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성우 (시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성우는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2000년 중앙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하여 시집, 청소년시집, 동시집, 어린이책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2012년부터 우석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청소년들의 고민과 갈등을 시로 담아내는 등 청소년 문학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신동엽창작상, 윤동주문학상 젊은시인상, 백석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석문학상 수상자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백석문학상 수상자 - 나희덕
    나희덕은 1989년 등단하여 김수영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모성과 자연의 생명력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 신동엽창작상 - 도종환
    도종환은 충청북도 청주시 출신의 시인이자 정치인으로, 시집 《접시꽃 당신》을 발표하고 국회의원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2024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지 못했다.
  • 신동엽창작상 - 송기원
    송기원은 1947년 출생하여 2024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베트남 전쟁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하여 민주화 운동에 헌신하고 불교적 사유를 담은 작품을 발표했으며 동인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 우석대학교 교수 - 이강래 (정치인)
    이강래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제16·17·18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김대중 정부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민주당 원내대표, 그리고 한국도로공사 사장을 역임했다.
  • 우석대학교 교수 - 양정철
    양정철은 언론인 출신으로, 학생운동과 언론 활동을 거쳐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주요 직책을 맡았으나, 여러 논란에 휩싸인 정치인, 정치평론가, 작가이다.
박성우 (시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박성우
본명박성우
출생일1971년
출생지전라북도 정읍군
팬클럽박성우 팬카페
경력
등단2000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거미〉
수상
수상 내역백석문학상(2018)
천인갈채상(2013)
윤동주문학상 젊은시인상(2012)
불꽃문학상(2008)
신동엽창작상(2007)
웹사이트
웹사이트박성우 시인 팬카페

2. 경력

2012년 우석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1]

2. 1. 학력

원광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정만 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2. 2. 교수 활동

1971년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나 원광대학교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정만 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1] 2012년 우석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1]

3. 등단

2000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거미〉가 당선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1] 2006년 한국일보 신춘문예동시가 당선되면서 아동문학을, 2009년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청소년저작 및 출판 지원 사업에 청소년시가 당선되면서 청소년문학을 시작했다.[1]

4. 문학 활동

박성우 시인은 청소년들을 직접 만나 알게 된 그들의 속 깊은 이야기를 시로 썼다.[1]

4. 1. 개요

기성 시인으로서는 최초로 청소년 고유의 말법으로 청소년들의 모습을 그려내고, '지금 여기'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고민과 갈등에 귀를 기울인다.[1]

4. 2. 주요 작품 활동

직접 청소년들을 만나면서 알게 된 그들의 속 깊은 이야기들을 시로 쓴 난 빨강|난 빨강한국어(2010년)을 통해 기성 시인으로서는 최초로 청소년 고유의 말법으로 청소년들의 모습을 그려내고, '지금 여기'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고민과 갈등에 귀를 기울였다.[1]

5. 작품

박성우 시인은 시집, 청소년시집, 동시집, 어린이책, 그림동화집, 산문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발표했다.

종류제목출판사출간 연도
시집《거미》창비2002년
시집《가뜬한 잠》창비2007년
시집《자두나무 정류장》창비2011년
시집《웃는 연습》창비2017년
시집《남겨두고 싶은 순간들》창비2024년
청소년시집《난 빨강》창비2010년
청소년시집《사과가 필요해》창비2017년
동시집《불량 꽃게》문학동네2008년
동시집《우리집 한 바퀴》창비2016년
동시집《동물학교 한 바퀴》창비2016년
동시집《박성우 시인의 첫말 잇기 동시집》비룡소2019년
동시집《박성우 시인의 끝말 잇기 동시집》비룡소2019년
동시집《삼행시의 달인》창비2020년
동시집《박성우 시인의 이상한 낱말 사전》비룡소2022년
동시집《박성우 시인의 의성어 의태어 낱말 동시집》비룡소2023년
어린이책《아홉 살 마음 사전》창비2017년
어린이책《아홉 살 함께 사전》창비2018년
어린이책《아빠, 오늘은 뭐하고 놀까?》학교도서관저널2018년
어린이책《아홉 살 느낌 사전》창비2019년
어린이책《아홉 살 내 사전》창비2019년
어린이책《아홉 살 마음 카드》창비2021년
어린이책《아홉 살 함께 카드》창비2021년
어린이책《아홉 살 느낌 카드》창비2021년
어린이책《열두 살 장래 희망》창비2021년
어린이 • 청소년책《사춘기 준비 사전》창비2019년
어린이 • 청소년책《사춘기 성장 사전》창비2019년
그림동화집《암흑식당》샘터2012년
그림동화집《소나기 놀이터》창비2019년
그림동화집《나의 씨앗 할아버지》미디어창비2019년
그림동화집《용이 돈이》올리2022년
그림동화집《엄마 어디 있지?》창비2022년
산문집《박성우 시인의 창문 엽서》창비2015년
산문집《마음 곁에 두는 마음》미디어창비2020년
산문집《마흔살 위로 사전》창비2023년
어른을 위한 동화컵 이야기|컵 이야기중국어(세상을 담고 싶었던)다산북스
기타 저서창비시선 400 기념시선집 《우리는 다시 만나고 있다》창비2016년
기타 저서《국어교과서 작품 읽기 중1 시》창비2017년
기타 저서《국어교과서 작품 읽기 중2 시》창비2018년
기타 저서《국어교과서 작품 읽기 중3 시》창비2019년
기타 저서《뭐든 되는 상상》창비교육2019년
기타 저서《마음시툰: 너무 애쓰지 말고》창비교육2020년
기타 저서《마음시툰: 용기 있게, 가볍게》창비교육2020년



《난 빨강》은 청소년들의 속 깊은 이야기를 시로 담아내어, 기성시인으로서는 최초로 청소년 고유의 말법으로 청소년들의 모습을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는다.[1]

5. 1. 시집


  • 2002년 《거미》(창비)
  • 2007년 《가뜬한 잠》(창비)
  • 2011년 《자두나무 정류장》(창비)
  • 2017년 《웃는 연습》(창비)
  • 2024년 《남겨두고 싶은 순간들》(창비)

5. 2. 청소년시집

직접 청소년들을 만나면서 알게 된 그들의 속 깊은 이야기들을 시로 쓴 《난 빨강》(2010년)을 통해 기성시인으로서는 최초로 청소년 고유의 말법으로 청소년들의 모습을 그려내고, '지금 여기'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고민과 갈등에 귀를 기울인다.[1]

5. 3. 동시집

5. 4. 어린이책

wikitext

  • 2017년 《아홉 살 마음 사전》(창비)
  • 2018년 《아홉 살 함께 사전》(창비)[3]
  • 2018년 《아빠, 오늘은 뭐하고 놀까? - 열 살 딸, 시인 아빠랑 세상책 읽기》(학교도서관저널) (박규연 글 그림, 박성우 사진)
  • 2019년 《아홉 살 느낌 사전》(창비)
  • 2019년 《아홉 살 내 사전》(창비)
  • 2021년 《아홉 살 마음 카드 '''감정편'''》(창비)
  • 2021년 《아홉 살 함께 카드 '''관계·소통편'''》(창비)
  • 2021년 《아홉 살 느낌 카드 '''감각편'''》(창비)
  • 2021년 《열두 살 장래 희망》(창비)

5. 5. 어린이 • 청소년책

5. 6. 그림동화집


  • 2012년 《암흑식당》 (샘터)
  • 2019년 《소나기 놀이터》 (창비)
  • 2019년 《나의 씨앗 할아버지》 (미디어창비)
  • 2022년 《용이 돈이》 (올리)
  • 2022년 《엄마 어디 있지?》 (창비)

5. 7. 산문집


  • 2015년 《박성우 시인의 창문 엽서》 (창비)
  • 2020년 《마음 곁에 두는 마음》 (미디어창비)
  • 2023년 《마흔살 위로 사전》 (창비)

5. 8. 어른을 위한 동화

컵 이야기|컵 이야기중국어(세상을 담고 싶었던)(오티움(다산북스))[1]

5. 9. 기타 저서


  • 2016년 창비시선 400 기념시선집 《우리는 다시 만나고 있다》 (창비한국어) 박성우, 신용목 엮음
  • 2017년 《국어교과서 작품 읽기 중1 시》 (창비한국어) 김아란, 박성우 엮음
  • 2018년 《국어교과서 작품 읽기 중2 시》 (창비한국어) 김아란, 박성우 엮음
  • 2019년 《국어교과서 작품 읽기 중3 시》 (창비한국어) 김아란, 박성우 엮음
  • 2019년 《뭐든 되는 상상》 (창비교육한국어) 박성우, 허선재 저
  • 2020년 《마음시툰: 너무 애쓰지 말고》 (창비교육한국어) 앵무 글 그림, 박성우
  • 2020년 《마음시툰: 용기 있게, 가볍게》 (창비교육한국어) 김성라 글 그림, 박성우

6. 수상


  • 2007년 제25회 신동엽창작상
  • 2008년 제3회 불꽃문학상
  • 2012년 제7회 윤동주문학상 젊은시인상
  • 2013년 제1회 천인갈채상
  • 2018년 제20회 백석문학상

참조

[1] 웹인용 박성우 청소년시집 '난 빨강' 출간 https://web.archive.[...] 새전북신문 2010-03-04
[2] 뉴스 "[작가인터뷰] 청소년시 개척자 박성우 “청소년시는 유치해? 새로운 세계 보게 될 것”" https://web.archive.[...] 2017-03-24
[3] 뉴스 "[시인 특집] 박성우 “내 아이의 마음을 읽는 방법”" https://web.archive.[...] 2018-03-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