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CSU)은 독일 바이에른 주에서 활동하는 정당으로, 1945년 창당 이후 바이에른 주 정부를 이끌어왔다.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는 1961년부터 1988년 사망할 때까지 당을 이끌며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1980년에는 독일 총리 후보로 나서기도 했다. CSU는 기독교민주연합(CDU)의 자매 정당으로, 연방 차원에서는 CDU/CSU 연합 의원단을 구성하여 활동한다. 바이에른 주 의회 선거에서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며 장기간 집권했으나, 2008년과 2018년 선거에서는 과반 확보에 실패하여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 2021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역대 최저 득표율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 우니온
    독일 기독교민주연합(CDU)과 기독교사회연합(CSU)은 기독교 민주주의와 보수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독일의 주요 중도우파 정당들로, 연방 의회 선거에서 공동으로 활동하며 연방 정부 구성에서도 긴밀히 협력하지만 별도의 조직과 지역적 기반을 유지하며 정책적 입장과 전략에서 차이를 보인다.
  • 독일의 보수주의 정당 - 독일 국가인민당
    독일 국가인민당은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 활동한 보수주의 정당으로, 제정 시대 보수 정당들의 통합으로 창당되어 부유층의 이익을 대변하고 제정 복고주의 성향을 보였으며, 나치당과의 협력을 모색하다 히틀러 내각 참여 후 해산되었다.
  • 독일의 보수주의 정당 - 독일을 위한 대안
    독일을 위한 대안은 2013년 유로존 위기 비판을 내세워 창당된 독일 정당으로, 초기 경제 자유주의에서 2015년 이후 반이민, 반이슬람 우익 포퓰리즘 정당으로 변모하여 연방의회에 진입, 지지율을 높여왔으나 극우 논란으로 헌법수호청의 감시 대상이다.
  •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 - 오스트리아 국민당
    오스트리아 국민당은 1945년 창당된 기독교민주주의, 보수주의 정당으로, 1945년 총선 이후 사회민주당과 연정을 통해 주요 세력으로 자리 잡았으며, 2017년 우경화 및 당명 변경을 시도했다.
  • 기독교 민주주의 정당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독일 기독교민주연합(CDU)은 1945년 설립된 독일의 중도우파 정당으로, 기독교 민주주의를 표방하며 자유보수주의적 경제 정책과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고, 콘라트 아데나우어, 헬무트 콜, 앙겔라 메르켈 등 여러 독일 총리를 배출했다.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 [정당]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약칭CSU
설립일1945년
전신 정당바이엘른 인민당
본부 위치뮌헨, 바이에른, 독일
기관지바이에른쿠리어 (1950–2019)
청년 조직청년연합
당원 수 (2022년)132,000명
웹사이트CSU 공식 웹사이트
공식 색상파랑, }} 하늘색
바이에른 기독교 사회 연합 깃발
바이에른 기독교 사회 연합 깃발
정치
정치 이념기독교 민주주의
보수주의 (독일)
지역주의
정치 성향중도우파에서 우익
연방 수준 정당CDU/CSU
국제 정당 연합국제 민주 연합
유럽 정당 연합유럽 인민당
유럽 의회 그룹유럽 인민당 그룹
지도부
대표마르쿠스 죄더
사무총장마틴 후버
의석 현황
독일 연방의회43석 (바이에른 의석)
독일 연방참의원4석 (바이에른 의석)
바이에른 주의회85석
유럽 의회6석
주 총리1석
과거 정당
지역 정당독일 사회 연합 (1990–1993)

2. 역사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CSU)은 1949년 정계에 등장한 이래 바이에른주에서 지속적으로 집권당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1954년부터 1957년까지는 독일 사회민주당(사민당), 자유민주당, 바이에른 당의 연합으로 집권하지 못했다.[19] 1966년부터 2008년까지는 주의회에서 '만년 다수당'으로 군림했으며, 이는 전후 독일 사회에서 주목할 만한 통치였다.[19]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1915~1988)는 1961년부터 1988년 사망할 때까지 당을 이끌었으며, 1953년부터 1969년까지 연방 정부에서 네 차례 장관직을, 1978년부터 1988년까지는 바이에른주 주지사를 지냈다.[19] 1980년에는 기사련 최초로 독일 총리 후보에 올랐으나, 독일 사회민주당 출신 현직 총리인 헬무트 슈미트에게 패배했다.[19]

1976년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의장


1999년 당수에 오른 에드문트 슈토이버2002년 총리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사민당게르하르트 슈뢰더에게 패배했다.[19] 2003년 기사련은 주 의회에서 60.7%의 득표율(180석 중 124석)을 획득하며 다시 집권당이 되었다.[19] 2007년 1월 18일, 슈토이버는 주지사직과 당수직을 사임했다.[19]

기사련은 바이에른주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지만, 기초자치단체는 주 상황보다 다양하다. 뮌헨뉘른베르크와 같은 대도시에서는 사민당 출신 시장이 선출되기도 하였다.[19] 2008년 9월 28일, 기사련은 1966년 이래 처음으로 과반을 차지하지 못하고 자민당과 연립정권을 구성하게 되었다.[19]

2018년 바이에른 주 선거에서는 득표율 37.3%로 제1당을 유지했지만, 다시 과반수를 잃었다. 반이민·반난민을 내세운 독일을 위한 대안(AfD)의 부상으로 CSU도 난민 규제 강화를 주장했지만, 이는 기독교인들의 이탈을 불러왔다는 지적이 있다.[40]

2. 1. 창당과 초기 활동 (1945년 ~ 1949년)

1945년 여름, 바이에른 주 여러 지역에서 시민들을 위한 기독교 정당 창당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 정당의 이름은 기독교사회연합(CSU)이었다. 뷔르츠부르크뮌헨이 기독교사회연합 창당의 주요 거점이었다. 같은 해 9월 12일 뮌헨 시청에서 그들은 정당의 이름을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Christlich-Soziale Union in Bayern)'으로 결정했다. 1945년 9월 12일은 바이에른 기독교 사회 연합당의 공식적인 창당 회의였다.[19]

1945년 12월, 요제프 뮐러가 창당준비위원회 임시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1946년 5월 17일 열린 첫 번째 기독교사회연합 전당대회에서 뮐러가 당원들의 승인을 받아 정식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를 중심으로 정당의 광범위한 틀이 갖추어지기 시작했다.[19]

1946년 5월 28일 미군정은 추기경 파울하버스의 추천으로 프리츠 셰퍼를 바이에른 주의 주총리로 임명했다. 그는 바이에른 주의 총리였지만 동시에 미군정의 통제 아래에 있었다.[19]

1946년 12월 바이에른 지방선거가 자유선거와 비밀선거의 기치 아래 이루어졌다. 기독교 사회 연합은 52.3%의 지지율로 바이에른 지방에서 가장 많은 지지를 받는 정당으로 등장했으며, 한스 에르하르트가 첫 번째 바이에른 주 총리로 선출되었다.[19]

1947년 1월 11일과 12일에 걸쳐 바이에른 주에서 청년 연합이 창설되었다. 먼저 세 명으로 구성된 연합위원회가 결성되고 같은 해 7월 프리츠 회헨베르거가 지도자로 선출되었다.[19]

2. 2. 아데나워 시대 (1949년 ~ 1963년)

1949년 가을, 독일의 첫 번째 연방 정부 선거가 이루어졌다. 기독교 사회 연합(CSU)은 29.2%의 득표율로 연방 정부 의회에서 24석을 차지했다. 콘라드 아데나워는 초대 독일 연방 정부 총리로 취임했으며, CSU 출신 정치인 3명을 연방 정부 장관으로 임명했다. 프리츠 셰퍼는 재무장관, 빌헬름 니클라스는 농업·식품 장관, 한스 슈베르트는 우편·통신 장관을 맡았다.[19]

1950년, 당 기관지인 BAYERNKURIER의 첫 번째 판이 인쇄되었다. 이전에는 요제프 뮐러가 "Der gerade Weg"라는 이름으로 신문을 출판했으며, 이는 1948년 12월부터 1949년 4월까지 발행되었다.[19]

1950년 2월 19일,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가 빌스호펜의 볼프스테터 지하실에서 처음으로 정치적인 잿빛 수요일에 대해 언급했다.[19]

1953년, 한스 에르하르트 바이에른 주 총리는 주데텐 지역에 거주하는 독일계 주민들을 위한 바이에른 자유 주의 후원을 약속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바이에른 지역의 해고 비율은 전체 인구의 25%까지 치솟았다.[19]

1954년 지방 선거에서 CSU는 38.4%의 지지율로 83석을 얻어 제1당이 되었으나, 1954년 12월 9일 독일 사회민주당(SPD)의 빌헬름 회그너가 SPD, 바이에른당(BP), BHE, FDP의 4당 연정을 이끌면서 CSU는 야당이 되었다. SPD 중심의 연정은 1957년까지 유지되었다.[19]

1957년, 4당 연정이 붕괴된 후 한스 자이델이 바이에른 주 총리로 선출되었다. 당시 CSU는 GB/BHE, FDP와 연정을 구성했고, SPD와 BP는 야당이었다.[19]

전직 바이에른 인민당 의장이자 미 군정기 바이에른 주총리였던 프리츠 셰퍼(오른쪽에서 두 번째)는 아데나워 내각에서 재무·법무장관을 지냈다.

2. 3. 1960년대 ~ 1970년대

1961년 기사련 당 대회에서 대의원 투표를 통해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를 94.8%의 지지율로 새로운 당수로 선출하였다.[19] 1962년 지방 선거에서 47.5%의 지지율을 얻은 기사련은 처음으로 의회 좌석의 과반수가 넘는 자리를 확보하게 된다. (204석 중 108석)[19] 바이에른주 총리로는 알폰스 고펠이 당선되었다. 내각에는 기사련 출신 정치인뿐만 아니라 바이에른당 출신 정치인도 포함되었다.[19] 같은 해, 의회는 레겐스부르크에 바이에른 지역 대학을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새롭게 설립된 다섯 개의 대학 중 첫 번째 대학이었다. 레겐스부르크에 이어 1969년 아우크스부르크, 1971년 바이로이트, 1972년 파사우, 1973년 밤베르크에 새로운 대학이 설립되었다.[19]

1963년 잉골슈타트에서 첫 번째 정유 회사가 운영을 시작했다. 바이에른의 경제 장관이었던 오토 쉐들은 높은 에너지 비용을 줄이기 위해 지중해 항구 마르세유, 제노바, 트리에스테에서 석유 파이프 라인을 마련할 계획을 구축했다.[19]

1965년 최초의 여성 독일 연방 하원 부의장으로 기사련 출신의 마리아 프롭스트가 선출되었다.[19]

1966년 11월 7일 한스 자이델 재단이 설립되었고 1967년부터 활동을 시작하였다. 첫 번째 회장으로 프리츠 피어클이 부임하였고 그는 1993년 8월 19일 사망할 때까지 재단 회장직을 역임했다.[19]

1968년 당 의회는 새로운 규정의 필요성에 대해 동감하고 6월 12일6월 13일에 걸친 전당 모임을 통해 조직 이름을 개편했다. 주 의회, 주 회장, 전무 이사 및 지역 집행위원회는 당 의회, 당 회장, 집행위원회 및 당위원회로 변경되었다.[19]

1970년 바이에른 주는 유럽에서 처음으로 환경부를 구성하게 되고 첫 번째 장관으로 막스 슈트라이블을 임명한다.[19]

1971년 제롤트 탄들러가 사무 총장직을 역임하게 되었다. 그는 기사련의 지역 주요 조직 개편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당수였던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는 새로운 사무 총장인 제롤트 탄들러 옆에 플로리안 할란더를 주 정부 관리자로 두었다. 그 이후 사무총장과 주 정부 관리자는 공식적으로 함께 일하게 되었다.[19]

1972년 영토 개혁과 선거구 개편이 이루어졌다. 기사련은 새로운 행정 구역으로 재편되었다.[19]

1973년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의 발의로 바이에른 주 정부는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에 독일 연방정부와 동독 간의 기본 조약에 관한 소송을 제기했다.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는 6월에 어떠한 해석에서도 해당 조약은 기본법과 일치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이는 동독의 시민들도 독일의 기본 헌법의 적용을 받는다는 것을 증명했다. 기사련과 바이에른 주에서 제기된 기본 조약에 대한 소송은 헌법 관련 기관들이 독일의 통일에 대한 믿음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19]

1974년 지금까지 빌스호펜에서 열렸던 정치적인 잿빛 수요일이 처음으로 파사우의 니벨룽엔할레에서 개최되었다.[19] 같은 해 기사련은 62.1%의 표를 받고 132석의 자리를 확보했다. 이는 주 의회 선거에서 얻은 결과 중 가장 높은 성과였다.[19] 주 의회 의장으로는 루돌프 하노이어와 주 정부 총리로 알폰스 고펠이 연임하였다. 당수로는 알프레드 자이델에 이어 아우구스트 랑이 선출되었다.[19] 또한 처음으로 내각의 여성 구성원으로 바이에른 주의 문화부 장관에 마틸데 베르그호퍼-바이히너가 임명되었다.[19]

1975년 기사련 당수인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가 독일 정치인으로는 처음으로 마오쩌둥과 만남을 가졌다.[19]

1976년 빌트바트 크로이트에서 CDU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였다. 한 차례 갈등이 있었던 CDU와의 관계는 다시 연합에의 의견을 서로 확인 후 연정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19]

1978년 주 의회 선거에서 59.1%의 득표율과 129석을 확보하게 되었다. 주 의회는 새로운 주 의회 의장으로 프란츠 호이블을 선출했다. 그는 1960년부터 재직해온 루돌프의 뒤를 이었다.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는 주 총리가 되었다. 그는 알폰스 고펠의 뒤를 이었다.[19]

2. 4. 1980년대 이후 (재집권 ~ 현재)

1980년 독일 연방 선거에서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독일 사회민주당(SPD)의 헬무트 슈미트 총리에게 패배했다.[19] 1983년, 슈트라우스는 동독에 대한 차관 제공을 중재하여 서독과 동독의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39]

1987년, 슈트라우스는 기독교사회연합 대표단과 함께 모스크바에서 미하일 고르바초프 당시 소련 공산당 서기장을 만났다. 1988년, 슈트라우스 사망 후 테오 바이겔이 당 의장으로, 막스 스트라이벨이 주 총리로 선출되었다.

1990년, 독일 통일 과정에서 당시 재무장관이었던 테오 바이겔은 통화, 경제, 사회 노동 조합에 관여하는 기관 설립에 관한 국가 조약에 체결하여 독일 통일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39] 1993년, 에드문트 슈토이버가 주 총리로 선출되었다.

1999년, 에드문트 슈토이버가 당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2002년, 슈토이버는 독일 총리 후보로 출마했으나 게르하르트 슈뢰더에게 패배했다.[19] 2003년 바이에른 주 선거에서 CSU는 60.7%의 득표율로 주의회 의석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는 대승을 거두었다.[19]

2007년, 슈토이버가 주 총리 및 당 의장직에서 사임하고, 귄터 벡슈타인이 주 총리로, 에르빈 후버가 당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2008년, 호르스트 제호퍼가 당 의장 및 주 총리로 선출되었다.

2013년 바이에른 주 선거에서 CSU는 다시 단독 과반수를 확보했다. 2018년 바이에른 주 선거에서 CSU는 37.2%의 득표율로 1950년 이후 최악의 성적을 기록하며 과반수 확보에 실패하고, 바이에른 자유 유권자와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

2019년, 마르쿠스 죄더가 당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2021년 독일 연방 선거에서 CSU는 역대 최저 득표율(5.2%)을 기록했다.[21] 2023년, 바이에른 주 선거에서 CSU는 37.1%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제1당을 유지했고, 자유 유권자와의 연정을 지속한다.

3. 기민당(CDU)과의 관계

CSU는 기독교민주연합(CDU)의 자매 정당이다.[22] 두 정당은 "연합(Union)"으로 불린다.[22] CSU는 바이에른 주에서만 활동하며, CDU는 바이에른 주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주에서 활동한다. 사실상 독립적인 정당이지만,[23] 연방 차원에서는 CDU/CSU 연합 의원단을 구성하여 협력한다.[24]

CSU 출신 총리는 없었지만,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에드문트 슈토이버는 각각 1980년 연방 선거와 2002년 연방 선거에서 CDU/CSU의 총리 후보로 선출되었으나, 두 선거 모두 독일 사회민주당(SPD)이 승리했다.

창당 이후 CSU는 CDU보다 더 보수적이라고 평가받는다.[11] CSU와 바이에른 주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분단에 동의하지 않아 독일연방공화국의 기본법에 서명하지 않았다.

4. 역대 지도부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기사련)의 역대 지도부는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취임퇴임
(임시)요제프 뮐러1945년 12월 17일1946년 5월 17일
11946년 5월 17일1949년 5월 28일
2한스 에하르트1949년 5월 28일1955년 1월 22일
3한스 자이델1955년 1월 22일1961년 3월 18일
4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1961년 3월 18일1988년 10월 3일
5테오 바이겔1988년 11월 19일1999년 1월 16일
6에드문트 슈토이버1999년 1월 16일2007년 9월 29일
7에르빈 후버2007년 9월 29일2008년 10월 25일
8호르스트 제호퍼2008년 10월 25일2019년 1월 19일
9마르쿠스 죄더2019년 1월 19일현직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는 1961년부터 1988년 사망할 때까지 기사련을 이끌었으며, 1980년에는 사민당 헬무트 슈미트의 대항마로 독일 총리 후보로 출마하기도 했다.[1] 1983년 슈트라우스의 중재로 서독은 동독에 의 차관을 제공하여 양측 관계 개선에 기여했고,[2] 1987년에는 슈트라우스가 직접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을 만나기도 했다.[3] 에드문트 슈토이버는 1999년부터 2007년까지 당수직을 역임했으며, 2002년 총리 선거에 출마했으나 사민당게르하르트 슈뢰더에게 패배했다.[1] 테오 바이겔은 1990년 독일 통일에 관련된 국가 조약에 서명했다.[4]

4. 1. 당 의장

대수당수 (Vorsitzende)재임 기간
1--요제프 뮐러1946년 – 1949년
2--한스 에하르트1949년 – 1955년
3--한스 자이델1955년 – 1961년
4--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1961년 – 1988년
5--테오 바이겔1988년 – 1999년
6
에드문트 슈토이버1999년 – 2007년
7--에르빈 후버2007년 – 2008년
8
호르스트 제호퍼2008년 – 2019년
9--마르쿠스 죄더2019년 – 현재


4. 2. 역대 바이에른 주 총리

주총리(Minister-President)임기 시작임기 종료
프리츠 셰퍼1945년 5월 28일1945년 9월 28일
한스 에하르트 (첫 번째 임기)1946년 12월 21일1954년 12월 14일
한스 자이델1957년 10월 16일1960년 1월 22일
한스 에하르트 (두 번째 임기)1960년 1월 26일1962년 12월 11일
알폰스 고펠1962년 12월 11일1978년 11월 6일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1978년 11월 6일1988년 10월 3일
막스 슈트라이블1988년 10월 19일1993년 5월 27일
에드문트 슈토이베르1993년 5월 28일2007년 9월 30일
귄터 벡슈타인2007년 10월 9일2008년 10월 27일
호르스트 제호퍼2008년 10월 27일2018년 3월 13일
마르쿠스 죄더2018년 3월 16일현재



1945년 이후 바이에른 주 총리 12명 중 11명이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출신이며, 사회민주당 출신은 빌헬름 회그너(1945~1946, 1954~1957) 뿐이다.[1]

5. 주요 선거 결과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CSU)은 1946년부터 2018년까지 바이에른 주에서 치러진 주 의회 선거에서 지속적으로 제1당의 지위를 유지했다. 1970년 바이에른 주 선거와 1974년 바이에른 주 선거에서는 50%를 상회하는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주 의회를 장악했다. 2003년 바이에른 주 선거에서는 60.7%의 득표율로 독일 주 의회 역사상 최초로 단일 정당이 3분의 2 의석을 차지하는 기록을 세웠다.[19] 그러나 2008년 바이에른 주 선거에서는 43.4%의 득표율로 과반수 확보에 실패하여 자유민주당(FDP)과 연립정부를 구성해야 했다. 2013년 바이에른 주 선거에서 다시 과반수 의석을 회복했지만, 2018년 바이에른 주 선거에서는 37.2%의 득표율로 1950년 이후 최악의 결과를 기록하며 자유 유권자(FW)와 연립정부를 구성했다.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주로 바이에른 주 지역구 의석을 차지하며, 비례대표 득표율은 전국 평균보다 바이에른 주에서 훨씬 높다. 2002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전국 득표율 9.0%로 58석을 획득하며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반면 2021년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전국 득표율 5.2%로 45석을 획득하며 역대 최저 성적을 기록했다.[21]

5. 1. 독일 연방의회 선거

선거지역구정당 명부의석 수±지위
득표 수%득표 수%
1949년colspan="2" bgcolor="lightgrey"|1,380,4485.8 (#4)N/A
1953년2,450,2868.9 (#4)2,427,3878.8 (#4)5228여당
1957년3,186,15010.6 (#3)3,133,06010.5 (#3)553여당
1961년3,104,7429.7 (#4)3,014,4719.6 (#4)505여당
1965년3,204,6489.9 (#3)3,136,5069.6 (#3)491여당
1969년3,094,1769.5 (#3)3,115,6529.5 (#3)490야당
1972년3,620,6259.7 (#3)3,615,1839.7 (#3)481야당
1976년4,008,51410.6 (#3)4,027,49910.6 (#3)535야당
1980년3,941,36510.4 (#3)3,908,45910.3 (#4)521야당 (1980–82)
여당 (1982–83)
1983년4,318,80011.1 (#3)4,140,86510.6 (#3)531여당
1987년3,859,24410.2 (#3)3,715,8279.8 (#3)494여당
1990년3,423,9047.4 (#4)3,302,9807.1 (#4)512여당
1994년3,657,6276.5 (#3)3,427,1967.3 (#3)501여당
1998년3,602,4727.3 (#3)3,324,4806.8 (#3)473야당
2002년4,311,1789.0 (#3)4,315,0809.0 (#3)5811야당
2005년3,889,9908.2 (#3)3,494,3097.4 (#6)4612여당
2009년3,191,0007.4 (#6)2,830,2386.5 (#6)451여당
2013년3,544,0798.1 (#4)3,243,5697.4 (#5)5611여당
2017년3,255,6047.0 (#6)2,869,7446.2 (#7)4610여당
2021년2,787,9046.0 (#6)2,402,8265.2 (#6)451야당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CSU)은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주로 바이에른 주 지역구 의석을 차지하며, 비례대표 득표율은 전국 평균보다 바이에른 주에서 훨씬 높다. 2002년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전국 득표율 9.0%로 58석을 획득하며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반면 2021년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전국 득표율 5.2%로 45석을 획득하며 역대 최저 성적을 기록했다.[21]

5. 2. 바이에른 주의회 선거

선거지역구정당 명부의석 수증감상태
득표수%득표수%
1946년colspan=2 bgcolor="lightgrey"|1,593,90852.2 (#1)
1950년1,264,99326.8 (#1)1,262,37727.4 (#1)64 / 20440SPD과 연립
1954년1,855,99537.6 (#1)1,835,95937.9 (#1)83 / 20419야당
1958년2,101,64544.8 (#1)2,091,25945.5 (#1)101 / 20418FDP, BHE와 연립
1962년2,343,16947.1 (#1)2,320,35947.5 (#1)108 / 2047BP과 연립
1966년2,549,61047.7 (#1)2,524,73248.1 (#1)110 / 2042단독 과반수
1970년3,205,17056.2 (#1)3,139,42956.4 (#1)124 / 20414단독 과반수
1974년3,520,06561.7 (#1)3,481,48662.0 (#1)132 / 2048단독 과반수
1978년3,394,09658.5 (#1)3,387,99559.1 (#1)129 / 2043단독 과반수
1982년3,557,06857.9 (#1)3,534,37558.2 (#1)133 / 2044단독 과반수
1986년3,142,09454.9 (#1)3,191,64055.7 (#1)128 / 2045단독 과반수
1990년3,007,56652.6 (#1)3,085,94854.9 (#1)127 / 2041단독 과반수
1994년3,063,63552.2 (#1)3,100,25352.8 (#1)120 / 2047단독 과반수
1998년3,168,99651.7 (#1)3,278,76852.9 (#1)123 / 2043단독 과반수
2003년3,050,45659.3 (#1)3,167,40860.6 (#1)124 / 1801단독 과반수
2008년2,267,52142.5 (#1)2,336,43943.4 (#1)92 / 18732FDP과 연립
2013년2,754,25646.5 (#1)2,882,16947.7 (#1)101 / 1809단독 과반수
2018년2,495,18636.7 (#1)2,551,04637.2 (#1)85 / 20516바이에른 자유 유권자와 연립
2023년2,527,58037.0 (#1)2,531,56237.1 (#1)85 / 203바이에른 자유 유권자와 연립


참조

[1] 웹사이트 Bavaria's parties lose members https://www.sueddeut[...] 2023-10-07
[2] 서적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olicy in Europe : why politics -- and the centre-right -- matter Routledge
[3] 서적 Multi-Level Party Politics in Western Europe Palgrave Macmillan
[4] 서적 Developments in German Politics Palgrave Macmillan
[5] 뉴스 Q&A: German court ruling on euro bailout fund https://www.bbc.com/[...] 2024-06-23
[6] 웹사이트 Turkish support in Germany for Erdogan fuels integration debate https://www.rfi.fr/e[...] 2024-12-16
[7] 서적 Cognitive Capitalism: Human Capital and the Wellbeing of Nation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4-06-21
[8] 서적 Interdependent Yet Intolerant: Native Citizen–Foreign Migrant Violence and Global Insecurit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Europe, a Political Profile: An American Companion to European Politics https://books.google[...] ABC-CLIO
[10] 웹사이트 Germany http://www.parties-a[...] 2013-10-22
[11] 서적 Ideology, Strategy, and Party Change: Spatial Analyses of Post-war Election Programmes in 19 Democrac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The Politicization of Europe: Contesting the Constitution in the Mass M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 서적 States Against Migrants: Deportation 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Handbook on Cohesion Policy in the EU Edward Elgar Publishing
[15] 학술지 Constructing a Regional Identity: The Christian Social Union and Bavaria's Common Heritage, 1949–1962 https://research.te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Streit in der CSU über Sozialpolitik entbrannt https://www.sueddeut[...] 2019-10-30
[17] 서적 Germany: A Reference Guide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18] 웹사이트 Results – The Federal Returning Officer https://www.bundeswa[...] The Federal Returning Officer 2022-02-28
[19] 웹사이트 Stoiber – Dominant But Not Omnipotent http://www.aicgs.org[...] 2008-06-07
[20] 웹사이트 The Economist: Old soldiers march into the unknown https://www.economis[...]
[21] 웹사이트 Germany election: worst ever result momentarily silences CDU https://www.theguard[...] 2021-11-21
[22] 뉴스 A Quick Guide to Germany's Political Parties http://www.spiegel.d[...] 2012-12-01
[23] 서적 Political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서적 Germany: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DANE Publishing
[25] 뉴스 Plötzlich entdeckt die CSU ihre Zuneigung zur EU wieder https://www.welt.de/[...] 2018-12-21
[26] 웹사이트 Christian Social Union | political party, Germany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0-11-22
[27] 웹사이트 Anfahrt zur CSU-Landesleitung https://www.csu.de/c[...] Christlich-Soziale Union 2020-11-22
[28] 뉴스 メルケル独政権が移民政策で分裂 連立崩壊の危機か https://www.bbc.com/[...] 英国放送協会 2020-11-16
[29] 뉴스 CDU und SPD verlieren Mitglieder - Grüne legen deutlich zu https://www.zeit.de/[...] ディー・ツァイト 2021-02-05
[30] 웹사이트 キリスト教民主同盟とは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の解説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20-11-22
[31] 서적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olicy in Europe: Why Politics – and the Centre-Right – matter Routledge
[32] 서적 Multi-Level Party Politics in We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21-02-07
[33] 웹사이트 GERMANY http://www.parties-a[...] 2020-11-15
[34] 웹사이트 Gestaltung der werblichen Kommunikation https://www.csu.de/c[...] キリスト教社会同盟 2020-11-20
[35] 웹사이트 Members | International Democrat Union https://www.idu.org/[...] 国際民主同盟 2020-11-20
[36] 웹사이트 Die CDU in der EVP https://www.cdu.de/e[...] '''ドイツキリスト教民主同盟''' 2020-11-20
[37] 뉴스 政権安泰に程遠く=足元見られたメルケル氏=ドイツ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38] 뉴스 大躍進した緑の党がドイツ政治のトップに立つ日 https://www.newsweek[...] ニューズウィーク 2018-11-01
[39] 웹사이트 Wahlergebnisse und Wählerschaft der CSU http://www.bpb.de/po[...]
[40] 뉴스 2018年10月15日 / 09:04 独バイエルン州議会選、与党CSUが大敗 メルケル政権に痛手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8-10-15
[41] 웹사이트 Studie: SPD gewann 2017 erstmals seit 1990 Mitglieder hinzu und bleibt Deutschlands stärkste Partei / auch alle Oppositionsparteien legten zu / Zahl der Parteimitglieder insgesamt erstmals seit 1990 deutlich gestiegen https://www.fu-berli[...] 2019-04-07
[42] 웹사이트 Mitgliederentwicklung http://www.bpb.de/po[...] 2019-04-08
[43] 웹사이트 Rekrutierungsfähigkeit der Parteien http://www.bpb.de/po[...] 2019-04-08
[44] 웹사이트 Die soziale Zusammensetzung der Parteimitgliederschaften http://www.bpb.de/po[...] 2019-04-08
[45] 웹사이트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The database about parliamentary elections and political parties in Europe http://www.parties-a[...]
[46] 서적 Ideology, Strategy, and Party Change: Spatial Analyses of Post-war Election Programmes in 19 Democrac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7] 저널 Das politische Konzept ‚Heimat‘ - Populismus, AfD, CSU, Innenministerium http://www.pop-zeits[...] 2018-10-09
[48] 저널 Elections en Bavière : pourquoi le parti d'extrême droite AfD est en progression dans ce fief des conservateurs https://www.francetv[...] 2018-10-14
[49]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