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개발도상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개발도상국은 일반적으로 고도의 산업 발전을 이룬 선진국을 제외한 국가들을 지칭하며, 저개발국, 후진국으로 불리기도 했다. 1인당 소득, 국내총생산, 평균수명, 문맹률, 자유지수 등의 지표를 통해 국가의 개발 수준을 측정하며, 유엔은 인간개발지수(HDI)를 개발하여 인적 개발 수준을 측정한다. 세계은행은 1인당 국민총소득을 기준으로 국가를 분류하며, 신흥공업국, 신흥 시장, 프런티어 시장, 최빈개발국 등으로도 분류된다. 개발도상국은 지리적으로 소도서개발도상국, 내륙 개발도상국으로 나뉘며, 세계무역기구(WTO)에서는 국가의 자기 선언에 따라 개발도상국 지위를 인정하기도 한다. 개발도상국은 낮은 1인당 소득, 낮은 생활 수준, 높은 인구 증가율, 낮은 산업화 수준, 빈곤, 인적 자원 취약성, 경제적 취약성 등의 특징을 보이며, 여성에 대한 폭력, 의료 서비스의 질, 영양실조, 물, 위생 및 보건 서비스 접근성, 기후 변화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제 개발 - 선진국
    선진국은 경제적 번영, 높은 인간 개발 지수, 산업화 등을 기준으로 분류되지만 명확한 정의는 없으며, 대한민국은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선진국으로 평가받아 2021년 UNCTAD에서 공식적으로 선진국으로 분류되었다.
  • 국제 개발 - 신흥 시장
    신흥 시장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 과도기 국가들의 시장을 지칭하는 복합적 개념으로, 빠른 경제 성장과 산업화를 특징으로 하지만 불균형, 환경 문제, 정치적 불안정 등의 과제도 안고 있어 투자 및 무역 관점에서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용어 정의와 적용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나라 분류 - 연방제
    연방제는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가 권력을 분담하는 정치 체제이며, 지역 이익과 국가 이익의 조화, 다양한 민족 집단의 이익 조정 등 복잡한 과제를 수반하며, 단일 국가, 연합, 제국 등 다른 국가 형태와 구별된다.
  • 나라 분류 - 아랍 세계
    아랍 세계는 북아프리카와 서남아시아를 포괄하는 지역으로 아랍어 사용, 문화적 유대, 지리적 인접성을 특징으로 하며, 아랍 연맹 회원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정치 형태와 석유 의존적인 경제 구조를 가진다.
  • 경제 세계화 - 경제적 자유주의
    경제적 자유주의는 애덤 스미스에 의해 발전된 경제 이론으로, 정부의 경제 개입 최소화, 사유 재산, 개인 계약을 중시하며 봉건제와 중상주의에 반대한다.
  • 경제 세계화 - 반세계화 운동
    반세계화 운동은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의 부정적 결과에 대한 비판에서 비롯되었으며, 세계무역기구(WTO)나 국제통화기금(IMF)과 같은 국제기구에 대한 비판, 반전 운동과 연관되어 있고, 이론적 토대에도 영향을 받았지만, "반세계화" 용어에 대한 논쟁과 일관된 목표의 부재, 개발도상국으로부터의 지지 부족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개발도상국
지도
개요
정의선진국에 비해 낮은 생활 수준을 가진 국가
관련 용어저소득 및 중소득 국가, LMIC
구분
국제 통화 기금 (IMF)개발도상국
유엔후진국
경제 지표
1인당 소득낮은 수준
산업화 수준낮은 수준
인적 자원낮은 수준
사회 기반 시설취약한 수준
기술 수준낮은 수준
정치적 안정불안정한 경향
특징
높은 인구 증가율해당 국가들의 일반적인 특징
높은 빈곤율해당 국가들의 일반적인 특징
높은 불평등 수준해당 국가들의 일반적인 특징
열악한 공중 보건해당 국가들의 일반적인 특징
낮은 교육 수준해당 국가들의 일반적인 특징
불안정한 정치 상황해당 국가들의 일반적인 특징
기타
기후 변화 영향온실가스 배출량에 비해 기후변화의 영향에 더 취약함
인구 고령화선진국보다 고령화 속도가 느림

2. 개발도상국의 정의

개발도상국은 경제 개발이 늦은 나라를 의미하며, 과거에는 '저개발국', '후진국' 등으로 불렸다. 현재는 '개발도상국'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통용된다.[166] 선진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가 개발도상국에 포함된다. 개발도상국은 주로 동유럽,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남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에 위치한다.

1950년대 이전에는 '후진국'[146], '미개발국'[147] 등으로 불렸으나, 1958년 일본 경제기획청 장관을 역임한 세코 히로이치가 "후진국"이라는 표현이 상대를 낮춰보는 인상을 준다는 이유로 "저개발국"으로 수정하였다.[148] 이러한 문제 의식을 계기로 1980년대부터 개발도상국 또는 발전도상국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3. 개발도상국의 분류

개발도상국 분류는 자료 출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특정 용어가 경멸적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국제 통화 기금(IMF)의 2014년 4월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와 세계은행 자료에 따르면 다음 국가들이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된다.[168][169]

|||



|||



|||



|



세계무역기구(WTO)는 일반적으로 국가가 스스로를 "개발도상국"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허용한다.[17]

3. 1. 소득 수준에 따른 분류 (세계은행)

세계은행은 매년 7월 1일에 아틀라스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된 1인당 국민총소득(GNI)을 기준으로 세계 경제를 다음 네 가지 그룹으로 분류한다.[7]

  • 저소득 국가
  • 저소득 중간소득 국가
  • 고소득 중간소득 국가
  • 고소득 국가 (선진국과 유사함)


"고소득"이 아닌 세 그룹은 함께 "저소득 및 중간소득 국가"(LMICs)로 불린다. 예를 들어, 2022 회계연도의 경우 저소득 국가는 1045USD 미만의 1인당 GNI를 가진 국가, 저소득 중간소득 국가는 1046USD에서 4095USD 사이의 1인당 GNI를 가진 국가, 고소득 중간소득 국가는 4096USD에서 12695USD 사이의 1인당 GNI를 가진 국가, 고소득 국가는 12696USD를 초과하는 1인당 GNI를 가진 국가로 정의된다.[8] 역대 기준이 기록되어 있다.

3. 2. 시장 및 경제 성장에 따른 분류

'시장'이라는 용어는 국가 전체 경제보다는 각국의 자본 시장 특성에 초점을 맞춘다.

국제 통화 기금(IMF)의 2014년 4월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와 세계 은행 자료에 따르면 다음 국가들이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된다.[168][169]

|||



|||



|||



|



경제 성장률 또는 자본 시장 규모에 따라 개발도상국은 신흥공업국[9][10][11][12], 신흥 시장, 프런티어 시장, 최빈개발국으로 분류된다.

2009년까지 IMF의 세계 경제 전망은 국가를 (1) 1인당 소득 수준, (2) 수출 다변화(1인당 GDP가 높은 석유 수출국은 수출의 약 70%가 석유이기 때문에 선진국으로 분류되지 않음), (3) 세계 금융 시스템과의 통합 정도에 따라 선진국, 신흥국 또는 개발도상국으로 분류했다.[13]

3. 3. 지리에 따른 분류

국제 통화 기금의 2014년 4월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와 세계 은행 자료에서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된 국가들을 지리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168][169]



소도서개발도상국과 내륙 개발도상국은 개발도상국의 특수한 지리적 분류에 해당한다.

3. 4. 기타 기준에 따른 분류

국제 통화 기금의 2014년 4월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와 세계 은행 자료에서 개발도상국으로 분류된 국가는 다음과 같다.(가나다 순)[168][169]









국가를 대략적인 발전 수준으로 분류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용어가 사용된다. 특정 국가의 분류는 자료 출처에 따라 다르며, 때로는 이러한 분류나 사용되는 특정 용어가 경멸적인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시장"이라는 용어를 "국가" 대신 사용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전체 경제가 아닌 각국의 자본 시장 특성에 대한 특정 초점을 나타낸다.

개발도상국은 경제 성장률 또는 자본 시장 규모 순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다른 기준에 따르면 일부 국가는 중간 단계의 개발 단계에 있거나, 국제통화기금(IMF)이 소련 붕괴 이후에 언급했듯이 "전환기 국가"이다. 여기에는 모든 중앙 및 동유럽 국가, 중앙아시아의 전 소련(USSR) 국가(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및 몽골이 포함된다. 2009년까지 IMF의 세계 경제 전망은 국가를 선진국, 신흥국 또는 개발도상국으로 분류했다.[13]

  • 채무 탕감 저개발국 (HIPC)
  • 전환 경제
  • 다차원 군집 시스템: 개발도상국의 특징과 그에 대한 보다 세분화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학자들은 빈곤 및 불평등 수준, 생산성 및 혁신, 정치적 제약, 외부 유입에 대한 의존도 등의 요소를 기반으로 5가지의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했다.[14][15][16]


미국은 세계무역기구(WTO)에서 “개발도상국”으로서 우대 조치를 받고 있는 국가이며, 멕시코, 한국, 튀르키예와 같은 G20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브루나이, 홍콩, 쿠웨이트, 마카오, 카타르,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등 구매력평가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 세계 상위 10개국 중 7개국, 그리고 OECD 국가 중 36개국 중 3개국을 능가하는 대외 투자와 GDP, 세계 2위의 군사력을 보유한 중화인민공화국을 포함하여 실제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상기 12개국 및 지역은 개발도상국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WTO 개혁을 요구하고 있다. 미국은 이들이 WTO 규칙을 준수하지 않기 위한 변명으로 개발도상국 지위를 이용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159]

또한, 중국은 G77+중국을 통해 “개발도상국 대표”라는 입장을 이용하여 WTO 등에서 국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는 지적이 있다.[160][161][162][163]

3. 5. 자기 선언

세계무역기구(WTO)는 일반적으로 국가가 스스로를 "개발도상국"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허용한다.[17] 거의 모든 경제 지표에서 지난 20년 동안 "선진국"이 된 특정 국가들은 여전히 자신을 "개발도상국"으로 분류하는데, 이는 WTO에서 우대 조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17] 브루나이, 홍콩, 쿠웨이트, 마카오, 카타르,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와 같은 국가들이 이러한 자기 선언적 지위에 대해 비판받고 있다.[17]

미국은 WTO에서 “개발도상국”으로서 우대 조치를 받고 있는 멕시코, 한국, 튀르키예와 같은 G20 및 OECD 회원국, 브루나이, 홍콩, 쿠웨이트, 마카오, 카타르,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등 구매력평가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 세계 상위 10개국 중 7개국, 그리고 OECD 국가 중 36개국 중 3개국을 능가하는 대외 투자와 GDP, 세계 2위의 군사력을 보유한 중국을 포함하여 실제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이들 국가 및 지역은 개발도상국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WTO 개혁을 요구하고 있다.[159] 미국은 이들 국가 및 지역이 WTO 규칙을 준수하지 않기 위한 변명으로 개발도상국 지위를 이용하고 있다고 비판한다.[159]

중국은 유엔 회원국의 70%를 차지하는 개발도상국 투표 블록인 G77+중국을 통해 “개발도상국 대표”라는 입장을 이용하여 WTO 등에서 국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는 지적도 있다.[160][161][162][163]

4. 개발도상국의 특징

개발도상국은 일반적으로 낮은 1인당 소득, 낮은 생활 수준, 높은 인구 증가율을 보인다.[18] 산업화 수준이 낮고, 인간개발지수(HDI)가 낮은 경향이 있다. 국가의 개발은 1인당 소득(1인당), 1인당 국내총생산, 평균수명, 문맹률, 자유지수 등의 통계 지표로 측정한다.[18] 유엔은 위 통계 지표 중 일부를 종합한 인간개발지수(HDI)를 개발하여 데이터가 있는 국가의 인적 개발 수준을 측정한다.[19]

경제사회이사회(ECOSOC)에 따른 최빈국(녹색)과 개발도상국으로 졸업한 국가(빨간색)


2024년 1인당 GDP(구매력평가 기준)


"개발도상국"이라는 용어는 선진국과 비교하여 이러한 국가의 열등함을 암시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20] 쿠바부탄과 같이 전통적인 서구식 경제 개발 모델을 따르지 않기로 선택한 일부 국가들의 개발 욕구를 전제로 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21] 국민총행복과 같은 대안적인 측정 지표가 중요한 지표로 제시되기도 한다.

1973년 월터 로드니는 미국과 아프리카 및 아시아 국가 간의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요소를 비교하면서 "개발도상국" 및 "저개발국"이라는 용어 사용에 의문을 제기하는 초기 비판을 제기하였다.[22] 경제학자 제프리 삭스는 현재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구분은 주로 20세기 현상이라고 보았다.[24] 한스 로슬링은 세계가 부유한 국가와 가난한 국가로 나뉜다는 전제하에 이 용어들이 사용되지만, 실제로는 대다수의 국가가 중간 소득 국가이기 때문에 이 용어들을 "구식"이라고 비판했다.[25]

"개발 중인"이라는 용어는 현재 상황을 가리키는 것이지 변화하는 역동성이나 예상되는 개발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개발도상국"이라는 용어는 계층 구조를 시사하고 포함된 국가들의 다양한 현실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점점 구식으로 여겨지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UN이 개발도상국으로 분류한 국가들은 선진국보다 더 높은 성장률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28] 2015년 세계은행은 영아 사망률, 출산율, 극빈율과 같은 지표의 전 세계적인 개선으로 인해 "개발도상국/선진국 분류"가 덜 중요해졌다고 선언하고,[29] 해당 용어의 사용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고 있다.

4. 1. 공통적인 특징

개발도상국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43][44]

  • 높은 수준의 빈곤: 3년 평균 1인당 국민총소득(GNI)을 기준으로 측정한다. 예를 들어, 1인당 GNI가 2018년 기준 1,025달러 미만이면 최빈개발국으로 간주된다.[44]
  • 취약한 인적 자원: 영양, 건강, 교육, 성인 읽기 능력 지표를 기반으로 한다.
  • 경제적 취약성: 농업 생산 불안정, 상품 및 서비스 수출 불안정, 비전통적 활동의 경제적 중요성, 상품 수출 집중도, 경제적 소규모의 불리함, 자연재해로 인한 인구 이주 비율 등을 기반으로 한다.


이 외에도 개발도상국은 국제수지 위기 발생 위험이 더 높다.[45] 많은 개발도상국은 민주주의 지수에 따르면 불완전한 민주주의 국가이거나 권위주의 정권으로 간주된다. 탈식민화와 독립 이후, 엘리트들이 정부를 과두정치적으로 장악하는 경우가 많았다. 건강한 민주 국가 수립은 만연한 부패와 친족 등용, 민주적 과정에 대한 낮은 신뢰와 참여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정치적 불안, 정치 부패는 흔한 문제이다.[120][121]

일반적인 어려움으로는 산업 및 농업 생산 증대, 유독 화학 물질의 토양, 대기, 수질로의 직접 배출, 지속 불가능한 에너지 자원 사용, 생계를 위한 천연 자원에 대한 높은 의존으로 인한 자원 고갈, 아동결혼, 빚(개발도상국의 부채 참조), 저성과 공무원(개발도상국의 공무원 개혁 참조), 식량 불안, 문맹, 실업 등이 있다. 많은 개발도상국의 경제는 1차 상품에 의존하며, 수출의 대부분은 선진국으로 향한다. 2008~2009년 세계 경제 침체에서 볼 수 있듯이 선진국이 경기 침체를 겪으면 개발도상국 무역 파트너에게 빠르게 영향을 줄 수 있다.

4. 2. 세부 특징 및 문제점

20세기 독립과 탈식민화 이후,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은 새로운 기반 시설, 산업 및 경제 활성화가 절실히 필요했다. 많은 국가들이 외국인 투자에 의존했는데, 이러한 자금 조달은 기반 시설과 산업 개선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체계적인 착취 시스템으로 이어졌다. 개발도상국들은 고무와 같은 원자재를 헐값에 수출했다. 서구에 본사를 둔 기업들은 종종 개발도상국의 저렴한 노동력을 생산에 이용해 왔다.[39] 서구는 이 시스템으로부터 상당한 이익을 얻었지만, 개발도상국은 개발되지 않은 채 남겨졌다.

이러한 구조는 때때로 신식민주의라고 불리는데, 이는 개발도상국이 선진국에 의해 이용당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는 반드시 옛 식민지가 여전히 옛 식민 지배국에 의해 통제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식민지와 같은 착취를 의미한다. 개발도상국은 스스로 개발되는 것이 아니라 부유한 국가의 추가적인 발전에 기여하는 경우가 많다.[40] 이러한 시스템을 종식시키기 위해 여러 기관이 설립되었는데,[41] 그 중 하나가 신국제경제질서(NIEO)이다. NIEO는 개발도상국의 자급자족 유지 또는 달성을 촉진하는 '무조건 지원' 정책을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천연자원에 대한 주권과 산업화를 옹호한다.

NIEO와 같은 개발도상국들의 연합은 세계 무대에서 동등성을 위해 자주 로비 활동을 벌인다. 중국의 부상은 BRIC 국가의 부상을 의미할 수 있다.[39]

개발도상국에서 가장 많이 논의되는 세계적 문제에는 세계화, 세계 보건 거버넌스, 보건 및 예방 필요성이 포함된다. 이는 선진국이 과학 기술 혁신과 같은 문제를 다루는 것과 대조적이다.[42]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은 다음과 같은 공통 기준을 가지고 있다.[43][44]

  • 높은 수준의 빈곤 – 3년 동안 평균된 1인당 국민총소득(GNI)을 기준으로 측정된다. 예를 들어, 1인당 GNI가 2018년 기준 1025USD 미만인 경우 해당 국가는 최빈개발국으로 간주된다.[44]
  • 인적 자원 약화 (영양, 건강, 교육 및 성인 읽기 능력 지표를 기반으로 함).
  • 경제적 취약성 (농업 생산의 불안정성, 상품 및 서비스 수출의 불안정성, 비전통적 활동의 경제적 중요성, 상품 수출 집중도, 경제적 소규모의 불리함, 그리고 자연재해로 인해 이주한 인구 비율을 기반으로 함).


다른 어려움 중에서도 개발도상국은 국제수지 위기 발생 위험이 더 높다.[45]

유엔해비타트에 따르면, 2012년 개발도상국의 도시 인구 중 약 33%, 즉 약 8억 6300만 명이 빈민가에 거주했다.[46] 2012년 빈민가에 거주하는 도시 인구의 비율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62%)가 가장 높았고, 그 뒤를 남아시아(35%), 동남아시아(31%), 동아시아(28%)가 이었다.[46]

유엔해비타트는 개발도상국의 도시 인구 중 43%, 최빈개발국가의 경우 78%가 빈민가에 거주한다고 보고한다.[47]

빈민가는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이유로 형성되고 성장한다. 원인으로는 급격한 농촌에서 도시로의 이주, 경기침체, 높은 실업률, 빈곤, 비공식 경제, 강제적 또는 조작적인 게토화, 열악한 계획, 정치, 자연재해 및 사회 갈등 등이 있다.[48][49][50] 예를 들어, 빈곤한 국가의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농촌 사람들이 도시로 이동하는 광범위한 도시 이주가 발생하여 빈민가가 생성된다.[51]

일부 도시, 특히 남아시아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에서는 빈민가가 소규모 인구를 수용하는 소외된 지역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빈민가는 광범위하게 퍼져 있으며 도시 인구의 상당 부분이 거주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는 때때로 "빈민가 도시"라고 불린다.[52]

2009년 10월 2일 뉴델리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 예방을 위한 전국 캠페인 시작과 함께 인디아 게이트에서 다양한 계층의 여성들이 만든 인간 사슬


여러 형태의 여성에 대한 폭력은 다른 지역보다 개발도상국에서 더욱 흔하게 발생한다. 통칭 산성테러/산을 뿌리는 행위는 캄보디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와 관련이 있으며, 명예살인은 중동과 인도 아대륙과 관련이 있다. 납치 결혼은 에티오피아, 중앙아시아 및 코카서스 지역에서 발견된다. 지참금 지불과 관련된 학대(폭력, 인신매매, 강제결혼 등)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 지역과 관련이 있다.[53][54]

여성할례(FGM)는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여전히 발생하는 또 다른 형태의 여성에 대한 폭력이다. 아프리카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며, 중동과 아시아의 일부 지역에서도 적은 규모로 발생한다. 여성할례 비율이 가장 높은 개발도상국은 소말리아(98%), 기니(96%), 지부티(93%), 이집트(91%), 에리트레아(89%), 말리(89%), 시에라리온(88%), 수단(88%), 감비아(76%), 부르키나파소(76%), 에티오피아(74%)이다.[55] 세계화와 이민으로 인해 여성할례는 아프리카, 아시아 및 중동의 경계를 넘어 호주, 벨기에, 캐나다, 프랑스, 뉴질랜드, 미국, 영국과 같은 국가로 확산되고 있다.[56]

이스탄불 협약은 여성할례를 금지하고 있다(38조).[57] 2016년 기준으로 많은 아프리카 국가에서 여성할례가 법적으로 금지되었다.[58]

UN 여성의 여성에 대한 폭력 종식에 관한 사실과 수치에 따르면,[59] 전 세계 여성의 35%가 일생 동안 배우자로부터 신체적 또는 성적 폭력을 경험하거나 비배우자로부터 성적 폭력(성희롱 제외)을 경험한 것으로 추산된다. 증거에 따르면 신체적 또는 성적 데이트 폭력을 경험한 여성은 폭력을 경험하지 않은 여성에 비해 우울증, 낙태 및 HIV 감염률이 더 높다고 보고된다.[59]

중동북아프리카의 자료에 따르면 아버지가 어머니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것을 목격한 남성과 어린 시절 어떤 형태의 폭력을 경험한 남성은 성인 관계에서 배우자에 대한 폭력을 저지른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59]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간에는 일반 대중이 이용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의 질이 상당히 다르다.[60] 개발도상국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선진국 사람들보다 기대수명이 낮은데, 이는 낮은 소득 수준과 열악한 공중보건 모두를 반영한다.[61][62][63] 전염병,[64] 모성 사망률,[65][66] 영아 사망률,[67] 유아 사망률[68][69]의 부담은 이러한 국가들에서 일반적으로 훨씬 더 높다. 개발도상국은 또한 일반적으로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낮고[70] 백신을 구매, 생산 및 관리할 자원이 부족할 가능성이 높다. 전 세계적인 백신 형평성은 COVID-19 팬데믹과 같은 팬데믹과 싸우는 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말이다.[71]

2020년 세계식량프로그램에 따른 국가별 영양실조 인구 비율


개발도상국에서는 영양실조가 더 흔하다.[72] 특히 임신 중이거나 모유 수유 중인 여성, 5세 미만의 어린이, 노인 등 특정 집단의 영양실조율이 더 높다. 개발도상국의 5세 미만 어린이 2억 명 이상이 어린이의 영양실조와 발육 부진으로 인해 발달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73] 2013년 영양실조로 인한 발육 부진 어린이는 약 1억 6500만 명으로 추산되었다.[74] 일부 개발도상국에서는 영양실조와 함께 비만 형태의 영양 과잉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75]

다음 목록은 환경과 관련된 중요한 원인 또는 상황과 환경적 요소가 강한 특정 질병을 보여준다.[76]

  • 질병(말라리아, 결핵, AIDS 등): 질병은 개발도상국의 가정에 높고 역진적인 비용 부담을 부과한다.[77]
  • 열대성 및 전염병 (소외 열대 질환)
  • 안전하지 않은 식수, 열악한 위생 및 위생 상태
  • 개발도상국의 실내 공기 오염
  • 오염 (예: 대기 오염, 수질 오염)
  • 자동차 충돌
  • 우발적 중독
  • 비전염성 질환 및 취약한 의료 시스템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물, 위생 및 보건(WASH) 서비스 접근 수준이 매우 낮다. 2015년 세계보건기구(WHO)는 "3명 중 1명, 즉 24억 명이 여전히 위생 시설이 없다"고 추산했으며, 6억 6,300만 명이 여전히 안전하고 깨끗한 식수에 접근할 수 없다.[78][79] 2017년 JMP의 추산에 따르면 현재 45억 명이 안전하게 관리되는 위생 시설을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80] 이들 대부분은 개발도상국에 거주하고 있다.

2016년 기준으로 전 세계 인구의 12%인 8억 9,200만 명이 화장실을 사용하는 대신 분뇨 공개 배설을 했다.[80] 전 세계 분뇨 공개 배설 인구 8억 9,200만 명 중 76%(6억 7,800만 명)은 단 7개국에 거주하고 있다.[80] 분뇨 공개 배설 인구가 많은 국가는 인도(3억 4,800만 명), 나이지리아(3,810만 명), 인도네시아(2,640만 명), 에티오피아(2,310만 명), 파키스탄(1,970만 명), 니제르(1,460만 명), 수단(970만 명)이다.[81]

지속가능발전목표 6는 2015년 UN이 설정한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하나이다. 이 목표는 모든 사람에게 깨끗한 물과 위생 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특히 개발도상국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중국 양쯔강(Yangtze)의 공장, 대기오염 유발


가나 아크라(Accra) 인근 해변의 플라스틱 오염


수질오염은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심각한 문제입니다. 국제적인 규모부터 개별 대수층 및 우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수준에서 수자원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와 개정이 필요하다. 수질오염이 세계적으로 사망 및 질병의 주요 원인이며,[86][87] 매일 14,000명 이상의 사망 원인이 된다는 주장이 있다.[87]

인도와 중국은 수질오염 수준이 높은 두 국가이다. 인도에서는 매일 약 580명이 수질오염 관련 질병(수인성 질환 포함)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88] 중국 도시의 물 약 90%가 오염되어 있다.[89] 2007년 기준으로 5억 명의 중국인이 안전한 식수를 이용할 수 없었다.[90]

그러나 일련의 개혁 이후, 중국의 환경은 2010년대를 전후하여 엄청난 개선을 보이기 시작했다. 시진핑 국가주석(중국공산당 총서기)의 지도력 아래, 상당수의 고오염 산업이 점진적으로 단계적으로 폐지되었고 많은 불법 오염 공장이 제재를 받거나 폐쇄되었다. 지역 차원에서 환경 규정을 시행하고 공무원 및 기업 관리자를 포함하여 위법 행위자에게 책임을 묻는 데 상당한 노력이 기울여졌다. 중국 지도자 시진핑이 2005년에 제안한 슬로건 "맑은 물과 푸른 산은 금은산만큼 귀하다"[91]는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한 환경적 부담을 개선하고 보다 지속 가능한 개발 방식으로 전환하며 고급 산업을 채택하려는 중국의 결의를 보여준다. 전국 각지의 수역은 10년 전보다 훨씬 깨끗해졌으며 오염 물질의 자연 수준에 꾸준히 접근하고 있다.

2021년, 중국은 2060년까지 탄소 배출량 정점 달성을 목표로 하는 여러 정책 중 하나로 "석탄 대 가스" 정책을 도입했다.[92] 가정, 발전소 및 생산 산업의 석탄 연소는 중국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60%를 차지하며 수질 및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이다. 중국이 개발도상국 상위권에 도달함에 따라 오염원이 점진적으로 제거될 것으로 예상된다.

개발도상국의 실내 공기 오염은 주요 건강 위험 요소이다.[93] 개발도상국에서 실내 공기 오염의 주요 원인은 바이오매스 연소이다. 전 세계 개발도상국의 30억 명이 목재, , 가축 분뇨, 농작물 잔재와 같은 바이오매스를 가정용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94] 많은 요리가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는 실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로 가난한 여성과 어린이 수백만 명이 심각한 건강 위험에 직면해 있다.

전 세계적으로 2012년 개발도상국에서 실내 공기 오염 노출로 인한 사망자 수는 430만 명에 달했으며, 거의 대부분이 저소득 및 중소득 국가에서 발생했다. 동남아시아와 서태평양 지역이 가장 큰 부담을 안고 있으며, 각각 169만 명과 162만 명이 사망했다. 아프리카에서는 약 60만 명이 사망했다.[95] 2000년 이전 추산에 따르면 사망자 수는 150만 명에서 200만 명 사이였다.[96]

실내 공기 오염의 여러 영향에 대처하기 위한 저렴한 해결책을 찾는 것은 복잡하다. 전략에는 연소 개선, 연기 노출 감소, 안전성 향상 및 노동 감소, 연료비 절감 및 지속 가능성 문제 해결 등이 포함된다.[97]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인간의 개입으로 인한 기후 시스템의 온난화가 "명백하다"고 확인했다.[99] 기후 변화의 영향은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며, 극심한 기상 현상, 가뭄, 홍수, 생물 다양성 손실, 질병 및 해수면 상승과 같은 사건을 초래하여 사회와 환경에 위험을 초래한다.[105]

탄소 배출량의 79%는 선진국에서 발생하지만,[100] 개발도상국이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99] 이러한 변화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을 위험이 있으며, 높은 기후 취약성, 낮은 경제 수준,[101] 기술 접근 제한, 인프라 부족 및 재정 자원 접근 제한 등의 상호 작용하는 문제로 인해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특히 기후변화에 취약한 국가는 "극도로 기후 취약한" 국가로 불린다. 이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많은 국가, 아프가니스탄, 아이티, 미얀마, 소말리아와 같은 취약 국가 또는 실패 국가뿐만 아니라 소규모 도서 개발도상국에도 적용된다. 개발도상국이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적지만 지구 온난화의 부정적 영향에 매우 취약한 경우, "무임승차자"(free riders)와 반대로 "강제 승차자"(forced riders)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5][102] 코모로, 감비아, 기니비사우, 상투메 프린시페, 솔로몬 제도, 바누아투 등이 이에 해당한다.[102]

기후 취약성은 2010년과 2012년 기후 취약성 모니터 보고서에서 정량화되었다. 개발도상국의 기후 취약성은 건강, 극한 기상 현상, 서식지 손실 및 경제적 스트레스의 네 가지 영향 영역에서 발생한다.[105][5] 2012년 기후 취약성 모니터의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는 매년 평균 40만 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키는데, 이는 주로 개발도상국의 기아와 전염병 때문이다.[103] 이러한 영향은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에 가장 심각하다. 국제적으로는 기후변화를 일으킨 국가와 기후변화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을 국가 사이의 불일치, 즉 "기후 정의"가 인정되고 있다. 이는 일부 유엔 기후변화협약 회의(COP)에서 논의된 주제였다.

"기후변화 영향으로 생계가 위험에 처해 있다고 생각할 때, 개발도상국, 특히 최빈개발도상국과 소규모 도서국가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적응할 재정 자원이 가장 부족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라고 유럽투자은행의 기후변화 최고 전문가인 낸시 사이치가 말했다.[104]

변화하는 기후는 경제적 부담으로도 이어집니다. 2010년 기준으로 최빈개도국의 경제는 주로 감소된 노동생산성으로 인해 평균 7%의 국내총생산 손실을 입었다.[103] 해수면 상승으로 2010년 최빈개도국은 GDP의 1%를, 태평양 지역은 4%를 손실했으며, 세계 경제는 연간 650억달러의 손실을 입었다.[105] 또 다른 예로 수산업에 대한 영향을 들 수 있다. 약 40개국이 온실가스 배출이 수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매우 취약하다. 수산업 부문이 큰 개발도상국이 특히 영향을 받는다.[103] 2010년 칸쿤 COP16에서 개발원조 제공국들은 개발도상국이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녹색기후기금을 통해 2020년까지 연간 1000억달러를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선진국의 구체적인 약속은 이행되지 않았다.[106][107] 에마뉘엘 마크롱(프랑스 대통령)은 본(COP 23)에서 열린 2017년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기후변화는 이미 불공정한 세상에 더 큰 불공정을 더하고 있다"고 말했다.[108] 경제 개발과 기후는, 특히 빈곤, 젠더 평등 및 에너지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109]

기후변화 대응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특히 기후행동에 관한 지속가능발전목표 13이 달성될 때에만 가능합니다.[109]

기후 스트레스는 개발도상국 및 그 외 지역에서 기존의 인구 이동 양상에 더해질 가능성이 있지만, 완전히 새로운 인구 이동을 유발할 것으로는 예상되지 않는다.[110] 2018년 세계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남아시아 및 라틴 아메리카 세 지역에서 약 1억 4,300만 명이 기후변화의 점진적 영향으로 인해 자국 내에서 이동해야 할 수도 있다고 추산했다. 이들은 수자원 이용 가능성과 농업 생산성이 낮은 지역, 해수면 상승과 폭풍 해일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서 이동할 것이다.[111]

기후변화의 영향에 적응하는 데 있어 개발도상국이 직면하는 누적된 스트레스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방글라데시와 같이 이 분야를 선도하는 국가들이 있다. 방글라데시는 2009년에 기후변화에 적응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춘 국가 프로그램(최초의 국가 프로그램)을 만들었다.[112][113] 이 계획을 지원하기 위한 기금을 조성하여, 이와 관련하여 연평균 10억달러를 지출했다.[114]

지난 수십 년 동안 세계 인구 증가는 주로 개발도상국에서 주도되어 왔는데, 이들 국가는 선진국보다 더 높은 출산율(더 높은 가임률)을 보인다. 유엔에 따르면, 가족계획은 이들 국가에서 인구 증가를 억제하고 빈곤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8]

나이지리아의 격렬한 나이지리아 유목민-농민 갈등, 말리의 2019년 3월 풀라니 유목민 공격, 수단 유목민 갈등 및 사헬 지역 국가들의 다른 갈등은 기후변화, 토지 황폐화 및 인구 증가로 인해 악화되었다.[115][116][117] 가뭄과 식량 부족은 또한 말리 북부 분쟁과 관련이 있다.[118][119]

5. 개발 이론


  • 근대화 이론 – 사회 내 근대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이다.
  • 종속 이론 – 자원이 가난하고 저개발된 국가들의 "주변부"에서 부유한 국가들의 "중심부"로 이동하여, 후자를 전자의 희생으로 부유하게 만든다는 개념이다.
  • 개발 이론 – 사회에서 바람직한 변화를 가장 잘 달성하는 방법에 대한 여러 이론들의 집합이다.
  • 탈개발 이론 – 국제 개발이라는 개념과 관행 전체가 서구-북반구의 세계 다른 지역에 대한 헤게모니를 반영한다는 주장이다.

6. 개발도상국 용어 비판

"개발도상국"이라는 용어는 선진국과의 비교에서 열등함을 암시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또한, 서구식 경제 개발 모델을 따르지 않는 국가들의 개발 욕구를 전제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국민총행복과 같은 다른 측정 지표가 제시되기도 한다.

한스 로슬링은 "개발도상국" 용어가 세계를 이분법적으로 나누는 구식 용어라고 비판했다.[42] 마티스 와케르나겔은 이분법적 용어가 "GDP 숭배"를 조장한다고 비판했다.[43][44]

1950년대 이전에는 '''후진국'''[146], '''미개발국'''[147] 등으로 불렸으나, 1958년 일본 경제기획청 장관 세코 히로이치(世耕弘一)가 "후진국"이라는 표현이 상대를 낮춰보는 인상을 준다는 이유로 "저개발국"으로 수정하도록 지시했다.[148] 이러한 인식 변화로 1980년대부터는 개발도상국 또는 발전도상국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미국은 세계무역기구(WTO)에서 멕시코, 한국, 터키 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브루나이, 홍콩, 쿠웨이트, 마카오, 카타르,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등 고소득 국가, 그리고 중국이 개발도상국 지위를 이용하여 부당한 혜택을 받고 있다고 비판한다.[159] 또한, 중국이 G77+중국을 통해 개발도상국 대표라는 입장을 이용하여 국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지적도 있다.[160][161][162][163]

7. 관련 용어

국가를 발전 수준으로 분류하는 데는 여러 용어가 사용된다. 자료 출처에 따라 특정 국가의 분류가 다르고, 때로는 이러한 분류나 사용되는 특정 용어가 경멸적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최빈개발도상국, 내륙개발도상국, 소규모 도서 개발도상국은 모두 개발도상국의 하위 그룹이다. 반대편에 있는 국가들은 일반적으로 고소득 국가 또는 선진국으로 불린다.

1950년대 이전에는 '''후진국'''[146], '''미개발국'''[147] 등으로 불렸으나, 1958년 제2차 기시 내각에서 경제기획청 장관을 역임한 세코 히로이치(世耕弘一)가 "후진국"이라는 표현이 상대를 낮춰보는 인상을 준다는 이유로 "저개발국"으로 수정했다.[148]

이러한 문제 의식을 계기로 1980년대부터 개발도상국 또는 발전도상국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용어 변경과 함께 저개발국이라는 용어는 일본에서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지만, 저개발국을 의미하는 영어 표현[149]은 현재도 국제연합뿐만 아니라 일본 외무성에서도 영어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후발 개발도상국을 구분하는 문맥에서 사용된다.

"저소득 및 중간소득 국가(LMIC)"라는 용어는 종종 "개발도상국"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지만, 국가의 경제만을 가리킨다.

8. 개발도상국 및 지역 목록 (2023년, IMF 기준)

국제 통화 기금(IMF)의 2023년 4월 세계경제전망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다음은 신흥국 및 개발도상국 목록이다.[127]

국가
아프가니스탄
알바니아
알제리
앙골라
앤티가 바부다
아르헨티나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바하마
바레인
방글라데시
바베이도스
벨라루스
벨리즈
베냉
부탄
볼리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츠와나
브라질
브루나이
불가리아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캄보디아
카메룬
카보베르데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차드
중화인민공화국
칠레
콜롬비아
코모로
콩고 민주 공화국
콩고 공화국
코스타리카
지부티
도미니카 연방
도미니카 공화국
동티모르
에콰도르
이집트
엘살바도르
적도 기니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에티오피아
피지
가봉
감비아
조지아
가나
그레나다
과테말라
기니
기니비사우
가이아나
아이티
온두라스
헝가리
인도
인도네시아
이란
이라크
코트디부아르
자메이카
요르단
카자흐스탄
케냐
키리바시
코소보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라오스
레바논
레소토
라이베리아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말레이시아
몰디브
말리
마셜 제도
모리타니
모리셔스
멕시코
미크로네시아 연방
몰도바
몽골
몬테네그로
모로코
모잠비크
미얀마
나미비아
나우루
네팔
니카라과
니제르
나이지리아
북마케도니아
오만
파키스탄
팔라우
팔레스타인
파나마
파푸아뉴기니
파라과이
페루
필리핀
폴란드
카타르
루마니아
러시아
르완다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사모아
상투메 프린시페
사우디아라비아
세네갈
세르비아
세이셸
시에라리온
솔로몬 제도
소말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수단
스리랑카
수단
수리남
시리아
타지키스탄
탄자니아
태국
토고
통가
트리니다드 토바고
튀니지
튀르키예
투르크메니스탄
투발루
우간다
우크라이나
아랍에미리트
우루과이
우즈베키스탄
바누아투
베네수엘라
베트남
예멘
잠비아
짐바브웨


IMF 목록에 없는 국가


  • 쿠바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9. 신흥 공업국 (NICs)

다음은 신흥 공업국으로 분류되는 국가들이다.[9][10][11][12] 이 국가들은 아직 선진국 지위에는 도달하지 못했지만, 거시경제적 관점에서 개발도상국들을 앞질렀다.


10. 브릭스 (BRICS) 국가

다음은 신흥 시장 그룹에 속하는 BRICS 국가이다.

국가가입 년도
브라질2006년
러시아2006년
인도2006년
중국2006년
남아프리카 공화국2010년
이집트2024년
에티오피아2024년
이란2024년
아랍에미리트2024년


11. 개발도상국의 기회

20세기 독립과 탈식민화 이후,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은 새로운 기반 시설, 산업 및 경제 활성화가 절실히 필요했다. 많은 국가들이 외국인 투자에 의존했다. 이러한 자금 조달은 기반 시설과 산업 개선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체계적인 착취 시스템으로 이어졌다. 개발도상국들은 고무와 같은 원자재를 헐값에 수출했다. 서구에 본사를 둔 기업들은 종종 개발도상국의 저렴한 노동력을 생산에 이용해 왔다.[39] 서구는 이 시스템으로부터 상당한 이익을 얻었지만, 개발도상국은 개발되지 않은 채 남겨졌다.

이러한 구조는 때때로 신식민주의라고 불리는데, 이는 개발도상국이 선진국에 의해 이용당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는 옛 식민지가 여전히 옛 식민 지배국에 의해 통제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식민지와 같은 착취를 의미한다. 개발도상국은 스스로 개발되는 것이 아니라 부유한 국가의 추가적인 발전에 기여하는 경우가 많다.[40] 이러한 시스템을 종식시키기 위해 여러 기관이 설립되었으며, 이러한 기관 중 하나가 신국제경제질서(NIEO)이다. 신국제경제질서는 개발도상국의 자급자족 유지 또는 달성을 촉진하는 '무조건 지원' 정책을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천연자원에 대한 주권과 산업화를 옹호한다.

NIEO와 같은 개발도상국들의 연합은 세계 무대에서 동등성을 위해 자주 로비 활동을 벌인다. 중국의 부상은 BRIC 국가의 부상을 의미할 수 있다.[39]

태양열 조리기는 야외 요리의 에너지원으로 태양광을 사용한다.


2009년 기준으로 전 세계 약 14억 명이 전기 없이 생활했다. 27억 명은 가정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나무, 숯, 땔감(건조된 동물 배설물 연료)에 의존했다. 현대 에너지 기술에 대한 접근성 부족은 소득 창출을 제한하고 빈곤 탈출 노력을 저해하며 실내 공기 오염으로 인해 사람들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전 세계 산림 벌채와 기후 변화에 기여한다. 현장 태양광 발전과 개선된 조리기구와 같은 소규모 재생에너지 기술과 분산형 에너지 옵션은 농촌 가구에 현대 에너지 서비스를 제공한다.[82]

재생에너지는 개발도상국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농촌 및 오지 지역에서는 화석 연료에서 생산된 에너지를 송전 및 배전하는 것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 현지에서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실행 가능한 대안이 될 수 있다.[83]

재생에너지는 사업 창출과 고용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함으로써 빈곤 감소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재생에너지 기술은 또한 요리, 난방 및 조명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함으로써 빈곤 완화에 간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84]

케냐는 인구당 설치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 수에서 세계 1위이다.[85]

이 외에도 개발도상국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 인적 자본
  • 무역 정책: 엄격한 정책을 시행하는 국가들은 개방적이고 왜곡이 적은 무역 정책을 시행하는 국가들보다 성장 속도가 느렸다.[121][123]
  • 투자: 투자는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121]
  • 교육[124]
  • 무역을 위한 원조: 지속가능발전목표 8의 목표 8.a.1에 포함되어 있으며, 개발도상국이 무역을 실천하고 그 혜택을 누리도록 돕는 이니셔티브이다. 무역을 위한 원조는 개발도상국의 무역 관련 프로그램 지원, 무역 및 무역 역량 우선순위 설정, 무역 성과 개선 및 빈곤 감소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25]
  • 글로벌 파트너십: 개발도상국의 혁신적인 기술 개발, 시장 접근 및 공정 무역 달성을 위한 국제 투자 및 지원을 옹호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 17의 조항이다.[126]

12. 언론 보도

서구 언론은 편향된 보도를 통해 개발도상국을 일반화하여 보여주는 경향이 있다. 대중 매체들은 빈곤과 기타 부정적인 이미지에 지나치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보도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지배적인 고정관념을 만들어 냈다. 즉, "'남반구'는 서구의 가치관과 기준에 비추어 사회경제적 및 정치적으로 후진적인 것으로 특징지어진다."[144] 대중 매체의 역할은 종종 글로벌 남반구와 북반구를 비교하며, 이러한 분열을 조장하는 데 일조한다고 여겨진다.

대중 매체는 또한 개발도상국 사람들이 어떤 정보를 받는지에도 영향을 미쳤다. 뉴스는 종종 선진국을 다루어 정보 흐름의 불균형을 초래한다.[145] 개발도상국 사람들은 다른 개발도상국에 대한 보도를 거의 받지 못하지만 선진국에 대한 보도는 상당히 많이 접하게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World Economic and Financial Surveys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WEO Groups and Aggregates Information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2-06-02
[2] 웹사이트 Least Developed Countries http://unohrlls.org/[...]
[3] 서적 Economics: Principles in Action https://archive.org/[...] Pearson Prentice Hall
[4] 웹사이트 Composition of macro geographical (continental) region http://unstats.un.or[...] United Nations
[5] 논문 Global mismatch between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the burden of climate change 2016-02-00
[6] 논문 World population ageing 2013 http://dx.doi.org/10[...] 2014-05-27
[7] 웹사이트 New country classifications by income level: 2019–2020 https://blogs.worldb[...] World Bank Blogs 2019-07-01
[8] 웹사이트 World Bank Country and Lending Groups https://datahelpdesk[...]
[9] 서적 Globaliz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Foreign Economic Policy Ashgate Publishing, Ltd
[10] 서적 The Limits of Converg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서적 Geography, An Integrated Approach Nelson Thornes Ltd.
[12] 서적 Principles of Economics Cengage Learning
[13] 웹사이트 Q. How does the WEO categorize advanced versus emerging and developing economies? http://www.imf.org/e[...]
[14] 논문 From Poverty Reduction to Mutual Interests? The Debate on Differentiation in EU Development Policy 2015-06-01
[15] 논문 Revisiting the Meaning of Development: A Multidimensional Taxonomy of Developing Countries 2013-12-00
[16] 논문 Crowdsourcing, Sharing Economies and Development
[17] 웹사이트 Memorandum on Reforming Developing-Country Status in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https://trumpwhiteho[...] 2019-07-26
[18] 웹사이트 Population and poverty https://www.unfpa.or[...]
[19] 웹사이트 United Nation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https://www.un.org/m[...]
[20] 웹사이트 If You Shouldn't Call It The Third World, What Should You Call It? https://www.npr.org/[...] 2015-01-04
[21] 서적 The Bhutanese development story http://archiv.ub.uni[...] Heidelberg University Library
[22] 서적 How Europe Underdeveloped Africa http://abahlali.org/[...] Bogle-L'Ouverture Publications, London and Tanzanian Publishing House, Dar-Es-Salaam 1973
[23] 웹사이트 Millennium Development Indicators: World and regional groupings https://unstats.un.o[...]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2003
[24] 서적 The End of Poverty The Penguin Press
[25] 서적 Factfulness: Ten Reasons We're Wrong About The World – And Why Things Are Better Than You Think https://www.gapminde[...] Sceptre
[26] 서적 Ecological Footprint: Managing Our Biocapacity Budget https://www.newsocie[...] New Society Publishers
[27] 웹사이트 Time to stop referring to the "developing world" https://blogs.worldb[...]
[28] 웹사이트 On the structure of the present-day convergence https://www.academia[...] 2014-00-00
[29] 웹사이트 Should we continue to use the term "developing world"? https://blogs.worldb[...] 2015-11-16
[30] 웹사이트 The 2016 edition of World Development Indicators is out: three features you won't want to miss https://blogs.worldb[...] World Bank Blogs 2016-04-15
[31] 웹사이트 The Use of the Concept 'Global South' in Social Science & Humanities https://www.academia[...] Humboldt University of Berlin 2014-07-11
[32] 서적 Urban Poverty in the Global South: Scale and Na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33] 서적 The Foreign Policies of the Global South: Rethinking Conceptual Frameworks https://books.google[...] Lynne Rienner Publishers 2003
[34] 논문 the global south 2012-01-01
[35] 논문 World Turned Upside Down? Rise of the global South and the contemporary global financial turbulence 2010-04-00
[36] 논문 Democracy, Participatory Politics and Development: Some Comparative Lessons from Brazil, India and South Africa 2012-10-01
[37] 서적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rn world Bloomsbury Academic 2020-01-01
[38] 논문 The Migration State in the Global South: Nationalizing, Developmental, and Neoliberal Models of Migration Management 2019-10-24
[39] 논문 Economic growth, the UN and the Global South: an unfulfilled promise https://eprints.soas[...] 2020-09-23
[40] 뉴스 Aid in reverse: how poor countries develop rich countries https://www.theguard[...] 2019-03-17
[41] 웹사이트 Neocolonialism https://www.britanni[...] 2019-04-01
[42] 논문 Mapping the key issues shaping the landscape of global public health 2012-09-01
[43] 웹사이트 Criteria For Identification Of LDCs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Development Policy and Analysis Division 2010-03-04
[44] 웹사이트 Criteria for Identification and Graduation of LDCs http://unohrlls.org/[...] UN-OHRLLS
[45] 논문 Current-account breaks and stability spells in a global perspective 2021-07-07
[46] 간행물 State of the World's Cities Report 2012/2013: Prosperity of Cities http://sustainablede[...] UNHABITAT 2013-10-04
[47] 간행물 The challenge of slums – Global report on Human Settlements http://www.unhabitat[...] United Nations Habitat 2003-01-01
[48] 웹사이트 What are slums and why do they exist? http://www.unhabitat[...] UN-Habitat 2007-04-01
[49] 서적 Spontaneous Shelter: International Perspectives and Prospects Temple University Press 1988-01-01
[50] 웹사이트 Assessing Slums in the Development Context http://www.unhabitat[...] United Nations Habitat Group 2013-09-16
[51] 논문 Renewing Socialist Development in the Third World
[52] 서적 Slum Cities and Cities with Slums" States of the World's Cities 2008/2009 UN-Habitat
[53] 뉴스 Papua New Guinea: police cite bride price major factor in marital violence http://www.violencei[...] 2014-08-06
[54] 웹사이트 An exploratory study of bride price and domestic violence in Bundibugyo District, Uganda http://www.mrc.ac.za[...] Centre for Human Rights Advancement (CEHURA) and South African Medical Research Council 2014-08-06
[55] 서적 Female Genital Mutilation/Cutting: A statistical overview and exploration of the dynamics of change http://www.unicef.or[...] UNICEF 2013-11-18
[56] 서적 Sex & social justic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57] 서적 Council of Europe Convention on preventing and combating violence against women and domestic violence https://rm.coe.int/1[...] 2017-10-08
[58] 뉴스 The Gambia bans female genital mutilation https://www.theguard[...] 2016-05-09
[58] 뉴스 History has been made: female genital mutilation banned in Nigeria http://aplus.com/a/n[...] 2016-05-09
[58] 서적 Female genital mutilation (FGM)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unfpa.org[...]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16-05-09
[59]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Ending violence against women https://www.unwomen.[...] 2020-09-26
[60] 논문 Health Policy and System Research in Global South: Bridging the Gap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http://ejournalsyste[...] 2020-09-23
[61] 논문 The Intimate Link Between Income Levels and Life Expectancy: Global Evidence from 213 Years* https://doi.org/10.1[...] 2022-04-14
[62] 논문 Life expectancy in less developed countries: socioeconomic development or public health? https://pubmed.ncbi.[...] 2022-04-14
[63] 논문 Why do some countries do better or worse in life expectancy relative to income? An analysis of Brazil, Ethiopi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20-11-10
[64] 논문 Infectious Diseases: Considerations for the 21st Century https://doi.org/10.1[...] 2022-04-14
[65] 논문 Maternal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A Primer https://www.commonwe[...] 2022-04-14
[66] 논문 Correlates of maternal mortality in developing countries: an ecological study in 82 countries 2017-11-07
[67] 웹사이트 Latest child mortality estimates reveal world remains off track to meet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https://www.worldban[...] 2022-04-14
[68] 웹사이트 In poor countries birth spacing affects infant mortality https://www.mpg.de/1[...] 2022-04-14
[69] 논문 When and Where Birth Spacing Matters for Child Survival: An International Comparison Using the DHS https://doi.org/10.1[...] 2022-04-14
[70] 논문 Poverty and access to health care in developing countries 2008-01-01
[71] 논문 Whole Inactivated Virus and Protein-Based COVID-19 Vaccines 2022-01-27
[72] 서적 World Hunger Routledge Introductions to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
[73] 간행물 Developmental Potential in the First 5 Years for Children in Developing Countries https://www.ncbi.nlm[...] 2014-11-28
[74] 논문 Evidence-based interventions for improvement of maternal and child nutrition: what can be done and at what cost? 2013-08
[75] 웹사이트 Progress For Children: A Report Card On Nutrition http://www.unicef.or[...] UNICEF 2018-04-23
[76] 웹사이트 Environment and health in developing countrie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09-08
[77] 논문 The economic burden of illness for households in developing countries: a review of studies focusing on malaria, tuberculosis, and human immunodeficiency virus/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2004
[78] 웹사이트 Key facts from JMP 2015 report https://www.who.int/[...]
[79] 웹사이트 WHO Lack of sanitation for 2.4 billion people is undermining health improvements https://www.who.int/[...]
[80] 웹사이트 Progress on Drinking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2017 Update and SDG Baselines https://washdata.org[...]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d the United Nations Children's Fund (UNICEF) 2017
[81] 웹사이트 People practicing open defecation (% of population) – Indonesia, Nigeria, Niger, Ethiopia, Sudan, India, Pakistan https://data.worldba[...] The World Bank
[82] 논문 Energy. Deploying off-grid technology to eradicate energy poverty 2012-10
[83] 웹사이트 Power for the People http://www.ausaid.go[...]
[84] 웹사이트 Energy for Development: The Potential Role of Renewable Energy in Meeting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http://www.worldwatc[...]
[85] 웹사이트 China Climate Change Info-Net http://en.ccchina.go[...]
[86] 뉴스 Investing in Tomorrow's Liquid Gold https://finance.yaho[...] Yahoo 2006-04-19
[87] 뉴스 World Water Day: A Billion People Worldwide Lack Safe Drinking Water http://environment.a[...] About.com 2006-03-26
[88] 웹사이트 An overview of diarrhea, symptoms, diagnosis and the costs of morbidity http://inclentrust.o[...]
[89] 뉴스 China says water pollution so severe that cities could lack safe supplies http://www.chinadail[...] Chinadaily.com.cn 2005-06-07
[90] 뉴스 As China Roars, Pollution Reaches Deadly Extremes https://www.nytimes.[...] 2007-08-26
[91] 웹사이트 习近平:绿水青山就是金山银山_新华网 http://www.xinhuanet[...]
[92] 웹사이트 "煤改气"是碳达峰的重要一环,需求有望超预期! http://www.fcgs.gov.[...]
[93] 논문 Indoor air pollu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 major environmental and public health challenge 2000
[94] 논문 Indoor air pollution, health and economic well-being http://sapiens.revue[...]
[95] 웹사이트 Burden of disease from Indoor Air Pollution for 2012 https://www.who.int/[...] WHO 2014-03-24
[96] 논문 The health impacts of exposure to indoor air pollution from solid fuels in developing countries: knowledge, gaps, and data needs 2002-11
[97] 논문 Indoor air pollution, health and economic well-being http://sapiens.revue[...]
[98] 웹사이트 GISS Surface Temperature Analysis (v4) https://data.giss.na[...]
[99] 논문 Near-term Climate Change: Projections and Predictability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0] 웹사이트 Developed Countries Are Responsible for 79 Percent of Historical Carbon Emissions https://www.cgdev.or[...]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2015-08-18
[101] 웹사이트 The Economics of Biodiversity: The Dasgupta Review Headline Messages https://assets.publi[...] UK Government Official Documents 2021-02
[102] 웹사이트 Australia, the US and Europe are climate 'free-riders': it's time to step up https://theconversat[...] 2016-02-05
[103] 서적 Climate vulnerability monitor : a guide to the cold calculus of a hot planet DARA 2012
[104] 웹사이트 A plan for the long haul to contribute finance to the European Green Deal https://www.eib.org/[...]
[105] 웹사이트 Climate vulnerability monitor 2010: the state of the climate crisis – Documents & Publications – Professional Resources http://www.preventio[...] PreventionWeb.net
[106] 웹사이트 Climate finance is in "a terrible sense of limbo", says IIED expert Saleemul Huq https://www.dandc.eu[...] 2012-10-12
[107] 서적 International Adaptation Finance: The Need for an Innovative and Strategic Approach 4 (Oxford Institute for Energy Studies, Working Paper) http://www.eed.de/fi[...] Oxford Institute for Energy Studies 2012-02-29
[108] 뉴스 Climate change will determine humanity's destiny, says Angela Merkel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7-11-15
[109] 간행물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achievement of the post-2015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http://cdkn.org/wp-c[...] CDKN & HR Wallingford 2015-05-00
[110] 서적 Managing social risks: Empower communities to protect themselves http://siteresources[...] The World Bank 2018-03-27
[111] 서적 Groundswell : Preparing for Internal Climate Migration https://openknowledg[...] World Bank 2018-00-00
[112] 논문 Bangladesh launches climate change action plan http://dx.doi.org/10[...] 2008-09-11
[113] 뉴스 Bangladesh global leader in fighting climate change https://bangladeshpo[...] 2019-07-09
[114] 뉴스 Hamid for active role in climate change adaptation https://thedailystar[...] 2019-07-10
[115] 잡지 How Climate Change Is Spurring Land Conflict in Nigeria https://time.com/532[...] 2018-06-28
[116] 뉴스 The battle on the frontline of climate change in Mali https://www.bbc.com/[...] 2019-01-22
[117] 뉴스 The Deadliest Conflict You've Never Heard of https://www.foreigna[...] 2019-01-23
[118] 웹사이트 The Sahel in flames https://www.thenewhu[...] 2019-05-31
[119] 뉴스 Climate change, food shortages, and conflict in Mali https://www.aljazeer[...] 2015-04-27
[120] 웹사이트 Political factors that affect development https://earthbound.r[...] 2007-07-01
[121] 논문 Trade Orientation, Distortions and Growth In Developing Countries
[122] 간행물 Republic of Armenia Anti-Corruption strategy and Implementation Action Plan https://www.gov.am/f[...] Republic of Armenia 2003-00-00
[123] 논문 Openness and Growth: A Time-series, Cross-country Analysis for Developing Countries https://repository.u[...] 1996-00-00
[124] 논문 Pathways to Change: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125] 웹사이트 Aid for Trade –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http://www.oecd.org/[...] 2020-09-10
[126] 웹사이트 Goal 17: Partnerships for the Goals https://www.globalgo[...] 2020-09-27
[127]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WEO Groups and Aggregates Information, April 2023 https://www.imf.org/[...] 2023-04-16
[128] 웹사이트 World Bank Open Data https://data.worldba[...] 2023-05-25
[129] 웹사이트 World Bank Open Data https://data.worldba[...] 2023-05-25
[130] 웹사이트 IMF Advanced Economies List. World Economic Outlook, May 1998, p. 134 http://www.imf.org/e[...] 2000-08-18
[131] 웹페이지
[132]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April 2001, p.157 http://www.imf.org/e[...] 2001-09-13
[133]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April 2007, p.204 http://www.imf.org/e[...] 2011-11-05
[134]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April 2008, p.236 http://www.imf.org/e[...] 2011-05-16
[135]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April 2009, p.184 http://www.imf.org/e[...] 2011-11-14
[136] 웹사이트 World Bank Marks Czech Republic's Graduation to 'Developed' Status http://www.radio.cz/[...] Radio Prague 2006-02-28
[137]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April 2011, p.172 http://www.imf.org/e[...] 2011-05-06
[138]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April 2014, p.160 http://www.imf.org/e[...] 2014-04-08
[139]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April 2015, p.48 http://www.imf.org/e[...] 2015-04-13
[140]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 Changes to the Database https://www.imf.org/[...] 2017-12-29
[141]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 Changes to the Database https://www.imf.org/[...] 2023-04-17
[142]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October 2012, p.180 http://www.imf.org/e[...] 2016-08-04
[143]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April 2016, p.148 http://www.imf.org/e[...] 2016-06-25
[144] 웹사이트 Dependency Theory: A Useful Tool for Analyzing Global Inequalities Today? https://www.e-ir.inf[...] 2020-02-21
[145] 논문 An unseen world: How the media portrays the poor https://unesdoc.unes[...] 2001-11
[146] 언어
[147] 언어
[148] 웹사이트 https://www.sankei.c[...] 2023-12-30
[149] 언어
[150] 웹사이트 Country and Lending Groups http://data.worldban[...]
[151] 위키
[152] 위키
[153] 위키
[154] 위키
[155] 위키
[156] 위키
[157] 위키
[158] 위키
[159] 웹사이트 Memorandum on Reforming Developing-Country Status in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https://www.whitehou[...] 2019-07-27
[160] 간행물 Declaration by the Group of 77 and China on the FourthWTO Ministerial Conference at Doha, Qatar Group of 77 and China 2001-10-22
[161] 간행물 Declaration by the Group of 77 and China on the FifthWTO Ministerial Conference Group of 77 and China
[162] 웹사이트 「発展途上国」中国と「大国」中国 http://ieei.or.jp/20[...] 2024-01-29
[163] 서적 China’s Climate Policy Routledge 2012
[164] 웹인용 World Economic and Financial Surveys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WEO Groups and Aggregates Information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2-06-02
[165] 웹사이트 Least Developed Countries https://www.un.org/d[...]
[166] 웹사이트 https://www.kita.net[...]
[167] 웹사이트 https://www.hani.co.[...]
[168] 웹사이트 Europe & Central Asia (developing only) | Data http://data.worldban[...] 2013-07-12
[169] 웹인용 World Economic Outlook, April 2014, p.160-163 http://www.imf.org/e[...] 2014-05-21
[170]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