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이 살아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물관이 살아있다!》는 2006년에 개봉한 코미디 영화로, 엉뚱한 아이디어로 실패를 거듭하던 래리 데일리가 아들 닉을 위해 자연사 박물관의 야간 경비원으로 취직하면서 겪는 이야기를 그린다. 박물관의 전시물들이 밤에 살아 움직인다는 설정 하에, 래리는 티라노사우루스 렉시, 테디 루즈벨트, 아틸라 등 다양한 전시물들과 소통하며 박물관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벤 스틸러가 래리 역을, 제이크 체리가 닉 역을 맡았으며, 딕 밴다이크, 미키 루니, 빌 콥스 등 베테랑 배우들이 출연했다. 전 세계적으로 5억 7천만 달러 이상의 흥행 수익을 올렸으며,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속편과 애니메이션 리메이크가 제작될 정도로 인기를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영화 감독 - 아바타 (2009년 영화)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2009년 공상과학 영화 《아바타》는 에너지 자원 확보를 위해 판도라 행성에 온 인류와 나비족의 갈등을 배경으로, 아바타 프로그램에 참여한 제이크 설리가 나비족과 함께 판도라를 지키는 이야기이며, 혁신적인 기술과 시각 효과로 흥행했고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 캐나다의 영화 감독 - 숀 레비
숀 레비는 캐나다 출신의 영화 및 텔레비전 감독, 프로듀서, 배우이며, 《빅 팻 라이어》, 《박물관이 살아있다!》 시리즈 등 흥행 영화를 연출하고, 넷플릭스 《기묘한 이야기》의 제작에 참여했으며, 《데드풀과 울버린》 감독을 맡았다. - 숀 레비 감독 영화 - 당신 없는 일주일
당신 없는 일주일은 조너선 트로퍼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2014년 미국의 코미디 드라마 영화이며, 바람난 아내와 이혼 직전인 라디오 프로듀서 저드 올트먼이 아버지의 장례식에 가족들과 모여 각자의 문제와 비밀을 마주하며 갈등과 화해를 겪는 이야기를 그린다. - 숀 레비 감독 영화 - 데드풀과 울버린
데드풀과 울버린은 라이언 레이놀즈와 휴 잭맨이 각각 데드풀과 울버린으로 출연하여 시간 변동 관리국(TVA)의 음모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를 그린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CU) 영화로, MCU 최초의 R등급 영화이다. - 박물관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다빈치 코드 (영화)
론 하워드 감독의 미스터리 스릴러 영화 다빈치 코드는 댄 브라운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루브르 박물관 살인사건을 해결하려는 기호학자 로버트 랭던과 암호 해독가 소피 느뵈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 박물관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머펫 모스트 원티드
《머펫 모스트 원티드》는 2014년 개봉한 뮤지컬 코미디 영화로, 머펫 극단이 유럽 투어 중 커밋과 닮은 범죄자 콘스탄틴으로 인해 범죄에 휘말리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리키 저베이스, 타이 버렐, 티나 페이 등이 출연한다.
박물관이 살아있다!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Night at the Museum |
감독 | 숀 레비 |
제작 | 숀 레비 크리스 콜럼버스 마이클 버나던 |
제작 총지휘 | 마크 래드클리프 토마스 M. 해멀 아이라 슈먼 |
각본 | 로버트 벤 가런트 토머스 레넌 |
원작 | 밀란 트렌크의 《박물관이 살아있다》 |
출연 | 벤 스틸러 칼라 구기노 딕 반 다이크 미키 루니 빌 콥스 로빈 윌리엄스 |
음악 | 앨런 실베스트리 |
촬영 | 기예르모 나바로 |
편집 | 돈 지머맨 |
제작사 | 20세기 스튜디오 1492 픽처스 21 랩스 엔터테인먼트 |
배급사 | 20세기 스튜디오 |
개봉일 | 미국: 2006년 12월 22일 대한민국: 2006년 12월 21일 일본: 2007년 3월 17일 |
상영 시간 | 108분 |
제작 국가 | 영국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1억 1천만 달러 |
흥행 수익 | 일본: 35억 7천만 엔 미국: 2억 5086만 3268 달러 전 세계: 5억 7362만 5411 달러 |
주제가 | 어스 윈드 앤 파이어의 "셉템버" |
시리즈 | |
후속작 | 박물관이 살아있다 2 |
2. 줄거리
래리 데일리(벤 스틸러 분)는 엉뚱한 사업 아이템으로 하는 일마다 실패하는 인물이다. 아내와 이혼 후, 아들 닉에게 떳떳한 아버지가 되기 위해 자연사 박물관 야간 경비원으로 취직한다.
근무 첫날 밤, 래리는 박물관 전시물들이 살아 움직이는 놀라운 광경을 목격한다. 티라노사우루스 렉시, 꼬리감기원숭이 덱스터, 구 서부, 고대 로마, 고대 마야를 묘사하는 미니어처 문명들, 이스터 섬 모아이상, 미국 남북 전쟁 군인 마네킹들, 아틸라와 그의 부하들, 네안데르탈인들, 사카가웨아의 밀랍 인형 등이 밤마다 살아 움직인다.[1] 테디 루즈벨트는 1952년 고대 이집트 유물인 파라오 아크멘라의 황금 서판 덕분에 전시물들이 매일 밤 살아 움직이지만, 일출 전에 박물관 밖에 남겨두면 먼지가 될 것이라고 설명한다.[1]
래리는 아들을 위해 박물관에 남기로 결심하고 역사를 공부하며 전시물들을 통제하려 한다. 하지만 네안데르탈인이 일으킨 화재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덱스터가 열쇠를 훔쳐 창문을 열고, 네안데르탈인 한 명이 탈출하여 햇빛을 받고 청소차에 치여 유해가 치워지는 사건이 발생한다.[1]
이후 래리는 닉을 박물관에 데려가지만, 전시물들은 움직이지 않는다. 세실, 거스, 레지널드가 서판을 훔치고 전시물들이 방해하지 못하도록 비활성화시킨 것이다. 닉은 서판을 다시 활성화시키고, 래리는 아크멘라의 미라를 석관에서 꺼내 탈출을 돕는다. 래리는 전시물들을 설득하여 단결시키고, 세실을 센트럴 파크까지 추격하여 서판을 되찾는다.[1]
테디는 사카가웨아와 유대감을 형성하고, 레베카는 래리가 진실을 말했음을 깨닫는다. 다음 날, 밤의 이상한 사건에 대한 뉴스 보도로 박물관 관람객이 증가하고, 래리는 재고용된다.[1]
3. 출연진
3. 1. 사람
3. 2. 전시물
다음은 영화 "박물관이 살아있다!"에 등장하는 주요 전시물들이다.
이름 | 설명 |
---|---|
시어도어 루스벨트 | 로빈 윌리엄스가 연기한 밀랍 인형. 애칭은 테디. 래리와 가장 친하며, 조언을 해준다. 새커거위아에게 말을 걸지 못하고 바라만 본다. |
티라노사우루스 | 렉시(렉스)라고 불리는 전신 골격. 개처럼 사람을 잘 따르고 꼬리를 흔든다. |
아우구스투스 | 스티브 쿠건이 연기한 로마 제국 디오라마의 미니어처 인형. 제다이아 스미스와 사이가 나빴지만, 협력 후 강한 우정이 싹텄다. |
제다이아 스미스 | 오웬 윌슨이 연기한 미국 서부 개척 시대 디오라마의 미니어처 인형. 애칭은 제드. 아우구스투스와 사이가 나빴지만, 협력 후 강한 우정이 싹텄다. |
아틸라 | 패트릭 갤러거가 연기한 훈족의 폭군. 래리와 화해하고 눈물을 보인다. |
악멘라 | 라미 말렉이 연기한 고대 이집트의 미라 왕자. 애칭은 액. 석판의 소유자. 여러 언어를 구사하며 박식하다. |
아누비스상 | 이집트 신화에 등장하는 자칼의 신. 악멘라 전시실의 두 거상. 악멘라에게 제지당하고 래리와 닉을 돕는다. |
새커거위아 | 미즈오 펙이 연기한 폴리우레탄 인형. 루이스와 클라크 탐험대를 안내한 아메리카 원주민 소녀. |
루이스와 클라크 탐험대 | 새커거위아와 함께 전시된 탐험가들.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 피에르프란체스코 파비노가 연기한 동상. 라틴어를 사용한다. |
모아이 석상 | 브래드 개릿이 목소리를 연기한 이스터 섬의 석조물 복제품. 껌을 좋아하고 경비원을 "멍청이"라고 부른다. |
덱스터 | 꼬리감기원숭이. 애칭은 덱스. 장난을 좋아하며 래리에게서 열쇠를 훔친다. |
네안데르탈인 | 밀랍 인형. 불을 지르려 하는 4명. 소동 중 한 명이 재가 된다. 소화기 거품을 좋아한다. |
마야 문명 | 디오라마 미니어처 인형. 입으로 불어서 쏘는 작은 화살인 후키야로 래리를 공격한다. |
남북 전쟁 병사들 | 얼굴 없는 인형. 래리의 타이름을 듣고 화해한다. |
4. 제작
영화에 등장하는 건물은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버내비의 사운드 스테이지에 건설되었으며, 뉴욕의 아메리칸 자연사 박물관을 기반으로 했다. 영화에는 해당 박물관의 외부 장면이 사용되었다.[5]
훈련사들은 영화에서 말썽꾸러기 원숭이 덱스터 역을 맡은 크리스탈을 몇 주 동안 훈련시켜 벤 스틸러를 때리고 물도록 했다.
감독 션 레비는 앙상블 배우진에 대해 벤 스틸러에게 공을 돌리며 "배우들은 벤 스틸러가 출연하는 영화라면 함께 일하고 싶어합니다. 그것은 매우 높은 수준이며 배우들을 절대적으로 끌어들이고, 우리가 이러한 배우진을 갖게 된 큰 이유라고 확신합니다."라고 말했다.[6]
5. 음악
앨런 실베스트리가 존 오트먼을 대신하여 영화 음악 작곡가로 참여했다.[7] 실베스트리의 음악은 ''호튼을 찾아서''의 예고편에 사용되었다. 바레즈 사라반데(Varèse Sarabande)는 2006년 12월 19일에 영화 음악 사운드트랙 음반을 발매했다.[8]
영화에 사용된 삽입곡은 다음과 같다.
- Friday Night영어 - 맥플라이가 부른 곡으로, 미국판 영화에는 수록되지 않았지만 일부 해외 배급판에서는 엔드 크레딧에 사용되었다. 미국판 DVD의 스페인어 더빙에서 들을 수 있다.
- September영어 - 어스, 윈드 앤 파이어가 부른 곡으로, 박물관의 모든 사람들이 파티하는 엔드 크레딧 전에 사용되었다.
- Weapon of Choice영어 - 팻보이 슬림이 부른 곡으로, 래리가 박물관에 두 번째 밤에 돌아와 혼란을 준비하는 장면에 사용되었다.
- 투나잇 - 케케 팔머가 챔을 피처링하여 부른 곡으로, 엔드 크레딧에 사용되었다.
- Mandy영어 - 배리 매닐로가 부른 곡의 연주곡 버전으로, 래리가 아틸라 왕으로부터 도망치면서 엘리베이터에 서 있을 때 사용되었다.
- Dem Bones영어 - 래리가 첫 번째 밤에 빈 ''티라노사우루스'' 전시물을 지날 때 휘파람으로 부는 곡이다.
- Camptown Races영어 - 스티븐 포스터의 곡으로, 미국 서부 축소 모형의 마을 사람들이 부르는 곡으로, 당시의 시대에 맞는 노래이다.
5. 1. 사운드트랙
존 오트먼을 대신하여 앨런 실베스트리가 음악 작곡가로 참여했다.[7] 실베스트리의 음악은 호튼을 찾아서의 예고편에 사용되었다. 바레즈 사라반데(Varèse Sarabande)는 2006년 12월 19일에 영화 음악 사운드트랙 음반을 발매했다.[8]5. 1. 1. 트랙 목록
Friday Night영어 - 맥플라이(McFly)가 부른 곡; 미국판 영화에는 수록되지 않았으나 일부 해외 배급판에서는 엔드 크레딧에 사용됨. 미국판 DVD의 스페인어 더빙에서 들을 수 있음.[7]- September영어 - 어스, 윈드 앤 파이어가 부른 곡; 박물관의 모든 사람들이 파티하는 엔드 크레딧 전에 사용됨.
- Weapon of Choice영어 - 팻보이 슬림이 부른 곡; 래리가 박물관에 두 번째 밤에 돌아와 혼란을 준비하는 장면에 사용됨.
- 투나잇 - 케케 팔머가 챔을 피처링하여 부른 곡; 엔드 크레딧에 사용됨.
- 연주곡 버전의 Mandy영어는 배리 매닐로(Barry Manilow)가 부른 곡으로, 래리가 아틸라 왕으로부터 도망치면서 엘리베이터에 서 있을 때 사용됨.
- Dem Bones영어는 래리가 첫 번째 밤에 빈 ''티렉스'' 전시물을 지날 때 휘파람으로 부는 곡임.
- 스티븐 포스터(Stephen Foster)의 Camptown Races영어는 미국 서부 축소 모형의 마을 사람들이 부르는 곡임. 이는 당시의 시대에 맞는 노래임.
앨런 실베스트리가 존 오트먼을 대신하여 음악 작곡가로 참여했다.[7] 실베스트리의 음악은 ''호튼을 찾아서''의 예고편에 사용되었다.
바레즈 사라반데(Varèse Sarabande)는 2006년 12월 19일에 영화 음악 사운드트랙 음반을 발매했습니다.[8]
5. 2. 삽입곡
- "프라이데이 나이트" - 맥플라이가 부른 곡으로, 미국판 영화에는 수록되지 않았지만 일부 해외 배급판에서는 엔드 크레딧에 사용되었다. 미국판 DVD의 스페인어 더빙에서 들을 수 있다.
- "9월" - 어스, 윈드 앤 파이어가 부른 곡으로, 박물관의 모든 사람들이 파티하는 엔드 크레딧 전에 사용되었다.
- "무기의 선택" - 팻보이 슬림이 부른 곡으로, 래리가 박물관에 두 번째 밤에 돌아와 혼란을 준비하는 장면에 사용되었다.
- "투나잇" - 케케 팔머가 챔을 피처링하여 부른 곡으로, 엔드 크레딧에 사용되었다.
- 연주곡 버전의 맨디 - 배리 매닐로가 부른 곡으로, 래리가 아틸라 왕으로부터 도망치면서 엘리베이터에 서 있을 때 사용되었다.
- "에제키엘이 그들의 마른 뼈를 보았다"는 래리가 첫 번째 밤에 빈 ''티렉스'' 전시물을 지날 때 휘파람으로 부는 곡이다.
- 스티븐 포스터의 "캠프타운 레이스"는 미국 서부 축소 모형의 마을 사람들이 부르는 곡으로, 당시의 시대에 맞는 노래이다.
바레즈 사라반데는 2006년 12월 19일에 영화 음악 사운드트랙 음반을 발매했다.[8]
6. 평가
영화 ''박물관이 살아있다!''는 로튼 토마토와 메타크리틱 같은 리뷰 사이트에서는 평균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지만, 시네마스코어 설문조사에서는 관객들로부터 비교적 좋은 평가를 받았다. 비평가들은 주로 화려한 특수 효과에 비해 스토리의 깊이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했지만, 가족 관객을 위한 오락 영화로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었다.
이 영화는 박물관 관람객 수를 증가시키는 데 기여했다. 아메리칸 자연사 박물관은 영화 개봉 후 연말연시 기간 동안 관람객 수가 약 20% 증가했다고 밝혔다.[21]
DVD는 2007년 4월 23일 영국에서 2디스크 에디션으로 출시되었고, 다른 지역에서는 2007년 4월 24일 1디스크 및 2디스크 DVD 에디션과 블루레이 디스크 형식으로 출시되었다. 2009년 12월 6일 기준으로 DVD는 9,191,694개가 판매되었으며 DVD 판매액은 1.53566058억달러였다.[22]
6. 1. 박스오피스
''박물관이 살아있다!''는 2006년 12월 17일 뉴욕에서 시사회를 가졌다. 이후 2006년 12월 22일 미국, 2006년 12월 26일 영국, 2007년 1월 12일 브라질, 2007년 2월 14일 중국, 2007년 3월 17일 일본에서 개봉되었다.[9]개봉 후 최종 박스오피스 수입은 미국과 캐나다에서 2.509억달러, 기타 지역에서 3.236억달러로, 전 세계적으로 총 5.745억달러에 달했다.[4] 이는 2006년 다섯 번째로 높은 수익을 올린 영화이자, 이 3부작 중 전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영화였다. 또한, 쇼언 레비(Shawn Levy) 감독의 최고 흥행작이었으나, 레비 감독의 ''데드풀 앤 울버린''에 기록이 넘어섰다.[10]
개봉 첫 주말에는 3,685개의 극장에서 3080만달러의 수익을 올리며 극장당 평균 8258USD의 수익을 기록하며 최고 흥행작이 되었다. 4일간의 크리스마스 연휴 주말에는 422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4] 이 영화는 시애틀의 퍼시픽 과학 센터와 같이 과학관이나 자연사 박물관에서 아이맥스(IMAX) 대형 스크린 포맷으로 상영되기도 했다.
2주차에 ''박물관이 살아있다!''는 83개의 극장을 추가하여 총 3,768개 극장에서 상영되었고, 약 3670.0000000000005만달러의 수익을 올리며 개봉 첫 주말 성적을 뛰어넘었다. 3주차에도 2370만달러의 추가 수익을 올리며 1위 자리를 유지했다.[11] ''박물관이 살아있다!''는 ''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에 이어 미국과 캐나다에서 2006년 두 번째로 높은 수익을 올린 영화이다.[12]
2006년 12월 22일 국제 개봉 첫 주말에 이 영화는 약 50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으며, 한국에서 가장 높은 데뷔 성적(504만달러)을 기록했다.[13] 기타 지역에서 가장 큰 시장은 영국, 일본, 한국, 독일이었으며, 각각 4079.9999999999995만달러, 3000만달러, 2570만달러, 229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14]
6. 2. 비평가 반응
로튼 토마토에서 영화 ''박물관이 살아있다!''는 평균 5.2/10점의 평가를 받았다. 사이트의 비평가들은 "부모들은 이 영화를 아이들과 같은 수준으로 즐길지 여부에 따라, 볼거리가 풍성한 모험 영화라고 할지, 얄팍하고 공허한 CG 잔치라고 할지 평가가 나뉠 것이다."[15] 와 같이 평가했다. 메타크리틱에서는 28명의 평론가를 바탕으로 100점 만점에 48점을 기록하여 "엇갈리거나 평균적인 리뷰"를 나타냈다.[16] 개봉 주말에 실시된 시네마스코어 설문조사에 따르면, 극장 관객들은 A+에서 F까지의 등급에서 평균 "A−" 등급을 부여했다.[17]버라이어티지의 저스틴 창은 "이 시끌벅적한, 주만지 스타일의 화려한 영화는 이야기를 찾는 특수 효과의 향연이며, 이렇게 많은 제작비가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관객 참여도 측면에서는 거의 효과를 보지 못했다"고 평했다.[18] Reelviews의 제임스 베라디넬리는 4점 만점에 2점을 주었고, 스틸러의 연기에 대해 "벤 스틸러에게 노력에 대해서는 'A'를 줄 수 있지만, 이 영화에서 그가 하는 것을 '연기'라고 부르는 것은 잘못이다. 그는 많은 시간을 뛰어다니고, 가끔 넘어지거나 물건에 부딪히는 일을 한다."라고 논평했다.[19] 시애틀 포스트 인텔리전서의 윌리엄 아놀드는 긍정적인 리뷰에서 B−를 주며, 이 영화는 "인간과 자연사의 화려함으로 가족 관객에게 감명을 주고 즐겁게 하려고 하며, 할리우드 코미디로서는 놀라울 정도로 가치 있는 야망이다"라고 말했다.[20]
아메리칸 자연사 박물관 관계자들은 이 영화가 연말연시 관람객 수를 거의 20% 증가시켰다고 밝혔다. 박물관 관계자에 따르면, 2006년 12월 22일부터 2007년 1월 7일까지 전년 같은 기간보다 5만 명이 더 많은 관람객이 방문했다.[21]
6. 3. 수상 내역
시상식 | 부문 | 후보 | 결과 | 참고자료 |
---|---|---|---|---|
새턴 어워드 | 최우수 판타지 영화 | 후보 | ||
ASCAP 어워드 | 최고 흥행 영화 음악 | 앨런 실베스트리 | 수상 | |
아티오스(Artios) | 최우수 장편 영화 캐스팅 - 코미디 | 일린 스타거, 코린 메이어스, 하이케 브란드슈타터 | 수상 | |
키즈 초이스 어워드 | 가장 좋아하는 영화 | 후보 | [23] | |
MTV 무비 어워드 | 최우수 코미디 연기 | 벤 스틸러 | 후보 | |
내셔널 무비 어워드 | 최우수 코미디 영화 | 후보 | ||
틴 초이스 어워드 | 초이스 무비: 코미디 및 초이스 무비 배우: 코미디 | 벤 스틸러 | 후보 | |
타우러스 어워드 | 최고의 강력한 충격 | 그렉 피츠패트릭 | 후보 | [24] |
영 아티스트 어워드 | 장편 영화 최우수 연기 - 10세 이하 남자 아역 배우 | 제이크 체리 | 후보 | [25] |
7. 속편
'박물관이 살아있다!'는 여러 속편이 제작되었다.
- '''밤의 박물관 2: 스미스소니언 박물관 대소동''': 2009년 5월 22일 북미에서 개봉되었다.[26]
- '''밤의 박물관 3: 비밀의 무덤''': 2014년 12월 19일 북미에서 개봉되었다.[27]
- '''밤의 박물관: 카문라의 부활''':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모션 픽처스와 20세기 스튜디오가 공동 제작하고 디즈니+ 독점 영화로, 2022년 12월 9일에 공개되었다.[30] 완전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29]
2016년 할리우드 리포터는 알리바바 픽처스가 이 영화를 리메이크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28]
참조
[1]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2006)
https://catalog.afi.[...]
2019-03-17
[2]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2006)
https://web.archive.[...]
2020-12-19
[3]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2006)
https://www.the-numb[...]
2019-12-28
[4]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2006)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09-11-05
[5]
웹사이트
MovieLocationsGuide.com
http://www.movieloca[...]
2007-01-08
[6]
웹사이트
Stiller shifts to the Museum
https://web.archive.[...]
2007-01-05
[7]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Soundtrack
https://www.amazon.c[...]
2015-02-12
[8]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https://www.allmusic[...]
2015-02-12
[9]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Release
https://www.imdb.com[...]
2015-02-13
[10]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Showdown
https://www.boxoffic[...]
IMDB
2015-02-13
[11]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domestic weekend
https://boxofficemoj[...]
IMDB
2015-02-11
[12]
웹사이트
2006 DOMESTIC GROSSES
https://www.boxoffic[...]
IMDb
2023-01-28
[13]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Foreign Weekly
https://www.boxoffic[...]
IMDB
2015-02-13
[14]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foreign market
https://boxofficemoj[...]
2015-02-11
[15]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https://www.rottento[...]
2022-12-06
[16]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https://www.metacrit[...]
2020-10-16
[17]
웹사이트
Cinemascore
http://www.cinemasco[...]
2015-02-11
[18]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https://www.variety.[...]
2006-12-21
[19]
웹사이트
Reelviews.com
http://preview.reelv[...]
2007-01-07
[20]
뉴스
SeattlePI.com
http://www.seattlepi[...]
2006-12-21
[21]
웹사이트
msnbc.com
https://www.nbcnews.[...]
2007-01-10
[22]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https://www.the-numb[...]
2015-02-11
[23]
웹사이트
2007 Host Nominee Release
https://web.archive.[...]
Nickelodeon
2007-02-07
[24]
웹사이트
Taurus World Stunt Awards - Hardest Hit
http://www.tauruswor[...]
World Stunt Awards
[25]
웹사이트
28th Annual Young Artist Awards Nominations
http://www.youngarti[...]
Young Artist Association
[26]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Battle of the Smithsonian
https://www.imdb.com[...]
2015-02-11
[27]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Secret of the Tomb
https://www.comingso[...]
2015-02-11
[28]
웹사이트
China's Alibaba Pictures to Remake 'Night at the Museum'
https://www.hollywoo[...]
2016-04-25
[29]
뉴스
Disney is rebooting Movies from the past.
https://www.thehindu[...]
2019-08-07
[30]
웹사이트
First 'Night at the Museum: Kahmunrah Rises Again' Image Teases Nick Daley's Animated Return
https://collider.com[...]
2022-11-03
[31]
웹사이트
社会法人映画製作者連盟
https://www.eiren.or[...]
2010-03-06
[32]
웹사이트
Night at the Museum (2006)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0-03-06
[33]
공식웹사이트
http://movies.foxjap[...]
[34]
웹사이트
http://www.mcd-holdings.co.jp/news/2016/promotion/promo0418a.html
http://www.mcd-holdi[...]
2018-04-28
[35]
웹인용
Night at the Museum
https://www.boxoffic[...]
IMDB
2020-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