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벨프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프가는 9세기 말 롬바르디아 지역에 등장한 에스테 가문의 분가로, 바이에른 공작 벨프 1세와 그의 후손들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서임권 투쟁에서 교황 편에 서면서 구엘프(Guelfi)로 불리며 호엔슈타우펜 가문과 대립했다. 이후 바이에른, 작센, 브라운슈바이크, 하노버 등 여러 지역을 지배하며, 하노버 선제후를 거쳐 영국 왕위를 계승하여 하노버 왕가를 열었다. 현재까지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가문이 그 혈통을 이어가고 있으며, 유럽 왕가와도 혼인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성 로마 제국의 귀족 가문 - 벨저가
    벨저 가문은 13세기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시작하여 15-16세기 유럽 각지와 레반트 무역으로 번성한 독일 상인 가문으로, 고리대금업과 식민 사업 등으로 부를 축적했으나 전쟁 등으로 쇠퇴했고, 현재는 박물관을 통해 역사를 기리고 있다.
  • 신성 로마 제국의 귀족 가문 - 잘리어가
    잘리어 가문은 7세기에 등장하여 신성 로마 제국을 다스린 왕조로, 1024년 콘라트 2세가 독일 왕으로 선출되면서 시작되었고 서임권 투쟁으로 인해 1125년 하인리히 5세의 사망으로 통치가 종료되었다.
  • 벨프가 - 오토 4세
    오토 4세는 벨프 가문 출신으로 독일 왕으로 선출되어 신성 로마 황제까지 올랐으나, 교황과의 갈등과 제후들의 지지 상실, 부빈 전투 패배로 권력을 잃고 파란만장한 삶을 마감한 인물이다.
  • 벨프가 - 하인리히 오만공
    하인리히 10세는 12세기 바이에른 공작으로 로타르 3세의 사위였으나 왕위 계승에 실패하고 콘라트 3세와 대립하다 사망하여 그의 작센과 바이에른 공국은 다른 이들에게 넘어갔다.
  • 독일의 귀족 가문 - 에스테가
    에스테 가문은 11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귀족 가문으로, 이탈리아와 독일 두 분파로 나뉘어 북부 이탈리아 지역을 지배하며 예술을 후원했고, 독일 분파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 영국 왕실과 연관을 맺었으며, 혼인을 통해 오스트리아-에스테 가문이 형성되어 유럽 정치사에 영향을 미치고 건축물과 예술품 등 문화적 유산을 남겼다.
  • 독일의 귀족 가문 - 글뤽스부르크 왕조
    글뤽스부르크 왕조는 올덴부르크 왕가의 방계 가문으로, 덴마크, 노르웨이, 그리스 왕위를 계승했으며 유럽 왕실 간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현재 올덴부르크 왕가의 수장이기도 하다.
벨프가 - [인물]에 관한 문서
왕가 정보
성씨벨프가 (구엘프, 겔프)
영지브라운슈바이크 및 하노버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문장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문장
모계 가문엘더 하우스 오브 벨프
부계 가문에스테 가문 (부계)
국가독일, 이탈리아,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작위신성 로마 황제
러시아 황제
인도 황제
로마인의 왕
그레이트브리튼의 왕
아일랜드의 왕
이탈리아의 왕
부르군트의 왕
하노버의 왕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의 왕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바이에른 공작
작센 공작
스폴레토 공작
뤼네부르크 후작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후작
라인 궁정백
토스카나 변경백
하노버 선제후
맨의 영주
파리 백작
설립자바이에른 공작 벨프 1세
마지막 통치자브라운슈바이크 공작 에른스트 아우구스투스
현재 수장하노버 공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건립일8세기
폐위일1918년 (독일)
본가에스테가
분가하노버가

2. 기원

벨프 가문은 에스테 가문의 오래된 분가 중 하나로, 초기 인물들은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 롬바르디아에 살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가문은 때때로 '''벨프에스테'''(Welf-Este) 가문이라고도 불렸다.

최초의 인물은 바이에른 공작 벨프 1세였다. 그의 외삼촌인 벨프 3세가 1055년에 사망하면서, 벨프 1세는 옛 벨프 가문의 재산을 상속받았다. 벨프 4세는 벨프 3세의 자매 알트도르프의 쿠니군데와 그녀의 남편 밀라노 변경백 알베르토 아초 2세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1070년, 벨프 4세는 바이에른 공작이 되었다.

바이에른 공작 벨프 2세 (1072년–1120년)


벨프 5세(1072-1120)는 1090년에 교황 우르바노 2세의 주선으로 토스카나 여백작 마틸다 디 카노사와 혼인한다. 마틸다는 토스카나, 페라라, 모데나, 만토바, 레조를 포함한 많은 영지를 가지고 있었기에 이것이 11세기와 12세기 있었던 서임권 투쟁 중에 중요한 분쟁 요소가 되었다.

벨프 5세와 마틸다(1046-1115)는 혼인 당시 26살이라는 나이 차이를 넘어서 정략결혼을 하였다. 혼인동맹을 통하여 북부 이탈리아와 독일 남부 바이에른의 반-황제파 그리고 교회 개혁파가 결합하여 하인리히 4세(1050-1106)에게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킨 것이다.

벨프 5세와 마틸다는 결혼 5년 만인 1095년에 이혼했으나, 마틸다는 자식을 낳지 못하고 1115년에 갑자기 사망한다. 마틸다는 생전에 자신의 영지를 사후 로마 교회에 기증했다는 교회 측의 주장이 있었다. 이에 대한 뚜렷한 물증이 없었기 때문에 황제 하인리히 5세(재위 1099-1125)는 마틸다의 영지에 대해서 소유권을 주장하며 로마 교회와 다툼이 발생하였다.

벨프 가문이 서임권 투쟁에서 교황과 같은 편에 선 이후로, 이탈리아 내의 교황 지지자들 사이에서 구엘프 (Guelphs)나 구엘피 (Guelfi)라고 알려지게 됐다. 벨프 5세는 훗날 1101년에 바이에른 공작이 되는데 바이에른 공작으로는 벨프 2세가 된다.[1]

3. 서임권 투쟁과 벨프 가문

에스테 가문의 분가인 벨프 가문은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 롬바르디아에 살았던 초기 인물들로 시작하며, 벨프에스테 가문이라고도 불렸다. 바이에른 공작 벨프 1세는 이 가문의 첫 번째 인물로, 그의 외삼촌인 벨프 3세가 1055년에 사망하면서 옛 벨프 가문의 재산을 상속받았다.[1] 벨프 4세는 벨프 3세의 자매 알트도르프의 쿠니군데와 밀라노 변경백 알베르토 아초 2세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1070년에 바이에른 공작이 되었다.[1]

벨프 5세(1072-1120)는 1090년 교황 우르바노 2세의 주선으로 토스카나 여백작 마틸다 디 카노사(1046-1115)와 결혼했다.[1] 마틸다는 토스카나, 페라라, 모데나, 만토바, 레조 등 많은 영지를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는 11세기와 12세기에 걸친 서임권 투쟁에서 중요한 분쟁 요소가 되었다.[1]

벨프 5세와 마틸다는 26살의 나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정략결혼을 통해 북부 이탈리아와 독일 남부 바이에른의 반(反) 황제파, 그리고 교회 개혁파를 결집시켜 하인리히 4세(1050-1106)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다.[1]

1095년, 벨프 5세와 마틸다는 결혼 5년 만에 이혼했고, 마틸다는 1115년에 자식 없이 갑작스럽게 사망했다.[1] 마틸다가 생전에 자신의 영지를 로마 교회에 기증했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증거가 부족하여 황제 하인리히 5세(재위 1099-1125)는 마틸다의 영지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며 로마 교회와 갈등을 빚었다.[1]

벨프 가문이 서임권 투쟁에서 교황 편에 서면서, 이탈리아 내 교황 지지자들은 이들을 구엘프(Guelphs) 또는 구엘피(Guelfi)라고 불렀다.[1] 벨프 5세는 1101년에 바이에른 공작이 되었으며, 바이에른 공작으로는 벨프 2세에 해당한다.[1]

4. 바이에른과 작센

1120년부터 1126년까지 바이에른 공작이었던 하인리히 9세는 하인리히라 불린 벨프 가문 공작 세 명 중 첫 번째 인물이었다. 그의 아내 불프힐데는 빌룽 가문의 상속녀였으며, 니더작센의 뤼네부르크 일대 영지를 보유했다. 그들의 아들 하인리히 10세는 신성 로마 황제 로타르 3세의 사위이자 후계자였고 로타르가 죽은 후 작센 공작이 되었다. 로타르는 그의 어머니 브루노넨으로부터 상속받은 브라운슈바이크 일대 영토를 그의 딸 게르트루트에게 남겼다. 그녀의 남편 하인리히 10세는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콘라트 3세에 맞서 황제 선거 후보자가 되었지만, 다른 제후들이 그의 힘과 성품을 두려워하여 선거에서 패배했고 콘라트 3세에게 그의 공작령들을 박탈당했다. 하인리히의 형제 토스카나 변경백 벨프 6세 (1115년-1191년)는 이후 벨프 가문의 본래 영지인 라벤스부르크 일대의 그의 슈바벤 지역을 그의 조카이자 호엔슈타우펜 가문 출신인 신성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1세에게 남겼다.

벨프 가문의 다음 공작인 하인리히 사자공은 그의 아버지의 두 공작령들인 작센을 1142년에, 바이에른을 1156년에 회복해냈을 뿐만 아니라 독일의 방대한 지역을 다스렸다. 1168년 그는 잉글랜드의 왕 헨리 2세와 아키텐의 엘레오노르의 딸이자 잉글랜드의 왕 리처드 1세의 자매인 마틸다와 혼인하며, 더욱 영향력을 얻었다. 그의 사촌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프리드리히 1세는 그를 이탈리아 원정에 데려가려 했으나, 하인리히가 이탈리아 원정을 도우라는 요청을 다시 한번 거절하면서, 분쟁이 피할 수 없게 되었다. 1176년 레냐노 전투 이후 그의 방대한 영지를 일부를 얻기를 원하던 프리드리히 1세와 독일 제국의 다른 제후들에 의해 그의 공작령들이 폐위되었고, 그는 1180년 노르망디에 있는 그의 장인 헨리 2세의 궁정으로 추방당했지만, 3년 만에 독일로 귀국했다. 하인리히는 1185년에 호엔슈타우펜 황제와 강화를 맺고, 그의 두 공작령이 회복되지 않고 브라운슈바이크 일대의 상당히 작아진 영토만을 돌려받았다. 바이에른은 바이에른 공작 오토 1세에게 주어졌었고, 작센 공작령은 쾰른 대주교와 아스카니어 가문과 다른 이들에게 분할되었다. 하인리히는 1195년 브라운슈바이크에서 사망했다.

하인리히 사자공의 부인이자 리처드 1세의 자매 마틸다 플랜태저넷 (1156년–1189년)


하인리히 사자공과 잉글랜드의 마틸다의 아들 및 신성 로마 황제 오토 4세

5. 브라운슈바이크와 하노버

하인리히 사자공의 아들 브라운슈바이크의 오토는 로마인의 왕으로 선출되어 호엔슈타우펜 황제들과 몇 년간 분쟁 끝에 신성 로마 황제로 즉위했다. 그는 교황 인노첸시오 3세의 분노를 사 1215년에 파문되었고, 호엔슈타우펜 왕조의 프리드리히 2세에 의해 황제 자리에서 물러나야 했다.[15] 그는 신성 로마 황제가 된 유일한 벨프 가문 출신이었다.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령의 문장


하인리히 사자공의 손자 오토는 1235년에 작센 지역의 일부에 새롭게 세워진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령의 공작이 되었고, 1252년 그곳에서 죽었다. 공작령은 고중세 시대 동안 벨프 가문의 여러 가계에 의해 몇 차례 분할되었지만, 가문 출신들 모두 “뤼네부르크 후작”,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후작", "칼렌베르크괴팅겐그루벤하겐 후작" (나중에 "하노버 후작"이 되었다) 등 외에도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 칭호를 계속 사용했다.

공작령들과 그보다 낮은 후작령들의 이후 역사는 매우 많은 분할과 재결합의 역사로 특정지어진다. 반복되어 만들어진 하위 영지들은 공작령내 후작령의 법적 지위를 지녔으며 (공식적으로는 분할되지 않은 제국 영지로 남아있었음), 일반적으로 통치자의 거처의 이름을 따 지어졌다. 남계가 단절되었을 경우 제국령 영지 (공작령)는 항상 특정 인물들이 아니라 그 가문 전체에 주어졌는데, 다른 가계의 영지는 또다른 가계에 상속되거나 남은 다른 가계들끼리 분할되었다. 이것이 남성 또는 여성 벨프 가문 출신들 전원이 예시로 하노버 선제후령 같은 그들의 각자 가계의 하위 후작령의 작위 외에도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여공작 칭호를 지녔던 이유이다. 그들은 오늘날까지도 계속하고 있다.

각각의 하위 후작령들은 1806년 신성 로마 제국이 해체될때까지 지속되었다. 1814/15년 빈 회의에 따라, 이 지역들은 하노버 왕국브라운슈바이크 공국의 일부가 됐다.

1269년에 브라운슈바이크 후작령은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령의 1차 분할 때 생겼다. 1432년에 브라운슈바이크의 사람들과의 긴장 증가로 인한 결과로, 브라운슈바이크계는 그들의 거처를 볼펜뷔텔성으로 옮겼고, 그에 따라 이 후작령의 이름이 비공식적으로 볼펜뷔텔로 불리게 됐다. 러시아의 이반 6세가 있었던 브라운슈바이크계는 1740년에 잠시 러시아 황제 자리를 갖기도 했었다. 1754년이 되어서야 새롭게 지어진 브라운슈바이크 궁전이 있는 브라운슈바이크로 돌아왔다. 1814년 후작령은 벨프 가문의 오래된 가계가 다스리는 브라운슈바이크 공국이 되었다.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선제후령의 문장 (1708년)


1432년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후작령이 다이스터와 라이네 강 사이에 얻은 영지가 칼렌베르크 후작령으로 분리되었다. 1495년에 그 후작령은 괴팅겐 일대로 확장했고 1584년에 다시 볼펜뷔텔계로 반환됐다. 1634년 상속 재산 분배 결과로 첼레성에 거주하던 뤼네부르크 가문에게 주어졌다. 1635년 그 지역은 하노버를 거주지로 택한 뤼네부르크의 에른스트 2세의 남동생 게오르크에게 주어졌다.

1665년에 새 영토가 추가되었고, 1705년에 뤼네부르크 후작령은 하노버계에게 넘어갔다. 1692년 공작 에른스트 아우구스트는 칼렌베르크하노버계로부터 신성 로마 제국의 선제후 권리를 얻어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선제후가 되었다. 통칭으로 이 선제후령은 하노버 선제후령으로도 알려져있다. 1814년에 하노버 왕국으로 이어졌다.

6. 영국 왕위 계승

1432년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후작령에서 분리된 칼렌베르크 후작령은 1692년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선제후가 되었고, 통칭 하노버 선제후령으로 불렸다. 1814년에는 하노버 왕국으로 이어졌다.[2]

종교 중심의 정책으로 인해 1701년 왕위계승법이 제정되어, 하노버의 소피 계열이 영국의 왕위 계승권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소피는 그레이트브리튼 여왕 앤보다 먼저 사망했고, 소피의 아들 게오르크 (조지 1세)가 앤 여왕의 뒤를 이어 1714년부터 하노버 선제후와 영국 왕위의 동군연합이 형성되었다. 영국의 왕가는 하노버 가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

윌리엄 4세 (1830–1837)


19세기 전반, 하노버 왕국은 조지 3세 이후 영국 왕과의 동군연합으로 통치되었다. 1837년 윌리엄 4세가 사망하면서 하노버 왕위는 잘리카 법에 따라 윌리엄의 남동생인 어니스트 어거스터스에게 넘어갔다. 반면 영국 왕위는 윌리엄 4세의 형의 외동딸인 빅토리아 여왕이 상속받았다. 빅토리아 여왕의 후손들은 작센코부르크고타 왕가에 속하며, 1917년에 윈저 왕가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

7. 하노버 왕국

1432년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후작령이 다이스터와 라이네 강 사이에 얻은 영지가 칼렌베르크 후작령으로 분리되었다. 1495년에 그 후작령은 괴팅겐 일대로 확장했고 1584년에 다시 볼펜뷔텔계로 반환됐다. 1634년 상속 재산 분배 결과로 첼레성에 거주하던 뤼네부르크 가문에게 주어졌다. 1635년 그 지역은 하노버를 거주지로 택한 게오르크에게 주어졌는데, 그는 뤼네부르크의 에른스트 2세의 남동생이었다. 1665년에 새 영토가 추가되었고, 1705년에 뤼네부르크 후작령은 하노버계에게 넘어갔다.[2] 1692년 공작 에른스트 아우구스트는 칼렌베르크하노버계로부터 신성 로마 제국의 선제후 권리를 얻어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선제후가 되었다. 통칭으로 이 선제후령은 하노버 선제후령으로도 알려져있다. 1814년에 하노버 왕국으로 이어졌다.[3]

종교 중심의 정책은 북유럽과 영국에 반가톨릭 정서가 극에 달하던 시기에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의 왕위가 개신교도의 계승을 보장하게끔 쓰인 1701년 왕위계승법에 의한 영국의 왕위 계승 계열은 에른스트 아우구스투스의 아내 하노버의 소피 계열이 되게끔 하였다. 그러나 조피는 그녀의 사촌이자 스튜어트 가문의 마지막 통치자 그레이트브리튼 여왕 앤이 사망한 지 얼마 안 돼 사망했다. 소피의 아들 게오르크 (조지 1세)가 앤 여왕의 뒤를 이었고 하노버 선제후와 영국 왕위의 동군연합이 1714년부터 형성되어 신성 로마 제국 해체와 그 후임 왕국이 일어난 나폴레옹 전쟁 이후인 1세기 이상 잘 지속되었다. 영국의 왕가는 하노버 가문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하노버 선제후령" (공작령의 핵심)은 다른 영지가 더해져 커졌고 1814년 빈 협약에서 하노버 왕국이 되었다. 19세기 전반기 하노버 왕국은 최후의 하노버 선제후 조지 3세 통치 시기에 생긴 동군연합 방식으로 1837년 윌리엄 4세가 사망할 때까지 영국 국왕의 통치를 받았다. 이때 하노버 왕위는 계승을 하는 데 남자 상속자가 필요로 하는 살리카 법에 따라 윌리엄의 남동생 컴벌랜드와 테비어트데일 공작 어니스트 어거스터스 (에른스트 아우구스트)가 가져갔다. 반면에 영국 왕위는 윌리엄의 의 외동딸 빅토리아가 상속했다. 그녀의 자손들은 작센코부르크고타 가문에 속하며, 1917년에 명칭을 윈저 가문으로 바꿨다.

하노버 왕국은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기간 오스트리아의 동맹으로 참전했다가, 오스트리아가 전쟁에서 지고 프로이센에 합병당하며, 에른스트 아우구스트의 아들 게오르크 5세에 의해 멸망했고, 프로이센의 하노버 현이 되었다. 벨프 가문원들은 오스트리아의 그문덴으로 망명을 가, 컴벌랜드성을 지었다.

하노버의 왕 게오르크 5세 (1819년–1878년)

8. 브라운슈바이크 상속

1269년,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의 첫 번째 분할 이후 브라운슈바이크 후작령이 형성되었다. 1432년, 브라운슈바이크 시민들과의 긴장감이 고조되면서 브라운슈바이크 가문은 거처를 볼펜뷔텔성으로 옮겼고, 이로 인해 '볼펜뷔텔'이라는 이름이 이 후작령의 비공식 명칭이 되었다.[2] 이반 6세와 함께 브라운슈바이크 가문은 1740년 러시아 제국 황위에 짧게나마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1754년에 이르러서야 거처는 새로운 브라운슈바이크 궁전으로 옮겨져 브라운슈바이크로 돌아왔다. 1814년, 이 후작령은 벨프 가문의 장자 가문이 통치하는 브라운슈바이크 공국이 되었다.[3]

왕조의 장자 가문은 1814년에 주권 브라운슈바이크 공국으로 창설된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후작령을 통치했다. 이 가문은 1884년에 단절되었다. 비록 공작령은 마지막 하노버 국왕의 아들인 컴벌랜드 공작이 상속받아야 했지만, 그의 충성심에 대한 프로이센의 의심으로 인해 공작령의 왕위는 1913년까지 공석으로 남아 있었다. 1913년, 컴벌랜드 공작의 아들 에른스트 아우구스트가 카이저 빌헬름 2세의 딸과 결혼하여 상속을 허락받았다. 그의 통치는 짧았으며,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군주제가 종식되었다.

브라운슈바이크 공국의 문장

9. 벨프 가문의 분가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의 첫 번째 분할 이후 브라운슈바이크 공국이 형성되었다.[1] 1432년, 브라운슈바이크 시민들과의 긴장감이 고조되면서 브라운슈바이크 가문은 거처를 볼펜뷔텔 성으로 옮겼다.[1] 이반 6세와 함께 브라운슈바이크 가문은 1740년 러시아 제국 황위에 짧게나마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1] 1814년, 이 공국은 벨프 가문의 장자 가문이 통치하는 브라운슈바이크 공국이 되었다.[1]

바이에른에서 시작된 초기 중세 시대에, 벨프 가문의 분가가 부르군트의 왕이 되었다.[2] 초기 벨프 가문이 단절된 후, 벨프-에스테 가문이 세력을 떨쳤으며, 분가인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가문에서 영국의 하노버 왕가가 배출되었고, 페라라모데나의 벨프 가문이 근대까지 이어졌다.[2] 잘리어 왕조, 호엔슈타우펜 왕조와 황제 자리를 놓고 다투었지만, 신성 로마 황제가 된 것은 오토 4세뿐이었다.[2] 서임권 투쟁에서의 교황파(게르프)는 이 가문을 가리킨다.[2]

바이에른의 벨프 가문의 쿤군데와 에스테 가문의 알베르토 아초 2세의 결혼으로 벨프 가문과 에스테 가문은 합쳐졌다.[3] 그러나 그 권력은 장남인 벨프 4세가 바이에른 공작이 된 반면, 차남 폴코 1세가 에스테 변경백이 되면서 독일과 이탈리아로 분할되었다.[3] 폴코 1세의 자손은 후에 페라라 공작, 모데나 공작이 되었다.[3]

페라라와 모데나의 벨프 가문은 1796년 모데나 공작 에르콜레 3세가 프랑스 혁명 정권에 의해 추방되어 단절되었다.[4] 빈 회의에서 모데나 공국이 재건되었을 때, 공위는 에르콜레 3세의 외손자인 프란체스코 4세가 상속하게 되었고, 오스트리아-에스테 대공이라 칭하게 되었다.[4]

10. 벨프 가문의 주요 인물

벨프 가문의 주요 인물로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이 있다.


  • '''바이에른 공작 벨프 1세''' : 벨프에스테 가문의 최초 인물.
  • '''벨프 5세''' : 토스카나의 마틸다와 정략 결혼을 통해 반(反) 황제파와 교회 개혁파의 결합을 주도.
  • '''바이에른 공작 하인리히 9세''' : 빌룽 가문의 상속녀와 결혼하여 뤼네부르크 일대 영지를 확보.
  • '''바이에른 공작 하인리히 10세''' : 로타르 3세의 사위이자 후계자로 작센 공작이 되었으나,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콘라트 3세와의 황제 선거에서 패배.
  • '''벨프 6세''' : 옛 벨프 가문의 본래 영지인 라벤스부르크 일대의 슈바벤 지역을 프리드리히 1세에게 넘김.
  • '''하인리히 사자공''' : 작센과 바이에른 공작령을 회복했으나, 프리드리히 1세와의 갈등으로 공작령을 잃고 추방당함.
  • '''오토 4세''' : 하인리히 사자공의 아들. 신성 로마 황제로 즉위했으나, 교황 인노첸시오 3세와의 갈등으로 파문당하고 프리드리히 2세에게 황제 자리를 빼앗김. 벨프 가문 출신 유일한 신성 로마 황제.
  • '''오토 1세''' : 하인리히 사자공의 손자.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령의 공작이 됨.


10. 1. 초기 벨프 가문 (1070년–1269년)

벨프 가문은 에스테 가문의 분가로,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 롬바르디아에 살았던 초기 인물들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가문은 '''벨프에스테'''(Welf-Este) 가문이라고도 불렸다. 최초의 인물은 바이에른 공작 벨프 1세였는데, 그는 외삼촌인 벨프 3세가 1055년에 사망하면서 옛 벨프 가문의 재산을 상속받았다. 벨프 4세는 벨프 3세의 자매 알트도르프의 쿠니군데와 밀라노 변경백 알베르토 아초 2세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1070년, 벨프 4세는 바이에른 공작이 되었다.

벨프 5세(1072-1120)는 1090년에 교황 우르바노 2세의 주선으로 토스카나 여백작 마틸다 디 카노사와 혼인했다. 마틸다는 토스카나, 페라라, 모데나, 만토바, 레조 등 많은 영지를 소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는 11세기와 12세기 서임권 투쟁에서 중요한 분쟁 요소가 되었다.

벨프 5세와 마틸다는 결혼 5년 만인 1095년에 이혼했지만, 마틸다는 자식을 낳지 못하고 1115년에 갑자기 사망했다. 마틸다는 생전에 자신의 영지를 사후 로마 교회에 기증했다는 교회 측 주장이 있었으나 뚜렷한 물증이 없었다. 이 때문에 황제 하인리히 5세(재위 1099-1125)는 마틸다의 영지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며 로마 교회와 다툼이 발생하였다.

벨프 가문이 서임권 투쟁에서 교황과 같은 편에 선 이후로, 이탈리아 내 교황 지지자들은 구엘프(Guelphs)나 구엘피(Guelfi)라고 알려지게 됐다. 벨프 5세는 1101년에 바이에른 공작이 되었는데, 바이에른 공작으로는 벨프 2세가 된다.

1120년부터 1126년까지 바이에른 공작 하인리히 9세는 하인리히라 불린 벨프 가문 공작 세 명 중 첫 번째 인물이었다. 그의 아내 불프힐데는 니더작센의 뤼네부르크 일대 영지를 보유한 빌룽 가문의 상속녀였다. 그들의 아들 바이에른 공작 하인리히 10세는 신성 로마 황제 로타르 3세의 사위이자 후계자였고, 로타르가 사망한 후 작센 공작이 되었다. 로타르는 그의 어머니 브루노넨으로부터 상속받은 브라운슈바이크 일대 영토를 그의 딸 게르트루트에게 남겼다. 그녀의 남편 하인리히 10세는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콘라트 3세에 맞서 황제 선거 후보자가 되었지만, 다른 제후들이 그의 힘과 성품을 두려워했기에 선거에서 패배했고 콘라트 3세에게 공작령들을 박탈당했다. 하인리히의 형제 토스카나 변경백 벨프 6세 (1115년-1191년)는 옛 벨프 가문의 본래 영지인 라벤스부르크 일대의 그의 슈바벤 지역을 그의 조카이자 호엔슈타우펜 출신인 신성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1세에게 남겼다.

벨프 가문의 다음 공작인 하인리히 사자공은 그의 아버지의 두 공작령들인 작센을 1142년에, 바이에른을 1156년에 회복해냈을 뿐만 아니라 독일의 방대한 지역을 다스렸다. 1168년 그는 잉글랜드의 왕 헨리 2세아키텐의 엘레오노르의 딸이자 잉글랜드의 왕 리처드 1세의 자매인 마틸다와 혼인하며, 더욱 영향력을 얻었다. 그의 사촌 호엔슈타우펜가의 프리드리히 1세는 그를 이탈리아 원정에 데려가려 했으나, 하인리히가 이탈리아 원정을 도우라는 요청을 다시 한번 거절하면서, 분쟁이 피할 수 없게 되었다. 1176년 레냐노 전투 이후 그의 방대한 영지를 일부를 얻기를 원하던 프리드리히 1세와 독일 제국의 다른 제후들에 의해 그의 공작령들이 폐위됐고, 그는 1180년 노르망디에 있는 그의 장인 헨리 2세의 궁정으로 추방당했지만, 3년 만에 독일로 귀국했다. 하인리히는 1185년에 호엔슈타우펜 황제와 강화를 맺고, 그의 두 공작령이 회복되지 않고 브라운슈바이크 일대의 상당히 작아진 영토만을 돌려받았다. 바이에른은 바이에른 공작 오토 1세에게 주어졌었고, 작센 공작령은 쾰른 대주교와 아스카니어 가문과 다른 이들에게 분할되었다. 하인리히는 1195년 브라운슈바이크에서 사망했다.

초기 벨프 가문의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초기 벨프 가문 주요 인물
이름재위 기간비고
벨프 1세1070년–1077년, 1096년–1101년
벨프 2세1101년–1120년벨프 1세의 아들
하인리히 9세1120년–1126년벨프 1세의 아들
하인리히 10세1126년-1138년 (바이에른), 1137년-1139년 (작센)하인리히 9세의 아들
사자공 하인리히 11세1142년-1180년 (작센), 1156년-1180년 (바이에른)하인리히 10세의 아들


11. 가계도

벨프 가문의 가계도는 다음과 같다. 벨프 가문은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에 롬바르디아에 살았던 에스테 가문의 분가 중 하나이며, 때로는 '''벨프에스테'''(Welf-Este) 가문이라 불리기도 한다.

약칭이름비고
OWE구 벨프 가
KUN쿤군데
AZZ알베르토 아초 2세에스테 변경백
GAS갈센다(맹 백작 에르베르 1세의 딸)
WE4벨프 4세(1세)바이에른 공작 (1070-1101)
FU1폴코 1세에스테 변경백
HU5위그 5세맹 백작
WE5벨프 5세(2세)바이에른 공작 (1101-1120)
HE9하인리히 9세바이에른 공작 (1120-1126)
WUL부르힐트(작센 공작 마그누스의 딸)
EST에스테 가
H10하인리히 10세(오만공)바이에른 공작 (1126-1138)
작센 공작 (1136-1138)
WE6벨프 6세스폴레토 공작
토스카나 변경백
(1152-1160, 1167-1173)
UTA우타(라인 궁중백 고트프리트 폰 칼프의 딸)
JUD유디트
FR2프리드리히 2세슈바벤 공작
HHS호엔슈타우펜 가문
H11하인리히 11세(사자공)작센 공작 (1142-1179)
바이에른 공작 (1156-1180)
WE7벨프 7세스폴레토 공작
토스카나 변경백
(1160-1167)
FR1프리드리히 1세신성 로마 제국 황제
AGN아그네스(라인 궁중백 콘라트의 딸)
HE1하인리히 5세(1세)라인 궁정백 (1195-1227)
OT4오토 4세신성 로마 제국 황제
(1198-1215)
WIL빌헬름뤼네부르크 공작
STA호엔슈타우펜 왕조
HE2하인리히 6세(2세)라인 궁정백
AGN아그네스
OT2오토 2세바이에른 공작
라인 궁정백
OT1오토 1세브라운슈바이크 공작
WIT비텔스바흐 가문(라인 궁중백)
BSL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가문






{| class="wikitable sticky-header"

! colspan=2 | 군주!!출생!!재위!!재위 영역!!배우자!!사망!!비고

|- style="background:#eee"

|colspan="8" align="center"| '''엘더 벨프 가문'''

|- style="background:#fff"

|벨프 1세||

|align="center"| 아르겐가우의 로타르의 아들

|align="center"| – 825년 10월 3일||알트도르프 백작령||바이에른의 헤드비히
자녀 4명

|align="center"|825년 10월 3일
49-50세||가문의 시조.

|- style="background:#fff"

|콘라트 1세 "엘더"||

|align="center"| 벨프 1세와 바이에른의 헤드비히의 아들

|align="center"|825년 10월 3일 – 864년||알트도르프 백작령||투르의 아델라이드
자녀 3명

|align="center"|864년
63-64세||

|- style="background:#fff"

|벨프 1세 ||

벨프 1세


|align="center"| 콘라트 1세와 투르의 아델라이드의 맏아들

|align="center"|864년 – 876년||알트도르프 백작령||''불명''
최소 자녀 1명

|align="center"|876년
40-41세||린츠가우, 알프가우, 그리고 아마 아르겐가우의 백작이기도 했다.

|- style="background:#fedf"

|콘라트 2세 "더 영거"||

|align="center"| 콘라트 1세와 투르의 아델라이드의 둘째 아들

|align="center"|864년 – 876년||오세르 백작령||벌름의 발드라다
자녀 1명

|align="center"|876년
40-41세||

|- style="background:#fff"

|에티코||
에티코


|align="center"| 벨프 1세의 아들

|align="center"|876년 – 911년||알트도르프 백작령||''에길라''
자녀 3명

|align="center"| ||

|- style="background:#fedf"

|루돌프 1세||

|align="center"|859년
콘라트 2세와 벌름의 발드라다의 아들

|align="center"|876년 – 911년 10월 25일||오세르 백작령
(888년까지)

상부 부르고뉴 왕국
(888년부터)||프로방스의 길라
자녀 4명

|align="center"|911년 10월 25일
51-52세|| 888년부터 부르고뉴의 왕.

|- style="background:#fff"

|헨리 1세[5]||
헨리 1세


|align="center"| 에티코와 ''에길라''의 아들

|align="center"|911년 – 935년||알트도르프 백작령||호엔바르트의 아타
자녀 3명

|align="center"| 54-55세||

|- style="background:#fedf"

|루돌프 2세||

|align="center"| 루돌프 1세와 프로방스의 길라의 아들

|align="center"|911년 10월 25일 – 937년 7월 11일||상부 부르고뉴 왕국||슈바벤의 베르타
922년
자녀 2명

|align="center"|937년 7월 11일
56-57세||이탈리아의 왕이기도 했다(922–926).

|- style="background:#fff"

|루돌프 1세||

|align="center"| 헨리 1세와 호엔바르트의 아타의 아들

|align="center"|935년 – 950년||알트도르프 백작령||시부르기스/리힐린트
최소 자녀 1명

|align="center"| 39-40세||

|- style="background:#fedf"

|콘라트 3세 "평화로운"||

|align="center"|925년
루돌프 2세와 슈바벤의 베르타의 아들

|align="center"|937년 7월 11일 – 993년 10월 19일||상부 부르고뉴 왕국||벨레의 아델라이드
자녀 1명

프랑스의 마틸다
866년
자녀 4명

|align="center"|993년 10월 19일
67-68세||

|- style="background:#fff"

|루돌프 2세||
루돌프 2세


|align="center"| 루돌프 1세와 시부르기스/리힐린트의 아들

|align="center"|950년 – 990년 3월 10일||알트도르프 백작령||외흐닝겐의 이타
자녀 3명

|align="center"|990년 3월 10일
49-50세||

|- style="background:#fff"

|헨리 2세[5]||
헨리 2세


|align="center"| 루돌프 2세와 외흐닝겐의 이타의 맏아들

|align="center"|990년 – 1000년 11월 15일||알트도르프 백작령||''미혼''

|align="center"|1000년 11월 15일|| 후손을 남기지 않았다. 그는 그의 동생이 계승했다.

|- style="background:#fedf"

|루돌프 3세 "경건한"||
루돌프 3세


|align="center"|970년
콘라트 3세와 프랑스의 마틸다의 아들

|align="center"|993년 10월 19일 – 1032년 9월 6일||상부 부르고뉴 왕국||아길트루데
(1011년 사망)
자녀 없음

부르고뉴의 에르멩가르데
1011년 6월 28일
자녀 없음

|align="center"|1032년 9월 6일
61-62세|| 그의 자녀 없는 죽음 후 왕국은 그의 조카가 상속받았다.

|- style="background:#fff"

|벨프 2세[5]||
벨프 2세


|align="center"| 루돌프 2세와 외흐닝겐의 이타의 둘째 아들

|align="center"|1000년 11월 15일 – 1030년 3월 10일||알트도르프 백작령||룩셈부르크의 이미차
1017년
자녀 2명

|align="center"|1030년 3월 10일
보트만-루트비히스하펜
69-70세||

|- style="background:#fff"

|벨프 3세[5]||
벨프 3세


|align="center"|1007년
벨프 2세와 룩셈부르크의 이미차의 아들

|align="center"|1030년 3월 10일 – 1055년 11월 13일||알트도르프 백작령||''미혼''

|align="center"|1055년 11월 13일
보트만-루트비히스하펜
47-48세||캐린티아 공작. 그의 고모 알트도르프의 릭린트의 중재로 그는 죽은 남편 에베르스베르크 백작 아달베르트 2세의 재산을 상속받았다. 후손을 남기지 않았고, 그의 유산은 그의 누이 쿤이군데의 아들인 조카에게 넘어갔다.

|- style="background:#fff"

|align=center colspan=8|알트도르프 영지는 벨프 3세에 의해 바이잉가르텐 수도원에 기증되었는데, 과부인 룩셈부르크의 이미차, 당시 수도원장이자 죽은 백작의 어머니에 의해 그녀의 딸 쿤이군데의 아들인 벨프 4세에게 넘어갔다.[6]

|- style="background:#fedf"

|기젤라||
기젤라


|align="center"|990년 11월 11일
슈바벤 공작 헤르만 2세와 부르고뉴의 게르베르가의 딸

|align="center"|1032년 9월 6일 – 1043년 2월 15일||상부 부르고뉴 왕국
(콘라딘 왕조)||브라운슈바이크의 브룬 1세
1002년
자녀 3명

슈바벤 공작 에른스트 1세
1012년
자녀 2명

신성 로마 황제 콘라트 2세
1016년
자녀 3명

|align="center"|1043년 2월 15일
고슬라르
52세|| 기젤라는 그녀의 외삼촌의 상속자였고, 이로 인해 왕국은 신성 로마 제국에 합병되었다.

|- style="background:#fedf"

|colspan=8 align="center"|''상부 부르고뉴는 신성 로마 제국에 합병''

|- style="background:#eee"

|colspan="8" align="center"| '''영거 벨프 가문'''

|- style="background:#fff"

|벨프 4세[5]||
벨프 4세


|align="center"|
솔레시노 (?)
밀라노 변경백 알베르토 아초 2세와 알트도르프의 쿤이군데의 아들

|align="center"|1055년 11월 13일 – 1101년 11월 6일||알트도르프 백작령||노르트하임의 에델린데
1062년
자녀 없음

플랑드르의 주디스
1071년
자녀 3명

|align="center"|1101년 11월 6일
파포스
65-66세|| 쿤이군데와 밀라노 변경백 알베르토 아초 2세의 아들이며, 그의 모계 가족의 재산을 상속받았다. 또한 바이에른 공작이었다(1070–1077 및 1096–1101).

|- style="background:#fff"

|벨프 5세 "더 팻"[5]||
벨프 5세


|align="center"|1072년
벨프 4세와 플랑드르의 주디스의 맏아들

|align="center"|1101년 11월 6일 – 1120년 9월 4일||알트도르프 백작령||토스카나의 마틸다
1088/89년
자녀 없음

|align="center"|1120년 9월 24일
47-48세|| 후손을 남기지 않았고, 백작령은 그의 형제에게 넘어갔다. 또한 바이에른 공작.

|- style="background:#fff"

|헨리 3세 "더 블랙"[5]||
헨리 3세


|align="center"|1075년
벨프 4세와 플랑드르의 주디스의 둘째 아들

|align="center"|1120년 9월 4일 – 1126년 12월 13일||알트도르프 백작령||작센의 뷜프힐데
1095년
자녀 8명

|align="center"|1126년 12월 13일
라벤스부르크
50-51세|| 결혼으로 북쪽의 뤼네부르크 영지를 상속받았다.

|- style="background:#def"

|헨리 4세 "더 프라우드"[5]||
헨리 4세


|align="center"|1108년
헨리 (3세)와 작센의 뷜프힐데의 둘째 아들

|align="center"|1126년 12월 13일 – 1139년 10월 20일||뤼네부르크 영지||슙플링겐부르크의 게르트루데
1202년
자녀 1명

|align="center"|1139년 10월 20일
퀘들린부르크
30-31세

|- style="background:#fff"

|벨프 6세 "더 마일드"[5]||
벨프 6세


|align="center"|1115년
헨리 (3세)와 작센의 뷜프힐데의 셋째 아들

|align="center"|1126년 12월 13일 – 1191년 12월 15일

|알트도르프 백작령||샤우엔부르크의 우타
자녀 2명

|align="center"|1191년 12월 15일
멤밍겐
75-76세

|- style="background:#fff"

|벨프 7세[5]||
벨프 7세


|align="center"|1135년
벨프 6세와 샤우엔부르크의 우타의 아들

|align="center"| – 1167년 9월 12일||''미혼''

|align="center"|1167년 9월 12일
시에나
31-32세

|- style="background:#fff"

|소피아||
소피아


|align="center"|1105년
헨리 (3세)와 작센의 뷜프힐데의 딸

|align="center"|1129년 – 1145년 7월 10일||알트도르프 백작령
(레겐스부르크)||체링겐 공작 베르톨트 3세
자녀 없음

슈타이어의 레오폴트
자녀 4명

|align="center"|1145년 7월 10일
39-40세

|- style="background:#def"

|align="center"colspan="7"| ''슙플링겐부르크의 게르트루데의 섭정(1139–1142)''

|- style="background:#def"

|헨리 5세 "사자"[5]||
헨리 5세


|align="center"|1129년
라벤스부르크
헨리 (1세)와 슙플링겐부르크의 게르트루데의 아들

|align="center"|1139년 10월 20일 – 1195년 8월 6일||뤼네부르크 영지||체링겐의 클레멘티아
1147년
자녀 3명

잉글랜드의 마틸다
1168년
자녀 5명

|align="center"|1195년 8월 6일
브라운슈바이크
65-66세

|- style="background:#afd"

|헨리 (5세) "엘더"[8]||
헨리 5세


|align="center"|1173년
헨리 (2세)와 잉글랜드의 마틸다의 맏아들

|align="center"|1195년 8월 6일 – 1212년||라인 궁정 백작령
(스타데와 알텐첼레에도 있었음, 뤼네부르크)||호엔슈타우펜의 아그네스
1193년
자녀 3명

란츠베르크의 아그네스
1209년
자녀 없음

|align="center"|1227년 4월 28일
브라운슈바이크
53-54세

|- style="background:#def"

|오토||
오토 4세


|align="center"|1175년
헨리 (2세)와 잉글랜드의 마틸다의 셋째 아들

|align="center"|1195년 8월 6일 – 1218년 5월 19일||뤼네부르크 영지
(할덴슬레벤)||슈바벤의 베아트리체
1212년
자녀 없음

브라반트의 마리아
1214년 5월 19일
마스트리흐트
자녀 없음

|align="center"|1218년 5월 19일
하르츠부르크
42-43세

|- style="background:#def"

|윌리엄 "롱소드"||
윌리엄


|align="center"|1184년 4월 11일
윈체스터
헨리 (2세)와 잉글랜드의 마틸다의 넷째 아들

|align="center"|1195년 8월 6일 – 1213년 12월 12일||뤼네부르크 영지||덴마크의 헬레나
1202년
함부르크
자녀 1명

|align="center"|1213년 12월 12일
뤼네부르크
29세

|- style="background:#def"

|align=center colspan=8|''할덴슬레벤은 뤼네부르크에 재병합''

|- style="background:#afd"

|헨리 (6세) "더 영거"[9]||

|align="center"|1196년
헨리 (3세)와 호엔슈타우펜의 아그네스의 아들

|align="center"|1212

11. 1. 12세기 벨프 가문의 가계도

벨프 가문은 9세기 말/10세기 초 롬바르디아에 살았던 것으로 알려진 에스테 가문의 분가 중 하나이며, '''벨프에스테'''(Welf-Este) 가문이라고도 불렸다.

약칭이름비고
OWE구 벨프 가
KUN쿤군데
AZZ알베르토 아초 2세에스테 변경백
GAS갈센다(맹 백작 에르베르 1세의 딸)
WE4벨프 4세(1세)바이에른 공작 (1070-1101)
FU1폴코 1세에스테 변경백
HU5위그 5세맹 백작
WE5벨프 5세(2세)바이에른 공작 (1101-1120)
HE9하인리히 9세바이에른 공작 (1120-1126)
WUL부르힐트(작센 공작 마그누스의 딸)
EST에스테 가
H10하인리히 10세(오만공)바이에른 공작 (1126-1138)
작센 공작 (1136-1138)
WE6벨프 6세스폴레토 공작
토스카나 변경백
(1152-1160, 1167-1173)
UTA우타(라인 궁중백 고트프리트 폰 칼프의 딸)
JUD유디트
FR2프리드리히 2세슈바벤 공작
HHS호엔슈타우펜 가문
H11하인리히 11세(사자공)작센 공작 (1142-1179)
바이에른 공작 (1156-1180)
WE7벨프 7세스폴레토 공작
토스카나 변경백
(1160-1167)
FR1프리드리히 1세신성 로마 제국 황제
AGN아그네스(라인 궁중백 콘라트의 딸)
HE1하인리히 5세(1세)라인 궁정백 (1195-1227)
OT4오토 4세신성 로마 제국 황제
(1198-1215)
WIL빌헬름뤼네부르크 공작
STA호엔슈타우펜 왕조
HE2하인리히 6세(2세)라인 궁정백
AGN아그네스
OT2오토 2세바이에른 공작
라인 궁정백
OT1오토 1세브라운슈바이크 공작
WIT비텔스바흐 가문(라인 궁중백)
BSL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가문


11. 2. 11세기에서 현재까지 벨프 가문의 가계도


참조

[1] 서적 Dictionary of World Biograph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2] 문서 Canduci
[3] 서적 Memoirs, and Letters and Journals, of Major General Riedesel During His Residence in America J. Munsell
[4] 문서 Grubenhagen was firstly annexed to Wolfenbüttel, but in 1617 was a part of Lüneburg.
[5] 문서 The numbering of the first Henrys and Welfs follows the one established in the Historia Welforum. See Historia Welforum Weingartensis, MGH SS XXI.
[6] 문서 Schneidmüller, Die Welfen, p. 127; Störmer, Die Welfen in der Reichspolitik, p. 261.
[7] 웹사이트 Sophia von Bayern. In: Genealogie Mittelalter: Mittelalterliche Genealogie im Deutschen Reich bis zum Ende der Staufer. http://www.manfred-h[...] 2016-04-27
[8] 문서 Numbered V as Count Palatine of the Rhine
[9] 문서 Numbered VI as Count Palatine of the Rhine
[10] 문서 As the first Duke of Brunswick-Luneburg, the numbering restarts from here.
[11] 문서 Lexikon des Mittelalters LexMA Verlag
[12] 문서 Lexikon des Mittelalters LexMA Verlag
[13] 문서 Lexikon des Mittelalters LexMA Verlag
[13] Lexikon des Mittelalters Artemis & Winkler
[14] 서적 Dictionary of World Biograph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5] 문서 Canduc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