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록스시파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록스시파카(Verreaux's sifaka, 학명: *Propithecus verreauxi*)는 마다가스카르 남부, 남서부, 서부에 분포하는 인드리과에 속하는 영장류이다. 몸길이는 39~50cm, 꼬리 길이는 47.5~60cm이며, 몸무게는 3~4.5kg이다. 건조림, 강변림 등에서 2~12마리의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잎, 꽃, 열매 등을 먹는 주행성 동물이다. 멸종 위기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드리과 - 반데르데켄시파카
- 인드리과 - 시파카
시파카는 마다가스카르에 서식하는 인드리과의 중간 크기 영장류로, 긴 털과 꼬리를 가지고 수직으로 이동하며 잎, 꽃, 열매를 먹고 무리 생활을 하며 숲 파괴로 생존이 위협받고 있다. - 1867년 기재된 포유류 - 남극밍크고래
남극밍크고래는 남극해를 중심으로 남반구에 서식하는 수염고래로, 북방쇠정어리고래와는 다른 종이며, 일반 밍크고래와 형태적 차이를 보이고 크릴을 주식으로 하며, 범고래가 주요 천적이고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1867년 기재된 포유류 - 산양
산양은 험준한 산악 지형에 서식하며 2~5마리씩 무리 생활을 하는 우제목/경우제목 소과의 포유류로, 한반도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베록스시파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ropithecus verreauxi |
명명자 | A. 그랑디디에, 1867년 |
화석 범위 | 플라이스토세 - 현재 |
멸종 위기 등급 (IUCN 3.1) | CR |
CITES | 부속서 I |
동의어 | majori (Rothschild, 1894) verreauxoides (Lamberton, 1936) |
분포 | 베로시파카 분포 지도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아목 | 곡비원아목 |
하목 | 여우원숭이하목 |
상과 | 여우원숭이상과 |
과 | 인드리과 |
아과 | 인드리아과 |
속 | 시파카속 |
종 | 베로시파카 (P. verreauxi) |
일반 정보 | |
영어 이름 | Verreaux's sifaka |
2. 분포
마다가스카르 남부, 남서부, 서부[29]
베록스시파카는 온몸이 주로 흰색 털로 덮여 있고, 정수리 부분은 검은색이나 초콜릿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32] 두개골은 상대적으로 낮고 평평하며, 얼굴은 다른 대부분의 인드리과 동물보다 넓지만 주둥이는 짧다.[6] 독특한 치열을 가지는데, 특히 아래턱에는 원숭이아목의 특징인 치아빗(toothcomb) 구조가 나타나며 잎, 과일, 꽃 등을 먹기에 적합한 어금니를 지녔다.[6] 몸통 골격은 넓은 흉곽과 많은 수의 허리뼈 덕분에 유연성이 뛰어나며, 사지 지수는 63-66 범위로 낮은 편이다. 골반은 높고 좁으며, 볼기뼈절구가 얕아 유연성을 더한다. 다른 인드리과 동물처럼 짧은 발꿈치뼈, 뾰족한 발톱, 약간 물갈퀴가 있는 손과 발을 가지고 있다.[6]
3. 형태
3. 1. 몸길이 및 체중
몸길이는 39cm에서 50cm 사이이다.[32][5] 꼬리 길이는 47.5cm에서 60cm 사이이다.[32][5] 체중은 3kg에서 4.5kg 범위이다.[32] 암컷 성체의 평균 무게는 3.4kg, 수컷 성체는 3.6kg이다.[5]
3. 2. 털과 색깔
몸길이는 39cm~50cm이다. 꼬리 길이는 47.5cm~60cm이다. 체중은 3kg~4.5kg이다. 온몸은 흰색 털로 덮여 있으며, 정수리 부분은 검은색이나 초콜릿색을 띤다.[32]
3. 3. 치아
베록스시파카는 독특한 치아 배열을 가지고 있다. 치열은 위턱에 앞니 2개, 송곳니 1개, 작은어금니 2개, 큰어금니 3개가 있고, 아래턱에는 앞니 2개, 송곳니 0개, 작은어금니 2개, 큰어금니 3개가 배열된 형태이다. 위쪽 앞니는 매우 작으며, 첫 번째 앞니(I1)와 두 번째 앞니(I2) 사이의 틈을 향해 약간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아래턱에는 원숭이아목의 특징인 치아빗(toothcomb)이 나타난다. 이 치아빗은 앞으로 돌출된 아래 앞니와 송곳니로 구성되어 입 앞 가장자리 너머로 튀어나와 있다. 또한 베록스시파카는 잎, 과일, 꽃 등을 찢는 데 유리하도록, 잎을 먹는 동물에게서 흔히 보이는 높게 솟은 어금니 능선(molar crest)을 가지고 있다.[6]
3. 4. 골격
베록스시파카는 상대적으로 낮고 평평한 뇌 상자를 가지고 있다. 얼굴은 다른 대부분의 인드리과 동물보다 넓지만 주둥이는 짧다. 이 종의 시파카는 또한 독특한 치아 배열로 구별된다. 치열은 위턱에 2개의 앞니, 1개의 송곳니, 2개의 작은어금니, 3개의 큰어금니가 있고, 아래턱에는 2개의 앞니, 0개의 송곳니, 2개의 작은어금니, 3개의 큰어금니가 있는 형태이다. 위쪽 앞니는 매우 작고 첫 번째 앞니(I1)와 두 번째 앞니(I2) 사이의 틈을 향해 약간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아래턱에서는 원숭이아목의 특징인 치아빗 구조를 보인다. 앞으로 튀어나온 아래 앞니와 송곳니로 형성된 치아빗은 입 앞 가장자리를 지나 튀어나온다. 베록스시파카는 또한 잎, 과일, 꽃을 찢는 데 도움이 되는, 잎을 먹는 동물의 특징인 높은 절단 능력을 가진 어금니를 가지고 있다.
몸통뼈의 경우, 베록스시파카는 63-66 범위의 낮은 사지 지수를 갖는다. 대부분의 다른 영장류보다 더 넓은 흉곽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수의 허리뼈(요추뼈)를 가지고 있어 상당한 유연성을 제공한다. 골반은 높고 좁으며, 볼기뼈절구(비구)는 상대적으로 얕아 유연성을 높여준다. 다른 인드리과 동물과 마찬가지로 베록스시파카는 짧은 발꿈치뼈(종골), 뾰족한 발톱, 약간 물갈퀴가 있는 손과 발을 가지고 있다.[6]
4. 생태
건조림, 강변림 등 다양한 숲 환경에 서식한다.[29] 주행성 동물로,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며 2마리에서 12마리 정도의 작은 무리를 이루어 산다.[29] 나무 사이를 능숙하게 뛰어다니며 이동하고, 땅 위에서는 옆으로 뛰는 독특한 방식으로 움직인다.
식성은 초식성으로, 주로 식물의 잎, 꽃, 열매 등을 먹는다.[29] 물은 땅에 내려와 직접 마시기보다는 식물이나 이슬을 통해 섭취한다.[29]
번식 방식은 태생이다. 주로 1월에서 2월 사이에 교미하며, 약 155일에서 165일의 임신 기간을 거쳐 6월에서 7월경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29] 새끼는 생후 3년에서 5년 정도 지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29]
4. 1. 서식지
건조림, 강변림 등에 서식한다.[29]
4. 2. 생활 방식
베록스시파카는 건조림이나 강변림 등지에 서식하며, 주행성이고 수목 생활을 하는 동물이다.[29]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하며, 팔다리를 뻗어 일광욕을 즐기기도 한다. 나무 사이를 이동할 때는 주로 수직으로 매달리거나 뛰어다니는 방식을 이용하며, 때로는 9m에서 10m에 달하는 놀라운 거리를 도약하기도 한다.[8][9] 땅 위에서는 두 발로 옆으로 통통 튀듯이 이동하는데, 이때 앞다리와 꼬리로 균형을 잡는다.[8][9][29]
보통 2마리에서 12마리 정도의 작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무리는 한 쌍의 암수로 구성되거나 여러 마리의 암수가 섞여 있기도 하며, 전체적으로 수컷의 비율이 약간 높은 경향이 있다.[10][11] 일부 무리는 우두머리 수컷 한 마리가 여러 암컷을 거느리는 하렘 형태를 보이기도 한다.[12] 이들은 2.8ha에서 5ha 정도의 생활 영역을 가지며 영역을 지키려 하지만, 영역 경계 자체보다는 먹이가 있는 곳을 중심으로 방어하는 경향이 있어 영역이 서로 겹치기도 한다. 사회적으로는 암컷이 수컷보다 우위에 있는 모계 사회를 형성한다.
의사소통과 영역 표시에 있어 암수는 다른 방식을 보인다. 암컷은 주로 항문생식기 분비물을 이용해 영역을 표시하는 반면, 수컷은 같은 분비물과 목의 분비샘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성적인 매력을 어필하는 데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13][14] 수컷은 목 분비샘의 분비물을 가슴 윗부분에 문질러 얼룩을 만드는데, 이는 테스토스테론 수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얼룩이 짙은 수컷일수록 더 활발하게 자신의 존재를 알린다.[15][16]
번식기가 아닐 때는 서로 털을 골라주는 그루밍 행동을 통해 유대감을 다지지만, 번식기가 되면 수컷이 암컷에게 그루밍을 해주고 그 대가로 짝짓기 기회를 얻는 '생물학적 시장'과 유사한 행동을 보인다.[17] 한 연구에 따르면, 암컷은 가슴에 얼룩이 짙은 수컷과 더 자주 짝짓기를 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가슴이 깨끗한 수컷은 암컷에게 더 많은 그루밍을 제공함으로써 낮은 비율로나마 짝짓기 기회를 얻는다.[18]
공격적인 다툼이 일어난 후에는 서로 화해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하는데, 특히 먹이와 관련 없는 다툼이었거나 강도가 약했을 경우 화해가 더 자주 일어난다.[19] 놀이 행동은 성체가 되어서도 계속되며, 특히 번식기에 낯선 수컷들이 만났을 때 서로에 대한 경계심을 누그러뜨리는 역할을 한다.[20]
포식자에 대한 경고 신호로 다양한 소리를 사용한다. 포효하듯 짖는 소리는 주로 하늘을 나는 맹금류를 발견했을 때 내는 소리로 알려져 있다.[21] 반면, '치팍'(tchi-fakund)거리는 소리나 으르렁거리는 소리는 서식 환경에 따라 의미가 다른데, 땅 위의 포식자 위협이 심한 지역에서는 이 소리들이 지상 포식자에 대한 경고로 사용되지만,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는 단순히 도망가라는 신호나 가벼운 위협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되기도 한다.[21]
식성은 식물성으로, 주로 식물의 잎, 꽃, 열매 등을 먹는다.[29] 물을 마시기 위해 땅으로 내려오는 대신, 식물에 맺힌 이슬이나 식물 자체의 수분을 핥아먹는 방식으로 수분을 섭취한다.
번식은 태생으로 이루어진다. 1월에서 2월 사이에 교미하며, 임신 기간은 155일에서 165일 정도이다. 6월에서 7월 사이에 보통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태어난 지 3년에서 5년 정도 지나면 성적으로 성숙한다.
4. 3. 이동 방식
베록스시파카는 주로 수목 생활을 하며, 나무 위에서는 수직 지지대 사이를 매달리거나 뛰어다니며 이동한다.[8][9] 특히 나무 사이를 이동할 때는 놀라운 도약 능력을 보여주는데, 9m에서 10m에 달하는 거리를 뛰어넘기도 한다.[8][9] 땅 위에서는 두 발로 뛰어서 이동하며,[8][9] 근처에 뛰어넘을 나무가 없을 때는 앞다리와 꼬리로 균형을 잡고 옆 방향으로 튕기듯이 움직인다.
4. 4. 식성
베록스시파카는 초식동물이며, 주로 잎, 과일, 나무껍질, 꽃 등을 먹는다. 특히 엽식성이 강하여, 잎은 건기 동안 식단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먹이는 단순히 구하기 쉬운 것보다는 탄닌 함량이 적은 양질의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7] 무리와 함께 아침과 늦은 오후에 먹이를 채집하며, 낮 동안 가장 더운 시간에는 휴식을 취한다. 지표면에서 직접 물을 마시지 않고, 식물이나 아침 이슬을 핥아 필요한 수분을 얻는다.4. 5. 사회 행동
베록스시파카는 주행성이고 수목 생활을 하는 동물로, 팔다리를 뻗어 일광욕을 즐긴다. 나무에서는 주로 수직 지지대 사이를 매달리거나 뛰어다니며 이동한다. 나무 사이를 도약하는 능력이 뛰어나 9m에서 10m 거리를 뛰어넘는 것도 드물지 않다. 땅에서는 두 발로 깡충깡충 뛰어서 이동한다.[8][9]
이들은 2마리에서 12마리 정도의 가족 단위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무리는 한 쌍의 암수로 구성되거나 여러 마리의 암수가 함께 살기도 한다. 무리나 전체 개체군의 성비는 수컷이 약간 더 많은 경향을 보인다.[10][11] 많은 무리는 해당 무리 암컷들과 혈연관계가 없는 우두머리 수컷 한 마리가 여러 암컷을 거느리는 하렘 형태를 띠는 것으로 보인다.[12]
생활 영역은 2.8ha에서 5ha 정도이며, 영역을 정해두고 생활하지만 영역 경계 자체보다는 먹이가 있는 곳을 주로 방어한다. 이 때문에 여러 무리의 영역이 겹치는 경우가 많다. 사회 구조는 암컷이 수컷보다 우위에 있는 모계 사회이다.
영역 표시는 주로 암컷이 항문생식기 분비물을 이용하며, 수컷은 영역 표시보다는 성적인 과시를 위해 특수한 분비물(항문생식기 및 목구멍 분비선)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13][14] 수컷은 목 분비선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가슴 윗부분에 문질러 착색시키는데, 이 때문에 가슴 부위가 깨끗하거나 얼룩진 모습으로 성적 이형성을 보인다.[15] 가슴에 얼룩이 있는 수컷이 더 활발하게 영역 표시를 하며, 이 얼룩은 테스토스테론 수치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6]
수컷과 암컷은 번식기가 아닐 때는 서로 털고르기(그루밍)를 해주는 행동을 보인다. 번식기에는 암컷이 성적 접근을 허용하는 대가로 수컷이 털고르기를 제공하는 일종의 생물학적 시장 관계가 형성되기도 한다.[17] 한 연구에 따르면, 암컷은 가슴이 깨끗한 수컷보다 얼룩진 수컷과 더 자주 교미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냄새를 통한 과시 능력이 낮은 깨끗한 가슴의 수컷은 암컷에게 더 많은 털고르기를 제공함으로써 낮은 비율로나마 교미 기회를 얻는 전략을 사용한다.[18]
시파카 무리 내에서 공격적인 다툼이 일어난 후에는 종종 갈등 당사자들이 서로 화해하는 행동을 보인다. 이러한 화해는 먹이와 관련 없는 갈등이었거나 공격의 강도가 낮았을 경우 더 자주 관찰된다.[19] 놀이 행동은 성체가 되어서도 계속되는데, 특히 번식기에는 낯선 수컷들이 서로에 대한 경계심을 누그러뜨리는 데 놀이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20]
시파카의 발성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포효하듯 짖는 소리는 주로 하늘을 살피며 맹금류의 접근에 반응할 때 내는 소리이다.[21] 반면, "치팍"(tchi-fak프랑스어) 소리나 으르렁거리는 소리의 의미는 개체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지상 포식자의 위협이 심한 지역의 개체군은 이 소리들을 땅을 살피며 지상 포식자에 대한 경계 반응으로 사용하는 반면, 다른 개체군에서는 "치팍" 소리를 특정하지 않은 위협에 대한 도주 반응으로, 으르렁거리는 소리를 가벼운 방해 상황에 대한 반응으로 사용하기도 한다.[21]
4. 6. 번식
암컷의 약 45%는 매년 1월 말에서 2월 초 사이에 발정기를 맞이하여 번식한다.[22] 번식 방식은 태생이며, 암컷은 약 130일의 임신 기간을 거쳐 6월에서 8월 사이에 보통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22]새끼는 태어난 후 처음 6주에서 8주 동안은 어미의 배에 매달려 지내고, 그 후 약 19주 동안은 어미의 등에 업혀 다닌다.[23] 하지만 새끼의 약 30%는 포사Cryptoprocta feroxlat에게 잡아먹히고, 일부는 마다가스카르 수리매Polyboroides radiatuslat와 같은 맹금류에게 희생되기도 한다.[22] 살아남은 새끼들은 생후 3년에서 5년 사이에 성적으로 성숙하게 된다.[22]
성체가 되면 수컷은 자신이 태어난 무리를 떠나 주변의 다른 무리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암컷은 대부분 원래 무리에 남아 생활한다.[22] 무리 내에서 우위를 점한 수컷은 다른 수컷이 주변에 있을 때 고환이 커지는데, 이는 번식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생리적 변화로 여겨진다.[24]
5. 인간과의 관계
일부 지역의 부족 사회에서는 베록스시파카를 식용으로 삼는 것을 금기시하는 문화가 존재한다.[29]
그러나 인간 활동으로 인해 베록스시파카의 생존은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농경지 확장, 화전 농업, 땔감이나 목탄 생산, 배 제작을 위한 산림 벌채, 그리고 가축 방목을 위한 인위적인 들불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심각하게 파괴되고 있다.[29] 또한, 일부 이주민을 포함한 사람들에 의한 식용 목적의 사냥도 개체 수 감소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29] 장기적인 가뭄과 같은 기후 변화의 영향 또한 우려되는 부분이다.[29]
이러한 위협으로 인해 베록스시파카는 1975년 워싱턴 조약(CITES) 발효 시점부터 인드리과 전체와 함께 부속서 I에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30]
5. 1. 보존 상태
이 종은 1975년 워싱턴 조약(CITES) 발효 시점부터 인도리과 전체가 부속서 I에 포함됨에 따라,[30]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있다.[25] 2020년에는 IUCN 적색 목록에서 멸종 위기종(Endangered)으로 보존 상태가 갱신되었다.[3]남마다가스카르의 작은 가시 숲 조각에서 베록스시파카의 개체 수는 큰 나무(흉고 직경 >= 5cm)의 비율과 가시 숲 서식지의 핵심 식물 종인 ''Allouadia procera''의 풍부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26][27] 마다가스카르 남서부의 베자 마하팔리 특별 보호구역에서 진행된 장기적이고 대규모의 인구 통계 연구 결과, 해당 지역 시파카 개체군의 인구 성장률은 0.98 (신뢰 구간에 1 포함)로 나타나, 개체군이 당장 멸종 위기에 처한 것은 아님을 시사했다. 그러나 심각한 가뭄과 강수량의 연간 변동성 증가는 인구 성장률을 억제할 수 있는 요인으로 지적된다.[28]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서식지 파괴와 사냥이 꼽힌다. 농지 개발, 화전 농업, 땔감 및 목탄 채취, 범선 및 카누 제작을 위한 무분별한 산림 벌채, 가축 목초지 조성을 위한 통제되지 않은 들불 등으로 서식지가 심각하게 파괴되고 있다.[29] 또한, 이주민을 포함한 일부 집단에 의한 식용 목적의 사냥도 개체 수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29] 장기적인 가뭄 역시 개체군 생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29]
한편, 일부 지역에서는 베록스시파카를 식용으로 삼는 것을 금기시하는 부족 문화가 존재하기도 한다.[29]
5. 2. 위협 요인
이 종은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있으며,[25] 2020년 IUCN 적색 목록에서 멸종 위기종(Endangered)으로 분류되었다.[3] 마다가스카르 남부의 가시 숲에 서식하는 베록스시파카의 개체 수는 숲의 상태, 특히 큰 나무(흉고 직경 5cm 이상)의 비율과 핵심 식물 종인 ''Allouadia procera''의 풍부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26][27] 마다가스카르 남서부 베자 마하팔리 특별 보호구역에서 진행된 장기 연구에 따르면, 해당 지역 시파카 개체군의 성장률은 0.98로 안정적인 수준을 보였다 (신뢰 구간이 1을 포함). 이는 당장 멸종 위기에 처한 것은 아님을 시사하지만, 심각한 가뭄이나 강수량 변동 증가는 개체군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요인으로 지적된다.[28]베록스시파카의 주요 위협 요인은 서식지 파괴와 사냥이다. 농지 개발, 화전 농업, 땔감 및 목탄 채취, 배(범선, 카누) 제작을 위한 벌목, 가축 방목을 위한 인위적인 들불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29] 또한, 식용을 위한 사냥도 개체수 감소의 원인인데, 일부 원주민 부족 사이에서는 식용을 금기시하기도 하지만[29] 이주민 등을 포함한 사냥 압력이 존재한다.[29] 장기적인 가뭄과 같은 기후 변화 역시 개체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29] 베록스시파카는 인도리과에 속하는 다른 종들과 함께 1975년 워싱턴 조약(CITES) 발효 시점부터 부속서 I에 포함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30]
5. 3. 보호 노력
이 종은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있으며,[25] 2020년 IUCN 적색 목록에서 멸종 위기종(EN)으로 보전 상태가 갱신되었다.[3] 마다가스카르 남부의 작은 가시 숲 조각에서 베록스시파카의 개체 수는 큰 나무(흉고 직경 5cm 이상)의 비율과 가시 숲 서식지의 핵심 식물 종인 ''Allouadia procera''의 풍부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26][27] 마다가스카르 남서부의 베자 마하팔리 특별 보호구역에서 진행된 장기 대규모 연구 결과, 이곳 시파카 개체군의 성장률은 0.98(신뢰 구간에 1 포함)로 나타나, 당장 멸종 위기에 처한 것은 아니지만 심각한 가뭄과 연간 강수량 변동 증가는 개체군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요인으로 지적되었다.[28]서식지에서는 일부 부족이 베록스시파카를 식용으로 하는 것을 금기시하기도 한다.[29]
그러나 여러 요인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주요 위협 요인은 다음과 같다.
- '''서식지 파괴''': 농지 개발, 화전 농업, 땔감 및 목탄 채취, 범선 및 카누 제작을 위한 산림 벌채, 가축 목초지 조성을 위한 통제되지 않은 들불 등이 원인이다.[29]
- '''사냥''': 이주민을 포함한 일부 사람들이 식용으로 사냥한다.[29]
- '''기후 변화''': 장기적인 가뭄의 영향도 우려된다.[29]
1975년 워싱턴 조약(CITES) 발효 시점부터 인드리과 전체가 부속서 I에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30]
6. 분류
과거에는 여러 아종을 포함했지만, 2000년대 이후에는 코크렐시파카(''P. coquereli''), 크라운시파카(''P. coronatus''), 데켄시파카(''P. deckenii'')를 별도의 종으로 분리하는 설이 유력하다.[32]
참조
[1]
MSW3 Groves
[2]
웹사이트
https://paleobiodb.o[...]
[3]
간행물
Propithecus verreauxi
2020
[4]
학술지
Population Estimate of Propithecus verreauxi Grandidier in the Mahafaly Plateau Southwestern Madagascar
http://static1.1.sqs[...]
2024-04-02
[5]
서적
The Pictorial Guide to the Living Primates
Pogonias Press
[6]
서적
Primate Anatomy
Academic Press
[7]
학술지
Influence of Dry Season and Food Quality and Quantity on Behavior and Feeding Strategy of Propithecus verreauxi in Kirindy, Madagascar
[8]
학술지
Field and experimental approaches to locomotor ontogeny in Propithecus verreauxi In Primate Locomotion: Linking Field and Laboratory Research
[9]
학술지
Sifaka positional behavior: Ontogenetic and quantitative genetic approaches
[10]
학술지
Social boundaries in a Malagasy prosimian, the Sifaka (Propithecus verreauxi)
[11]
학술지
Berenty 2006: Census of Propithecus verreauxi and possible evidence of population stress.
[12]
학술지
The lemur syndrome unresolved: extreme male reproductive skew in sifakas (Propithecus verreauxi), a sexually monomorphic primate with female dominance
[13]
학술지
Sex differences in scent-marking in sifaka: Mating conflict or male services?
[14]
학술지
Scent marking in Sifaka : No one function explains it all
[15]
학술지
Bimorphism in Male Verreaux's Sifaka in the Kirindy Forest of Madagascar
[16]
학술지
Chest Staining Variation as a Signal of Testosterone Levels in Male Verreaux's Sifaka
[17]
학술지
Mating First, Mating More: Biological Market Fluctuation in a Wild Prosimian
[18]
학술지
Sexual Signalling in Propithecus verreauxi: Male "Chest Badge" and Female Mate Choice
[19]
학술지
Peacemaking on treetops: first evidence of reconciliation from a wild prosimian (Propithecus verreauxi)
[20]
학술지
Stranger to Familiar: Wild Strepsirhines Manage Xenophobia by Playing
[21]
학술지
Variation in the Meaning of Alarm Calls in Verreaux's and Coquerel's Sifakas (Propithecus verreauxi, P. coquereli)
[22]
서적
Mammals of Madagascar
https://www.worldcat[...]
Yale University Press
1999
[23]
학술지
Preliminary observations on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Propithecus verreauxi to the age of six months
[24]
뉴스
Male lemurs grow bigger testicles when there are other males around
https://www.newscien[...]
2024-11-10
[25]
웹사이트
Checklist of CITES Species
http://checklist.cit[...]
UNEP-WCMC
2015-03-18
[26]
학술지
Fragment quality and distribution of the arboreal primate Propithecus verreauxi in the spiny forest of south Madagascar
[27]
학술지
Patterns of Loss and Regeneration of Tropical Dry Forest in Madagascar: The Social Institutional Context
[28]
학술지
Demography of Verreaux's sifaka in a stochastic rainfall environment
[29]
간행물
Propithecus verreauxi
https://doi.org/10.2[...]
2021-08-08
[30]
웹사이트
Propithecus verreauxi
https://www.speciesp[...]
UNEP
2021-08-08
[31]
웹사이트
日本モンキーセンター
http://www.j-monkey.[...]
[32]
학술지
Lemur Diversity in Madagascar
https://doi.org/10.1[...]
[33]
MSW3 Groves
[34]
IUC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