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변효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효문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1414년 알성 문과에 급제하여 직제학, 종부시 소윤 등을 역임했다. 그는 《농사직설》, 《신주무원록》 편찬에 참여하여 농업과 법의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1443년 통신사로 일본에 파견되어 계해약조를 체결했다. 1454년 중추원부사, 전주부윤을 지내며 《완산별곡》을 저술했으나, 1458년 전주부윤 재직 중 불법 장물로 파직되었다. 그의 사절단은 1834년 서구의 역사서에 언급되면서 서구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96년 출생 - 미켈로초
    미켈로초는 피렌체 출신의 초기 르네상스 건축가이자 조각가로, 로렌초 기베르티와 도나텔로의 제자였으며 코시모 데 메디치의 후원을 받아 메디치 궁전과 산 마르코 수도원 재건축 등 르네상스 건축 발전에 기여했다.
  • 1396년 출생 - 선량공 필리프
    필리프 3세는 부르고뉴 공작으로서 잉글랜드와 동맹을 맺고 잔 다르크를 넘겼지만, 아라스 조약으로 동맹이 깨졌으며, 영토 확장과 예술 후원에 힘썼고, 황금 양모 기사단의 단장이었다.
  • 1461년 사망 - 샤를 7세
    샤를 7세는 백년 전쟁 시기에 프랑스를 통치했으며, 잔 다르크의 도움으로 잉글랜드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프랑스를 재건했으나 아들과의 갈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1461년 사망 - 도메니코 베네치아노
    도메니코 베네치아노는 15세기 이탈리아 화가로, 베네치아 출신으로 추정되며 피렌체와 페루자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밝고 화려한 색채와 건축 요소를 화사하게 표현하는 화풍으로 후대 화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 초계 변씨 - 변양균
    변양균은 대한민국의 경제관료, 기업인, 대학교수로, 경제기획원, 재정경제원, 기획예산처 등에서 주요 보직을 역임하고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에서 핵심 직책을 맡아 경제 정책 수립에 기여했으며, 공직 은퇴 후 기업 회장과 윤석열 정부의 경제고문으로 활동하며 저서도 출간했다.
  • 초계 변씨 - 변창흠
    변창흠은 대한민국의 학자이자 공무원, 공공기관인으로, 세종대학교 교수, SH공사 및 LH 사장을 거쳐 문재인 정부에서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재직 시절 여러 논란으로 비판을 받았다.
변효문
기본 정보
한글 표기변효문
한자 표기卞孝文
로마자 표기Byeon Hyomun
한국어 표기법Byeon Hyomun
매큔-라이샤워 표기법Pyŏn Hyomun
기타
참고"" 내용은 참고하십시오.
출처변효문 (卞孝文) (Nate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 생애

변효문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여러 관직을 거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1414년(태종 14) 문과에 급제한 후 직제학, 종부시소윤, 사재감정 등을 역임했다. 정초 등과 『농사직설』을, 최치운 등과 『신주무원록』을 편찬했고, 통신사로 일본에 파견되어 계해약조를 체결했다.[11]

1458년(세조 4년) 전주부윤 재직 중 불법 장물이 적발되어 파직되었다.[13]

2. 1. 초기 관직 활동

1414년(태종 14) 알성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직제학을 거쳐 1428년(세종 10년) 종부시 소윤(宗簿寺 少尹)을 지내고, 1429년(세종 11) 정초 등과 『농사직설』을 편찬하였다.[8]

2. 2. 법률 및 행정 분야 활동

1438년(세종 20) 최치운(崔致雲) 등과 함께 『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을 편찬하여 법의학 발전에 기여했다. 같은 해 판내섬시사(判內贍寺事)로서 경상도 지역의 조세 면세 심사를 담당했다.[10] 1444년 『오례의주(五禮儀注)』를 상정(詳定)하여 국가 의례 정비에 참여했다.[12] 1446년 빈전도감제조(殯殿都監提調)를 거쳐 경창부윤(慶昌府尹)에 임명되었다. 1454년(단종 2) 중추원부사(中樞院副使), 경주부윤, 전주부윤(全州府尹) 등을 역임하며 지방 행정에도 참여했다. 전주부윤 재직 시절 《완산별곡(完山別曲)》을 저술했다.

2. 3. 대일 외교 활동

1434년(세종 16년) 전라도 선위별감으로서 삼봉도에서 왜인을 잡은 군사의 공로 등급을 올렸다.[8]

1435년(세종 17년) 정3품 사재감정으로서 명나라 사신에게 어찰사목을 전했다.[9]

1443년(세종 25년) 통신사로 일본에 파견되어[11] 아시카가 요시마사(足利義政)에게 조문하고 아시카가 요시카쓰(足利義勝)의 즉위를 축하했다.[3] 귀국길에 대마도주와 계해약조를 체결하였다.[11]

계해약조는 "각사(Kakitsu)" 조약이라고도 불리며, 1441년부터 1444년까지의 일본 연호(nengō)를 따서 명명되었다. 이 조약은 해적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초기 계획을 정규화한 것으로, 조선과 일본 간에 일본 선박의 한국 항해 감시 책임을 분담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쓰시마의 쓰시마번(Tsushima han) 소씨(Sō clan)는 쓰시마를 넘어 서쪽으로 항해하는 선박에 대한 면허 발급 권한을 부여받았으며, 이를 통해 소씨는 통행세 등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었다.[5]

2. 4. 파직

1458년(세조 4년) 전주부윤 재직 중 불법 장물(贓物)이 적발되어 파직되었다.[13]

3. 가족 관계

변효문의 증조부는 변경(卞卿), 조부는 변빈(卞贇)이다. 아버지는 한성판윤을 지낸 변남룡(卞南龍)이며, 외조부는 고려 말 문하시중 염제신(廉悌臣)이다. 어머니는 파주 염씨(坡州廉氏), 동생은 병조참의 변효경(卞孝敬), 부인은 삭녕 최씨(朔寧崔氏)이다. 아들은 변균(卞鈞), 변심(卞鐔), 변흠(卞欽)이며, 손자는 변감(卞瑊), 증손자는 변형량(卞亨良)이다. 변균은 1447년(세종 29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직장(直長)을 지냈다.

3. 1. 가족 구성원

관계이름비고
증조부변경(卞卿)
조부변빈(卞贇)
아버지변남룡(卞南龍)한성판윤(判尹)
외조부염제신(廉悌臣)문하시중(門下侍中)
어머니파주 염씨(坡州廉氏)
동생변효경(卞孝敬)병조참의
부인삭녕 최씨(朔寧崔氏)
아들변균(卞鈞)1447년(세종 29년) 생원시 합격, 직장(直長)
아들변심(卞鐔)
아들변흠(卞欽)
손자변감(卞瑊)
증손자변형량(卞亨良)


4. 서구의 인식

변효문의 업적은 19세기 서구 학계에도 알려졌다. 1834년 동양번역기금(Oriental Translation Fund)이 배포한 역사서에 그의 사절단이 언급되면서 역사적 중요성이 확인되었다.[6]

4. 1. 초기 서구 자료

1834년 동양번역기금(Oriental Translation Fund)에서 발간한 역사서에 변효문의 사절단이 언급되었다.[6]

조선 왕조에 대한 초기 서구 출판물은 많지 않지만, 삼국통람도설(1832년 파리 출판)[7]과 일본왕대일람(1834년 파리 출판)에서 찾아볼 수 있다. 1834년 저서에서는 조선의 외교 관계를 명시적으로 언급하고 있다.[6]

참조

[1] 웹사이트 ko:변효문 (卞孝文) http://100.nate.com/[...] Nate /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09-10-09
[2] 서적 The Land of Scholars: Two Thousand Years of Korean Confucianism https://books.google[...] 2006
[3] 서적 Diplomacy and Ideology in Japanese-Korean Relations: from the Fifteenth to the 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1997
[3]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4] 간행물 The Formation of A Japanocentric World Order http://journals.camb[...] 2005
[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Early Modern Japan https://books.google[...] 1997
[6]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7] 웹사이트 Accidental acquisitions: The nineteenth-century Korean collections in the National Museum of Ethnology, Part 1 http://www.rmv.nl/pu[...]
[8] 실록 세종실록 66권, 세종 16년 10월 7일 경술 5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9] 실록 세종실록 67권, 세종 17년 3월 13일 을유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0] 실록 세종실록 83권, 세종 20년 10월 15일 병인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1] 실록 세종실록 99권, 세종 25년 2월 21일 정미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2] 실록 세종실록 128권, 오례 서문 http://sillok.histor[...]
[13] 실록 세조실록 13권, 세조 4년 8월 26일 신사 5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