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미소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미소녀는 일본어로 '아름다운 소녀'를 뜻하며,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묘사되는 캐릭터 유형을 의미한다. 1980년대 초 로리콘 붐과 함께 등장하여,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 타카하시 루미코의 만화 등에서 아이콘적인 캐릭터가 나타났다. 미소녀 캐릭터는 성격, 의상, 액세서리 등의 디자인 요소로 특징지어지며, 미디어에서는 소녀만화, 미소녀 게임, 하렘물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된다. 미소녀 게임은 이러한 캐릭터를 중심으로 제작된 게임을 지칭하며, '미소녀'는 캐릭터 디자인을 나타내는 용어이지만, 작품 장르를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용어 사용 시에는 소녀만화, 미소년, 모에 등 다른 용어와의 혼동에 주의해야 하며, 외모 차별주의적인 시각으로 사용이 자제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녀애 - 님펫
    님펫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소설 《롤리타》에서 훔버트가 어린 소녀들에게 부여하는 이름으로, 성인 성적 욕망을 끄는 어린 소녀를 지칭하거나 일본에서는 소녀 문화의 긍정적인 이상화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 소녀 - 톰보이
    톰보이는 전통적인 여성의 성 역할에서 벗어나 활동적이고 독립적인 성향을 보이는 여자아이 또는 여성을 지칭하는 용어로, 시대와 사회에 따라 그 의미와 개념이 변화해 왔으며, 현대에는 개인의 개성과 정체성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이해된다.
  • 소녀 - 마이코
    마이코는 교토의 화가에서 전통 예능을 수련하며 게이샤가 되기 전 견습 과정을 거치는 소녀로, 찻집에서 유래하여 예술가 면모를 갖추고 일본 문화를 알리는 활동을 하지만 미성년자 노동 및 성희롱 문제도 제기된다.
  • 모에 - 콤프 H's
    콤프 H's는 《컴프티크》의 자매지로,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와 《러키☆스타》 관련 기사에 집중했던 부정기 간행 잡지이며, 각 호의 표지는 주로 해당 작품의 등장인물들이 장식했고 성우 관련 코너를 많이 다룬 것이 특징이다.
  • 모에 - 달이 내린 산기슭
    달이 내린 산기슭은 태백산지 지역의 실제 지형과 조선 누층군 같은 지질학적 특징을 배경으로 지질학자와 지층의 정령들이 등장하여 이야기를 풀어내는 웹툰이다.
미소녀
개요
정의용모가 아름다운 소녀
어원
한자 표기美少女
로마자 표기bishōjo
의미아름다운 소녀

2. 역사

일본 만화나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미소녀를 흔히 볼 수 있으며, 특히 미소녀 게임과 하렘물에 자주 등장한다. 미소녀물에서는 주로 남자보다 여자가 많이 등장하며, 보통 남성향 작품에 더 많이 나타난다.

1980년대 초반 로리콘 붐과 함께 캐릭터 유형이 나타났으며, 만화가 아즈마 히데오의 작품이 큰 영향을 주었다.[1] 아즈마의 캐릭터는 데즈카 오사무 캐릭터의 둥근 몸과 소녀 만화의 둥글고 감성적인 얼굴을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당시 청년만화와 포르노 만화의 주류는 극화 스타일이었지만, 아즈마는 밝은 음영과 깨끗하고 둥근 선을 보여주며 '귀여운 에로티시즘'을 발전시켰다.[2]

미야자키 하야오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의 클라리스, 미래소년 코난의 라나, 바람 계곡의 나우시카의 나우시카 등도 미소녀 붐의 아이콘으로 여겨진다.[3] 타카하시 루미코시끌별 녀석들의 라무 역시 큰 인기를 얻었다. 문화 평론가 아즈마 히로키는 라무를 미소녀 캐릭터에 대한 팬덤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캐릭터로 평가한다.

2. 1. 서양

서양 문학에서도 백설공주와 같이 아름다운 소녀를 주제로 한 작품들이 많이 존재한다. 백설공주는 7살 때 이미 어머니인 왕비를 넘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성"이 되었다고 한다.

2. 2. 일본

일본 고전 문학에서 묘사된 대표적인 미소녀상은 헤이안 시대의 겐지모노가타리에 등장하는 와카무라사키이다. 절세의 미남으로 묘사되는 히카루 겐지는 만 10세 정도의 와카무라사키에게 첫눈에 반해 납치하여 저택에 살게 하고, 자신의 이상적인 여성으로 키우는 것을 계획한다. 이 이야기의 플롯은 후세의 다양한 이야기에 변형되어 계승되고 있다.

이자요이 이야기도 미소녀를 묘사한 예시로 들 수 있다. 이자요이는 간교 4년(880년) 규슈에서 태어났으며, 생일(8월 16일)을 인연으로 이자요이라고 이름 붙여졌다. 이 이야기와 관련된 지역인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히가시구의 오키나와케 신사에는 "거울의 우물"이라는 사적이 남아 있다. 이것은 "아름답게 성장한 5세"의 이자요이가 머리카락을 빗었다고 전해지는 우물이다. 또한 그녀의 아름다운 용모가 우다 천황칙사의 귀에 들어가, 내리에 맞아들여진 것이 13세 때라고 전해진다.

3. 특징

소녀만화부터 로봇만화, 소년만화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갈래의 일본 만화나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미소녀를 볼 수 있지만 특히 미소녀 게임과 하렘물에 자주 등장하며 그 경우에 따라 팬서비스 차원에서 나이든 여자가 더 어울리는 곳에 미소녀를 등장시키는 때도 있다.[1] 미소녀물들에서는 주로 남자보다 여자가 많이 등장한다. 보통 남성향 작품들에 더 많이 등장한다.

캐릭터는 청중에게 알려지고 인식되는 디자인 요소(성격 원형, 의상, 액세서리 등)로 특징지어진다.[1] 아름다운 소녀를 칭찬하는 문화적・사회적 경향은 현실과 픽션을 포함하여 많은 지역과 시대에서 나타난다.

어떤 용모・외모의 소녀를 "아름답다"고 간주하는지는 문화와 보는 개인의 주관에 따라 달라진다. 2017년, 연예 기획사레프로 엔터테인먼트와 패션 통신 판매 사이트 운영 업체인 dazzy(데이지)는 인공지능(AI)이 심사원을 대신하는 미소녀 오디션을 실시했다. 도쿄 대학과 e-Guardian이 개발한 이미지 인식 시스템 "로카 솔루션"을 이용했다.[3]

픽션의 세계에서도 라이트 노벨을 포함한 소설이나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만화, 애니메이션, 컴퓨터 게임에서 소년인 히어로에 상대되는 히로인으로 미소녀가 설정되는 작품이 다수 존재한다. 특히, 이러한 장르에서 즐겨 사용되는 키워드로, 기호이기도 하다고 추측된다.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처럼, 미소녀가 제목의 일부가 되는 작품도 있다.

미디어에 따라서는 이 단어가 소녀를 외모로 차별하는 것(룩주의)이라고 하여 사용이 자제되는 경우가 있다.

모에 캐릭터의 이미지 "마후리"

4. 미디어

미소녀는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특히 미소녀 게임, 비주얼 노벨, 연애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미디어에서 등장한다. 남성향 작품에 주로 등장하며, 팬서비스 차원에서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과 같이 미소녀가 제목에 포함된 작품도 있다.

캐릭터 유형은 1980년대 초반 로리콘 붐 속에서 등장했으며, 특히 만화가 아즈마 히데오의 작품에서 두드러졌다. 아즈마의 캐릭터들은 데즈카 오사무 캐릭터의 둥근 몸과 소녀 만화의 둥글고 감성적인 얼굴을 결합했다. 당시 청년만화와 포르노 만화의 지배적인 스타일은 ''극화''였으며, 날카로운 각도, 어두운 해칭, 거친 선으로 특징지어졌다. 이와 대조적으로 아즈마의 작품은 밝은 음영과 깨끗하고 둥근 선을 보여주었다.

미야자키 하야오가 창작한 몇몇 캐릭터는 붐의 아이콘으로 여겨지는데, 특히 영화 ''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1979)의 클라리스, TV 시리즈 ''미래소년 코난''(1978)의 라나, 그리고 ''바람 계곡의 나우시카''(1984)의 나우시카가 그렇다. 붐과 강하게 연관된 또 다른 창작자는 타카하시 루미코로, 그녀의 만화 ''시끌별 녀석들''(1978–1987)의 캐릭터 라무가 엄청난 인기를 얻었다.

4. 1. 미소녀 게임

일본 만화나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미소녀를 볼 수 있지만 특히 미소녀 게임과 하렘물에 자주 등장하며, 팬서비스 차원에서 나이 든 여자가 더 어울리는 곳에 미소녀를 등장시키는 때도 있다. 미소녀물에서는 주로 남자보다 여자가 많이 등장한다. 보통 남성향 작품들에 더 많이 등장한다.

미소녀 캐릭터를 특징으로 하는 게임은 '미소녀' 게임으로 불린다. 비주얼 노벨 또한 게임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미소녀' 게임은 '미소녀' 캐릭터를 특징으로 하는 비주얼 노벨 또한 포함한다. 비록 '미소녀' 게임은 남성 독자를 염두에 두고 제작되었지만, 동방 프로젝트와 같이 여성 독자에게도 인기를 얻는 경우도 있다.

5. 용어 관련 주의사항

(미소녀)는 장르가 아닌 캐릭터 디자인을 지칭하지만, 하렘물이나 비주얼 노벨처럼 이러한 캐릭터를 주로 특징으로 하는 시리즈는 때때로 비공식적으로 시리즈라고 불린다.[2] 이러한 시리즈의 주요 매력 중 하나는 일반적으로 그림과 매력적인 여성 캐릭터이기 때문에, 이 용어는 때때로 실제 내용이나 줄거리보다는 아름다운 캐릭터의 시장성에만 의존하는 장르로 부정적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라는 단어는 비슷한 발음의 ''shōjo''(소녀)와 혼동되기도 하지만, 는 묘사하는 ''캐릭터''의 성별과 특성을 나타내는 반면, ''shōjo''는 ''시청자''의 성별과 연령대 인구 통계를 나타낸다. 즉, "''shōjo''"로 묘사되는 만화 출판물과 때로는 애니메이션은 어린 여성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다.

bishōnen과는 혼동해서는 안 된다. 또한 귀엽거나 사랑스러운 소녀를 특징으로 하는 엔터테인먼트 장르에 대한 정의인 모에와도 혼동해서는 안 된다. 와 모에의 요소가 종종 혼합되어 두 요소가 밀접하게 얽혀 있으며 서로 완전히 분리될 수 없다.

미디어에 따라서는 이 단어가 소녀를 외모로 차별하는 것(룩주의)이라고 하여 사용이 자제되는 경우가 있다.

6. 기타

다자이 오사무단편 소설 중에 '미소녀'라는 제목의 작품이 있다. 고지엔에는 "미소년"은 등재되어 있었지만, "미소녀"라는 항목은 2008년에 발행된 제6판부터 새롭게 추가되었다. 그 이전까지는 "소년이라는 단어가 남자뿐만 아니라 여자도 가리킨다"는 해석에 따라 "미소녀" 항목이 없었다. (예: 여자 소년원, 스포츠의 "소년 여자" 부문) 다만, 소녀라는 단어 자체는 아스카 시대부터 존재해 왔다.

아름다운 소녀를 나타내는 다른 말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참조

[1] 논문 Characterization https://www.semiotic[...] 2013
[2] 논문 Girl power: Feminine motifs in Japanese popular culture https://commons.emic[...] 2006
[3] 뉴스 dazzy 美少女オーディション“整った顔”数値化「好み」除外し公平審査 https://www.nikkan.c[...] 日刊工業新聞 2018-04-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