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훙커우 공원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훙커우 공원 사건은 1932년 4월 29일, 일제의 상하이 점령 전승 기념식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소속 한인애국단 단원 윤봉길이 폭탄을 투척한 사건이다. 이 사건은 일제의 식민 지배에 대한 저항의 일환으로, 윤봉길은 김구의 지시를 받아 거사를 계획하고 실행했다. 이 사건으로 일본군 주요 인사들이 사상을 입었고, 중국과 한국의 관계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현재 사건 현장에는 윤봉길 의사를 기념하는 매정이 건립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2년 4월 - 1932년 독일 대통령 선거
    1932년 독일 대통령 선거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 파울 폰 힌덴부르크의 재선 도전, 아돌프 히틀러와 에른스트 텔만 등 주요 지도자들의 출마로 혼전 끝에 힌덴부르크가 재선에 성공했으나, 히틀러의 높은 득표율은 나치당의 부상과 바이마르 공화국의 불안한 미래를 보여주었다.
  • 윤봉길 - 한인애국단
    한인애국단은 1931년 김구에 의해 결성되어 일본 요인 암살을 목표로 이봉창, 윤봉길 의거를 실행했으며, 1930년대 후반 공식 활동을 중단했다.
  • 윤봉길 - 윤주경
    윤주경은 독립운동가 윤봉길 의사의 손녀이자 이화여자대학교 화학과 졸업 후 독립기념관 관장과 시민단체 활동을 거쳐 제21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제1차 상하이 사변 - 상하이 파견군
    상하이 파견군은 제1, 2차 상하이 사변과 상하이 전투 당시 일본군이 상하이에 파견한 부대로, 편성 및 해체를 거쳐 난징 공략전에 참여하여 난징 대학살을 자행, 국제적 비난을 받았으며 중지나 방면군에 병합되어 해체 후 중지나 파견군으로 재편성되었다.
  • 제1차 상하이 사변 - 상하이 해군특별육전대
    상하이 해군특별육전대는 1920년대 상하이에 주둔한 일본 해군 육전대에서 시작하여 상하이 사변과 중일 전쟁에 참전, 일본 해군의 주력 부대로 활동하다 태평양 전쟁 말기 웨이크섬 수비 후 해체되었다.
훙커우 공원 사건 - [전쟁]에 관한 문서
사건 개요
이름훙커우 공원 의거
다른 이름훙커우 공원 폭파 사건
로마자 표기Hungkeou Gongwon Sageon
한자 표기虹口公園事件
위치상하이 훙커우 공원
날짜1932년 4월 29일
참가자윤봉길
목표일본 군사 및 식민지 인사 암살
주도한인애국단
(대한민국 임시정부)
지휘관김구
실행자윤봉길
희생자
사망자시라카와 요시노리
부상자우에다 겐키치
시게미쓰 마모루
노무라 기치사부로

도모노 모리
일본인 기자
이름 미상의 선원
사건 결과
결과시라카와 요시노리, 가와바타 사다지 사망
윤봉길 체포 및 사형
중화민국, 대한민국 임시정부 지원 시작
관련 이미지
훙커우 공원 폭탄 의거 당시 사진
의거 당시 사진
루쉰 공원 내 사건 현장 기념비
루쉰 공원 내 사건 현장 기념비 (2008년)
폭탄 의거 직전 일본 요인들
식사는 시라카와 요시노리 대장. 뒷줄 왼쪽부터 시게미쓰 마모루 주중 공사, 노무라 기치사부로 중장, 우에다 겐키치 중장, 시마다 시게타로 소장

2. 배경

1910년부터 1945년까지 한반도는 일본 제국의 식민지였다. 1919년 일본 통치에 반대하는 시위가 3·1 운동으로 알려지면서 한국 전역에서 벌어졌다. 일본이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한 후, 수많은 한국인들이 한반도를 탈출하여 해외에서 일본에 저항을 계속했다.

1932년, 일본중화민국 양국 군대가 상하이 국제 공동 조계 주변에서 군사 충돌하는 제1차 상하이 사변이 발생했다. 이 사변은 일본관동군이 일으킨 만주 사변과 그 후 수립된 만주국에 대한 구미 열강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 발생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일로 중국 국내의 반일 감정이 격화되어 상황을 악화시켰다.

구미 4개국에 의한 휴전 교섭 중이던 4월 29일은 천장절이었고, 일본의 상하이 파견군과 재상하이 일본인 거류민은 상하이의 훙커우 공원(현재 루쉰 공원)에서 '''대관병식'''과 '''천장절 축하회'''를 거행하게 되었다. 이 행사는 일본군의 상하이에서의 군사 행동의 승리를 축하하는 것이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의 군사적 제압 하에 있는 지역이라고는 하지만, 사변 중에 요인이 모이는 식전을 거행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위였고, 표적이 되기 쉬운 상황을 노출하는 것이나 다름없었다. 그 때문에, 공격을 경계하여 상하이 파견군 사령관 시라카와 요시노리 대장은 행사장으로 가는 도중 여러 차례 차량의 번호판을 교체하는 주의를 기울였다. 그러나 개최 장소가 상하이 전역에 알려져 있는데다가 시내에서도 유수의 크기의 공원이었고, 출입하는 군중도 많았기 때문에 완전히 체크하는 것은 어려웠다. 그 결과, 공격의 우려는 예상대로 현실이 되었다.

2. 1. 일제강점기 한국의 상황

1910년부터 1945년까지 한반도는 일본 제국의 식민지였다. 1919년 일본 통치에 반대하는 시위가 3·1 운동으로 알려지면서 한국 전역에서 벌어졌다. 일본이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한 후, 수많은 한국인들이 한반도를 탈출하여 해외에서 일본에 저항을 계속했다.

2. 2.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인애국단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3·1 운동 한 달 후 상하이에서 설립되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 내에는 다양한 정치적 성향을 가진 구성원들이 있었으며, 독립 획득 방법에 대한 의견 역시 평화주의부터 과격주의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193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관련된 무장 단체인 한국광복진선 산하의 한인애국단(KPO)이 창설되었다. 이 단체는 백범 김구가 이끌었다. 김구는 일본 지도자들을 상대로 여러 차례 공격을 계획했는데, 그중 하나가 1932년 1월 일본 도쿄에서 발생한 사쿠라다몬 사건으로 히로히토를 암살하려 했던 사건이다.

2. 3. 제1차 상하이 사변과 반일 감정

1932년, 일본중화민국 양국 군대가 상하이 국제 공동 조계 주변에서 군사 충돌하는 제1차 상하이 사변이 발생했다. 이 사변은 일본관동군이 일으킨 만주 사변과 그 후 수립된 만주국에 대한 구미 열강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 발생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일로 중국 국내의 반일 감정이 격화되어 상황을 악화시켰다.

구미 4개국에 의한 휴전 교섭 중이던 4월 29일은 천장절이었고, 일본의 상하이 파견군과 재상하이 일본인 거류민은 상하이의 훙커우 공원(현재 루쉰 공원)에서 '''대관병식'''과 '''천장절 축하회'''를 거행하게 되었다. 이 행사는 일본군의 상하이에서의 군사 행동의 승리를 축하하는 것이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의 군사적 제압 하에 있는 지역이라고는 하지만, 사변 중에 요인이 모이는 식전을 거행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위였고, 표적이 되기 쉬운 상황을 노출하는 것이나 다름없었다. 그 때문에, 공격을 경계하여 상하이 파견군 사령관 시라카와 요시노리 대장은 행사장으로 가는 도중 여러 차례 차량의 번호판을 교체하는 주의를 기울였다. 그러나 개최 장소가 상하이 전역에 알려져 있는데다가 시내에서도 유수의 크기의 공원이었고, 출입하는 군중도 많았기 때문에 완전히 체크하는 것은 어려웠다. 그 결과, 공격의 우려는 예상대로 현실이 되었다.

3. 사건의 계획

1931년 겨울, 상하이에서 채소 장사를 하던 윤봉길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국무령 김구를 찾아가 독립운동에 투신할 각오를 밝히고 한인애국단에 가입했다.[19] 김구1932년 4월 29일 상하이의 훙커우 공원에서 열리는 일본 천황의 생일연(천장절)과 상하이 점령 전승 기념 행사를 폭탄으로 공격할 계획을 세웠고[19], 윤봉길이 폭탄을 투척하기로 결정하였다.[20][21]

김구중화민국 행정원 부원장 천밍수 등에게 자금 지원을 받았고, 상하이 병공창 고장 겸 제19로군 정보국장 김홍일에게 폭탄 제조를 의뢰했다. 이는 일본 신문이 물통과 도시락만 지참하고 식에 참석하도록 알렸기 때문이다. 김홍일은 중국인 기술자 向佽濤중국어와 협력하여 폭탄 제작에 착수했다.[15] 폭탄은 도시락물통으로 위장한 급조폭발물이었는데, 물통은 투척용, 도시락은 자결용이었다. 1932년 1월에 이봉창도쿄에서 쇼와 천황 암살을 시도했지만 폭탄 위력이 약해 실패했기 때문에, 수십 차례의 실험을 거쳐 강력한 폭탄을 만들어냈다.

3. 1. 김구의 계획과 윤봉길의 가담

1931년 겨울, 상하이에서 채소 장사를 하던 윤봉길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국무령 김구를 찾아가 독립운동에 투신할 각오를 밝히고 한인애국단에 가입했다.[19] 김구1932년 4월 29일 상하이의 훙커우 공원에서 열리는 일본 천황의 생일연(천장절)과 상하이 점령 전승 기념 행사를 폭탄으로 공격할 계획을 세웠고[19], 윤봉길이 폭탄을 투척하기로 결정하였다.[20][21]

김구중화민국 행정원 부원장 천밍수 등에게 자금 지원을 받았고[19], 상하이 병공창 고장 겸 제19로군 정보국장 김홍일에게 폭탄 제조를 의뢰했다.[19] 이는 일본 신문이 물통과 도시락만 지참하고 식에 참석하도록 알렸기 때문이다.[19] 김홍일은 중국인 기술자 向佽濤중국어와 협력하여 폭탄 제작에 착수했다.[15] 폭탄은 도시락물통으로 위장한 급조폭발물이었는데,[19] 물통은 투척용, 도시락은 자결용이었다. 1932년 1월에 이봉창도쿄에서 쇼와 천황 암살을 시도했지만 폭탄 위력이 약해 실패했기 때문에, 수십 차례의 실험을 거쳐 강력한 폭탄을 만들어냈다.[19]

3. 2. 폭탄 제조

1931년 겨울, 윤봉길은 상하이에서 김구를 찾아 한인애국단에 가입했다.[19] 김구1932년 4월 29일 훙커우 공원에서 열리는 일본 천황의 생일연(천장절)과 상하이 점령 전승 기념 행사를 폭탄으로 공격할 계획을 세웠고, 윤봉길이 폭탄을 투척하기로 결정하였다.[20][21]

폭탄은 폭발물 전문가인 김홍일이 도시락물통으로 위장하여 제작했다.[15] 훙커우 공원 행사에는 도시락 지참이 허용되었는데, 이 점을 노린 것이다.[15] 물통은 투척용, 도시락은 자결용으로 제작되었으며, 두 차례의 실험을 거쳐 완성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총장 김구는 김홍일(중국명: 왕슝)에게 폭탄 제조를 의뢰했다. 김홍일은 중국인 기술자 向佽濤중국어와 협력하여 폭탄 제작에 착수했다.[15] 이봉창의 사쿠라다몬 사건 실패를 교훈 삼아, 수십 차례의 실험을 통해 강력한 폭탄을 만들었다.

4. 사건 과정

1932년 4월 29일, 일본 천황 히로히토의 천장절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렸다.[4][5] 오전 9시 30분경, 주로 일본인들로 구성된 약 15,000명의 관중이 상하이 장완로에서 10,000명의 일본군이 벌이는 퍼레이드를 보기 위해 모였다. 군대는 훙커우 공원에서 퍼레이드를 마치고, 그곳에는 장식된 무대가 설치되었다.[4]

시라카와 요시노리, 우에다 겐키치, 노무라 기치사부로, 모리 도모노를 포함한 일본 식민지 및 군사 관리들이 무대에 올랐다. 그들은 상하이 의용군 대표 (하워드 켈리 제독 및 로널드 페니 소령), 이탈리아, 프랑스, 미국의 관리들을 포함한 다수의 외국 관리들과 합류했다.[4]

河端貞次/가와바타 테이지일본어가 첫 연설을 했고, 다른 여러 사람들이 뒤따랐다.[4] 그들의 연설이 끝난 후, 외국 관리들은 무대에서 물러났고, 10명의 일본 관리들이 그곳에 남았다.[4] 수백 명의 일본 아이들이 무대 앞에 모였고, 군악대는 일본 국가인 ''기미가요''를 연주하기 시작했다.[4]

국가가 끝나기 직전, 윤봉길은 폭탄을 던졌다.[5] ''The Illustrated London News''는 다음과 같이 보도했다.

가와바타와 시게미쓰 마모루는 고통에 몸부림치며 바닥에 쓰러졌고, 시라카와는 얼굴을 감쌌고, 그의 얼굴에서는 피가 흘러내렸다. 폭발은 너무 강력하여 무대 바닥에 구멍을 냈다. 잠시 침묵이 흐른 후, 군중들은 공황 상태에 빠졌다. 적십자 회원들이 부상자들을 돕기 위해 달려갔다.[4]

thumb

대한민국에서 일본의 지배를 몰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내무총장 김구는 제1차 상하이 사변에서의 격납고와 군수 창고 폭파에 의한 후방 교란, 본정 번과 우치다 야스야의 암살 계획 등을 추진했지만 모두 실패했다. 그러던 중, 이 공격 실행의 절호의 기회에, 스스로 지원한 윤봉길을 공격 실행범으로 내세우기로 했다. 또한 이 공격 계획에는 중화민국 행정원 부원장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대리에 상당)이었던 천밍수 등이, 한국 측 요인이었던 안창호에게 자금을 제공하고 협력했다. 이는 당일 천장절 축하 행사장으로의 입장을 중국인은 일체 금지했기 때문에, 일본어를 잘하고 일본인처럼 보이는 실행범을 쓰기로 한 것이다.

김구는, 상하이 병공창의 고장과 제19로군 정보국장을 겸임하고 있던 김홍일 (중국명: 왕슝)에게 물통형과 도시락형 폭탄 각 1개의 제조를 의뢰했다. 이는 일본 신문이 물통과 도시락만 지참하고 식에 참석하도록 알렸기 때문이다. 김홍일은, 당시 대장장이로 제19로군 후원회로서 병기 제조에 종사하고 있던 중국인 기술자 와 협력하여 폭탄 제작에 착수했다.[15]

앞선 1월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 항일 무장 조직 한인애국단의 단원이었던 이봉창도쿄에서 쇼와 천황을 암살하려 했지만, 폭탄의 위력이 약해 실패했다 (자세한 내용은 사쿠라다몬 사건 참조). 그 교훈으로부터, 수십 차례의 실험을 반복하여 강력한 폭탄을 만들어냈다.

4월 29일 오전 10시에 시작된 식전은 오전 11시 40분경 천장절을 축하하기 위해 21발의 예포가 발사되고, 해군 군악대의 연주로 기미가요가 제창되었다. 도중에 비가 내려 군중이 술렁이기 시작했다. 동시에 식대 오른쪽 뒤편 라우드스피커 소리가 나지 않게 되자, 사복으로 경계하던 5~6명의 군인이 수리하려 움직였다. 이 순간 윤봉길은 군중을 빠져나와 물통형 폭탄을 식대에 던졌다. 윤봉길의 목적은 "우에다 겐키치, 시라카와 요시노리 양 사령관의 살해"였으므로, 그 외의 인간을 휘말리게 하지 않도록 위력이 큰 도시락형은 사용하지 않았다.

이 폭발로, 상하이 거류민단 행정위원회 회장 의사 가와바타 사다지가 즉사, 제9사단장 우에다 겐키치 중장, 제3함대 사령장관 노무라 요시사부로 해군 중장, 상하이 주재 공사 시게미츠 마모루, 상하이 주재 총영사 무라이 구라마쓰, 상하이 일본인 거류민단 서기장 도모노 모리가 각각 중상을 입었다. 시게미츠 공사는 오른쪽 다리를 잃었고, 우에다 중장은 왼쪽 다리를 잃었으며, 노무라 중장은 애꾸눈이 되었다. 시라카와 대장은 5월 26일에 사망했다. 범인 윤봉길은 그 자리에서 자살을 기도하려 했으나 상하이 해군 특별육전대의 고모토 병조에 의해 제압되어[16], 상하이 파견군 헌병대에 의해 검거, 군법회의를 거쳐 12월 19일 오전 7시에 가나자와 형무소에서 총살형에 처해졌다.[17]

일본 가나자와시에 있는 위령비


시라카와 요시노리 장군이 폭발 직전 군중에게 연설하고 있다 (1932)

4. 1. 훙커우 공원 입장

1932년 4월 29일, 훙커우 공원에서는 일본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하는 쇼와 천황의 천장절 행사와 상하이 점령 전승 기념 행사가 열리고 있었다. 7시 50분, 윤봉길은 삼엄한 감시를 피해 훙커우 공원에 도착했다. 유창한 일본어를 구사하여 일본인으로 신분을 위장하여 중국인 경비원이 지키는 문을 통과해 최대한 무대 위로 접근했다. 9시쯤 시작된 관병식은 11시쯤에 끝났고, 11시 20분쯤에 2부로 상하이 전승 기념식을 거행했다. 중국주둔 일본군 총사령관 시라카와 요시노리가 등장해 열병식이 이어졌다. 천장절 행사가 끝난 뒤에는 외교관과 내빈이 돌아가고 일본인들만 남았다. 일본 상하이교민회가 준비한 상하이 점령 전승 기념 행사를 하기 시작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총장 김구윤봉길을 공격 실행범으로 내세웠다. 이는 당일 천장절 축하 행사장으로의 입장을 중국인은 일체 금지했기 때문에, 일본어를 잘하고 일본인처럼 보이는 실행범을 쓰기로 한 것이다. 김홍일은 중국인 기술자와 협력하여 폭탄 제조에 착수했다. 이봉창의 폭탄 투척 실패를 교훈 삼아 수십 차례의 실험을 반복하여 강력한 폭탄을 만들어냈다.

4. 2. 의거

1932년 4월 29일, 상하이의 훙커우 공원에서 열린 천황 히로히토의 천장절 기념행사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한인애국단 단원 윤봉길이 폭탄을 투척하였다.[22] 대한민국에서 일본의 지배를 몰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내무총장 김구윤봉길을 공격 실행범으로 내세웠다. 이 공격 계획에는 중화민국 행정원 부원장 천밍수 등이 협력하였다.[15]

오전 9시 30분경, 일본인들로 구성된 약 15,000명의 관중이 상하이 장완로에서 10,000명의 일본군이 벌이는 퍼레이드를 보기 위해 모였다.[4] 군대는 홍커우 공원에서 퍼레이드를 마치고, 그곳에는 장식된 무대가 설치되었다.[4] 시라카와 요시노리, 우에다 겐키치, 노무라 기치사부로 등 일본 식민지 및 군사 관리들이 무대에 올랐다.河端貞次/가와바타 테이지일본어가 첫 연설을 했고, 다른 여러 사람들이 뒤따랐다.[4] 그들의 연설이 끝난 후, 외국 관리들은 무대에서 물러났고, 10명의 일본 관리들이 그곳에 남았다.[4]

11시 40분경, 기미가요가 울려 퍼지고 묵념을 올리는 순간 윤봉길은 단상으로 접근해 5m 근거리에서 물통 폭탄을 투척했다.[22] 폭탄은 시라카와 요시노리 대장과 노무라 기치사부로 중장 사이에 떨어져 폭발하였다.[22] 윤봉길은 도시락 폭탄으로 자결하려 했으나 불발되어 일본 헌병들에게 제압당하였다.[22] 이 사건으로 총사령관 시라카와 요시노리와 상하이 일본거류민단장 가와바타 사다지가 폭사하였다.[22] 시게미쓰 마모루는 오른쪽 다리를 잃었고, 우에다 겐키치 중장은 왼쪽 다리를, 노무라 기치사부로 중장은 오른쪽 눈을 실명하였다.[22]

김구는, 김홍일에게 물통형과 도시락형 폭탄 각 1개의 제조를 의뢰했다.[15] 김홍일은, 당시 대장장이로 제19로군 후원회로서 병기 제조에 종사하고 있던 중국인 기술자 와 협력하여 폭탄 제작에 착수했다.[15]

윤봉길은 "우에다 겐키치, 시라카와 요시노리 양 사령관의 살해"를 목적으로 하였기에, 그 외의 인간을 휘말리게 하지 않도록 위력이 큰 도시락형은 사용하지 않았다. 이 폭발로 상하이 거류민단 행정위원회 회장 의사 가와바타 사다지가 즉사하고, 시게미츠 마모루는 오른쪽 다리를 잃었으며, 우에다 겐키치 중장은 왼쪽 다리를 잃었고, 노무라 요시사부로 해군 중장은 애꾸눈이 되었다. 시라카와 요시노리 대장은 5월 26일에 사망했다.[16]

4. 3. 체포와 처형

체포된 윤봉길은 1932년 5월 28일 상해파견 일본 군법회의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10] 같은 해 11월 18일 일제 대양환으로 일본 오사카로 후송되어 20일 오사카 육군 형무소에 수감되었다.[9] 12월 19일, 가나자와 육군형무소(金澤陸軍刑務所)에서 오전 7시 27분 총살형이 집행되었다. 정사수가 쏜 총알이 미간에 명중하면서 13분 뒤 사망하였다.[16]

윤봉길은 자살을 시도하기 위해 두 번째 폭탄을 떨어뜨렸지만 폭발하지 않았다.[9] 현장에 있던 사람들은 윤봉길을 린치하려 했지만, 헌병이 그를 피투성이 상태로 끌어냈다. 한 목격자에 따르면 윤봉길은 체포되는 동안 당당하게 미소를 지었다고 한다.[9]

사건 직후, 군대는 주변을 봉쇄하고 수색을 실시했다. 몇몇 중국인들이 체포되었지만 석방되었고, 한 중국인은 미국인 공원 관리인 W. S. 히바드의 집으로 피신했다. 일본군은 히바드의 집을 포위하고 그 중국인을 끌어낸 뒤 히바드를 구금했다.[4]

이후 공격에 관련된 사람들을 찾기 위한 대대적인 수색이 이어졌다. 한국독립당 당원들은 은신처로 숨었고, 김구와 다른 세 명은 미국 장로교 선교사 조지 애쉬모어 피치의 집에 숨었다. 김구는 체포를 피했고, 1945년 대한민국 독립을 보았다.

다음 날, 윤봉길이 남중국청년연합회라는 한국 단체와 연관되어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프랑스 경찰은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 있는 여러 한국 단체를 급습했다.[9] 5월 2일, ''North China Daily News''는 일본군이 상하이 우쑹 지역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도시 전체에서 무작위 수색을 실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9] 또한 프랑스 및 일본 경찰의 10차례 이상의 급습으로 다른 한국인 19명과 중국인 "쿨리" 한 명이 체포되었다.[9]

김구는 다른 한국인들이 위험에 처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상하이 신문에 공격에 대한 책임을 주장하는 공개 성명을 발표했다. ''North China Daily News''는 5월 5일에 그러한 성명을 받았으며, 그 성명은 일본 및 프랑스 경찰이 국제법을 위반하는 방식으로 급습을 진행하고 있다고 주장한다고 발표했다.[9]

5. 사건의 영향

이 일은 1932년 4월 29일 오후 1시경 전 세계에 뉴스로 보도되었고, 주요 신문들이 1면에 보도하면서 세계를 놀라게 하였다.[23] 초기에는 중국인의 항일투쟁이나 일본인 혁명주의자의 활동으로 인식되었으나, 이튿날 한국 청년 윤봉길의 항일운동으로 밝혀졌다.[24]

윤봉길의 의거는 만보산 사건으로 악화된 조선과 중국의 관계를 개선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중국 영토 내 조선인들의 항일 무장투쟁 여건을 조성하는데 기여하였다.[25] 장제스는 "중국의 100만 대군도 못한 일을 조선 청년 윤봉길이 해냈다"라며 감탄했고, 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지원으로 이어졌다. 중일 전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중국 정부는 충칭으로 이동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자동차를 지원하는 등 항일 무장투쟁 연대를 이어갔다.

안창호는 일본의 배후 소탕 과정에서 체포되어 국내로 압송되었다. 일본은 이봉창 의거의 배후이기도 한 김구를 체포하기 위해 60만 원(현재 가치 약 198억 원)의 현상금을 걸었다.[26]

체포된 윤봉길은 상하이 파견군 헌병대에서 조사를 받았다. 헌병대는 윤봉길에게 폭탄 출처를 추궁했고, 윤봉길은 김구를 보호하기 위해 거짓 진술을 했다. 일본 영사관 경찰은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 있던 안창호 등 임시정부 요인 17명을 체포했다. 김구는 김철, 안공근, 엄항섭과 함께 미국인 피치의 저택에 은신했다가 상하이를 탈출, 자싱으로 피신했다.

조선인 배척 사건으로 험악했던 중국인의 조선인에 대한 감정은 호전되었고, 임시정부에는 중국 각지에서 헌금이 답지했다. 국민정부 또한 임시정부를 동맹국으로 대우했다. 그러나 임시정부는 독립운동 거점이었던 상하이를 잃고 항저우로 이동해야 했으며, 한국독립당도 세력이 약화되었다.

5. 1. 한국 독립운동에 미친 영향

이 일은 1932년 4월 29일 오후 1시경 전 세계에 뉴스로 보도되었고, 주요 신문들이 1면에 보도하면서 세계를 놀라게 하였다.[23] 초기에는 중국인의 항일투쟁이나 일본인 혁명주의자의 활동으로 인식되었으나, 이튿날 한국 청년 윤봉길의 항일운동으로 밝혀졌다.[24]

윤봉길의 의거는 만보산 사건으로 악화된 조선과 중국의 관계를 개선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중국 영토 내 조선인들의 항일 무장투쟁 여건을 조성하는데 기여하였다.[25] 장제스는 "중국 100만 대군도 못한 일을 조선 청년 윤봉길이 해냈다"라며 감탄했고, 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지원으로 이어졌다. 중일 전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중국 정부는 충칭으로 이동하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자동차를 지원하는 등 항일 무장투쟁 연대를 이어갔다.

안창호는 일본의 배후 소탕 과정에서 체포되어 국내로 압송되었다. 일본은 이봉창 의거의 배후이기도 한 김구를 체포하기 위해 60만 원(현재 가치 약 198억 원)의 현상금을 걸었다.[26]

체포된 윤봉길은 상하이 파견군 헌병대에서 조사를 받았다. 헌병대는 윤봉길에게 폭탄 출처를 추궁했고, 윤봉길은 김구를 보호하기 위해 거짓 진술을 했다. 일본 영사관 경찰은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 있던 안창호 등 임시정부 요인 17명을 체포했다. 김구는 김철, 안공근, 엄항섭과 함께 미국인 피치의 저택에 은신했다가 상하이를 탈출, 자싱으로 피신했다.

조선인 배척 사건으로 험악했던 중국인의 조선인에 대한 감정은 호전되었고, 임시정부에는 중국 각지에서 헌금이 답지했다. 국민정부 또한 임시정부를 동맹국으로 대우했다. 그러나 임시정부는 독립운동 거점이었던 상하이를 잃고 항저우로 이동해야 했으며, 한국독립당도 세력이 약화되었다.

5. 2. 국제 사회의 반응

훙커우 공원 사건은 1932년 4월 29일 오후 1시경 전 세계에 보도되었으며, 주요 신문들이 1면에 대대적으로 보도하면서 세계를 놀라게 했다.[23] 처음에는 중국인이나 일본인 혁명주의자의 소행으로 알려졌으나, 다음날 한국 청년 윤봉길의 항일운동으로 밝혀졌다.[24]

윤봉길의 의거는 만보산 사건으로 악화된 조선과 중국의 관계를 개선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중국 내 조선인들의 항일 무장투쟁 여건을 개선했다.[25] 장제스는 "중국 100만 대군도 못한 일을 조선 청년이 해냈다"라며 감탄했고, 이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지원으로 이어졌다. 중일 전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중국 정부는 충칭으로 이동하는 임시정부에 자동차를 지원하는 등 항일 무장투쟁 연대를 지속했다.

안창호는 일본의 배후 소탕 과정에서 체포되어 국내로 압송되었고, 김구는 외신을 통해 자신이 사건을 지시했음을 밝혔다. 일본은 김구에게 60만 위안(현재 가치 약 198억 원)의 현상금을 걸었다.[26]

서방 언론들은 이 사건을 주요하게 다루었으나, 일부 부정확한 보도도 있었다. 《시드니 모닝 헤럴드(The Sydney Morning Herald)》는 윤봉길이 군중에 의해 맞아 죽었다고 보도했고,[11]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윤봉길의 이름을 "김풍기(Kim Fung-kee)"로 잘못 보도했다.[9]

미국 정부 관계자들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윌리엄 리처즈 캐슬 주니어(William Richards Castle Jr.) 국무장관 대행은 "불행한 희생자들에 대한 미국 정부의 애도"를 표명했다.[12] 이승만은 임시 정부의 과격한 활동에 불만을 표시하며, 이러한 행동이 일본의 한국 지배를 강화할 뿐이라고 생각했다.[13]

일본은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 있던 안창호 등 대한민국 임시 정부 요인 17명을 체포했다. 김구는 피치의 저택에 은신했다가 상하이를 탈출, 자싱으로 피신했다.

조선인 배척 사건으로 험악했던 중국인의 대 조선인 감정은 호전되었고, 임시 정부에는 중국 각지에서 헌금이 모였다. 국민 정부는 임시 정부를 동맹국으로 대우했다. 그러나 임시 정부는 상하이를 잃고 항저우를 거점으로 삼게 되었으며, 한국독립당은 당세를 잃었다.

5. 3. 일본 내 영향

이 사건은 1932년 4월 29일 오후 1시경 전 세계에 보도되었고, 주요 신문들이 1면에 대대적으로 보도하면서 세계를 놀라게 하였다.[23] 초기에는 중국인의 항일투쟁이나 일본인 혁명주의자의 활동으로 인식되었으나, 다음날 한국 청년 윤봉길의 항일운동으로 밝혀졌다.[24]

윤봉길의 의거는 만보산 사건으로 악화된 조선과 중국의 관계를 개선하는 계기가 되었고, 중국 내 조선인들의 항일 무장투쟁 여건을 개선했다.[25] 장제스는 "중국의 100만이 넘는 대군도 하지 못한 일을 조선인 청년 윤봉길이 해내다니 정말 대단하다."라며 감탄했고, 이는 장제스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하는 계기가 되었다. 중일 전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충칭으로 이동할 때 자동차를 지원하는 등 항일 무장투쟁을 위한 연대가 이루어졌다.

안창호는 일본의 배후 소탕 과정에서 체포되어 국내로 압송되었다. 일본은 이봉창 암살 미수 사건의 배후이기도 한 김구를 체포하기 위해 현상금을 걸었다. 처음에는 20만원이었으나 실패하자, 외무성, 조선총독부, 상하이주둔사령부 등과 합작해 현재 가치로 198억원에 이르는 60만원으로 올렸다.[26]

이 사건은 여러 서방 언론 매체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졌으나, 일부 부정확한 보도도 있었다. 4월 30일자 《시드니 모닝 헤럴드(The Sydney Morning Herald)》는 윤봉길이 수류탄을 던지고 군중에 의해 맞아 죽었다고 보도했고,[11]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윤봉길의 이름을 "김풍기(Kim Fung-kee)"로 보도했다.[9]

미국 정부 관계자들은 이 사건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윌리엄 리처즈 캐슬 주니어(William Richards Castle Jr.) 국무장관 대행은 "불행한 희생자들에 대한 미국 정부의 애도"를 표명했다.[12] 탄핵 이후 미국으로 건너간 임시 정부의 전 주석 이승만은 임시 정부의 과격한 활동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며, 이러한 행동이 일본의 한국 지배를 더욱 강화할 뿐이라고 생각했다.[13]

사건 이후, 상하이 일본 총영사관 경찰은 상하이 프랑스 조계에 있던 안창호 등 대한민국 임시 정부 요인 17명을 체포했다. 김구는 범행 성명을 로이터 통신에 전달한 후, 상하이를 탈출하여 자싱으로 피신했고, 일본은 김구에게 60만 위안의 현상금을 걸었다.[26]

조선인 배척 사건으로 험악했던 중국인의 대 조선인 감정은 호전되었고, 임시 정부에는 중국 각지에서 헌금이 모였다. 국민 정부도 임시 정부를 동맹국으로 대우했다.[26] 그러나 임시 정부는 상하이를 잃고, 중일 전쟁 발발까지 항저우를 거점으로 삼게 되었다. 한국독립당도 당원 분산으로 당세를 잃었다.[26]

6. 사상자

다음은 폭격으로 인한 사상자이다.

폭격 후 눈에 부상을 입은 노무라 기치사부로(1932)


인물직책최후
시라카와 요시노리장군5월 26일 부상으로 사망[6]
가와바타 테이지/河端貞次일본어상하이 일본 거류민단 단장사망[7]
시게미츠 마모루중국 주재 공사다리 절단[8]
우에다 겐키치중장다리 절단[8], 팔 부상[4]
노무라 기치사부로제독눈 실명[8]
무라이 구라마츠/村井倉松일본어총영사왼쪽 종아리 부상
모리 토모노상하이 일본 거류민단 사무총장부상[7]
가와구치 씨오사카 마이니치 신문 사진기자파편에 의해 경미한 부상
이름 없는 수병경미한 부상


6. 1. 사망자

시라카와 요시노리 대장은 상하이 파견군 사령관으로, 폭탄을 맞고 치명적인 중상을 입어 12번의 대수술을 받았으나 사건 후 27일만인 5월 26일 사망했다.[6] 가와바타 사다지는 상하이 일본인거류민단 행정위원장으로, 폭탄을 맞고 창자가 끊어져 수술 도중 사건 후 15시간 반만인 4월 30일 3시 10분에 사망했다.[7]

인물직책최후
시라카와 요시노리장군5월 26일 부상으로 사망[6]
가와바타 테이지/河端貞次일본어상하이 일본 거류민단 단장사망[7]
시게미츠 마모루중국 주재 공사다리 절단[8]
우에다 겐키치중장다리 절단[8], 팔 부상[4]
노무라 기치사부로제독눈 실명[8]
무라이 구라마츠/村井倉松일본어총영사왼쪽 종아리 부상
모리 토모노상하이 일본 거류민단 사무총장부상[7]
가와구치 씨오사카 마이니치 신문 사진기자파편에 의해 경미한 부상
이름 없는 수병경미한 부상



6. 2. 부상자

노무라 기치사부로 중장은 폭탄을 맞고 오른쪽 눈을 잃었다.[8] 우에다 겐키치 중장은 폭탄을 맞고 왼쪽 다리를 절단했고,[8] 팔에도 부상을 입었다.[4] 무라이 쿠라마츠 상하이 주재 총영사는 폭탄으로 중상을 당했고, 왼쪽 종아리에 부상을 입었다. 시게미쓰 마모루 상하이 주재 공사는 폭탄에 맞아 오른쪽 다리를 절단했다.[8] 도모노 모리 일본인 거류민단 서기는 폭탄을 맞고 중상을 당했다.[7] 오사카 마이니치 신문의 가와구치 사진기자는 파편에 의해 경미한 부상을 입었고, 이름 없는 수병 한 명도 경미한 부상을 입었다.

인물직책최후
시게미츠 마모루중국 주재 공사다리 절단[8]
우에다 겐키치중장다리 절단[8], 팔 부상[4]
노무라 기치사부로제독눈 실명[8]
무라이 구라마츠/村井倉松일본어총영사왼쪽 종아리 부상
모리 토모노상하이 일본 거류민단 사무총장부상[7]
가와구치 씨오사카 마이니치 신문 사진기자파편에 의해 경미한 부상
이름 없는 수병경미한 부상


7. 평가와 기념

이 공격은 여러 서방 언론 매체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졌다. 보도된 정보 중 일부는 부정확했는데, 4월 30일자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윤봉길이 수류탄을 던지고 군중에 의해 맞아 죽었다고 보도했다.[11]뉴욕 타임스》는 윤봉길의 이름을 "김풍기(Kim Fung-kee)"로 보도했다.[9]

미국 정부 관계자들은 이 사건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윌리엄 리처즈 캐슬 주니어 국무장관 대행은 "불행한 희생자들에 대한 미국 정부의 애도"를 표명했다.[12]

탄핵 이후 미국으로 건너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전 주석 이승만은 임시 정부의 과격한 활동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그는 이러한 행동이 일본의 한국 지배를 더욱 강화할 뿐이라고 생각했다.[13]

사건이 발생한 지점은 현재의 루쉰 공원 북쪽에 있는 연못가이다. 한중 수교 이후 사건 현장을 나타내는 석비와 윤봉길 의사를 기념하는 매정이 건립되었다. 매정은 윤 의사의 호인 "매헌"에서 유래한 것으로, 실제로 매화가 심어져 있다.

매정에 있는 건물은 현재 윤 의사의 생애와 사건의 개요를 전시한 자료관으로, 윤 의사의 처형에 사용된 말뚝 등의 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는 한국인 관광객의 주요한 상하이 관광 명소가 되었다. 매정이 있는 구역은 입장료 15 위안이 부과된다.

7. 1. 한국에서의 평가

이 공격은 여러 서방 언론 매체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졌다. 보도된 정보 중 일부는 부정확했는데, 4월 30일자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윤봉길이 수류탄을 던지고 군중에 의해 맞아 죽었다고 보도했다.[11]뉴욕 타임스》는 윤봉길의 이름을 "김풍기(Kim Fung-kee)"로 보도했다.[9]

미국 정부 관계자들은 이 사건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윌리엄 리처즈 캐슬 주니어 국무장관 대행은 "불행한 희생자들에 대한 미국 정부의 애도"를 표명했다.[12]

탄핵 이후 미국으로 건너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전 주석 이승만은 임시 정부의 과격한 활동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그는 이러한 행동이 일본의 한국 지배를 더욱 강화할 뿐이라고 생각했다.[13]

7. 2. 중국에서의 평가

이 공격은 여러 서방 언론 매체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졌다. 보도된 정보 중 일부는 부정확했는데, 4월 30일자 《시드니 모닝 헤럴드(The Sydney Morning Herald)》는 윤봉길이 수류탄을 던지고 군중에 의해 맞아 죽었다고 보도했다.[11]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윤봉길의 이름을 "김풍기(Kim Fung-kee)"로 보도했다.[9]

미국 정부 관계자들은 이 사건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윌리엄 리처즈 캐슬 주니어 국무장관 대행은 "불행한 희생자들에 대한 미국 정부의 애도"를 표명했다.[12]

탄핵 이후 미국으로 건너간 임시 정부의 전 주석 이승만은 임시 정부의 과격한 활동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그는 이러한 행동이 일본의 한국 지배를 더욱 강화할 뿐이라고 생각했다.[13]

7. 3. 일본에서의 평가

이 공격은 여러 서방 언론 매체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졌다. 보도된 정보 중 일부는 부정확했는데, 4월 30일자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윤봉길이 수류탄을 던지고 군중에 의해 맞아 죽었다고 보도했다.[11]뉴욕 타임스》는 윤봉길의 이름을 "김풍기(Kim Fung-kee)"로 보도했다.[9]

미국 정부 관계자들은 이 사건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윌리엄 리처즈 캐슬 주니어 국무장관 대행은 "불행한 희생자들에 대한 미국 정부의 애도"를 표명했다.[12]

탄핵 이후 미국으로 건너간 임시 정부의 전 주석 이승만은 임시 정부의 과격한 활동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그는 이러한 행동이 일본의 한국 지배를 더욱 강화할 뿐이라고 생각했다.[13]

7. 4. 기념 사업

훙커우 공원 사건이 발생한 지점은 현재의 루쉰 공원 북쪽에 있는 연못가이다. 한중 수교 이후 사건 현장을 나타내는 석비와 윤봉길 의사를 기념하는 매정이 건립되었다. 매정은 윤 의사의 호인 "매헌"에서 유래한 것으로, 실제로 매화가 심어져 있다.

매정에 있는 건물은 현재 윤 의사의 생애와 사건의 개요를 전시한 자료관으로, 윤 의사의 처형에 사용된 말뚝 등의 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는 한국인 관광객의 주요한 상하이 관광 명소가 되었다. 매정이 있는 구역은 입장료 15 위안이 부과된다.

참조

[1] 간행물 김구[金九] http://contents.hist[...]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2023-06-24
[2] 간행물 한인애국단 https://terms.naver.[...] 2023-02-23
[3] 웹사이트 100,000 won bill can wait https://koreajoongan[...] 2008-12-17
[4] 웹사이트 Five of Jap Leaders Recent Shanghai Row Wounded by Bombers—Madera Tribune https://cdnc.ucr.edu[...] California Digital Newspaper Collection 2023-08-16
[5] 뉴스 The Bombing of Japanese Leaders at Shanghai 1932-05-28
[6] 뉴스 SHIRAKAWA IS DEAD; VICTIM OF BOMBING; Japanese Commander-in-Chief at Shanghai Was Reported to Have Succumbed Monday. SECOND DEATH IN BLAST Woosung Forts Evacuated by Forces of Occupation -- Postal Strike Threatens to Spread Widely. (Published 1932) https://www.nytimes.[...] 2023-08-15
[7] 웹사이트 "[Photo story] How Korea and China fought together against Japanese colonial control" http://www.thinkchin[...] 2023-08-16
[8] 웹사이트 Fateful Failure: The Lost Opportunity to Terminate the Kim Il Sung Dynasty https://thestrategyb[...] 2023-08-16
[9] 뉴스 PEACE TALKS POSTPONED.; SHANGHAI BOMBING HALTS PEACE TALKS (Published 1932) https://www.nytimes.[...] 2023-08-15
[10] 웹사이트 In memory of Yun Bong-gil and His Bombing in Shanghai https://www.mpva.go.[...] 2023-08-15
[11] 웹사이트 BOMB THROWN in Shanghai http://nla.gov.au/nl[...] 2015-06-02
[12] 뉴스 WASHINGTON SHOWS CONCERN; Fear Felt That Bombing May Injure Shanghai Peace Prospects. (Published 1932) https://www.nytimes.[...] 2023-08-15
[13] 서적 The unfinished war : Korea http://archive.org/d[...] New York : Algora Pub. 2003
[14] 웹사이트 ◉第8回◉ 「隻脚の外交官」の真実 http://www.spjd.or.j[...] 2018-10-19
[15] 뉴스 尹奉吉炸弹制造者为中国人“向佽涛” http://chinese.yonha[...] 2017-12-17
[16] 뉴스 『東京日日新聞』昭和7年5月1日号外2面
[17] 웹사이트 梅軒尹奉吉義士 殉国80周年記念追悼式 http://www.mindan.or[...] 在日本大韓民国民団 2012/12/20
[18] 서적 大陸의憤怒
[19] 기타 donga.com[뉴스]-“숭고한 정신, 모두에게 교훈”…윤봉길 의사 상하이 의거 75주년 http://www.donga.com[...]
[20] 기타 이 때 윤봉길이 [[김구]]에게 훙커우 공원 폭탄 투척 직전에 “선생님의 시계보다 제 시계가 더 비싼 것인데, 저는 이제 몇 시간 밖에는 사용할 수가 없으니 시계를 바꾸어 찹시다”라고 말했다는 이야기가 [[김구]]의 저서 《[[백범일지]]》에 실려 있다.
[21] 뉴스 [[한겨레신문]] [[2007년]] [[4월 27일]]자 기사에 의하면, 윤봉길은 훙커우 공원 폭탄 투척을 이틀 앞둔 [[1932년]] 4월 27일 "나의 철권(鐵拳)으로 적(敵)을 즉각으로 부수려 한다"는 내용의 출사표를 수첩에 남겼다. http://www.hani.co.k[...]
[22] 기타 신용하. 1995. 윤봉길의 농민운동과 민족독립운동. 한국학보:Vol.21. No.4(P.125, P. 126). 일지사.
[23] 뉴스 The New York Times. 1932년 4월 29일자. Bomb at Shanghai Wounds 6 High Japanese Officials ; Shirakawa and Ueda Hit.
[24] 뉴스 The New York Herald. 1932년 4월 30일자. Tokio Warlord Felled in Attack with Bomb at Shanghai Review.
[25] 뉴스 North China Daily News. 1932년 4월 30일자. Korean Bomb Outrage at Hongkew Park.
[26] 웹사이트 네이버캐스트 백범기념관 http://navercast.na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