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밀랍 인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랍 인형은 밀랍으로 제작된 인물 형상으로, 고대부터 다양한 문화에서 사용되었다. 고대에는 종교적 의식이나 장례에 사용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주요 인물의 기념이나 미신적 행위에 활용되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예술 작품으로 발전하여 초상화나 종교적 장면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고, 16-17세기에는 유럽에서 밀랍 인형 제작이 성행했다. 현대에는 마담 튀소와 같은 관광 명소에서 유명 인물이나 배우의 피겨로 제작되며, 몰라주 기법은 인체 해부학 및 질병 묘사에 활용된다. 전 세계에는 밀랍 인형 박물관이 존재하며, 역사적 인물과 동시대 인물을 밀랍 인형으로 재현하여 전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왁스 - 밀랍
    밀랍은 꿀벌이 분비하는 고체 왁스로 벌집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왁스 - 카나우바 왁스
    카나우바 왁스는 카르나우바 야자 나무 잎에서 추출하여 광택, 코팅, 증점 등의 용도로 사용되며, 브라질에서 주로 생산되고 열악한 노동 환경 문제도 안고 있다.
  • 조소 - 흉상
    흉상은 머리, 목, 가슴 윗부분을 표현한 조각상으로,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어 로마 시대에 인기를 얻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 다양한 재료로 다시 제작되어 예술적 표현, 인물 기념, 개인 숭배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 조소 - 눈사람
    눈사람은 눈을 뭉쳐 만든 사람 모양 조형물로, 중세 유럽에서 시작되어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겨울을 상징하는 문화적 아이콘이다.
  • 인형 - 치링치링 시크릿 쥬쥬
    치링치링 시크릿 쥬쥬는 2012년에 처음 공개된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다양한 채널에서 방영되었으며, 쥬쥬, 마고, 베키 등 여러 등장인물이 출연하고 뮤지컬로도 제작되었다.
  • 인형 - 탈인형
    탈인형은 사람이 안에 들어가 연기하는 인형으로, 특촬 영화에서 시작하여 테마파크, 이벤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착용자의 안전을 위해 조수가 동행하고, 한국에서는 2000년대 중반부터 키구루미 문화가 확산되었다.
밀랍 인형
밀랍 조각
재료밀랍
종류조각
역사
기원고대
용도장례식 초상
종교적 헌납물
민간 초상
마네킹
쇠퇴18세기 후반
제작
방법직접 모델링
주조
특징사실적인 표현
피부 톤 재현
머리카락, 의복 추가
용도
장례식고대 로마 귀족의 장례식 초상
종교봉헌물, 종교 인물 묘사
초상유명인, 가족 구성원 묘사
마네킹옷, 가발 전시
현대
현황마담 투소 밀랍 인형관 등 관광 명소
특징유명인사 밀랍 인형 전시
사실적인 묘사
대중적인 인기
예시마담 투소 홍콩

2. 역사

밀랍으로 만든 데스 마스크 등은 고대부터 제작되었다.[17][18] 교회에 밀랍 인형을 봉헌하는 관습은 중세를 거쳐 찾아볼 수 있다. 군주 등 사회적으로 신분이 높은 인물을 기념하고 그 풍모를 후세에 전하기 위한 수단으로 밀랍 가면이 제작되었다.[17] 또한, 싫어하는 인물에게 해를 입히려는 미신적인 목적으로 밀랍 인형이 사용되기도 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에 밀랍을 이용한 표현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고, 초기 명장들이 이 기법을 사용했다.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높은 품질의 밀랍 인형이 존재했으며, 대부분 초상화나 종교적·신화적인 장면을 표현했다. 안토니오 아본디오는 채색된 미니어처 밀랍 초상 릴리프의 선구자로, 합스부르크 등 유럽 북부 궁정에서 활약했으며, 그의 아들 알레산드로도 그 뒤를 이었다.

18세기에는 에르콜레 렐리, 조반니 만졸리니와 그의 아내 안나 모란디 만졸리니가 활동한 볼로냐가 해부학적 밀랍 모델링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19세기에는 골상학이나 관상학에서 영감을 얻는 경우가 많았으며, 장 피에르 당탕, 다비드 당제르가 대표적인 예이다.

오늘날에는 밀랍 조각상이 예술 작품이라기보다는 마담 튀소와 같은 관광지의 어트랙션 성격을 띠고 있다. 역사적인 인물이나 배우 등 유명인의 피겨가 만들어지고, 기계 장치가 있는 밀랍 인형도 제작되고 있다. 현대에는 로봇과 오디오애니메트로닉스 기술로 밀랍 인형도 실제 인간처럼 움직이는 것도 있다.

2. 1. 고대

고대 이집트인들은 장례 의식에서 신들의 모습을 본뜬 밀랍 인형을 사용했고, 다른 제물과 함께 무덤에 안치했다. 이 밀랍 인형들 중 다수는 현재 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1] 고대 그리스에서는 밀랍 인형이 주로 아이들의 인형으로 사용되었고, 신의 작은 조상들은 봉헌물과 종교 의식을 위해 만들어졌다. 마법적 속성이 부여된 밀랍 조각상은 사람들에게 소중히 여겨졌다.[1] 고대 로마에서는 조상들의 가면(''effigies'' 또는 imaginesla)을 밀랍으로 만들어 귀족 가문에서 보존했다. 이 가면들은 의례적인 행사에 전시되었고, 장례 행렬에 운반되었다. 농신제의 마지막 날들은 시길라리아la로 알려졌는데, 이는 축제 말에 과일 모형과 시길라리(Sigillarii)들이 만든 밀랍 조각상을 선물하는 관습 때문이었다.[1]

2. 2. 중세 유럽

밀랍 모형 제작은 중세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밀랍 인물상은 교회에 바쳐졌으며, 군주와 위대한 인물들은 밀랍 가면을 통해 그 모습이 보존되었다.[1]

중세 시대에는 증오하는 인물의 밀랍 형상을 만들어 긴 핀을 꽂으면 그 사람에게 치명적인 상처를 입힐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믿음은 희생자의 머리카락이나 손톱을 밀랍 인형에 추가하면 더 효과적이라고 여겨졌다. 이러한 미신은 17세기까지 지속되었고, 19세기까지도 일부 지역에 남아있었다.[1]

유럽에서는 중요한 인물의 장례식에 밀랍이나 다른 재료로 만든 조형물을 전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조형물들은 실제 옷을 입혀 빠르게 제작되었다. 웨스트민스터 사원 박물관에는 영국 왕족의 밀랍 인형과 호레이쇼 넬슨, 프랜시스 스튜어트, 리치먼드 공작 부인의 밀랍 인형이 소장되어 있다. 잉글랜드의 찰스 2세의 조형물은 19세기 초까지 그의 묘 위에 전시되었다.[3] 1805년 넬슨이 사망하고 세인트 폴 대성당에 묻히자, 웨스트민스터 사원은 수입을 위해 넬슨의 밀랍 인형을 만들어 전시했다.[4]

2. 3.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에 밀랍 모델링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다른 재료로 조각을 제작하기 위한 모델을 만들거나 그 자체로 사용되었다. 초기 거장들은 밀랍을 사용하여 작품을 만들었다. 조르조 바사리는 로렌초 기베르티에 대해 "로렌초는 디자인 예술을 연구하고 밀랍, 회반죽 및 기타 유사한 재료로 부조 작업을 멈추지 않았으며, 이러한 작은 부조가 조각가의 드로잉 연습이며, 그러한 연습 없이는 완벽함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5]라고 언급했다. 피사넬로, 프란체스코 프란치아[6] 등 유명 메달리스트의 청동 메달은 밀랍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모든 초기 청동 및 금속 세공품은 먼저 밀랍 모델을 사용하여 주조되었다.[1]

밀랍 인형은 묘사된 대상과 매우 흡사한 3차원 초상화였다. 피렌체 밀랍 공예가 오르시노 베닌텐디(c.1440-98)의 작품은 바사리에 의해 "생생하고 매우 잘 만들어져 더 이상 밀랍 인물이 아니라 살아있는 사람처럼 보였다"고 칭찬받았다.[7]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에는 야코포 산소비노의 밀랍 '십자가에서 내려옴'[8]이 있으며, 이는 화가 페루지노와 델 사르토가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미켈란젤로의 노예에 대한 작은 연구[9]잠볼로냐의 여러 밀랍 작품도 소장하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그의 '피사를 이긴 피렌체'의 모형이다.[10] 로열 컬렉션의 미켈란젤로가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붉은 분필 에코르셰는 미켈란젤로 자신이 만든 것과 같은 밀랍 모델의 드로잉으로 여겨진다. 대영 박물관에는 1560년 레오네 레오니가 생전에 제작한 미켈란젤로의 밀랍 초상 메달이 있다.

바초 반디넬리, ''헤라클레스와 카쿠스'', c. 1525, 채색된 밀랍(나무 받침대 위), 보데 박물관, 베를린


바초 반디넬리의 밀랍 모형 두 점이 남아 있는데, 하나는 '헤라클레스와 카쿠스'(보데 박물관, 베를린, 식별 번호 2612)이고, 다른 하나는 넵투누스(파브르 미술관, 몽펠리에)이다.

피렌체의 바르젤로 국립 박물관에는 벤베누토 첼리니의 유일하게 남아있는 밀랍 모형인 '메두사의 머리를 든 페르세우스'(inv. cere, n.424)가 있으며, 이는 로지아 데이 란치에 있는 그의 청동 조각상의 연구였다.[11]

국립 박물관에는 바르톨로메오 암마나티의 붉은 밀랍 모형인 '코시모 1세 데 메디치의 천재'가 있다.

16세기부터 17세기에 걸쳐 높은 품질의 밀랍 인형이 존재했으며, 대부분 초상화나 종교적·신화적인 장면을 표현했다. Antonio Abondio|안토니오 아본디오영어(1538-91)는 채색된 미니어처 밀랍 초상 릴리프의 선구자로, 합스부르크와 기타 유럽 북부의 궁정에서 활약했으며, 그의 아들 알레산드로도 그 뒤를 이었다.

2. 4. 16-17세기

16세기와 17세기에는 초상 조각상과 종교 또는 신화 장면을 묘사한 매우 훌륭한 밀랍 인형들이 많이 제작되었으며, 종종 여러 인물들이 등장했다. 안토니오 아본디오(1538–91)는 부조 기법을 사용한 채색 밀랍 초상 미니어처를 개척했으며, 주로 합스부르크 왕가와 북유럽의 다른 궁정들을 위해 활동했고, 그의 아들 알레산드로도 아버지의 뒤를 이었다.[17][18]

밀랍으로 만든 데스 마스크 등은 고대부터 제작되었다. 교회에 밀랍 인형을 봉헌하는 형태의 밀랍 모형 제작 관습은 중세를 거쳐 찾아볼 수 있다. 군주 등 사회적으로 신분이 높은 인물을 기념하고 그 풍모를 후세에 전하기 위한 수단으로 밀랍 가면이 제작되었다.[17] 미신에 근거하여, 개인이 싫어하는 인물에게 치명적인 부상을 입히고 싶다는 소망을 밀랍으로 표현하는 습관이 있었는데, 더욱 효과를 높이기 위해 희생자의 머리카락이나 손톱도 사용되었다. 이 미신은 17세기 무렵까지 행해졌으며, 19세기까지 남아 있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에 밀랍을 이용한 표현 방법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고, 초기 명장들에 의해 그 기법이 사용되었다. 안토니오 아본디오는 채색된 미니어처 밀랍 초상 릴리프의 선구자로, 합스부르크와 기타 유럽 북부의 궁정에서 활약했으며, 그의 아들 알레산드로도 그 뒤를 이었다.

2. 5. 18세기

에르콜레 렐리, 조반니 만졸리니와 그의 아내 안나 모란디 만졸리니가 활동한 볼로냐는 18세기에 해부학적 밀랍 모델링의 중요한 중심지였다.[1] 팔라초 포지 박물관에는 남편이 심장을 해부하는 모습과 자신이 뇌를 해부하는 모습의 밀랍 초상, 그리고 눈의 해부학적 모델이 전시되어 있다. 해부학실에는 에르콜레 렐리의 일련의 조각상과 한때 유명했던 피렌체 출신 클레멘테 수시니의 ''메디치 비너스'' 복제품도 전시되어 있다. 빈 의과대학교 박물관에는 수시니의 밀랍 모델 대규모 컬렉션이 소장되어 있으며, 볼로냐 대학교에는 루이지 카타네오 해부학 밀랍 박물관이 있다.

1775년경 페이션스 라이트가 제작한 벤저민 프랭클린의 밀랍 프로필 흉상


페이션스 라이트는 밀랍 조각가였으며, 미국에서 태어난 최초의 조각가로 인정받고 있다.

왕립 컬렉션 트러스트는 사무엘 퍼시(1750-1820)가 제작한 조지 3세의 밀랍 흉상과 밀랍 초상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여러 판화를 소장하고 있으며, 예시로 장-샤를 프랑수아가 밀랍 모델러 플로리안 자이스(1712–80)의 작품을 보고 제작한 요제프 2세의 초상화가 있다. 다른 예술가들은 레온하르트 포쉬|Leonhard Poschde 또는 요제프 뮐러(fl.1793)의 밀랍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다.

18세기 말에는 메달리온 초상화와 부조 그룹 모델링이 유럽 전역에서 상당한 인기를 끌었으며, 후자는 종종 다색이었다. 많은 예술가들이 여성이었다. 존 플랙스먼은 밀랍으로 많은 초상화와 기타 부조 조각을 제작했으며, 조지아 웨지우드는 그의 재스퍼웨어를 위해 이를 도자기로 변환했다.[1] 국립 초상화 미술관 (영국)은 이 시기의 밀랍 초상화 40점을 소장하고 있다.

2. 6. 19세기

19세기에는 예술가들이 골상학이나 관상학에서 영감을 얻는 경우가 많았다. 장 피에르 당탕, 다비드 당제르가 대표적인 예인데, 다비드 당제르는 1831년 프랑수아 브루세가 설립한 파리 골상학회에 소속되기도 했다.[13] 성형 조형사이자 조각가인 조셉 타운은 해부학적 밀랍 모형 제작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시기에는 에르네스트 메소니에와 같은 화가들도 '여행자'(오르세 미술관, RF 3672)와 같은 그림을 준비하기 위해 밀랍 모형을 사용했으며, 로댕은 ''지옥의 문''(1880)의 밀랍 모형을 만들었다. 이 시기의 주요 밀랍 작품으로는 폴 고갱의 딸 알린의 초상(1881년, 오르세 미술관), 장조제프 카리에스의 125cm 높이의 자화상(프티 팔레)이 있다. 에드가 드가는 무용수와 목욕하는 사람들의 포즈를 연구하기 위해 밀랍으로 모델링을 하곤 했다. 이것들은 그가 보존하고 싶어하지 않았던 단순한 습작이었지만, 그의 사후에 '오른발의 발바닥을 바라보는 무용수'와 같은 일부 작품들은 청동으로 주조되었다(파리 오르세 미술관, RF 2771: 밀랍; RF 2096: 청동). 그 외 유명한 밀랍 조형가로는 리처드 코클 루카스, 쥘 달루, 메다르도 로소[12], 다비드 당제르[13]가 있다.

1909년 베를린 박물관이 소장한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것으로 알려진 유명한 밀랍 흉상은 1840년경 활동한 영국의 위조 기술자의 작품이다. 의 위카 미술관에 있는 머리 모양의 밀랍 모형은 아마도 카노바 학파의 작품일 것으로 보이며, 이는 그 섬세한 아름다움을 조금도 손상시키지 않는다.[14]

1840년대와 1850년대 영국에서는 밀랍 꽃과 과일 조각이 인기를 끌었으며, 런던의 에마 피치와 민턴 가문이 유명한 조각가로 이름을 알렸다. 1851년 만국 박람회에는 이 작품을 위한 섹션이 마련되었다.[15]

2. 7. 현대

밀랍 인형은 생동감 있고 기이한 특징을 활용하는 현대 미술가들에 의해 자주 제작, 전시된다. 예술가들은 종종 밀랍 자화상을 제작하지만, 상상의 인물이나 역사적 인물들을 묘사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개빈 터크는 자신의 초상화를 시드 비셔스(1993년 작, 유리 진열장 속 밀랍 인형, 279 x 115 x 115 cm)로 만들었고, 얀 파브르는 악명 높은 도둑 자크 메스린(2008년 작, 흉상 II, 실물 크기, 개인 소장품)으로 만들었다. 엘리너 크룩의 런던 과학 박물관에 있는 청동 조각상 산타 메디치나에는 옷 속에 반 실물 크기로 제작된 밀랍 "환자"가 유리 진열장 안에 자리 잡고 있다.

암스테르담의 중세 고문 기구 박물관 역시 전시된 기계와 도구의 사용법을 시연하기 위해 밀랍 인형을 사용했다.[16]

오늘날에는 밀랍으로 만들어진 조각상은 예술 작품이라기보다는, 사람들을 끄는 어트랙션으로서 마담 튀소와 같은 관광지로서의 성격을 띠고 있다. 역사적인 인물이나 배우 등 유명인의 피겨가 만들어지고, 기계 장치가 있는 밀랍 인형도 제작되고 있다. 현대에는 로봇과 오디오애니메트로닉스 기술로 밀랍 인형도 실제 인간처럼 움직이는 것도 있다.

3. 몰라주(Moulage)

해부의 연조직을 모델링하고, 해부학을 가르치는 삽화를 제작하는 것은 르네상스 시대에 피렌체에서 처음 시작되었다.[1] 몰라주(moulage)는 인체 해부학 및 다양한 질병을 초기에는 젤라틴 몰드, 이후에는 알지네이트 또는 실리콘 몰드를 사용하여 신체에서 직접 캐스팅하여 묘사하는 기법으로, 주요 재료로 왁스를 사용했다(이후 라텍스와 고무로 대체됨). 일부 몰라주는 질병에 걸린 환자의 신체에서 직접 캐스팅되었고, 다른 몰라주는 건강한 사람의 신체에 왁스와 안료로 질병의 특징(물집, 궤양, 종기, 발진)을 정교하게 적용하여 제작되었다.

19세기 동안 몰라주는 인체의 질병 부위를 3차원적이고 현실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몰라주는 브뤼셀에 있는 슈피츠너 컬렉션, 베를린의 샤리테 병원 박물관, 런던의 가이 병원 병리학 부서에 있는 고든 박물관 등 많은 유럽 의학 박물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밀랍 인형 박물관

밀랍 인형은 순수 예술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역사적이거나 악명 높은 인물들의 이미지를 주된 내용으로 하여 대중적인 명소가 되었다. 밀랍 인형은 밀랍 가면을 씌운 인체 모형으로 구성되었으며, 때로는 인형에 움직임을 주기 위해 기계 장치가 설치되기도 했다. 이러한 기계 장치가 장착된 밀랍 인형 전시회는 18세기 초 독일에서 열렸다.[16]

현대 미술가들은 밀랍 인형의 생동감 있고 기이한 특징을 활용하여 작품을 제작, 전시한다. 예술가들은 종종 밀랍 자화상을 제작하지만, 상상의 인물이나 역사적 인물을 묘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개빈 터크는 자신의 초상화를 시드 비셔스("팝", 유리 진열장 속 밀랍 인형, 279 x 115 x 115 cm, 1993)로 만들었고, 얀 파브르는 악명 높은 도둑(자크 메스린 (흉상) II, 2008. 실물 크기. 개인 소장품)으로 만들었다. 엘리너 크룩의 런던 과학 박물관에 있는 청동 조각상 산타 메디치나에는 옷 속에 반 실물 크기로 제작된 밀랍 "환자"가 유리 진열장 안에 자리 잡고 있다.

암스테르담의 중세 고문 기구 박물관 역시 전시된 기계와 도구의 사용법을 시연하기 위해 밀랍 인형을 사용했다.[16]


  • Wax museum|밀랍 인형관영어
  • Hollywood Wax Museum|할리우드 밀랍 박물관영어
  • Musée Grévin|그레뱅 박물관영어
  • National Wax Museum Plus|내셔널 왁스 뮤지엄 플러스영어
  • Waxworks museum of the Castle of Diósgyőr|디오슈제르 성의 밀랍 박물관영어
  • Panoptikum Hamburg|파노프티쿰 함부르크영어
  • 료마 역사관
  • 휴가 신화관
  • 도쿄 타워 과거 아시아 최대 규모의 밀랍 인형관이 있었다.

참조

[1] harvnb
[2] 웹사이트 Funerals in Ancient Rome http://www.mariamila[...] Mariamilani.com 2013-04-22
[3] 웹사이트 Photo at Victoria & Albert Museum http://www.vam.ac.uk[...]
[4] 웹사이트 Horatio, Viscount Nelson http://www.westminst[...] 2024-04-18
[5] 서적 Lives of the Most Eminent Painters Sculptors and Architects
[6] 서적 Lives of the Most Eminent Painters Sculptors and Architects
[7] 논문 Waxing Miracles https://www.apollo-m[...] 2023-06-01
[8] 웹사이트 The Descent from the Cross | Sansovino, Jacopo http://collections.v[...] 2024-04-19
[9] 웹사이트 A slave model, Michelangelo http://collections.v[...] 2024-04-18
[10] 웹사이트 Florence Triumphant over Pisa | Giambologna http://collections.v[...] 2024-04-19
[11]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19-11-15
[12] 문서 Femme à la voilette (Woman with veil) 1919-1923
[13] 문서 Achille Devéria 1829
[14] 백과사전 Leonardo da Vinci
[15] 논문 "Fac-similes of nature": Victorian wax flower modelling
[16] 웹사이트 Homepage http://www.torturemu[...] 2024-04-18
[17] 백과사전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
[18] 웹사이트 http://www.mariamil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