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리스 비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리스 비앙은 프랑스의 소설가, 시인, 극작가, 번역가, 재즈 트럼펫 연주자이자 작사가였다. 1920년 파리에서 태어난 비앙은 엔지니어, 작가, 번역가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으며, '버논 설리번'이라는 필명으로 하드보일드 스릴러 소설을 집필하여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본명으로는 전위적인 소설을 발표했으나, 생전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사후 재평가되었다. 그는 또한 재즈 음악가로 활동하며 프랑스 재즈계에 기여했으며, 반전 가사를 통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했다. 비앙은 1959년, 자신의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 시사회에서 급성 심정지로 3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작품은 현대 프랑스 문학의 고전으로 자리 잡았으며, 한국에서도 번역 출간되어 널리 읽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음악 작가 - 피에르 셰페르
    피에르 셰페르는 구체 음악의 창시자이자 프랑스의 작곡가, 음악 이론가, 음향 엔지니어, 작가, 방송인으로서, 일상 소리를 변형한 음악을 만들고 프랑스 국영 방송 실험 스튜디오 설립, 구체 음악 연구 그룹 결성, 파리 음악원 후진 양성 등에 기여했다.
  • 재즈 작가 - 에릭 홉스봄
    에릭 홉스봄은 영국 출신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로,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 《극단의 시대》 등 저술을 통해 근대와 20세기를 분석했으며, 공산주의에 대한 옹호적 시각과 소련의 범죄에 대한 침묵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재즈 작가 - 아미리 바라카
    아미리 바라카는 흑인 해방 운동과 인종차별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미국의 시인이자 극작가, 소설가, 에세이스트, 비평가로, 주요 작품으로는 『블루스 피플』 등이 있으며 논란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계 미국인 문화와 역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공학자 - 귀스타브 에펠
    프랑스의 토목기사이자 건축가인 귀스타브 에펠은 철골 구조 건축의 선구자로서 에펠탑 건설과 자유의 여신상 내부 구조 설계에 참여했으며, 후기에는 항공학 발전에도 기여했지만 파나마 운하 스캔들에 연루되기도 했다.
  • 프랑스의 공학자 - 자크 드 보캉송
    자크 드 보캉송은 자동인형 제작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섬유 산업 자동화에도 기여한 18세기 프랑스의 발명가이자 기술자이다.
보리스 비앙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보리스 비안
원어 이름Boris Vian
보리스 비안
별칭버논 설리번
출생일1920년 3월 10일
출생지프랑스 오드센주 빌다브레
사망일1959년 6월 23일
사망지파리
국적프랑스
직업소설가, 시인, 극작가, 언론인, 엔지니어, 음악가, 작곡가, 가수
학력
모교에콜 상트랄 파리
경력
작품
주요 작품세월의 거품
나는 네 무덤에 침을 뱉으리
베이징의 가을
붉은 풀
마음 도둑
개인사
배우자미셸 레글리즈 (이혼)
우르술라 퀴블러
필명버논 설리번
비종 라비
바롱 비지
브리사비옹

2. 생애

보리스 비앙은 1920년 파리 근교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자유로운 환경에서 성장했다.[1] 어린 시절 류마티스열을 앓아 평생 심장 문제로 고통받았으며, 이는 그의 작품과 삶에 영향을 미쳤다. 리세 오슈와 리세 콩도르세에서 수학했으며, 에콜 상트랄 파리에서 공학 학위를 취득했다. 청소년기부터 재즈에 깊은 관심을 보여 트럼펫을 연주하기 시작했고, 프랑스 핫 클럽에 가입하는 등 프랑스 재즈계와 인연을 맺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학업을 이어갔으며, 1941년 미셸 레글리즈와 결혼하여 아들 파트리크를 두었다. 졸업 후 프랑스 표준화 협회(AFNOR)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지만, 문학과 음악 활동에 더 열정을 쏟았다. 1943년 첫 소설을 집필하고 시를 발표하며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1946년에는 대표작으로 꼽히는 세월의 거품( L'Écume des jours프랑스어 )과 베이징의 가을( L'Automne à Pékin프랑스어 )을 발표했으나 상업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다. 같은 해 장 폴 사르트르, 시몬 드 보부아르 등과 교류하며 Les Temps modernes프랑스어지에 글을 기고하기 시작했다.

상업적 성공을 위해 '버논 설리번'이라는 필명으로 발표한 하드보일드 소설 나는 너희 무덤에 침을 뱉으리라( J'irai cracher sur vos tombes프랑스어 )(1947)는 큰 논란 속에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나, 외설 및 폭력성 문제로 법적 처벌을 받기도 했다. 이 사건은 그의 작가 경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후에도 '버논 설리번' 명의로 여러 작품을 발표했다.

문학 활동과 병행하여 재즈 트럼펫 연주자로도 활발히 활동했으며, 생제르맹데프레의 클럽 등지에서 연주하고 재즈 평론을 기고했다. 샹송 작사가로서도 중요한 업적을 남겼는데, 특히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시기에 작사한 반전가 탈영병( Le Déserteur프랑스어 )은 큰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으나 정치적인 이유로 오랫동안 방송이 금지되었다.

1951년 첫 아내 미셸과 이혼하고, 1954년 스위스 출신 댄서 우르술라 퀴블러와 재혼했다. 말년에는 필립스 음반사에서 일하며 작곡, 오페라, 시나리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평소 심장 질환을 앓고 있던 비앙은 1959년 6월 23일, 자신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무덤에 침을 뱉으리》 시사회 도중 심장 발작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3] 그의 나이는 39세였다.

2. 1. 성장 과정 및 교육

보리스 비앙은 1920년 파리 교외의 부유한 지역인 오드센 빌다브레에서 중상류층 가정의 4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다.[1] 그의 아버지는 젊은 사적 연금 생활자인 폴 비앙이었고, 어머니 이본 라브네즈는 아마추어 피아니스트이자 하프 연주자였다. 비앙은 아버지로부터 교회와 군대에 대한 불신, 보헤미안적 삶에 대한 애정을 물려받았다. 그의 이름 '보리스'는 어머니가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의 오페라 ''보리스 고두노프'' 공연을 보고 지은 것이다.[1]

비앙은 12세 때 류마티스열을 앓았고, 이로 인해 어린 시절 후반기를 질병으로 고통받았다. 이후 그의 부모는 비앙에게 과잉보호적인 태도를 보였는데, 그는 훗날 소설 《붉은 풀》과 《심장을 뽑는 자》에서 이를 비판적으로 묘사했다.

1932년부터 1937년까지 베르사유에 있는 리세 오슈에서 공부했다. 1936년, 비앙과 그의 형제들은 페요테라는 멕시코 선인장 형태의 메스칼린을 사용하는 "서프라이즈 파티"를 조직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재즈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듬해인 1937년에는 트럼펫 연주를 시작하며 프랑스 핫 클럽에 가입했다.

1937년, 비앙은 수학, 철학, 라틴어, 그리스어, 독일어 과목에서 바칼로레아를 통과하며 리세 오슈를 졸업했다. 이후 1939년까지 리세 콩도르세에서 특별 수학을 공부했다. 그는 프랑스 재즈계에 깊이 관여하여, 1939년에는 듀크 엘링턴의 두 번째 프랑스 콘서트 조직을 돕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때, 비앙은 건강 문제로 군 복무를 면제받았다. 그는 프랑스의 명문 공과대학인 에콜 상트랄 파리에 입학했으나, 전쟁으로 인해 학교가 앙굴렘으로 이전하면서 그곳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1940년에는 미셸 레글리즈를 만나 1941년 결혼했고, 그녀를 통해 영어를 배우고 미국 문학 번역에 접하게 되었다. 1942년, 비앙은 에콜 상트랄 파리에서 토목 기사 학위를 취득했으며(일부 자료에서는 금속 공학 학위로 언급되기도 함), 같은 해 아들 파트리크 비앙이 태어났다.

학위 취득 후 프랑스 표준화 협회에 취직했지만, 주로 중요하지 않은 업무를 맡는 한직이었기 때문에 근무 중 여가 시간을 활용하여 동료를 풍자하는 소책자를 만들거나 작곡에 몰두하기도 했다.

2. 2. 초기 경력 및 문학 활동

1932년부터 1937년까지 보리스 비앙은 베르사유의 리세 오슈에서 공부했으며, 1936년에는 형제들과 함께 메스칼린을 사용하는 "깜짝 파티"를 열기 시작했는데, 이는 그의 초기 소설 ''Trouble dans les andains프랑스어''(흐느러지는 갈대밭에서, 1943)와 ''Vercoquin et le plancton프랑스어''(베르코캥과 플랑크톤, 1943-44)의 바탕이 되었다. 같은 해 재즈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이듬해 트럼펫 연주를 시작하고 프랑스 핫 클럽에 가입했다.

1937년 수학, 철학, 라틴어, 그리스어, 독일어 바칼로레아를 통과하며 리세 오슈를 졸업하고, 1939년까지 리세 콩도르세에서 특별 수학을 공부했다. 이 시기 비앙은 프랑스 재즈계에 깊이 관여하여 1939년 듀크 엘링턴의 두 번째 프랑스 콘서트 조직을 도왔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시 건강 문제로 군 복무는 면제되었다. 이후 파리 중앙 공예 학교(École Centrale Paris)에 입학했고, 전쟁으로 학교가 앙굴렘으로 이전하자 그곳으로 따라가 1942년 금속 공학 학위를 받으며 졸업했다.

1940년 미셸 레글리즈를 만나 1941년 결혼했으며, 그녀에게 영어를 배우고 미국 문학 번역을 접했다. 같은 해, 그의 여러 초기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인 자크 루스탈로를 만났다. 1942년에는 아들 파트리크 비앙이 태어났고, 형제들과 함께 클로드 아바디의 재즈 오케스트라에 합류했다. 졸업 후 미셸과 파리 10구로 이사하여 1942년 8월 24일 프랑스 표준화 협회(AFNOR)의 엔지니어로 취직했다. 뛰어난 재즈 트럼펫 연주자이기도 했던 그는 1943년 첫 소설 ''Trouble dans les andains프랑스어'' (풀숲의 소동)을 썼고, 같은 해 자신의 이름을 이용한 애너그램 필명 'Bison Ravi'(기쁜 들소)로 Hot Club de France 게시판에 시를 발표하며 문학 경력을 시작했다. 1943년에는 아버지가 강도에게 살해당하는 비극을 겪었다.

1944년, 젊은 시절의 경험과 AFNOR에서의 근무(소설에서 풍자됨)를 바탕으로 소설 ''Vercoquin et le plancton프랑스어'' (베르코캥과 플랑크톤)을 완성했다. 이 작품은 레이몽 퀘노와 장 로스탕의 도움으로 1947년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 1946년에는 그의 첫 주요 소설인 ''L'Écume des jours프랑스어'' (세월의 거품)과 ''L'Automne à Pékin프랑스어'' (베이징의 가을)을 완성했다. ''L'Écume des jours프랑스어''는 등장인물의 감정에 따라 현실 사물이 반응하는 비극적 사랑 이야기로 현재 그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지만, 출판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고 플레야드 문학상 최종 심사에서도 낙선했다. 다소 복잡한 사랑 이야기인 ''L'Automne à Pékin프랑스어'' 역시 판매 부진을 겪었다. 비앙 명의로 발표된 전위적인 작품들(''L'Arrache-cœur프랑스어''(심장 뽑기), ''L'Herbe rouge프랑스어''(붉은 풀) 등)은 당시 대중과 평론가들로부터 외면받거나 혹평을 받았다.

자신의 작품이 상업적으로 실패하자 비앙은 베스트셀러를 쓸 수 있다고 장담하며, 1946년 단 15일 만에 하드보일드 소설 ''J'irai cracher sur vos tombes프랑스어'' (무덤에 침을 뱉어라)를 집필했다. 이 책은 가상의 미국 작가 '버논 설리번'(Vernon Sullivan)의 작품으로 소개되었고 비앙은 번역자로 이름을 올렸다. 친구인 출판업자 장 달루앵을 설득하여 1947년 출판된 이 소설은, 인종 차별주의자 백인에 대한 흑인 청년의 잔혹한 복수극을 그려 대중적 인기를 얻었으나, 저속한 폭력 소설이라는 비난과 함께 법정 소송으로 이어졌다. 결국 재판에서 패소한 비앙은 발행 부수 10만 부에 비례하여 의 벌금을 선고받게 된다. 이후에도 그의 '버논 설리번' 명의 작품들은 종종 출판 금지 조치가 취해졌으며, 파리의 한 호텔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 현장에서 이 책이 발견되기도 했다. 비앙은 1947년부터 1949년까지 세 편의 설리번 소설을 더 발표했다.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초반까지 그는 총 10권의 소설(설리번 명의 4권 포함)을 집필했다.

1946년은 비앙의 삶에 중요한 해였다. 그와 미셸이 주최한 파티를 통해 장 폴 사르트르, 시몬 드 보부아르, 알베르 카뮈와 교류하며 그들의 문학 서클 일원이 되었고, 사르트르가 편집하는 잡지 ''현대(Les Temps modernes)''에 정기적으로 글을 기고하기 시작했다. 비앙은 특히 사르트르를 존경하여 ''L'Écume des jours프랑스어''에 '장 솔 파르트르'(Jean-Sol Partre)라는 이름으로 그를 등장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사르트르와 미셸 비앙의 관계는 결국 비앙의 결혼 생활 파탄으로 이어졌다.

문학 활동이 활발해졌음에도 비앙은 재즈계를 떠나지 않고 재즈 관련 잡지에 기고했으며, 생제르맹데프레의 클럽 르 타부(Le Tabou)에서 트럼펫을 연주했다. 또한 자신의 합창단 ''La petite chorale de Saint-Germain-des-Pieds''를 결성하기도 했다. 문학과 재즈 활동으로 재정 상황이 나아지자 그는 AFNOR 엔지니어 직을 그만두고 문필업과 음악 활동에 전념하게 되었다.

비앙은 프랑스에 레이먼드 챈들러의 작품을 처음 번역하여 소개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당시 프랑스에서는 드물게 미국 대중문화에 정통했다.

2. 3. 재즈 음악 활동

보리스 비앙은 뛰어난 재즈 트럼펫 연주자였으며, 파리 생제르맹데프레의 클럽 '르 타부(Le Tabou)'에서 자주 연주했다. 그는 당시 시에서도 'trompinette'이라 즐겨 부르던 포켓 트럼펫을 연주했다. 재즈 관련 활동과 문학 활동으로 재정 상황이 개선되자 프랑스 표준화 협회(AFNOR) 엔지니어 직업을 그만두었다. 또한 자신의 합창단인 ''La petite chorale de Saint-Germain-des-Pieds''를 결성하기도 했다.

재즈 팬으로서 비앙은 듀크 엘링턴, 마일스 데이비스 등 파리를 방문한 미국 재즈 아티스트들과 프랑스 재즈계 사이의 중요한 가교 역할을 했다. 그는 프랑스의 재즈 잡지 ''르 재즈 오트(Le Jazz Hot)''나 ''파리 재즈(Paris Jazz)'' 등에 프랑스와 미국 양국의 재즈에 대한 평론을 다수 기고했다. 그의 평론은 대체로 흑인 재즈를 진정한 재즈로 간주하고 백인 재즈 연주자들에게는 비판적인 경향을 보였다. 비앙은 평생 미국을 방문하지 않았지만, 미국 문화와 재즈에 대한 깊은 동경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그의 작품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비앙의 가장 널리 알려진 샹송 작품은 인도차이나 전쟁 중 작사한 반전가 『탈영병(Le Déserteur)』(작곡: 해럴드 버나드 버그, Harold Bernard Berg)이다. 이 노래는 프랑스 대중에게 널리 불렸으나, 당시 정치적인 이유로 라디오 방송이 금지되었다. 가수 마르셀 물루지가 가사를 일부 수정하여 불렀지만, 비앙은 이에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결국 이 노래는 1967년까지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이 금지되었다. 비앙 자신이 직접 부른 음반은 그가 사망한 지 10년이 지나서야 프랑스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그의 노래들은 세르주 레지아니, 줄리에트 그레코, 나나 무스쿠리, 이브 몽탕, 마갈리 노엘, 앙리 살바도르 등 수많은 유명 아티스트들이 불렀다. 특히 세르주 갱스부르는 비앙을 무대에서 만난 후 작곡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언급할 정도로 후대 프랑스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비앙은 친구 앙리 살바도르와 함께 프랑스 최초의 로큰롤 노래를 만들기도 했으며(앙리 살바도르는 '헨리 코딩'이라는 예명 사용), 페툴라 클라크의 프랑스 첫 공연을 위해 곡을 쓰기도 했다.

1955년부터는 필립스 음반사에서 미술 감독으로 일하며 작곡, 오페라, 시나리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같은 해 첫 앨범 ''가능한 노래와 불가능한 노래(Chansons possibles et impossibles)''를 녹음하고 직접 무대에서 자신의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1958년에는 작곡가 다리우스 미요와 협력하여 오페라 ''피에스타(Fiesta)''를 작업했으며, 음악에 관한 에세이 모음집을 출판하는 등 음악 분야에서 꾸준히 활동했다.

2. 4. 결혼과 이혼

보리스 비앙은 1941년 미셸 레글리즈(Michelle Léglise)와 결혼하여 아들 파트리크 비앙(Patrick Vian)을 낳았다. 이후 아내 미셸과 별거하였고, 1950년 스위스 출신 댄서 우르술라 퀴블러 (Ursula Kübler, 1928–2010)를 만나 연애를 시작했다. 1951년 비앙은 미셸과 이혼했으며, 1954년 우르술라 퀴블러와 재혼했다.

2. 5. 죽음

비앙은 오랫동안 심장에 결함이 있었고 부정맥으로 고통받았다.[3] 트럼펫 연주는 심장병을 앓던 그에게 위험한 일이었지만, 본인은 개의치 않고 계속했다. 그는 스스로 "40살이 되기 전에 죽을 거야"라고 자주 말하며 단명을 예감했던 것으로 보인다.[3]

1959년 6월 23일 아침, 비앙은 자신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여 논란이 된 영화 《무덤에 침을 뱉으리》(''J'irai cracher sur vos tombes'')의 시사회에 참석하기 위해 파리의 시네마 마르뵈프 극장에 있었다.[3] 그는 이미 영화 제작자들과 작품 해석 문제로 여러 차례 충돌했으며, 영화를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엔딩 크레딧에서 자신의 이름을 빼달라고 요구한 상태였다.[3]

영화가 시작된 지 몇 분 후, 비앙은 "이 녀석들은 미국인이 된 줄 아나? 바보 취급하고 있어!"라고 외쳤다고 전해진다.[3] 바로 그 직후, 그는 갑작스러운 심장 발작(급성 심정지)을 일으켜 좌석에서 쓰러졌고, 병원으로 이송되던 중 결국 숨을 거두었다.[3] 그의 나이는 겨우 39세였다.

그의 아들인 Patrick Vian|패트릭 비앙fra 역시 음악가로 활동했다.

3. 작품 세계

보리스 비앙은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초반까지 약 10권의 소설을 집필했다. 그는 상업적 성공을 목표로 '버논 설리번'(Vernon Sullivan)이라는 필명 아래 하드보일드 스릴러 소설을 발표했으며, 특히 《무덤에 침을 뱉으리》(J'irai cracher sur vos tombes프랑스어)는 큰 성공과 함께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다. 이 작품은 저속하다는 비판 속에 법정 소송으로 이어져 벌금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자신의 본명으로는 《심장 도둑》(L'Arrache-cœur프랑스어), 《붉은 풀》(L'Herbe rouge프랑스어), 《베이징의 가을》(L'Automne à Pékin프랑스어), 《세월의 거품》(L'Écume des jours프랑스어) 등 전위적인 작품들을 발표했으나, 발표 당시에는 평단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 시기 비앙은 AFNOR를 퇴사하고 문필 활동에 전념했다.

비앙은 또한 프랑스레이먼드 챈들러의 작품을 처음 번역하여 소개하는 등, 당시 드물게 미국 대중 문화, 특히 재즈에 정통한 작가였다.

장편 소설 창작에서 기대만큼의 성과를 얻지 못하자, 비앙은 연극, 단편소설, 노래 창작 등으로 활동 영역을 넓혔다. 특히 음악 분야에서 두드러진 활동을 보였는데, 1958년 다리우스 미요오페라 축제에서 협연하는 등 전문가 수준의 재능을 선보였다. 파리 생 제르맹 데 프레의 클럽 '타부'(Tabou)에서는 직접 포켓 트럼펫('trompinette')을 연주하기도 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샹송 작품은 인도차이나 전쟁 시기에 쓰인 반전 노래 〈탈영병〉(Le Déserteur프랑스어)이다. 이 곡은 프랑스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으나 방송 금지 처분을 받기도 했다. 비앙의 노래는 세르주 레지아니, 줄리엣 그레코, 이브 몽탕 등 여러 가수에 의해 불렸으며, 세르쥬 갱스부르와 같은 후배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재즈 애호가로서 비앙은 듀크 엘링턴, 마일스 데이비스 등 프랑스를 방문한 미국 재즈 음악가들과 프랑스 문화계 사이의 교류를 촉진하는 역할을 했다. 그는 여러 재즈 잡지에 평론을 기고하며 주로 흑인 재즈를 높이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평생 미국을 방문하지는 않았지만, 미국 문화에 대한 동경은 그의 작품 세계 전반에 걸쳐 중요한 모티프로 작용했다.

3. 1. 문학적 특징

보리스 비앙의 문학 작품은 재즈에 대한 깊은 애정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그는 대표작 『L'Écume des jours』의 서문에서 "이 세상에서 영원히 지속되는 것은 단 두 가지뿐이다. 사랑스러운 소녀와 함께 있을 때 느끼는 사랑, 그리고 뉴올리언스듀크 엘링턴의 음악뿐이다. 그 외의 모든 것은 사라져야 한다. 그저 흉할 뿐이니까..."라고 적으며 재즈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드러냈다.

비앙은 언어유희와 표현, 이야기의 실험을 활발하게 시도했으며, 이러한 특징은 프랑스 문학사에서 누보 로망이나 울리포와 같은 실험적인 움직임과도 연결될 수 있다. 평론가들은 『세월의 거품』에서 나타나는 비앙 특유의 독창적이고 유머러스한 표현 방식이 플롯이나 등장인물 같은 일반적인 이야기 요소를 넘어서는, 마치 '4차원적인 수단'과 같은 독특한 차원을 만들어낸다고 평가했다. 레이몽 크노는 이 작품을 "지금까지의 러브 스토리 중, 이토록 가슴 아프고 비통한 현대적인 러브 스토리는 본 적이 없다"고 평하기도 했다. 작품 전반에 나타나는 초현실주의적인 분위기 또한 그의 중요한 특징인데, 예를 들어 『세월의 거품』에서는 등장인물의 감정에 따라 현실 세계의 사물이 반응하는 묘사가 나타난다.

그의 작품에는 사회 부조리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와 블랙 유머가 담겨 있기도 하다. 비앙은 자신의 이름으로 발표한 전위적인 작품들(세월의 거품, 『L'automne à Pékin』, 『심장 빼기(L'Arrache-cœur)』, 『붉은 잔디(L'Herbe rouge)』 등)이 평단의 혹평을 받고 주목받지 못하자, 상업적 성공을 위해 '버논 설리번'이라는 미국식 필명으로 하드보일드 스릴러 소설을 집필하기도 했다. 특히 설리번 명의로 발표한 『J'irai cracher sur vos tombes』는 친구의 번역 제안에 "번역보다 직접 쓰는 것이 빠르다"며 단기간에 완성한 작품으로, 인종 차별에 대한 흑인 청년의 잔혹한 복수극이라는 자극적인 내용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저속한 폭력 소설이라는 비판과 함께 법정 소송으로 이어졌고, 결국 패소하여 발행 부수에 비례한 벌금을 물게 되는 등 작품 외적인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비앙의 작품은 프랑스어 특유의 표현과 독특한 문체 때문에 번역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특징적인 어조나 문장의 매력을 다른 언어로 온전히 옮기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르며, 특히 영어와 같이 비교적 의미가 불분명한 언어로 번역할 때 더욱 그렇다고 평가된다. 예를 들어, 'L'écume des jours'라는 제목은 문자 그대로 '날들의 거품'을 의미하지만, 작품의 맥락 속에서는 '기묘하고 부자연스러운 이야기'와 같은 함축적인 의미를 지니는데, 이러한 뉘앙스를 살리기가 쉽지 않다. 이는 비앙의 작품이 프랑스어라는 언어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3. 2. 주요 작품

보리스 비앙은 소설, 희곡, , 노래 가사,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왕성하게 활동한 작가이다. 그의 문학 활동은 1943년 아나그램 필명인 'Bison Ravi'로 시를 발표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다방면에 걸쳐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특히 소설가로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는데, 자신의 본명인 보리스 비앙으로는 《세월의 거품》(L'Écume des jours프랑스어), 《베이징의 가을》(L'Automne à Pékin프랑스어) 등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작품을 주로 발표했다. 반면, '버논 설리번'(Vernon Sullivan)이라는 미국식 필명으로는 상업적인 성공을 목표로 《무덤에 침을 뱉으리》(J'irai cracher sur vos tombes프랑스어)와 같은 하드보일드 스릴러 소설을 집필하여 큰 반향과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소설 작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소설 섹션에서 다룬다.

소설 외에도 비앙은 부조리하고 풍자적인 희곡들을 남겼으며(희곡 참조), 시 창작(시집 참조)과 번역 활동(번역 참조)에도 꾸준히 참여했다. 특히 당시 프랑스 작가로서는 드물게 미국 대중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레이먼드 챈들러와 같은 작가의 작품을 프랑스에 처음 소개하는 등 번역가로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의 작품 전반에는 부조리, 풍자, 언어유희, 재즈의 영향 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각 장르별 주요 작품과 활동 내역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3. 2. 1. 소설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초반에 걸쳐 비앙은 10권의 소설을 집필했다.

그는 '버논 설리번'(Vernon Sullivan)이라는 미국식 필명을 사용하여 돈을 벌기 위해 하드보일드 스릴러 소설 4편을 썼다. 특히 설리번 명의의 데뷔작인 《무덤에 침을 뱉으리》(J'irai cracher sur vos tombes프랑스어)(1946)가 유명하다. 당시 프랑스에서 유행하던 미국 하드보일드 소설 번역을 친구인 출판업자에게 제안받았으나, 비앙은 직접 쓰는 것이 빠르다며 이 소설을 단 15일 만에 완성했다. 그는 자신이 번역한 것처럼 꾸며 가상의 미국 작가 버논 설리번의 이름으로 출판했다. 소설은 인종 차별주의자인 백인에 대한 증오심에 불타는 흑인 청년의 잔혹한 복수극을 다루었으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나 저속한 폭력 소설이라는 비판과 함께 법정 소송으로 이어졌다. 결국 재판에서 패소하여 소설 발행 부수(100,000부)에 비례한 벌금 을 물게 되었고, 이후에도 그의 일부 작품은 출판 금지 조치를 당하기도 했다. 파리의 한 호텔에서 매춘부의 시체 옆에 이 책이 놓여 있었던 사건도 논란을 더했다. 설리번 명의로는 《죽음은 모두 같은 피부를 가지고 있다》(Les morts ont tous la même peau프랑스어)(1947), 《추악한 자들은 모두 지옥에 가라》(Et on tuera tous les affreux프랑스어)(1948), 《그들은 깨닫지 못한다》(Elles se rendent pas compte프랑스어)(1950) 등을 추가로 발표했다.

한편, 자신의 본명인 보리스 비앙 명의로는 전위적인 작품들을 발표했다. 초기작으로는 AFNOR에서의 경험 등을 바탕으로 한 《베르코캥과 플랑크톤》(Vercoquin et le plancton프랑스어)(1947 출판)과 습작 소설 《풀숲의 소동》(Trouble dans les andains프랑스어)(1943 집필, 1966 사후 출판) 등이 있다. 대표작으로는 등장인물의 감정에 따라 현실 세계의 사물이 반응하는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다룬 《세월의 거품》(L'Écume des jours프랑스어)(1947)이 있다. 이 작품으로 플레야드 문학상 후보에 올랐으나 최종 심사에서 탈락했고, 출판 당시에는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다른 주요 작품으로는 《베이징의 가을》(L'Automne à Pékin프랑스어)(1947), 《붉은 풀》(L'Herbe rouge프랑스어)(1950), 《심장 도둑》(L'Arrache-cœur프랑스어)(1953) 등이 있다. 비앙 명의의 작품들은 발표 당시 평론가들에게 혹평을 받는 등 전반적으로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 시기 비앙은 AFNOR를 퇴사하고 문필 활동에 전념하게 되었다.

비앙은 프랑스에 레이먼드 챈들러의 작품을 처음 번역하여 소개했으며, 당시 프랑스 작가로서는 드물게 미국 대중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었다.

제목원제출판 연도비고
무덤에 침을 뱉으리J'irai cracher sur vos tombes프랑스어1946버논 설리번 명의
베르코캥과 플랑크톤Vercoquin et le plancton프랑스어1947보리스 비앙 명의 첫 출판작
세월의 거품L'Écume des jours프랑스어1947보리스 비앙 명의
베이징의 가을L'Automne à Pékin프랑스어1947보리스 비앙 명의
죽음은 모두 같은 피부를 가지고 있다Les morts ont tous la même peau프랑스어1947버논 설리번 명의
추악한 자들은 모두 지옥에 가라Et on tuera tous les affreux프랑스어1948버논 설리번 명의
붉은 풀L'Herbe rouge프랑스어1950보리스 비앙 명의
그들은 깨닫지 못한다Elles se rendent pas compte프랑스어1950버논 설리번 명의
심장 도둑L'Arrache-cœur프랑스어1953보리스 비앙 명의
풀숲의 소동Trouble dans les Andains프랑스어19661943년 습작, 사후 출판 (보리스 비앙 명의)


3. 2. 2. 희곡

보리스 비앙은 여러 편의 희곡을 남겼다. 그의 희곡들은 부조리하고 풍자적인 성격을 띠는 경우가 많으며, 대표작으로는 《모두를 위한 도살장》과 《제국의 건설자》 등이 있다.

한국어 제목원제발표/출판 연도
모두를 위한 도살장L'Équarrissage pour tous프랑스어1950년
마지막 직업Le Dernier des métiers프랑스어1950년
메두사의 머리Tête de Méduse프랑스어1951년
장군들의 간식Le Goûter des généraux프랑스어1951년 (집필), 1962년 (출판)
창백한 연작Série Blême프랑스어1952년?
프랑스 사냥꾼Le Chasseur français프랑스어1955년
제국의 건설자Les Bâtisseurs d'Empire프랑스어1959년


3. 2. 3. 시집


  • ''바넘의 다이제스트'' (Barnum's Digest프랑스어) (1948, 시 10편 모음)
  • ''젤리 속의 칸틸렌'' (Cantilènes en gelée프랑스어) (1949)
  • ''나는 죽고 싶지 않아'' (Je voudrais pas crever프랑스어) (1962, 사후 출판)

3. 2. 4. 번역

비앙은 프랑스에서 처음으로 레이먼드 챈들러의 작품을 번역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당시 프랑스에서는 드물게 비앙은 미국대중문화에 정통했다.

그가 번역한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원작자원제프랑스어 번역 제목번역 연도
레이먼드 챈들러빅 슬립Le Grand Sommeil프랑스어1948년
레이먼드 챈들러호수의 여인La Dame du lac프랑스어1948년
A. E. 반 보트널-A의 세계Le Monde des Ā프랑스어1958년


4. 평가 및 영향

보리스 비앙은 생전에 버논 설리번이라는 필명으로 발표한 소설들만이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반면, 그가 진정한 문학적 가치를 지녔다고 여긴 본명 명의의 소설들은 당시 저명한 작가들의 지지에도 불구하고 상업적으로 실패했다.[4] 대표적인 예로, 1946년 발표된 『L'Écume des jours』은 플레이야드 문학상 최종 후보까지 올랐으나 수상에는 실패했다. 설리번 명의의 데뷔작 『무덤에 침을 뱉어라 (J'irai cracher sur vos tombes)』는 대중적 인기를 얻었지만, 저속하다는 비판과 함께 법정 소송에 휘말려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작사가로서도 비앙은 생전에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유명 가수들에게 거절당한 곡들을 직접 불렀으나, 제한적인 청중에게만 알려졌고 대중은 그의 가창력에 대해 회의적이었다.[6]

그러나 비앙 사후, 콕토, 사르트르, 보부아르 등에 의해 그의 작품은 재평가되기 시작했으며, 점차 문학적 명예를 회복해 나갔다. 금지되거나 절판되었던 작품들도 복간되기 시작했다.

특히 1968년 5월 혁명 이후 프랑스의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비앙의 작품은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5] 그의 소설 『L'Écume des jours』, 『베이징의 가을|L'automne à Pékin』, 『심장을 찢는 자|L'Arrache-cœur』, 『붉은 풀|L'Herbe rouge』 등이 널리 읽혔으며, 이전 세대보다 그의 대담하고 반항적인 노래 가사 역시 큰 호응을 얻었다.[6]

비앙은 후대 예술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세르주 갱스부르는 비앙의 공연을 보고 작곡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밝혔으며, 비앙은 초창기 갱스부르를 지지하는 평론을 쓰기도 했다.[7]

시간이 흐르면서 비앙의 작품들은 현대 프랑스 문학의 고전으로 자리 잡았으며, 학교에서 학습 자료로 다루어지기도 한다. 그는 많은 사람들에게 전후 파리의 예술 및 지적 활동의 중심지였던 생 제르맹 데 프레를 상징하는 인물로 여겨진다.[8][9] 그의 대표작 『세월의 거품』은 세계 여러 나라 언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oris Vian: La schiuma dei giorni. http://www.marcosyma[...] 2014-08-18
[2] 웹사이트 La petite chorale de Saint-Germain-des-Pieds http://www.rfimusiqu[...]
[3]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4]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5] 서적 Dictionnaire des auteurs
[6]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7] 간행물 L'Arc Journal (#90) special issue devoted to Boris Vian 1984
[8]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9] 서적 (페이지 번호만 제공됨)
[10] 웹사이트 full title in the BNF exposition http://expositions.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