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서양 (의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서양(1885년 9월 30일 ~ 1940년 12월 15일)은 일제강점기의 의사이자 독립운동가이다. 백정의 아들로 태어나 신학문을 배우고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한 뒤, 의사, 교사, 독립운동가로 활동했다. 1908년 제중원 의학교를 졸업하고,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와 휘문학교 등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1917년 만주 용정으로 이주하여 구세의원을 개업하고 숭신소학교를 설립하여 민족 교육에 힘썼다. 1919년 대한국민회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에 투신, 군사령부 군의관으로 활동했으며, 간도 지역에서 교육 및 언론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1936년 귀국하여 개인 병원을 운영하다가 1940년 사망했으며, 2008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백정 - 임꺽정
    임꺽정은 조선 명종 시기에 양주와 황해도 일대에서 활동하며 관아를 습격하고 빈민을 구제한 의적으로, 관군에 체포되어 사형당했으며, 홍길동, 장길산과 함께 조선 3대 도적으로 꼽힌다.
박서양 (의사)
기본 정보
박서양
박서양의 초상
본관반남 박씨
봉주(峰 Joo)
출생1885년 10월 27일 (음력 9월 19일), 한성부 종현방
사망1940년 12월 19일 (향년 55세)
묘소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 선영
학력
출신 학교제중원 의학교 졸업
경력
직업의사
제중원 조교역임
세브란스 의전 외과 주임역임
세브란스 연합 의학 전문학교장역임
가족
아버지박정상(朴定相)
배우자김정숙
자녀4남 3녀

2. 생애

박서양은 1885년 9월 30일 한성부 장통방 관자동(현 서울특별시)에서 백정 박성춘과 그의 부인 조씨 사이의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 이름은 봉출 또는 봉주리였으나, 성인이 된 뒤 서양으로 개명하였다. 백정의 아들이었음에도 기억력이 좋아 글공부를 하려 하자, 어느 선비가 무료로 사숙에서 성리학을 가르쳤다.[3]

1893년 9월 아버지 박성춘이 장티푸스에 걸렸다가 에비슨의 치료를 받고 회복되었다. 1894년 박성춘은 새뮤얼 F. 무어 선교사를 만나 기독교로 개종하였고, 박서양은 예수학당에서 신학문을 공부하게 되었다.[6]

1899년 경성학당을 졸업하고, 1900년 10월 제중원 의학교(후의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에 입학하였다.[7] 1904년 에비슨이 세브란스 병원을 개업하자 조선인 병원 조수가 되어 의료 활동을 도왔다. 1906년 황성기독청년회에서 학생들의 교육을 맡았으며, YMCA 학당의 부학감(부교감)을 맡기도 했다. 제중원 의학교 재학 중 중앙학교에 초빙되어 화학을 가르치기도 했다.

1904년 에비슨 박사의 외과수술을 보조하는 박서양


1908년 6월 3일 제중원 의학교를 졸업하여 제1회 졸업생이 되고 6월 4일 의사 면허를 받았다.[9] 졸업 직후 오성학교, 중앙학교, 휘문학교 등에서 화학과 물리를 가르쳤으며,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및 세브란스 간호원양성소 교수로도 재직했다. 박서양은 "내 속에 있는 오백 년 묵은 백정의 피를 보지 말고 과학의 피를 보고 배우라"고 호소하며 신분 차별에 맞섰다.[7]

1930년 2월 19일 박서양이 교장으로 있던 숭신소학교 학생 120여 명도 광주학생운동과 제2차 서울만세운동에 호응하여 연길 시내 중심가에서 만세를 부르며 시위를 벌이다가 20여 명이 체포되었다. 1932년 6월 윤봉길 의거 사건 직후 숭신소학교는 불온사상을 고취한다는 이유로 일본 영사관 경찰에 의해 임시 폐교되었다가 다시 복교되었으나 1935년 최종 폐교당했다.

1936년 일제의 탄압으로 숭신학교가 폐교되고 독립운동 기반이 무너지자 귀국하여 황해도 연안에서 개인 병원을 운영하였다. 1940년 창씨개명이 강요되자 8월 1일 성을 우에노(植野)로 개명하였다.[11] 같은 해 12월 15일 고양군 은평면 수색리 자택에서 지병으로 5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출생과 가계

1885년 9월 30일 한성부 장통방 관자동계 관자동(현 서울특별시)에서 백정 박성춘과 그의 부인 조씨(趙氏)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박성춘은 백정 신분이었으나 기독교를 접하고 이름을 성춘이라 하였다. 그는 서재필, 윤치호, 박정양, 유길준, 이상재 등과 함께 독립협회만민공동회에서 활동하였다.

한편 황해도 연안 출신이라는 설에 따라 그의 선대는 황해도 연안에서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아버지 박성춘은 1862년 종로방 관자골 혹은 관철동에서 태어났으며, 의료 선교사 에비슨(Oliver R. Avison, 한국이름 '어비신'(魚丕信))과 교류하며 기독교 운동가, 승동교회 장로, 은행가로 활동했다. 어머니 조씨는 몰락한 양반이나 평민층으로 추정된다. 박서양 외에도 동생 또는 형인 박대양이 있었고, 여동생 박양빈(또는 박양무)과 1명의 여동생이 더 있었다. 박양빈은 신규식의 조카 신필호와 결혼하였다.[5]

어머니 조씨의 친정 부모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다. 어머니 조씨 사후 박성춘은 이한갑(李漢甲)과 강씨(姜氏)의 딸인 이신심(李信心, 1870년생)과 재혼하였다. 계모에게서 이복 형제가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처음 이름은 봉출 또는 봉주리였으나, 성인이 된 뒤 서양으로 개명하였다. 백정의 아들이었음에도 기억력이 좋아 글공부를 하려 하자, 어느 선비가 무료로 사숙에서 성리학을 가르쳤다고 한다. 박서양은 1885년 9월 30일 대한민국 서울에서 박성춘(朴成春)의 아들로 태어났다.[3]

2. 2. 유년 시절

1885년 9월 30일 한성부 장통방 관자동계 관자동에서 백정 박성춘과 그의 부인 조씨(趙氏)의 아들로 태어났다. 처음 이름은 봉출 또는 봉주리라 지었다가 성인이 된 뒤에 서양으로 개명하였다. 어린 시절에 대한 기록은 미상이나, 백정의 아들인데도 기억력이 좋고 글공부를 하려 하여 이를 딱하게 여긴 어느 선비가 자신의 사숙에 무료로 들게 하여 글과 성리학 학문을 가르쳤다고 한다.[6]

1893년 9월 아버지 박성춘이 장티푸스에 걸렸다가 고종의 주치의였던 선교사 에비슨의 치료를 받고 회복되었다. 이를 계기로 1894년 아버지 박성춘은 새뮤얼 F. 무어(Samuel F. Moore, 한국이름 '모삼율'(毛三栗, 1846∼1906)) 선교사를 만나 기독교로 개종하였다. 그해 박서양은 무어 선교사가 설립한 곤당골 교회 부속 예수학당에서 신학문을 공부하게 되었다. 무어 선교사의 배려로 신학문을 배우고 새로운 세계의 존재를 접하게 되었으며, 어려서 세례를 받고 기독교(북장로교)로 개종하였다.[6]

2. 3. 의학원 수학과 간호사 활동

1899년 경성학당을 졸업하고, 1900년 10월 제중원 의학교(후의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에 입학하였다.[7] 1904년 에비슨제중원의 후신인 세브란스 병원을 개업하자 조선인 병원 조수가 되어 낮에는 의료 활동을 돕고 밤에는 야간반 학생이 되어 공부하였다.

1906년 제중원 의학교 재학 중 홍석후, 이승만, 김규식, 이교승 등과 함께 황성기독청년회에 나가 학생들의 교육을 맡았으며, YMCA 학당의 부학감(부교감)을 맡기도 했다. 제중원 의학교 재학 중 윤치오, 유길준 등의 중앙학교에 초빙되어 화학을 가르쳤으며, 이후 낮에는 소학교 교사로, 밤에는 의학부 학생으로 다녔다. 제중원의 의사 조수로 활동하면서 의사의 수술을 보조하였다.

대한매일신보(1907년 10월 23일) 기사에는 "난산(難産)의 고통을 겪고 있던 서울 합동의 김부인을 제중원 의사 허스터씨와 의학생 박서양씨가 소생시켰다"는 내용이 나온다.[7]

2. 4. 졸업과 교사 생활

1908년(융희 2년) 6월 3일 제중원 의학교를 졸업하여 제1회 졸업생이 되고 6월 4일 의사 면허를 받았다.[9] 졸업 직후 오성학교, 중앙학교, 휘문학교 등에서 화학과 물리를 가르쳤으며,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및 세브란스 간호원양성소 교수로도 재직했다.

학생들이 그의 신분을 문제 삼아 천시하자, 박서양은 "내 속에 있는 오백 년 묵은 백정의 피를 보지 말고 과학의 피를 보고 배우라"고 호소하며 신분 차별에 맞섰다.[7]

2. 5. 의료, 교육활동과 독립운동

1930년 2월 19일 의 숭신소학교 학생 120여 명도 광주학생운동과 제2차 서울만세운동에 호응하여 연길 시내 중심가에서 만세를 부르며 시위를 벌이다가 20여 명이 체포되어 연행되었다. 1931년 만주사변이 발생하고 박서양의 동생 박대양이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1932년 6월 윤봉길 의거 사건 직후 그의 숭신소학교는 불온사상을 고취한다는 이유로 일본 영사관 경찰에 의해 임시 폐교되었다가 다시 복교되었으나 1935년 최종 폐교당했다.

2. 6. 귀국과 최후

1936년 일제의 탄압으로 숭신학교가 폐교되고 독립운동 기반이 무너지자 귀국하여 고향인 황해도 연안에서 개인 병원을 운영하였다. 1940년 창씨개명이 강요되자 그해 8월 1일 성을 우에노(植野)로 개명하였다.[11] 같은 해 12월 15일 오전 6시 고양군 은평면 수색리 165번지 자택에서 지병으로 5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후 은평면 수색리(현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동)의 야산에 안장되었다가 1960년대 경기도 고양군 도시 개발과 함께 어디론가 이장하였으나 이장지가 알려지지 않아 결국 실전되었다.

3. 기타 활동

박서양은 백정 출신이라는 이유로 학생들에게 무시와 냉대를 받았다.[7] 그는 "나는 백정이다"라며 "내 신분보다 나의 기술을 볼 것"을 호소했고, "내 속에 있는 오백년 묵은 백정의 피를 보지 말고 과학의 피를 보고 배우라"고 말했다.[7]

박서양의 기록과 자료는 대부분 사라지거나 유실, 인멸되었다.[7] 1917년 만주로 떠나면서 국내에선 잊혀졌으나,[7] 만주 지역의 독립무장투쟁단체인 대한국민회 군사령부의 군의(軍醫)로 활동한 기록은 일제가 남긴 군(軍) 기밀서류에 남아 있었다.[7] 잊혀졌던 박서양의 독립운동 기록은 연세대학교 의대 박형우 교수가 발굴했다.[7] 2005년과 2008년 이후 그의 손자들과 후손들이 박서양에 대한 자료와 기록들을 일부 공개함으로써 비로소 다시 알려지게 되었고, 200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7]

3. 1. 학생들의 무시와 냉대

박서양은 백정 출신이라는 이유로 학생들에게 무시와 냉대를 받았다.[7] 그는 "나는 백정이다" 라며 "내 신분보다 나의 기술을 볼 것"을 호소했고, "내 속에 있는 오백년 묵은 백정의 피를 보지 말고 과학의 피를 보고 배우라"고 말했다.[7] 평민 및 양반 출신 학생들의 무시, 냉대, 조롱은 교육자로서의 그를 오랫동안 괴롭혔다.

3. 2. 기록 실전과 사후 재조명



박서양의 기록과 자료는 대부분 사라지거나 유실, 인멸되었다.[7] 1917년 돌연 만주로 떠나면서 국내에선 잊혀졌다.[7] 그러나 만주 지역의 독립무장투쟁단체인 대한국민회 군사령부의 군의(軍醫)로 임명돼 활동하는 등, 그의 행적은 일제가 남긴 군(軍) 기밀서류에 남아 있었다.[7]

잊혀졌던 박서양의 독립운동 기록은 연세대학교 의대 박형우 교수가 발굴했다.[7] 박서양에 대한 자료와 기록들은 2005년과 2008년 이후 그의 손자들과 후손들이 일부 공개함으로써 비로소 다시 알려지게 되었다. 이 기록으로 그는 숨진 지 68년이 지난 200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7] 그의 뒷얘기는 칠레로 이민 간 그의 손자가 2005년 귀국하면서 알려졌다.[7]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박성춘1862년 - 1933년, 백정, 독립협회만민공동회 간부, 승동교회 장로, 은행가
어머니조씨
동생 또는 형박대양
여동생박양빈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출신 의사 신필호와 결혼[5]
여동생이름 미상
계모이신심 (李信心, 1870년 - ?)박성춘의 재혼 부인
부인경주 이씨 (慶州 李氏, 1883년 - 1949년 4월 19일)1897년경 결혼[13]
장인이성옥본관 경주
장모김씨
자녀3남 3녀
박인애1901년 출생, 세브란스 유치원 교사
아들박경철배재고등학교 영어 교사
손자박연수1936년 출생, 칠레 이주
증손자박종범칠레 데사로스 대학 경영학과 교수


5. 박서양이 등장하는 작품

2010년 SBS 드라마 제중원에서 그를 모델로 한 드라마가 방송되었다.[14] 2013년 5월 31일 KBS 1TV KBS 파노라마에서 그를 다루었다.

참조

[1] 뉴스 박서양, 한국 최초 서양의 알고보니 ‘백정 자식’ 애달픈 사연 http://www.newsen.co[...]
[2] 웹사이트 YONSEI OCX {{!}} Yonsei News https://www.yonsei.a[...] 2024-06-26
[3] 웹사이트 koreandb.nate.com http://koreandb.nate[...]
[4] 서적 한국교회의 사회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8
[5] 문서 신필호는 그의 학교 후배로 세브란스 의학 전문학교 제4회 졸업생이기도 했다.
[6] 뉴스 (43) 기독교와 사회변화 <4>신분타파 https://news.naver.c[...]
[7] 뉴스 [김동섭의 X코리언] 조선 첫 서양식 병원 '제중원' 의사 된 박서양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2-16
[8] 서적 하나님의 호흡 새로운사람들 2009
[9] 서적 인물과학사 책과함께 2011
[10] 서적 하나님의 호흡 새로운사람들 2009
[11] 간행물 의사학 제15권 제2호:통권 제29호 (2006년 12월호 대한의사학회 2006-12
[12] 뉴스 "실패한 인간...아무도 내 제사 지내지 말라" : 독립기지 건설자-임시정부 '창업자'의 최후 http://www.ohmynews.[...]
[13] 문서 서울 중구 인현동에서 사망
[14] 뉴스 제중원 ‘황정’의 실존인물 ‘박서양’을 아십니까? https://news.naver.c[...] 주간동아 2010-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