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간 대학교 법학대학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시간 대학교 법학대학원은 1859년에 설립되었으며, 1870년 미국 최대 규모의 로스쿨이 되었다. 흑인과 여성 졸업생 배출에 있어 선구적인 역할을 했으며, 공립 미시간 대학교의 일부이지만, 대부분의 재정은 기부금으로 충당된다. 2009년 영국 고딕 양식의 새 건물 건설을 시작하여 2012년에 헌정되었고, 2018년에는 제프리스 홀로 개명되었다. 입학 경쟁률이 높고, 다양한 학문적 순위에서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쿡 로 쿼드랭글과 로이어스 클럽을 포함한 캠퍼스 시설을 갖추고 있다. 학생들은 다양한 간행물 발간, 모의 법정, 임상 프로그램, 학생 단체 활동에 참여할 수 있으며, 졸업생들은 법조계, 정부, 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시간 대학교 - 미시간 마비 재향군인 대 미국 미시간 대학교 소송
미시간 마비 재향군인 대 미국 미시간 대학교 소송은 미시간 스타디움의 장애인 편의 시설 부족을 이유로 제기된 소송으로, 2008년에 합의되어 2010년까지 휠체어 좌석이 추가되었으며, 경기장 접근성 보장 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1859년 설립 - 미주리 식물원
미주리 식물원은 1859년 헨리 쇼가 설립한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식물원 중 하나로, 다양한 원예 전시 공간, 일본 정원, 지오데식 돔 온실 등을 갖추고 국제적인 식물학 연구 및 교육의 중심지이며, 타워 그로브 하우스가 지하철도 자유 네트워크에 추가되어 미국 노예제도 역사에서 중요한 장소로 인정받고 다양한 문화 행사를 개최한다. - 1859년 설립 - 바세린
바세린은 화학자 로버트 체스브로가 개발한 상처 치료제에서 시작되어 스킨케어 제품으로 확장되었고, 유니레버에 인수된 후 세계적인 인지도를 얻었으며, 피부 보습 및 윤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만 주의사항과 성분에 대한 논란도 있다. - 미시간주의 대학교 - 미시간 주립 대학교
미시간 주립 대학교는 1855년 농업 대학으로 설립되어 현재 이스트랜싱에 위치한 종합 연구 중심 공립 대학교이며, 17개의 단과 대학에서 200개 이상의 학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핵물리학 등 여러 분야에서 미국 내 최상위권의 연구 및 교육 역량을 자랑한다. - 미시간주의 대학교 - 웨스턴 미시간 대학교
웨스턴 미시간 대학교는 1903년에 설립되어 미시간주 칼라마주에 위치한 공립 연구 대학으로, 다양한 학사, 석사, 박사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칼라마주를 중심으로 5곳에 캠퍼스를 두고 7개의 단과대학과 대학원, 리 명예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시간 대학교 법학대학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교훈 | 해당 없음 |
교훈 (언어별) | 해당 없음 |
설립일 | 1859년 |
모기관 | 미시간 대학교 |
유형 | 공립 법학대학원 |
기부금 | 5억 달러 (2019년) |
모기관 기부금 | 179억 달러 |
학장 | 카일 D. 로게 (임시) |
위치 | 앤아버, 미시간주 |
국가 | 미국 |
좌표 | 해당 없음 |
학생수 | 976명 |
교수진 | 183명 |
순위 | 9위 (공동) (2024년) |
변호사 시험 합격률 | 97.27% |
웹사이트 | 미시간 대학교 로스쿨 |
ABA 프로필 | 표준 509 보고서 |
관련 링크 | |
미시간 로스쿨 역사 | 미시간 로스쿨 역사 |
약어 | 약어 - 브랜드 및 시각적 아이덴티티 |
미시간 변호사 시험 합격 보고서 | 미시간 변호사 시험 합격 보고서 |
미시간 대학교 509 보고서 | 미시간 대학교 509 보고서 |
2. 역사
미시간 대학교 법학대학원은 1859년에 설립되었으며, 1870년에는 미국에서 가장 큰 로스쿨이 되었다.[1] 1870년, 개브리엘 프랭클린 하르고가 졸업하여 미국에서 두 번째 흑인 로스쿨 졸업생이 되었고,[1] 1871년에는 세라 킬고어가 로스쿨을 졸업하고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1]
법학대학원은 공립 미시간 대학교의 일부이지만, 법학대학원 지출의 2% 미만이 주 정부 기금으로 충당된다.[1] 나머지(미시간 로스쿨 예산의 97~98%)는 개인 기부, 수업료 및 기부금으로 충당된다.[1]
2009년은 미시간 로스쿨 150주년이었다. 이를 기념하여 1.02억달러 규모의 새 법학 건물 건설 사업을 시작했으며, 이 사업은 전액 기부금과 개인 기부금으로 충당되었다.[1] 대법원장 존 로버츠가 학교를 방문하여 새 건물 기공식에 참여했다.[1] 건물은 2012년에 완공되어 사우스 홀(South Hall)로 명명되었다가, 2018년 12월 부동산 개발업자 크리스토퍼 M. 제프리스의 3300만달러 기부 이후 제프리스 홀(Jeffries Hall)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2. 1. 설립과 초기 발전
미시간 대학교 법학대학원은 1859년에 설립되었으며, 1870년에는 미국 최대 규모의 로스쿨이 되었다.[1]1870년, 개브리엘 프랭클린 하르고가 미시간 로스쿨을 졸업하여 미국에서 두 번째 흑인 로스쿨 졸업생이 되었다.[1] 1871년에는 미시간 로스쿨 졸업생인 세라 킬고어가 로스쿨을 졸업하고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1]
2. 2. 선구적인 졸업생 배출
인물 | 직함 및 경력 |
---|---|
윌리엄 R. 데이 | 1898년 미국 국무장관 |
프랭크 머피 | 1940-1949년 연방 대법원 대법관 |
해리 도허티 | 1921-1924년 미국 법무장관 |
릭 스나이더 | 2011- 미시간주 주지사 |
랠프 F. 게이츠 | 1945-1949년 인디애나주 주지사 |
데이비드 F. 카고 | 1967-1971년 뉴멕시코주 주지사 |
리처드 리오단 | 1993-2001년 LA 시장 |
돈 바이런 콜턴 | 1921-1933년 유타주 1지역구 하원의원 |
클래런스 대로 | (중퇴) 유명 법정 변호사 |
스튜어트 J. 슈왑 | 2004- 코넬 대학교 로스쿨 학장 |
찰스 E. 메릴 | 메릴린치 공동 창업자 |
앤 콜터 | |
윌리엄 데이 | 전 국무장관 |
켄 살라자르 | 전 내무장관 |
조지 서덜랜드 | 미국 연방 대법원 판사 |
2. 3. 재정 및 기부
법학대학원은 미시간 대학교의 일부이지만, 법학대학원 지출의 2% 미만이 주 정부 기금으로 충당된다.[1] 나머지(미시간 로스쿨 예산의 97~98%)는 개인 기부, 수업료 및 기부금으로 충당된다.[1]2009년, 미시간 로스쿨은 영국 고딕 양식을 유지하는 새로운 법학 건물 건설을 위해 1.02억달러 규모의 사업을 시작했다.[1] 이 사업은 기부금과 개인 기부금으로 전액 자금 조달되었다.[1] 그해는 학교의 150주년 기념 행사가 열린 해이기도 했다.[1] 축제의 일환으로 대법원장 존 로버츠가 학교를 방문하여 새 건물 기공식에 참여했다.[1] 건물은 2012년에 헌정되었으며 사우스 홀(South Hall)이라고 불렸다.[1] 2018년 12월, 사우스 홀은 부동산 개발업자 크리스토퍼 M. 제프리스의 기록적인 3300만달러 기부 이후 제프리스 홀(Jeffries Hall)로 개명되었다.[1]
2. 4. 2000년대 이후 발전
2009년, 미시간 로스쿨은 영국 고딕 양식을 유지하는 새로운 법학 건물 건설을 위해 1.02억달러 규모의 사업을 시작했다. 이 사업은 기부금과 개인 기부금으로 전액 자금이 조달되었다. 2009년은 학교의 150주년 기념 행사가 열린 해였다. 축제의 일환으로 대법원장 존 로버츠가 학교를 방문하여 새 건물 기공식에 참여했다. 건물은 2012년에 헌정되었으며 사우스 홀(South Hall)이라고 불렸다. 2018년 12월, 사우스 홀은 부동산 개발업자 크리스토퍼 M. 제프리스의 3300만달러 기부 이후 제프리스 홀(Jeffries Hall)로 개명되었다.[1]3. 교육
미시간 대학교 로스쿨은 경쟁적인 입학 절차를 거치며, "T14" 로스쿨 중 하나로 높은 학문적 순위를 자랑한다. 1987년 ''U.S. 뉴스 & 월드 리포트'' 로스쿨 순위에서 3위를 기록했으며,[14] 2021년에는 전체 9위를 차지했다.[14]
3. 1. 입학
미시간 대학교 로스쿨 입학은 매우 경쟁적이다. 2021년 가을 입학의 경우, 총 7,693명이 지원했고 819명이 합격하여 합격률은 10.65%였다.[16] 이 중 313명이 등록했다.[17] 2021년 입학생의 LSAT 점수는 25% 백분위수는 166점, 75% 백분위수는 172점, 중앙값은 171점이다.[18] 학부 GPA는 25% 백분위수는 3.61, 75% 백분위수는 3.93, 중앙값은 3.84이다.[18]3. 2. 학문적 순위
"T14" 로스쿨 중 하나인 미시간 대학교 법학대학원은 1987년 초 ''U.S. 뉴스 & 월드 리포트'' 로스쿨 순위에서 3위를 기록했다.[14] 2021년 ''U.S. 뉴스'' 순위에서는 전체 9위를 기록했다.[14]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종신 교수진의 학문적 업적이 법률 저널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횟수에서는 조지타운 대학교 로스쿨과 공동으로 미국 로스쿨 중 15위를 기록했다.[15]4. 캠퍼스
미시간 대학교 법학대학원 캠퍼스는 1924년에서 1933년 사이에 변호사이자 동문인 윌리엄 W. 쿡의 기부금으로 York and Sawyer 건축 회사에 의해 건설되었다. 캠퍼스의 핵심 건물은 쿡 로 쿼드랭글이다.
4. 1. 쿡 로 쿼드랭글
윌리엄 W. 쿡의 기부금으로 York and Sawyer 건축 회사가 1924년에서 1933년 사이에 건설한 쿡 로 쿼드랭글은 다음 네 개의 건물로 구성된다.
- 허친스 홀: 로스쿨 전 학장이자 미시간 대학교 총장이었던 해리 번스 허친스의 이름을 딴 주요 학술 건물
- 법률 연구 건물
- 존 P. 쿡 기숙사
- 로이어스 클럽: 쿼드 거주자들을 위한 추가 기숙사 방과 회의 공간을 제공하며, 그레이트 라운지, 높은 아치형 천장, 참나무 바닥, 어두운 참나무 패널링이 있는 식당이 특징이다.[19]
2012년에는 버크셔 해서웨이 부회장인 찰리 멍거의 2000만달러 기부를 포함한 대대적인 로이어스 클럽 개조 공사가 진행되었고, 2013년 학년을 위해 2013년 8월 19일에 재개장했다.[20]
4. 2. 로이어스 클럽 개조
버크셔 해서웨이 부회장 찰리 멍거가 2000만달러를 기부하는 등, 로이어스 클럽의 대대적인 개조 공사가 2012년에 진행되어 2013년 학년도를 위해 2013년 8월 19일에 재개장했다.[20]5. 학생 생활
미시간 대학교 법학대학원에서는 다양한 학생 활동이 이루어진다. 학생들은 여러 법학 저널을 발행하고,[21] 모의 법정 경연 대회에 참가하며,[30] 임상 프로그램에서 실제 법률 경험을 쌓는다.[32] 또한, 다양한 학생 단체 활동,[21] 외부 연수 및 인턴십 프로그램, 펠로우십 프로그램에도 참여할 수 있다.
5. 1. 간행물
미시간 대학교 법학대학원 학생들은 미국에서 여섯 번째로 오래된 법학 저널인 ''미시간 법학 리뷰(Michigan Law Review)'' 외에도 여러 법학 저널[21]을 발행한다.[22]- ''미시간 대학교 법 개혁 저널(University of Michigan Journal of Law Reform)''[21][23]
- ''미시간 국제법 저널''(Michig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21][24]
- ''미시간 젠더 및 법 저널(Michigan Journal of Gender and Law)''[21][25]
- ''미시간 인종 및 법 저널(Michigan Journal of Race & Law)''[21][26]
- ''미시간 통신 및 기술 법률 리뷰(Michigan Tele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Law Review)''[21][27]
- ''미시간 환경 및 행정법 저널(Michigan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Administrative Law)''[21][28]
- ''미시간 비즈니스 & 기업가 법률 리뷰''(Michigan Business & Entrepreneurial Law Review), 이전 명칭은 ''미시간 사모 펀드 및 벤처 캐피탈 법 저널''(Michigan Journal Private Equity and Venture Capital Law)[21][29]
저널 멤버십은 작문 대회를 통해 얻을 수 있다.[21]
5. 2. 모의 법정
학생들은 학내 모의 법정 경연 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30] 가장 오래된 대회는 1926년에 시작되어 1927–1928학년도에 처음 개최된 헨리 M. 캠벨 모의 법정 경연 대회이다.[31] 이 외 다른 모의 법정 경연 대회는 다음과 같다.[30]대회명 |
---|
아동 복지법 모의 법정 경연 대회 |
형사법 모의 법정 경연 대회 |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및 예술 모의 법정 경연 대회 |
환경법 모의 법정 경연 대회 |
지적 재산권 모의 법정 경연 대회 |
제섭 국제법 모의 법정 경연대회 |
비스 국제 중재 모의 법정 |
아메리카 원주민 법학 학생 협회 경연 대회 |
만프레드 락스 모의 법정 |
미시간 로스쿨 기업 법률 상담 경연 대회 |
1학년 구두 변론 경연 대회 |
5. 3. 임상 프로그램
미시간 대학교 로스쿨의 임상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전임 교수의 감독 하에 의뢰인을 직접 변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18개의 임상 프로그램 목록이다.[32]- 아동 옹호 법률 클리닉
- 기업가 정신 클리닉
- 환경 법률 클리닉
- 연방 항소 소송 클리닉
- 국제 거래 클리닉
- 미시간 무죄 클리닉
- 거래 연구소
- 실업 보험 클리닉
5. 4. 학생 단체
미시간 대학교 법학대학원은 정치, 프로 보노 활동, 지역 사회 봉사, 인종, 성별, 종교, 취미 등 다양한 관심사를 중심으로 한 광범위한 학생 단체를 제공한다.[21] 학생 단체는 미스터 울버린과 같은 학생 선발대회부터 미시간 로 컬처 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례 행사를 조직한다.[33]5. 5. 외부 연수 및 인턴십
미시간 대학교의 외부 연수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실제 법률 경험과 교실이나 클리닉에서 따로 얻을 수 있는 것 이상의 고급 연구 기회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외부 연수는 스위스,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도 등에서 제공된다.5. 6. 펠로우십
학생 기금 펠로우십(Student Funded Fellowships, SFF)은 미시간 대학교 로스쿨 학생들이 공익 분야 여름 직업을 수락하도록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고안된 프로그램으로, 특히 1학년 학생들이 여름 직업과 관련된 생활비를 충당하도록 돕는 데 목적이 있다. SFF는 로스쿨 학생들이 관리하는 위원회에서 운영하며, 로스쿨과는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위원회 구성원들은 '하루 급여 기부(Donate a Day's Pay, DADP)' 행사, 봄철 자선 경매 등 일 년 내내 기금 마련 활동을 주도한다. DADP는 고액 연봉의 로펌 여름 어소시에이트들이 하루치 급여를 SFF에 기부하는 행사이고, 봄철 자선 경매는 스포츠 티켓, 미술 작품, 식사, 교수진과 함께하는 활동 등 다양한 기증품에 대한 입찰을 받는 행사이다. 경매 시기에 맞춰 위원회 구성원들은 여름 자금 지원 신청서를 검토하고, 소수의 자격을 갖춘 학생들을 선발하여 보조금을 지급한다. 2022년 기준으로 SFF는 선발된 신청자들에게 6500USD를 지급했다. 보조금 대상에 선정되지 않은 학생이나, 로스쿨 졸업 후 공익 분야 진출을 계획하지 않더라도 여름 인턴십에 필요한 소득이 필요한 학생들은 여름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5000USD의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이 대출은 로스쿨에서 주관하며, 학생들이 1학년과 2학년 여름 동안 얼마를 버는지에 따라 변동하는 상환율이 적용된다. 2022년 기준으로, 만약 학생이 두 번의 여름 동안 18000USD 이상을 벌지 못하면, 대출은 전액 탕감된다.6. 졸업 후 진로
2021년 미국변호사협회(ABA) 고용 공개 자료에 따르면, 미시간 대학교 법학대학원 졸업생 98%가 취업했거나 학위 과정을 밟고 있었다. 이 중 94.2%는 J.D. 학위가 필요한 직업을 얻었다.[35] 졸업생 대다수는 뉴욕, 일리노이, 미시간, 캘리포니아, 워싱턴 D.C.에서 근무한다.[38]
2020-2021학년도 미시간 대학교 법학대학원 등록금은 미시간 주 거주자는 63680USD, 비거주자는 66680USD이다. 예상 생활비는 21900USD이다. 등록금 인상이 없다고 가정할 때, 3년 과정의 일반적인 학업 비용은 거주자의 경우 256740USD(연간 85580USD), 비거주자의 경우 265740USD(연간 88580USD)이다.[39]
6. 1. 취업 현황
미국변호사협회(ABA) 요구에 따른 고용 공개 자료를 보면, 2021년 미시간 대학교 법학대학원 졸업생의 98%가 취업했거나 학위 과정을 밟고 있었다. 이 중 94.2%는 J.D. 학위가 필요한 직업을 얻었다.[35] 2021년 졸업생의 55%는 100명 이상 규모의 로펌에 취업했고,[36] 18%는 법원 서기(clerkship)로 일하게 되었다.[36] 로스쿨 투명성(Law School Transparency)에 따르면, 미시간 대학교 법학대학원의 하위 고용률은 5.8%이다. 이는 졸업 후 9개월 시점에 실업 상태이거나, 추가 학위를 밟고 있거나, 비전문직, 단기 또는 파트타임 직업에 종사하는 2021년 졸업생 비율을 나타낸다.[37] 졸업생 대다수는 뉴욕, 일리노이, 미시간, 캘리포니아, 워싱턴 D.C.에서 근무한다.[38]6. 2. 비용
2020-2021학년도 미시간 대학교 법학대학원의 등록금은 미시간 주 거주자의 경우 63680USD, 비거주자의 경우 66680USD이다. 미시간 대학교 학생의 예상 생활비는 21900USD이다. 등록금 인상이 없다고 가정할 때, 미시간 대학교 법학대학원에서 3년 과정의 일반적인 학업 비용은 거주자의 경우 256740USD(또는 연간 85580USD)이고 비거주자의 경우 265740USD(또는 연간 88580USD)이다.[39]7. 저명한 교수진 및 동문
미시간 대학교 법학대학원은 저명한 교수진과 동문으로 유명하다.
인물 | 직함 및 경력 |
---|---|
윌리엄 R. 데이 | 1898년 미국 국무장관 역임, 1903년부터 1922년까지 미국 연방 대법원 대법관 역임.[49] |
프랭크 머피 | 1939년 미국 법무장관 역임, 1940년부터 1949년까지 미국 연방 대법원 대법관 역임.[49] |
해리 도허티 | 1921년부터 1924년까지 미국 법무장관 역임. |
릭 스나이더 | 전 게이트웨이 CEO, 전 미시간주 주지사(2011년 ~ ).[52] |
랠프 F. 게이츠 | 인디애나주 주지사(1945년 ~ 1949년) 역임. |
데이비드 F. 카고 | 뉴멕시코주 주지사(1967년 ~ 1971년) 역임. |
리처드 리오던 | 1993년부터 2001년까지 로스앤젤레스 시장 역임.[52] |
돈 바이런 콜턴 | 유타주 제1지역구 하원의원(1921년 ~ 1933년) 역임. |
클래런스 대로 (중퇴) | 유명 법정 변호사, 스코프스 재판과 레오폴드 앤 로브의 변호사.[49] |
스튜어트 J. 슈왑 | 코넬 대학교 로스쿨 학장(2004년 ~ ) 역임. |
찰스 E. 메릴 | 메릴린치 공동 창업자. |
앤 콜터 | 보수주의 작가이자 평론가.[49] |
켄 살라자르 | 전 미국 상원 의원 (콜로라도주) 및 미국 내무부 장관(2009년 ~ 2013년).[51] |
조지 서덜랜드 (1891년 출석) | 미국 연방 대법원 대법관.[53] |
7. 1. 저명한 교수진
- 테오도르 J. 세인트 앤토니 - 명예 학장, 법 철학자, 노동법 학자
- 레우벤 아비-요나 - 조세법 학자
- 새뮤얼 베겐스토스 – 헌법 학자이자 장애인 권리 전문가
- 에반 카민커 - 명예 학장, 헌법학자
- 에드워드 H. 쿠퍼 – 민사 소송법 학자
- 스티븐 P. 크롤리 – 행정 및 규제법 전문가
- 도널드 듀케트 - 명예 법학 임상 교수
- 피비 C. 엘스워스 – 법 및 심리학 학자
- 새뮤얼 R. 그로스 – 면책에 대한 연구로 널리 인용되는 형법 전문가
- 다니엘 할버스탐 – 비교 헌법, 초국가적 법 및 유럽 법 학자
- 제임스 C. 해서웨이 – 국제 난민법 전문가이자 공법 학자
- 존 허드슨 – 영국 법률 역사가
- 엘렌 D. 카츠 – 선거권 및 선거법 학자
- 토마스 E. 카우퍼 – 재산법 및 반독점법 학자
- 비크라마디티아 칸나 – 국제 상법 및 인도 법 전문가
- 제임스 E. 크리어 – 재산법 학자
- 제시카 리트먼 – 지적 재산권 학자
- 카일 D. 로그 – 보험, 조세 및 사법 학자
- 캐서린 매키넌 – 페미니스트 이론가, 학자 및 활동가
- 바바라 맥퀘이드 – 2010년부터 2017년까지 미시간 동부 지방 미국 검사
- 존 A. E. 포토우 – 국제 상법, 파산 및 소비자 금융 학자
- 리처드 프리머스 – 헌법 이론가
- 마거릿 라딘 – 법 철학자, 계약 및 재산 이론가
- 마고 슐랭어 – 시민권 학자이자 시민 권리 소송 정보 센터 설립자
- 레베카 J. 스콧 – 법률 역사가
- 브루노 심마 – 독일 국제법 전문가; 2003년부터 2012년까지 국제 사법 재판소 재판관 역임
- 마크 D. 웨스트 - 학장 겸 니폰 생명 법학 교수, 국제 상법, 형법 및 일본법 학자
- 제임스 보이드 화이트 – "법과 문학" 운동의 창시자
- 제임스 J. 화이트 – 상법 전문가
- 크리스티나 B. 휘트먼 – 프랜시스 A. 앨런 컬리지 법학 교수
7. 2. 저명한 동문
- 윌리엄 R. 데이 : 1898년 미국 국무장관 역임, 1903년부터 1922년까지 미국 연방 대법원 대법관 역임.[49]
- 프랭크 머피 : 1939년 미국 법무장관 역임, 1940년부터 1949년까지 미국 연방 대법원 대법관 역임.[49]
- 해리 도허티 : 1921년부터 1924년까지 미국 법무장관 역임.
- 릭 스나이더 : 전 게이트웨이 CEO, 전 미시간주 주지사(2011년 ~ ).[52]
- 랠프 F. 게이츠 : 인디애나주 주지사(1945년 ~ 1949년) 역임.
- 데이비드 F. 카고 : 뉴멕시코주 주지사(1967년 ~ 1971년) 역임.
- 리처드 리오던 : 1993년부터 2001년까지 로스앤젤레스 시장 역임.[52]
- 돈 바이런 콜턴 : 유타주 제1지역구 하원의원(1921년 ~ 1933년) 역임.
- 클래런스 대로 (중퇴) : 유명 법정 변호사, 스코프스 재판과 레오폴드 앤 로브의 변호사.[49]
- 스튜어트 J. 슈왑 : 코넬 대학교 로스쿨 학장(2004년 ~ ) 역임.
- 찰스 E. 메릴 : 메릴린치 공동 창업자.
- 앤 콜터 : 보수주의 작가이자 평론가.[49]
- 존 로버트 브라운 : 미국 제5 연방 항소 법원 판사, 제5 순회 법원 4인 중 한 명.
- 마이클 T. 케이힐 : 브루클린 로스쿨 학장.
- 로저 카터 (LL.M., 1968) : 서스캐처원 대학교 법학대학원 학장, 캐나다 훈장 수훈자.[41]
- 윌리엄 W. 쿡 (J.D. 1882) : 기업법 교과서 저술 및 인용.
- 조던 하빈저 (J.D. 2006) : 방송인이자 토크쇼 진행자.
- 조지 크로켓 주니어 (LL.B. 1934) : 시민권 운동가, 전국 변호사 협회 설립에 기여, 미국 노동부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변호사, 1966년부터 1974년까지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의 레코더 법원 판사, 1980년부터 1991년까지 미국 하원 의원(D-미시간) 역임.[42]
- 존 페이컨스 (J.D.) : 미국 미시간주의 정치인이자 판사, 미국 미시간 동부 지방 법원의 선임 판사(1986년 ~ 현재), 세 명의 대통령으로부터 동일한 지방 법원에 임명.[43]
- 해럴드 포드 주니어 (J.D. 1996) : 전 미국 하원 의원 (테네시주), 민주주의 지도력 위원회 의장.[44]
- 리처드 게파트 (J.D. 1965) : 미주리주 출신 미국 하원 의원(1977년 ~ 2005년),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미국 하원 다수당 대표, 1995년부터 2003년까지 미국 하원 소수당 대표 역임.[45]
- 로널드 M. 굴드 (J.D. 1973) : 미국 제9 연방 항소 법원 판사.[46]
- 제임스 P. 호파 (LL.B. 1966) : 국제 팀스터 형제단 회장.
- 사다 제이콥슨 (J.D. 2011) : 올림픽 펜싱 은메달 및 동메달리스트.
- 밸러리 재럿 (J.D. 1981) :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수석 고문.
- 아말리아 라일 키어스 (J.D. 1962) : 미국 제2 연방 항소 법원 판사.[47]
- 코넬리아 그로프세마 케네디 (J.D. 1947) : 미국 제6 연방 항소 법원 선임 판사.[48]
- 레이먼드 케슬리지 (J.D. 1993) : 미국 순회 법원 판사, 미국 제6 연방 항소 법원.
- 롭 포트먼 (J.D. 1984) : 오하이오주 출신 미국 상원 의원, 전 행정관리예산처 처장.[50]
- 브랜치 리키 (LL.B. 1911)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임원 및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자, 현대 마이너 리그 베이스볼 시스템을 만들고 재키 로빈슨과 계약하여 스포츠의 20세기 인종 장벽을 깸.
- 켄 살라자르 (J.D. 1981) : 전 미국 상원 의원 (콜로라도주) 및 미국 내무부 장관(2009년 ~ 2013년).[51]
- 조지 서덜랜드 (1891년 출석) : 미국 연방 대법원 대법관.[53]
- 존 D. 볼커 (J.D. 1928) : 미시간 대법원의 판사, ''살인의 해부''의 작가.
- 모세스 플리트우드 워커 (1881년 ~ 1882년 출석) : 야구 선수이자 작가, 메이저 리그 프로 야구에서 활약한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 사라 킬고어 워트먼 (법학: LLB 1871) : 결혼 전 이름은 사라 킬고어, 미국에서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 최초의 여성.
- 샘 젤 (J.D. 1966) : 부동산 개발 거물, EQ Office 창립자, 전 전국 부동산 투자 신탁 협회 회장 및 현재 트리뷴 컴퍼니 회장 겸 최대 주주, 억만장자.
참조
[1]
웹사이트
Per student value of law school endowments21.html
https://leiterlawsch[...]
2022-05-03
[2]
뉴스
Endowment generated 5.2% return in FY '23
https://record.umich[...]
University of Michigan
2023-10-19
[3]
웹사이트
University of Michigan—Ann Arbor
https://www.usnews.c[...]
U.S. News & World Report
2024-04-11
[4]
뉴스
These US law schools had the highest bar pass rates in 2023
https://www.reuters.[...]
American Bar Association
2024-03-12
[5]
웹사이트
Michigan Law History {{!}}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https://michigan.law[...]
2022-12-04
[6]
웹사이트
Abbreviations – Brand & Visual Identity
https://brand.umich.[...]
2022-12-04
[7]
웹사이트
University of Michigan Bar Passage Report
https://michigan.law[...]
American Bar Association
2023-12-16
[8]
웹사이트
University of Michigan 509 Report
https://michigan.law[...]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2023-12-16
[9]
웹사이트
Michigan's First Woman Lawyer
http://www.law.umich[...]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2013-09-14
[10]
웹사이트
Nannes Third-Year Challenge: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law.umich[...]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2013-09-26
[11]
웹사이트
A New Legal Landscape
https://www.law.umic[...]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2013-09-14
[12]
웹사이트
South Hall Dedication
https://www.law.umic[...]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2019-08-16
[13]
웹사이트
Jeffries' $33M gift dedicated to student support at Law School
https://record.umich[...]
University of Michigan Record
2019-08-16
[14]
웹사이트
Best Law School Rankings
https://www.usnews.c[...]
U.S. News & World Report 2021
2020-12-06
[15]
웹사이트
Brian Leiter's Law School Reports
http://leiterlawscho[...]
2018-01-21
[16]
웹사이트
Standard 509 Information Report
https://michigan.law[...]
2022-12-10
[17]
웹사이트
2024 Class Profile
https://michigan.law[...]
2021-11-05
[18]
웹사이트
University of Michigan Law – Admissions FAQ
https://www.law.umic[...]
2020-12-06
[19]
웹사이트
Michigan Law School – History and Traditions
http://www.law.umich[...]
Law.umich.edu
2013-09-09
[20]
웹사이트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Image Gallery
http://www.law.umich[...]
2018-01-21
[21]
웹사이트
Journals and Student Organizations
https://www.law.umic[...]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2016-02-26
[22]
웹사이트
History
http://michiganlawre[...]
University of Michigan Law Review
2016-02-26
[23]
웹사이트
University of Michigan Journal of Law Reform
http://mjlr.org/
University of Michigan Journal of Law Reform
2016-02-26
[24]
웹사이트
Michig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http://www.mjilonlin[...]
Michig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2016-02-26
[25]
웹사이트
Michigan Journal of Gender and Law
http://repository.la[...]
Michigan Journal of Gender and Law
2016-02-26
[26]
웹사이트
Michigan Journal of Race & Law
http://mjrl.org/
Michigan Journal of Race & Law
2016-02-26
[27]
웹사이트
Michigan Tele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Law Review
http://mttlr.org/
Michigan Tele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Law Review
2016-02-26
[28]
웹사이트
Michigan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Administrative Law
http://www.mjeal-onl[...]
Michigan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Administrative Law
2016-02-26
[29]
웹사이트
Michigan Business & Entrepreneurial Law Review
http://mbelr.org/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2016-01-01
[30]
웹사이트
Moot Courts & Competitions
https://www.law.umic[...]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2016-02-26
[31]
웹사이트
Origin of the Henry M. Cambell Moot Court Competition
http://students.law.[...]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2016-02-26
[32]
웹사이트
Clinical Programs
https://www.law.umic[...]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2016-02-29
[33]
웹사이트
Michigan Law Culture Show
https://www.law.umic[...]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2016-02-26
[34]
웹사이트
Externships
https://www.law.umic[...]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2016-02-26
[35]
웹사이트
The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Class of 2021 Summary Report
https://michigan.law[...]
2023-04-09
[36]
웹사이트
Comprehensive Employment Statistics
https://www.law.umic[...]
2022-12-10
[37]
웹사이트
University of Michigan
https://www.lstrepor[...]
2022-12-10
[38]
웹사이트
Comprehensive Employment Statistics
https://www.law.umic[...]
University of Michigan Law School
2020-12-06
[39]
문서
Law School Tuition Rates 2020–2021
https://www.law.umic[...]
2020-12-06
[40]
웹사이트
"Father of Miranda" Yale Kamisar Retires
http://www.motionson[...]
2011-04-27
[41]
웹사이트
Profile of Roger Carter
http://www.rslaw.com[...]
2016-11-28
[42]
웹사이트
George W. Crockett, Jr.
http://bioguide.cong[...]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2012-10-23
[43]
웹사이트
Feikens, John
http://www.fjc.gov/s[...]
Federal Judicial Center
2013-09-26
[44]
웹사이트
Ford, Harold, Jr., (1970 – )
http://bioguide.cong[...]
Biographical Directory of the United States Congress
2012-10-23
[45]
웹사이트
Richard Gephardt
http://bioguide.cong[...]
Biographical Directory of the United States Congress
2012-10-23
[46]
웹사이트
Gould, Ronald Murray
http://www.fjc.gov/p[...]
Federal Judiciary Center
2016-08-11
[47]
웹사이트
Kearse, Amalya Lyle
http://www.fjc.gov/s[...]
Federal Judicial Center
2012-10-23
[48]
웹사이트
Cornelia Groefsema Kennedy
https://web.archive.[...]
Michigan Lawyers in History
2012-10-23
[49]
웹사이트
Murphy, Frank
https://web.archive.[...]
Federal Judicial Center
2012-10-23
[50]
웹사이트
Rob Portman
http://bioguide.cong[...]
Biographical Directory of the United States Congress
2012-10-23
[51]
웹사이트
Salazar, Kenneth Lee, (1955 – )
http://bioguide.cong[...]
Biographical Directory of the United States Congress
2012-10-23
[52]
웹사이트
Rick Snyder
http://www.nga.org/c[...]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2012-10-23
[53]
웹사이트
Sutherland, George, (1862–1942)
http://bioguide.cong[...]
Biographical Directory of the United States Congress
2012-10-23
[54]
문서
http://www.law.umich[...]
[55]
웹인용
Best Law Schools By US News & World Report
http://grad-schools.[...]
2016-02-07
[56]
문서
Michigan Law ABA 509
http://www.law.umi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