생들이 참가하는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의 배구 종목으로, 국제배구연맹 규칙에 따라 경기 규칙이 변경되어 왔으며, 남자부와 여자부로 나뉘어 진행되고, 초기에는 유럽 국가들이 강세였으나 점차 아시아와 아메리카 국가들의 경쟁력이 강화되어 국제적인 선수 등용문 역할을 한다.
  • 올림픽 배구 - 2012년 하계 올림픽 배구
    2012년 하계 올림픽 배구는 실내 배구와 비치발리볼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남자부와 여자부에서 각각 러시아, 브라질, 독일, 미국 등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배구 - 2000년 하계 올림픽 배구
    2000년 하계 올림픽 배구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실내 배구와 비치 발리볼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남자 실내 배구에서는 유고슬라비아가, 여자 실내 배구에서는 쿠바가, 비치 발리볼 남자부에서는 미국, 여자부에서는 호주가 금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배구에 관한 - 하종화
    하종화는 한양대학교 시절 대통령배 우승, 현대캐피탈 선수 시절 실업팀 우승을 경험한 대한민국의 전 배구 선수이자 현대캐피탈 감독, 진주동명고등학교 배구부 감독을 역임하며 전광인 등 유명 선수들을 육성한 지도자이며, 입시 비리 사건 이후에도 진주동명고등학교 감독으로 복귀하여 우승을 이끌었고 현재는 한국배구연맹 경기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 올림픽 배구에 관한 - 조혜정 (배구인)
    조혜정은 숭의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배구 선수, 지도자로 활동하며,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하고, 1973년 FIVB 월드컵 MVP를 수상했으며, GS칼텍스 감독을 역임했으나 2024년 사망했다.
올림픽 배구
올림픽 배구競技
종목 코드VVO
스포츠배구
남자 종목1
여자 종목1
올림픽 참가 역사
시작 연도1964년
주최 기관국제 올림픽 위원회
국제 배구 연맹
참가 팀 수배구: 12
비치발리볼: 24
최근 우승팀남자 배구: 프랑스
여자 배구: 미국
남자 비치발리볼:
여자 비치발리볼:
관련 사이트IOC
FIVB
비고[[파일:Volleyball (indoor) pictogram.svg|90px|배구]]
[[파일:Volleyball (beach) pictogram.svg|90px|비치발리볼]]
하계 올림픽 배구 경기
올림픽기
올림픽기
남자 종목 수2
여자 종목 수2
관련 링크국제 배구 연맹
배구 3대 대회
설명배구 3대 대회

2. 역사

1954년 5월, 아테네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배구, 유도, 양궁, 롤러스케이트 (이후의 롤러 스포츠)의 올림픽 종목화가 검토되었으나 모두 보류되었다.[21]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유도(남자만)와 배구가 새로운 정식 종목이 되었다. 여자 배구는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된 최초의 여자 단체 종목이다.

일본은 여자가 1964년 도쿄 올림픽,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남자가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올림픽에서의 일본의 활약으로 배구가 '''일본의 효자 종목'''으로 불리게 되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세계 최정상급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었으나,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한국 여자팀이 28년 만에 동메달을 획득하며 김연경을 중심으로 배구 강국의 면모를 다시 보여주었다.

카치 키라이는 올림픽 배구(실내)와 비치 발리볼 모두에서 올림픽 메달을 획득한 유일한 선수이다.

2. 1. 기원

올림픽 배구의 역사는 1924년 하계 올림픽 파리에서 비공식 시범 종목으로 시작되었다. 하지만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배구 연맹(FIVB)과 각 대륙 연맹이 설립된 후에 이루어졌다. 1957년, 불가리아 소피아에서 열린 제53차 IOC 총회에서 특별 토너먼트가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성공적으로 진행되었고, 배구는 1964년에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1968년 올림픽에서 배구를 제외하려 했지만, 이에 대한 반발이 있었다.[1][2]

2. 2. 경기 방식의 변화

올림픽 배구 경기는 원래 모든 팀이 서로 경기를 치르고 승리 수, 세트 평균, 점수 평균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는 풀 리그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메달 수상자가 경기 종료 전에 결정될 수 있어 남은 경기 결과에 대한 관람객의 흥미가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1][2]

1972년 뮌헨 올림픽부터는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8강, 준결승, 결승으로 구성된 "결선 라운드"가 도입되었다. 이 새로운 시스템은 현재 배구 올림픽 토너먼트의 표준이 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올림픽 형식"이라고 불린다.[1][2]

2. 3. 참가팀 수 변화

1964년 하계 올림픽 이후 올림픽 배구에 참가하는 팀 수는 꾸준히 증가했다. 1996년 하계 올림픽부터 남자부와 여자부 모두 12개 국가가 참가하고 있다. 5개 대륙 배구 연맹은 각각 올림픽에 참가하는 최소 하나의 국가 협회를 가지고 있다.[1]

2012년 하계 올림픽 여자 배구 준결승전 미국대한민국의 경기

3. 세부 종목

1964년 하계 올림픽부터 현재까지 남자부, 여자부 경기가 진행되고 있다. 세부 종목과 관련된 내용은 다음 표와 같다.

종목1964년1968년1972년1976년1980년1984년1988년1992년1996년2000년2004년2008년2012년2016년2020년2024년개최 횟수
남자부XXXXXXXXXXXXXXXX16
여자부XXXXXXXXXXXXXXXX16
합계2222222222222222


4. 경기 방식

올림픽 배구 토너먼트는 안정적인 경기 방식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단계인 예선 라운드에서는 국제 배구 연맹 세계 랭킹에 따라 12개 팀이 6개 팀씩 두 개의 풀로 나뉜다. 개최국은 항상 1위로 랭크된다. 각 팀은 풀 내의 다른 모든 팀과 한 번씩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하여, 각 풀의 상위 4개 팀이 다음 단계로 진출하고 나머지 2개 팀은 탈락한다.

두 번째 단계인 결선 라운드에서는 8강, 준결승, 결승 경기가 치러진다. 8강전은 예선 라운드 결과에 따라 A1xB4, A2xB3, A3xB2, A4xB1 형태로 진행된다. 8강전 승리팀들은 (A1/B4) x (A3/B2), (A2/B3) x (A4xB1) 형태로 준결승전을 치른다. 결승전에서는 준결승전 승리팀들이 금메달을, 패자들은 동메달을 놓고 경기를 한다.

이러한 경기 방식은 1972년 뮌헨 올림픽 이후 채택되었는데, 이전의 풀 리그전 방식은 마지막 경기 전에 우승국이 결정될 수 있어 경기의 흥미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올림픽 배구는 선수 라인업에 엄격한 제한을 둔다. 12명의 선수만 허용되며, 부상 시에도 교체는 허용되지 않는다.

역대 올림픽 남자 배구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개최지결승전rowspan="2" |3위 결정전팀 수
우승결과준우승3위결과4위
11964 도쿄 소련----- 체코슬로바키아 일본----- 루마니아10
21968 멕시코시티 소련----- 일본 체코슬로바키아----- 동독10
31972 뮌헨 일본3 - 1 동독 소련3 - 0 불가리아12
41976 몬트리올 폴란드3 - 2 소련 쿠바3 - 0 일본9
51980 모스크바 소련3 - 1 불가리아 루마니아3 - 1 폴란드10
61984 로스앤젤레스 미국3 - 0 브라질 이탈리아3 - 0 캐나다10
71988 서울 미국3 - 1 소련 아르헨티나3 - 2 브라질12
81992 바르셀로나 브라질3 - 0 네덜란드 미국3 - 1 쿠바12
91996 애틀랜타 네덜란드3 - 2 이탈리아 유고슬라비아3 - 1 러시아12
102000 시드니 유고슬라비아3 - 0 러시아 이탈리아3 - 0 아르헨티나12
112004 아테네 브라질3 - 1 이탈리아 러시아3 - 0 미국12
122008 베이징 미국3 - 1 브라질 러시아3 - 0 이탈리아12
132012 런던 러시아3 - 2 브라질 이탈리아3 - 1 불가리아12
142016 리우데자네이루 브라질3 - 0 이탈리아 미국3 - 2 러시아12
152021 도쿄 프랑스3 - 2ROC 아르헨티나3 - 2 브라질12
162024 파리 프랑스3 - 0 폴란드 미국3 - 0 이탈리아12


4. 1. 예선

각 올림픽 대회에는 12개 팀이 참가한다. 개최국은 자동 진출하며, FIVB 월드컵을 통해 2팀(2016년 이전에는 3팀)이 예선에 진출한다. 5개 팀은 대륙별 예선 토너먼트 우승팀 자격으로 예선에 진출하고, 나머지 4장의 출전권은 세계 예선 토너먼트에서 결정된다.[28]

2024년 하계 올림픽의 경우, 개최국 1팀, 올림픽 예선을 통과한 6팀, 그리고 FIVB 랭킹에 따른 5팀이 출전권을 얻는다.

4. 2. 경기 진행

올림픽 배구 경기는 크게 예선 라운드와 결선 라운드로 나뉘어 진행된다.
예선 라운드참가하는 12개 팀은 6개 팀씩 A, B 두 조로 나뉘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한다. 각 팀은 같은 조의 다른 팀들과 한 번씩 경기를 치른다. 각 조 상위 4개 팀, 총 8개 팀이 결선 라운드에 진출하고, 나머지 2개 팀은 탈락한다.
결선 라운드결선 라운드는 8강, 준결승, 결승 경기로 진행된다. 8강전은 A조 1위와 B조 4위, A조 2위와 B조 3위, A조 3위와 B조 2위, A조 4위와 B조 1위가 맞붙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준결승전은 (A1/B4) 승자와 (A3/B2) 승자, (A2/B3) 승자와 (A4/B1) 승자가 각각 맞붙는다. 준결승전에서 승리한 팀들은 금메달을 놓고 결승전을 치르고, 패자들은 동메달 결정전을 치른다.[1]

과거에는 모든 팀이 한 조에서 리그전을 치르는 방식이었으나, 1972년 뮌헨 올림픽부터 1차 라운드와 결선 토너먼트를 분리하는 방식이 채택되었다. 이는 마지막 경기까지 대회의 흥미를 유지하기 위한 조치였다.[1]

올림픽 배구에는 한 국가에서 최대 2팀까지 출전할 수 있으며, 총 24개 팀이 참가할 수 있다. 선수 라인업은 12명으로 제한되며, 경기 중 부상 선수가 발생해도 교체할 수 없다.[1]

5. 역대 대회 결과

1954년 아테네에서 열린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 총회에서 배구의 올림픽 종목화가 검토되었으나 보류되었다.[21] 이후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배구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여자 배구는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된 최초의 여자 단체 종목이다.

일본은 여자가 1964년 도쿄 올림픽,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남자가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배구가 '''일본의 효자 종목'''으로 불리게 되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세계 최정상급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었으나,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여자팀이 28년 만에 동메달을 획득했다.

카치 키라이는 올림픽 배구 (실내)와 비치 발리볼 모두에서 올림픽 메달을 획득한 유일한 선수이다.

다음은 역대 올림픽 배구 메달 집계이다.[24][25]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소련74112
2브라질53210
3미국33410
4일본3339
5중국3126
6쿠바3025
7러시아1326
8네덜란드1102
9폴란드1023
10유고슬라비아1012
11이탈리아0336
12동독0202
13불가리아0112
체코슬로바키아0112
15EUN0101
페루0101
17한국0011
루마니아0011
아르헨티나0011
세르비아001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0011
합계28282884


5. 1. 남자부

남자 배구는 여자 배구보다 금메달이 더 고르게 분배되는 경향을 보인다. 소련(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과 미국, 브라질이 각각 3회씩 우승하여 이 대회를 두 번 이상 우승했다. 이탈리아는 1976년 이후 한 번도 대회를 놓친 적이 없는 남자 배구 강호이지만, 올림픽 금메달은 없다.[24][25]

역대 올림픽 남자 배구 메달 결과와 참가국 수는 다음과 같다.


5. 1. 1. 남자부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 소련4116
2 브라질3205
3 미국3014
4 일본1113
5 러시아1102
6 네덜란드1102
7 폴란드1012
8 유고슬라비아1012
9 이탈리아0336
10 불가리아0112
10 체코슬로바키아0112
12 아르헨티나0011
12 루마니아0011
12 세르비아0011
합계15151545

[24][25]

5. 1. 2. 남자부 참가국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합계align=left|••••••••12위•••••••1align=left|•••••6위3위•8위4위=5위•=5위=5위3위11위9align=left|•••••••••8위=11위•=9위•••3align=left|•8위••••••••••••••1align=left|7위9위8위7위5위2위4위1위5위6위1위2위2위1위4위8위16align=left|5위6위4위•2위•6위•7위••=5위4위•••8align=left|•••9위•4위•10위•••••=5위8위10위6align=left|•••••8위•••••=5위••••2align=left|••10위3위7위••4위6위7위•••=11위••7align=left|•••기권•10위•••=11위•=11위•=9위•12위6align=left|••••••8위11위••=9위••=9위1위1위6align=left|및 참조••••=9위=5위••6위3align=left|••••••••••••=11위•••1align=left|••••••••••=5위•••••1align=left|6위•••••••••••••••1align=left|•••••••••••••=5위9위•2align=left|•••8위9위3위9위5위2위3위2위4위3위2위6위4위13align=left|3위2위1위4위•7위10위6위•••=11위••7위7위10align=left|••••10위•••••••••••1align=left|•10위•••••••••••=11위••2align=left|8위•••••5위2위1위5위=9위•••••6align=left|•5위9위1위4위•••=11위•=5위=5위=5위=5위5위2위11align=left|4위•5위•3위•••••••••••3align=left|참조4위2위3위3위1위4위2위•7align=left|참조참조=5위=9위••9위3align=left|의 일부••••••••5위1align=left|10위•7위6위•5위11위9위=9위=9위••••••8align=left|•••••••8위•=9위••••••2align=left|••••••7위•••••••••1align=left|••12위••9위12위•=11위•=11위•=11위•11위•7align=left|9위7위•••1위1위3위9위=11위4위1위=5위3위10위3위13align=left|•••••••••••=9위••12위•2폐지된 국가''''2위3위6위5위8위•••참조5''''•4위2위•••••참조2''''참조•3위1위=5위참조3''''1위1위3위2위1위•2위7위참조7''''••11위••••참조1''''••••6위••참조참조1합계10101210101012121212121212121216


5. 2. 여자부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여자 배구는 초기에 소련일본이 강세를 보였다. 특히 소련은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과 1972년 뮌헨 올림픽에서 연속 금메달을 획득하며 여자 배구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24][25]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은 미국 주도의 보이콧으로 인해 일본, 대한민국 등 여자 배구 강팀들이 불참했고,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는 동구권 국가들이 보이콧하여 소련이 불참하는 등 냉전 시대의 정치적 상황이 올림픽 배구에도 영향을 미쳤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소련은 페루를 상대로 극적인 승리를 거두며 금메달을 차지했으나, 쿠바는 불참했다. 이후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쿠바가 새로운 강자로 등장하여 3연속 금메달을 획득하며 여자 배구의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24][25]

연도개최지결승전3위 결정전참가팀
우승결과준우승3위결과4위
11964년 도쿄일본-----소련폴란드-----#전송6
21968년 멕시코시티소련-----일본폴란드-----페루8
31972년 뮌헨소련3 - 2일본북한3 - 0대한민국8
41976년 몬트리올일본3 - 0소련대한민국3 - 1헝가리8
51980년 모스크바소련3 - 1동독불가리아3 - 2헝가리8
61984년 로스앤젤레스중국3 - 0미국일본3 - 1페루8
71988년 서울소련3 - 2페루중국3 - 0일본8
81992년 바르셀로나쿠바3 - 1독립 국가 연합미국3 - 0브라질8
91996년 애틀랜타쿠바3 - 1중국브라질3 - 2러시아8
102000년 시드니쿠바3 - 2러시아브라질3 - 0미국12
112004년 아테네중국3 - 2러시아쿠바3 - 1브라질12
122008년 베이징브라질3 - 1미국중국3 - 1쿠바12
132012년 런던브라질3 - 1미국일본3 - 0대한민국12
142016년 리우데자네이루중국3 - 1세르비아미국3 - 1네덜란드12
152020
2021
도쿄미국3 - 0브라질세르비아3 - 0대한민국12


5. 2. 1. 여자부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소련74112
2브라질53210
3미국33410
4일본3339
5중국3126
6쿠바3025
7러시아1326
8네덜란드1102
9폴란드1023
10유고슬라비아1012
11이탈리아0336
12동독0202
13불가리아0112
체코슬로바키아0112
15독립국가연합0101
페루0101
17대한민국0011
루마니아0011
아르헨티나0011
세르비아001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0011
합계28282884

[24][25]

5. 2. 2. 여자부 참가국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전체align=left•••••••••••••=11위••2align=left•••••••••••••=9위11위•2align=left•••••••••=9위••••••1align=left••••7위7위6위4위3위3위4위1위1위=5위2위3위12align=left••••3위•••••••••••1align=left•••••••••••••=11위••1align=left•••8위•8위••=9위•••••••3align=left•••••1위3위7위2위5위1위3위=5위1위9위5위11align=left의 일부••7위••••••1align=left••6위5위5위••1위1위1위3위4위••••8align=left••••••••••=11위•=5위•8위8위4align=left•••••••••••••••11위1align=left및 참조•8위6위=9위•••••3align=left••••••••••••=9위•••1align=left••••••••••=9위•••••1align=left••5위4위4위•••••••••••3align=left•••••••••=9위=5위=5위=5위=9위6위1위7align=left1위2위2위1위•3위4위5위=9위•=5위=5위3위=5위10위9위14align=left의 일부•••=9위••••1align=left•••••••••=11위=11위•••12위12위4align=left•7위••••••••••••••1align=left•••••••6위5위••••4위•10위4align=left••3위•••••••••••••1align=left•4위•7위6위4위2위•=11위=11위••••••7align=left3위3위•••••••••=9위•••6위4align=left•••••••••••••=11위••1align=left4위•••8위••••••••••••2align=left참조4위2위2위=5위=5위=5위7위•7align=left참조참조=5위=11위2위3위7위5align=left6위5위4위3위•5위8위•6위8위=5위•4위=5위4위•12align=left•••••••8위••••••••1align=left••••••••••••=9위•5위4위3align=left의 일부=11위•••••••1align=left5위8위•••2위7위3위7위4위=5위2위2위3위1위2위13align=left•••••••••••=11위••••1폐지된 국가''''•6위7위•••••참조2''''•••6위2위•5위참조3''''2위1위1위2위1위•1위2위참조7''''••8위••6위•참조2합계688888881212121212121212


6. 최우수 선수

역대 올림픽 배구 최우수 선수(MVP)는 다음과 같다.

남자부여자부
연도선수연도선수
1984년스티브 티몬스1984년랑핑[27]
1988년카치 키랄리1988년세실리아 타이트
1992년마르셀로 네그랑1992년폴라 와이쇼프[33]
1996년바스 판 데 고르1996년신타 보어스마
2000년바스 판 데 고르2000년바르바나 옐리치
2004년길베르토 고도이 필류2004년펑쿤
2008년클레이턴 스탠리2008년파울라 페케누[34]
2012년무릴로 엔드레스2012년김연경[35][36]
2016년세르지오 산토스2016년주팅[37]
2020년에르뱅 은가페[15]
2024년에르뱅 은가페[16]



특히, 김연경은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여자 배구 대표팀이 4위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MVP를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35][36] 이는 올림픽 배구 역사상 매우 드문 사례로, 김연경의 뛰어난 기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결과였다.

7. 출전 자격

카치 키라이는 올림픽 배구 (실내)와 비치발리볼 모두에서 올림픽 메달을 획득한 유일한 선수이다.

국가/지역 / 연도96000408121620참가 횟수
style="text-align: left;" |1113
style="text-align: left;" |23212217
style="text-align: left;" |112
style="text-align: left;" |11
style="text-align: left;" |22222227
style="text-align: left;" |112
style="text-align: left;" |111225
style="text-align: left;" |2221126
style="text-align: left;" |11
style="text-align: left;" |11214
style="text-align: left;" |212115
style="text-align: left;" |11
style="text-align: left;" |1113
style="text-align: left;" |112
style="text-align: left;" |112
style="text-align: left;" |11
style="text-align: left;" |12222227
style="text-align: left;" |12214
style="text-align: left;" |11
style="text-align: left;" |1211116
style="text-align: left;" |221115
style="text-align: left;" |11
style="text-align: left;" |11
style="text-align: left;" |11
style="text-align: left;" |11114
style="text-align: left;" |11112227
style="text-align: left;" |1223
style="text-align: left;" |11
style="text-align: left;" |11
style="text-align: left;" |12114
style="text-align: left;" |112
style="text-align: left;" |111225
style="text-align: left;" |32222227
style="text-align: left;" |11
대회별 출전 팀 수18242424242424
대회별 출전 국가 수13151717171717


8. 대한민국 선수단의 성적 (별도 항목으로 분리)

대한민국은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여자 배구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는 등 올림픽 배구에서 여러 차례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여자 배구 대표팀이 획득한 동메달은 대한민국 구기 종목 사상 첫 메달이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여자 대표팀이 4위를 기록하고, 김연경 선수가 MVP를 수상하였다.

대한민국의 올림픽 배구 전체 상대 전적은 다음과 같다.

상대 국가경기 수승리패배승률
대한민국51163531.4%



(참고: 주어진 하위 섹션 내용에 이미 전체 상대 전적이 포함되어 있어, 중복을 피하기 위해 간략하게 작성했습니다.)

8. 1. 개요

대한민국은 올림픽 배구에서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여자부 동메달을 포함하여 여러 차례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여자 배구 대표팀이 획득한 동메달은 구기 종목 사상 첫 메달이라는 쾌거로, 한국 스포츠 역사에 큰 획을 그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여자 대표팀이 4위를 기록하고, 김연경 선수가 MVP를 수상하며 세계적인 스타로 발돋움했다.

대한민국의 올림픽 배구 상대 전적은 다음과 같다.

상대 국가경기 수승리패배승률
대한민국51163531.4%


8. 2. 역대 성적

대한민국은 남자 배구와 여자 배구 모두 올림픽에 참가하여 여러 차례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남자 배구대한민국 남자 배구 대표팀은 올림픽에서 51경기를 치러 16승 35패, 승률 31.4%를 기록했다.

경기 수승리패배승률
대한민국51163531.4%


여자 배구대한민국 여자 배구 대표팀은 올림픽에서 76경기를 치러 31승 45패, 승률 40.8%를 기록했다. 특히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한국 구기 종목 사상 첫 올림픽 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비록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지만, 김연경 선수가 MVP를 수상하며 세계적인 선수로 발돋움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도 4강에 진출하며 국민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했다.

경기 수승리패배승률
대한민국76314540.8%


8. 3. 과제와 전망

대한민국 배구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유소년 육성 시스템 강화, 프로 리그 활성화, 국제 교류 확대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여성 스포츠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확대하여 더 많은 여성들이 스포츠를 통해 자신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중도 진보적 관점에서, 대한민국 배구는 단순한 스포츠를 넘어 사회 통합과 국민 화합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매개체로 작용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대한민국 배구가 올림픽을 비롯한 국제 무대에서 더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배구를 통해 국민들에게 희망과 감동을 선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다음은 대한민국의 올림픽 배구 성적이다.

경기 수승리패배승률
대한민국51163531.4%


참조

[1] 서적 Black Belt Vol. 2, No. 2 https://archive.org/[...] Active Interest Media, Inc. 1964-03
[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Olympic volleyball https://olympics.com[...] Olympics.com 2021-07-27
[3] 웹사이트 FIVB – London 2012 Olympic Games http://www.fivb.org/[...] FIVB 2018-04-30
[4] 웹사이트 Brazil make triumphant return to the top of the podium http://rio2016.fivb.[...] FIVB.org 2016-08-21
[5] 웹사이트 USA grab men's bronze with fantastic comeback http://rio2016.fivb.[...] FIVB.org 2016-08-21
[6] Youtube Ngapeth guides France to Olympic glory https://en.volleybal[...]
[7] Youtube Conte powers Argentina’s five-set win to claim bronze https://en.volleybal[...]
[8] 웹사이트 Brazil wins women's volleyball gold https://www.espn.com[...] 2012-08-11
[9] 웹사이트 China crowned champions in Rio de Janeiro http://rio2016.fivb.[...]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Volleyball|FIVB.org 2016-08-21
[10] 웹사이트 Lang Ping became the first person in volleyball to win Olympic gold as player and coach http://rio2016.fivb.[...]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Volleyball|FIVB.org 2016-08-21
[11] 웹사이트 USA raise high wall to stop Netherlands for bronze medal http://rio2016.fivb.[...]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Volleyball|FIVB.org 2016-08-20
[12] Youtube Drews shines as USA strike gold in Tokyo https://en.volleybal[...]
[13] Youtube Boskovic’s 33 bags bronze for Serbia https://en.volleybal[...]
[14] 웹사이트 Medals by Countries http://olympanalyt.c[...] 2022-01-31
[15] 웹사이트 Ngapeth named MVP of men's Tokyo 2020 Dream Team https://en.volleybal[...] volleyballworld.com 2021-08-07
[16] 웹사이트 French star Ngapeth repeats as Paris 2024 MVP https://en.volleybal[...] volleyballworld.com 2024-08-10
[17] 웹사이트 News detail – Olympic Countdown – Barcelona rocks to a Latin American rhythm – FIVB – Olympic Games – Rio 2016 http://rio2016.fivb.[...] 2018-04-30
[18] 웹사이트 FIVB:#Rio2016 women's #Volleyball Dream Team https://twitter.com/[...] fivb.com 2016-08-20
[19] 웹사이트 Larson leads women's Tokyo 2020 Dream Team https://en.volleybal[...] volleyballworld.com 2021-08-08
[20] 웹사이트 バレーボール3大大会(ばれーぼーる3だいたいかい/ばれーぼーるさんだいたいかい)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09-18
[21] 서적 柔道大事典 "[[アテネ書房]]"
[22] 웹인용 배구 http://www.olympic.o[...] 국제 올림픽 위원회
[23] 웹인용 국제 배구 연맹 역사 http://www.fivb.org/[...] 국제 배구 연맹
[24] 웹인용 FIVB 2017 Media Guide(Men’s Olympic Tournaments) http://www.fivb.org/[...] FIVB
[25] 웹인용 FIVB 2017 Media Guide(Women’s Olympic Tournaments) http://www.fivb.org/[...] FIVB
[26] URL https://rio2016.fivb[...]
[27] URL https://rio2016.fivb[...]
[28] URL http://www.fivb.org/[...]
[29] URL https://rio2016.fivb[...]
[30] URL https://www.teamusa.[...]
[31] URL http://www.fivb.org/[...]
[32] URL https://rio2016.fivb[...]
[33] URL https://rio2016.fivb[...]
[34] URL http://www.fivb.org/[...]
[35] URL http://www.fivb.org/[...]
[3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8-12-10
[37] 웹사이트 https://rio2016.fiv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