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번조는 후한 말기의 인물로, 동탁 세력의 일원으로서 장안을 점령하고 이각, 곽사와 함께 헌제를 옹립하며 권력을 행사했다. 그는 금성군 출신으로 동탁 사후 이각, 곽사와 함께 왕윤과 여포를 격파하고 장안을 탈환하는 데 기여했다. 이후 중랑장, 우장군을 거쳐 만년후에 봉해지며 이각, 곽사와 함께 조정의 실세가 되었으나, 마등과의 전투에서 한수를 놓아준 일로 이각의 의심을 사 195년에 암살당했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동탁 세력의 일원으로서 묘사되며, 이각, 곽사, 장제와 함께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년 사망 - 이몽 (후한)
후한 말 동탁을 섬긴 무장 이몽은 반동탁 연합군 토벌에 가담하고 동탁 사후 이각, 곽사와 함께 장안을 공격하여 왕윤 정권을 무너뜨렸으나, 195년 무군중랑장 재직 중 이각에게 살해당했다. - 195년 사망 - 사손서
후한 말기의 관료 사손서는 학문이 뛰어났으며 왕윤의 동탁 제거 계획에 가담하여 동탁 암살 조서 위조에 기여했고, 대사농에 임명되었으나 이각에게 살해당한 후 헌제가 그의 공을 기려 아들을 제후에 봉했다. - 동탁과 주변 인물 - 왕윤
왕윤은 후한 말 관료로서 동탁 암살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황건적의 난 진압에도 공을 세웠으나, 동탁 제거 후 잔당의 반란으로 헌제를 지키다 가족과 함께 죽임을 당한, 뛰어난 능력과 충절에도 불구하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이다. - 동탁과 주변 인물 - 여포
여포는 후한 말, 뛰어난 무용을 지녔으나 변덕과 배신으로 부정적 평가를 받은 무장으로, 정원과 동탁을 배신하고 여러 군벌을 전전했으며 조조에게 패배해 처형당했고,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맹장으로, 초선과의 로맨스와 함께 다양한 모습으로 재해석된다. - 후한의 장군 - 동탁
동탁은 후한 말 군벌로, 폭정과 권력 찬탈을 시도했으며, 소제를 폐위하고 헌제를 옹립하여 상국에 올랐으나 여포에게 암살당했으며, 독재와 폭정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 후한의 장군 - 손견
손견은 후한 말의 군벌이자 오나라의 시조이며 손책과 손권의 아버지로, 황건적의 난 진압 등 공을 세웠고 반동탁 연합군에 참여하여 낙양 함락에 기여했으나, 향양 전투 중 전사했으며, 뛰어난 무력과 리더십으로 인정받는 동시에 과감한 성격으로 비판받기도 하는 인물이다.
번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번조 |
한자 표기 | 樊稠 |
사망일 | 195년 음력 2월 |
사망지 | 장안 |
사망 원인 | 타살 |
직업 | 장군 |
관직 및 작위 | |
경력 | 중랑장 → 우장군 |
작위 | 만년후 |
소속 | |
관련 활동 | 동탁 사후 정권 장악 |
적수 | 이각 |
관련 인물 | 동탁 |
기타 | |
![]() |
2. 생애
번조는 금성군 출신으로 동탁의 부하로 경력을 시작했다. 189년부터 192년까지 동탁 휘하에서 복무하며 세력을 키웠다. 192년 장안에서 동탁이 암살된 후, 이각과 곽사가 이끄는 동탁 추종자 무리에 합류하여 왕윤과 여포로부터 장안을 탈환하고, 한나라 중앙 정부와 헌제를 장악했다. 이 무렵 번조는 중랑장[4]으로 승진했다.
192년(초평 3년), 이각, 곽사, 장제 등이 장안으로 진격해 헌제를 수중에 넣고, 번조는 중랑장[4]을 거쳐 우장군, 만년후(萬年侯)[5]에 올라 거기장군 이각, 후장군 곽사와 함께 조정을 쥐락펴락하였다.[3]
194년(흥평 원년), 마등이 식량 부족을 이유로 시중(侍中) 마우(馬宇), 좌중랑장[8] 유범(劉範), 전양주자사 충소(种劭), 중랑장 두품(杜稟) 등과 함께 이각 연립 정권을 몰아내려 했다. 한수는 처음에는 화해를 주선했으나, 결국 마등과 합세했다. 번조는 이각의 조카 이리와 곽사 등과 함께 이들을 격파하고 괴리(槐里, 지금의 산시성 싱핑 시)까지 함락시켰으며[9], 충소, 유범 등 만여 명을 베었고, 마등과 한수는 양주로 달아났다.
한수는 번조에게 "천하가 혼란에 빠져 앞일을 알 수 없는데, 동향 사람끼리 사적인 원한도 없고 사소한 차이만 있을 뿐이니 서로 좋게 얘기하고 나중에 다시 볼 수도 있지 않겠소."라는 메시지를 전했다.[10] 이에 번조는 한수와 만나 말을 탄 채 팔을 맞대고 한참을 웃으며 대화한 후 돌아갔다. 당초 전투에 최선을 다하지 않아 번조에게 질책받았던[11] 이리는 이 대화 내용을 알 수 없었으나, 둘이 친밀해 보였다고 이각에게 보고했다. 이 때문에 이각은 번조가 다른 뜻을 품은 것이 아닌가 의심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번조는 쭤핑이 (左馮翊, 현재의 산시성따리현 일대)에서 강족 반란군을 격파하고 우장군(右將軍)으로 승진했다.[2]
195년 2월(음력)[9], 번조는 이각에게 살해당했다.[9] 번조의 죽음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 '''회의 중 살해 설''': 구주춘추에 따르면, 이리의 모함으로 번조를 의심한 이각이 회의 자리에서 번조를 살해했다.[9]
- '''술 취한 틈을 타 암살 설''': 헌제기에 따르면, 이각은 번조의 용맹함과 부하들의 신망을 두려워하여, 번조가 술에 취한 틈을 타 부하인 기도위 호봉을 시켜 암살했다.[9]
어느 쪽이든, 번조의 죽음은 이각 세력의 자멸을 불렀다.[9]
2. 1. 초기 경력
금성군 출신으로 동탁의 부하로 활동하며 경력을 시작했다. 189년부터 192년까지 동탁 휘하에서 복무하며 세력을 키웠다.192년 5월 장안에서 동탁이 암살된 후, 이각과 곽사가 이끄는 동탁의 추종자 무리에 합류하여 왕윤과 여포로부터 장안을 탈환했다. 이각과 곽사는 이후 동탁과 마찬가지로 한나라 중앙 정부와 헌제를 장악했다. 이 무렵 그들은 번조를 중랑장[4]의 직위로 승진시켰다.
2. 2. 장안 전투와 권력 장악
192년(초평 3년) 동탁이 왕윤, 여포 무리에게 주살당했다. 사면도 거부당한 이각, 곽사, 장제 등은 장안으로 진격해왔다. 번조도 그중 하나였다. 결국 장안과 헌제를 수중에 넣고 중랑장[4]을 거쳐 우장군, 만년후(萬年侯)[5]에 올라 거기장군 이각, 후장군 곽사와 함께 조정을 쥐락펴락하였다.[3]2. 3. 마등과의 전투
194년(흥평 원년), 마등이 식량 부족을 이유로 시중(侍中) 마우(馬宇), 좌중랑장[8] 유범(劉範), 전양주자사 충소(种劭), 중랑장 두품(杜稟) 등과 함께 이각 연립 정권을 몰아내려 했다. 한수는 처음에는 화해를 주선했으나, 결국 마등과 합세했다. 번조는 이각의 조카 이리와 곽사 등과 함께 이들을 격파하고 괴리(槐里, 지금의 산시성 싱핑 시)까지 함락시켰다.[9] 이 과정에서 충소, 유범 등 만여 명을 베었고, 마등과 한수는 양주로 달아났다.한수는 번조에게 사람을 보내 "천하가 혼란에 빠져 앞일을 알 수 없는데, 동향 사람끼리 사적인 원한도 없고 사소한 차이만 있을 뿐이니 서로 좋게 얘기하고 나중에 다시 볼 수도 있지 않겠소."라는 메시지를 전했다.[10] 이에 번조는 한수와 만나 말을 탄 채 팔을 맞대고 한참을 웃으며 대화한 후 돌아갔다.
당초 전투에 최선을 다하지 않아 번조에게 질책받았던[11] 이리는 이 대화 내용을 알 수 없었으나, 둘이 친밀해 보였다고 이각에게 보고했다. 이 때문에 이각은 번조가 다른 뜻을 품은 것이 아닌가 의심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번조는 쭤핑이 (左馮翊, 현재의 산시성따리현 일대)에서 강족 반란군을 격파하고 우장군(右將軍)으로 승진했다.[2]
2. 4. 권력 다툼과 죽음
192년 장안에서 동탁이 암살된 후, 번조는 이각과 곽사가 이끄는 동탁 추종자 무리에 합류하여 왕윤과 여포로부터 장안을 탈환했다.[2] 이각과 곽사는 이후 동탁과 마찬가지로 한나라 중앙 정부와 헌제를 장악했다.[2] 이 무렵 번조는 중랑장(中郎將)으로 승진했다.[2]194년, 마등이 이각과 곽사를 공격하자, 번조는 군대를 이끌고 창평관(長平關)에서 격파했다.[2] 이 과정에서 번조는 이각의 조카 이리(李利)가 최선을 다하지 않는다고 꾸짖었고, 이리는 이에 앙심을 품었다.[2] 이후 이리는 이각에게 번조가 한수와 모반을 꾀한다고 모함했다.[2]
번조는 우장군으로 승진하여[2] 이각, 곽사와 함께 권력을 쥐었으나, 이각은 번조를 더욱 의심하게 되었다.[2] 195년 2월(음력)[9], 번조는 이각에게 살해당했다.[9] 번조의 죽음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 '''회의 중 살해 설''': 구주춘추에 따르면, 이리의 모함으로 번조를 의심한 이각이 회의 자리에서 번조를 살해했다.[9]
- '''술 취한 틈을 타 암살 설''': 헌제기에 따르면, 이각은 번조의 용맹함과 부하들의 신망을 두려워하여, 번조가 술에 취한 틈을 타 부하인 기도위 호봉을 시켜 암살했다.[9]
어느 쪽이든, 번조의 죽음은 이각 세력의 자멸을 불렀다.[9]
3. 삼국지연의 묘사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서량에 있던 동탁이 환관을 주살하려는 하진의 부름에 응해 낙양으로 나서는 장면에서 이각, 곽사, 장제, 번조 4인방 세트가 이를 수행하는 것으로 첫 등장한다.[1] 동탁이 왕윤 무리에게 속아 선양을 받는 줄 알고 궁궐로 들어갈 때 4인방은 미오(郿塢)에서 대기하다가 동탁이 죽자 양주로 도피한다.[1] 사면이 거부당한 4인방은 가후의 진언에 따라 장안으로 쳐들어가고 여포가 맞서온다.[1] 이각이 작전을 구사하여 이각·곽사군이 여포군을 상대로 치고 빠지기를 반복하는 동안 장제·번조군이 장안을 직공해, 결국 여포를 패퇴시키고 장안을 점령한다.[1] 헌제를 시해하려는 이각과 곽사를 장제와 번조가 말린다.[1] 4인방은 마등과 한수의 장안 공성도 가후의 계책에 따라 지구전으로 물리친다.[1] 번조는 한수를 추격하다가 놓아준 것이 책잡혀 이각에게 목숨을 잃고 남은 군사는 장제에게 넘어간다.[1]
참조
[1]
간행물
Book of the Later Han
195-03-02
[2]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https://books.google[...]
Brill
2006
[3]
문서
後漢書
[4]
문서
후한서
[5]
문서
삼국지
[6]
문서
삼국지
[7]
문서
전략
[8]
문서
후한서
[9]
문서
헌제기
[10]
문서
구주춘추
[11]
문서
후한기
[12]
문서
헌제기거주
[13]
문서
후한서
[14]
문서
후한서
[15]
문서
헌제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