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남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남채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1919년 3·1 운동에 참여하여 투옥되었으며, 베이징 대학을 졸업하고 계성중학교 교감, 조선기독교장로회 회장을 역임했다. 해방 후 치안유지위원회 위원장, 임시정부 경상북도 내무부장 등을 지냈으며, 제헌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1949년에는 축첩 공무원 추방을 건의하기도 했다. 1977년 독립운동 공로를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을 받았고, 1990년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협성중학교 동문 - 조원진
조원진은 한국외대 졸업 후 대우그룹에서 근무하다 2008년 국회의원으로 정치에 입문하여 3선 의원을 지냈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며 대한애국당을 창당했으나 21대 총선에서 낙선, 막말 논란 등 사회적 논쟁을 일으킨 정치인이다. - 협성중학교 동문 - 강윤성 (축구 선수)
강윤성은 대구공고 주장으로 전국체전 준우승 후 대전 시티즌과 제주 유나이티드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했으며, U-20 및 U-23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활동하며 2020년 AFC U-23 챔피언십 우승에 기여한 축구 선수이다. - 달성군 출신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달성군 출신 - 추경호
추경호는 경상북도 달성군 출생으로 고려대학교와 미국 오리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행정고시 합격 후 경제 관료로 활동하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국무조정실장 등을 역임하고 제20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현재 국민의힘 원내대표이다. - 3·1 운동 관련자 - 유관순
유관순은 3·1 운동 당시 서울과 천안에서 독립운동을 주도하고 아우내 장터 만세 운동을 이끌었으며, 옥중에서도 독립 만세를 외치다 순국하여 한국 독립운동의 상징으로 기억되지만, 삶과 업적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 3·1 운동 관련자 - 이상재
이상재는 조선 말기 개화파 관료이자 일제강점기 교육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독립협회, YMCA, 조선일보, 신간회 등에서 활동하며 민족운동을 이끌고 청년 교육과 계몽에 헌신한 월남 이색의 후손이다.
백남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백남채 |
한자 표기 | 白南埰 |
출생일 | 1888년 1월 1일 |
출생지 | 조선 경상도 |
사망지 | 알 수 없음 |
본관 | 수원 백씨 |
정치 경력 | |
정당 | 알 수 없음 |
의원 선수 | 알 수 없음 |
의원 대수 | 알 수 없음 |
기타 정보 | |
학력 | 알 수 없음 |
직업 | 알 수 없음 |
경력 | 알 수 없음 |
부모 | 알 수 없음 |
형제 | 알 수 없음 |
배우자 | 알 수 없음 |
자녀 | 알 수 없음 |
군 복무 | 알 수 없음 |
종교 | 알 수 없음 |
상훈 | 알 수 없음 |
2. 생애
1918년 대구 계성학교 교감 및 이사장으로 활동했으며,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서병우, 홍주일, 이만집, 김마리아 등과 시위운동을 계획하다 발각되어 2년 간 복역하였다.[4][1] 베이징 대학을 졸업했고 계성중학교 교감, 조선기독교장로회 회장을 역임했다.[2]
출옥 후에는 희도보통학교(현 대구종로초등학교)의 다른 학교와의 합병 및 설립에 관여하여 동교 교장, 대구 요업 주식회사의 사장을 역임했다.[1]
1945년 해방 후 백남채는 치안유지위원회 위원장, 임시정부 경상북도 내무부장, 대한민국 민주당 대구지부 부위원장을 역임했다.[2] 과도입법의원을 거쳐[2] 제1대 국회의원 선거에 대한민국 민주당 공천으로 대구 병구에서 입후보하여 제헌국회의원이 되었다.[2] 재임 중 1949년 동료의원 9명과 함께 축첩공무원 추방에 대한 의견을 이승만 대통령에게 건의하기도 했다.[4][1] 1950년에 사망했다.[1]
1977년에는 독립운동에 대한 공적이 인정되어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었으며, 1990년에는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1992년 7월 8일 대전의 국립묘지로 이장되었다.[1]
2. 1. 독립운동과 투옥 (1919년 ~ 1921년)
1918년 대구 계성학교 교감 및 이사장으로 활동했으며,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서병우, 홍주일, 이만집, 김마리아 등과 시위운동을 계획하다 발각되어 2년 간 복역하였다.[4][1] 출옥 후에는 희도보통학교(현 대구종로초등학교)의 다른 학교와의 합병 및 설립에 관여하여 동교 교장, 대구 요업 주식회사의 사장을 역임했다.[1]2. 2. 해방 전 교육 및 기업 활동 (1921년 ~ 1945년)
1918년 대구 계성학교 교감 및 이사장으로 활동했으며,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서병우, 홍주일, 이만집, 김마리아 등과 시위운동을 계획하다 발각되어 2년 간 복역하였다.[1][2] 출옥 후에는 희도보통학교(현 대구종로초등학교)의 다른 학교와의 합병 및 설립에 관여하여 동교 교장, 대구 요업 주식회사의 사장을 역임했다.[1]2. 3. 해방 후 정치 활동 (1945년 ~ 1950년)
1945년 해방 후 백남채는 치안유지위원회 위원장, 임시정부 경상북도 내무부장, 대한민국 민주당 대구지부 부위원장을 역임했다.[2] 과도입법의원을 거쳐[2] 제1대 국회의원 선거에 대한민국 민주당 공천으로 대구 병구에서 입후보하여 제헌국회의원이 되었다.[2] 재임 중 1949년 동료의원 9명과 함께 축첩공무원 추방에 대한 의견을 이승만 대통령에게 건의하기도 했다.[4][1]3. 학력
4. 경력
경상북도 경산[1] 또는 대구 출신[2]이다. 베이징 대학을 졸업했다. 계성중학교 교감, 조선기독교장로회 회장을 역임한 후[2], 서병우, 홍주일, 이만집, 김마리 등과 함께 대구의 3·1 만세 운동에 참여하여 체포되어 2년간 투옥되었다[1]。
출옥 후에는 희도보통학교(현 대구종로초등학교)의 다른 학교와의 합병 및 설립에 관여하여 동교 교장, 대구 요업 주식회사의 사장을 역임했다[1]。 해방 후에는 치안유지위원회 위원장, 임시정부 경상북도 내무부장, 대한민국 민주당 대구지부 부위원장,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의원 등을 역임했으며, 제1대 국회의원 선거에 대한민국 민주당 공천으로 대구 병구에서 입후보하여 당선되어 국회의원이 되었다[2]。 1949년에는 동료 의원 99명과 함께 첩을 둔 공무원의 추방에 대한 의견을 대통령 이승만에게 제안했다[1]。 1950년에 사망했다[1]。
1977년에는 독립운동에 대한 공적이 인정되어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었으며, 1990년에는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1992년 7월 8일 대전의 국립묘지로 이장되었다[1]。
5. 사후
1977년 독립운동 경력이 인정되어 대통령표창이 추서되었다.[4] 1990년에는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1992년 7월 8일 대구에서 대전국립묘지 애국지사 묘역으로 이장되었다.[4]
6. 역대 선거 결과
wikitable
6. 1.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백남채는 1948년 총선에서 한국민주당 후보로 경북 대구부 병 선거구에 출마하여 9,876표를 얻어 당선되었다. 득표율은 46.41%였다.6. 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백남채는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시 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2,779표를 얻어 7.78%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5위로 낙선하였다.참조
[1]
웹사이트
백남채(白南埰)
http://encykorea.aks[...]
2023-02-01
[2]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02-01
[3]
웹사이트
(25)수원 백씨(水原白氏)-316,535명
http://www.seoulecon[...]
2014-08-07
2023-02-01
[4]
문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