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르프라멘 40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르프라멘 40은 1940년대 후반에 개발된 차량 탑재형 로켓 발사 시스템이다. 조절 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프레임을 사용하여 300mm 고폭탄, 280mm 고폭탄, 320mm 소이탄 로켓을 발사할 수 있었으며, 특히 기동 기갑 부대의 시가지 지원 무기로 활용되었다. Sd.Kfz. 251 하프트랙, 프랑스 르노 UE, 오치키스 H35, 미국 M3 하프트랙 등 다양한 차량에 장착되었으며, 여러 로켓을 동시에 발사하여 표적을 제압하는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자주포 - PzH 2000
    PzH 2000은 독일 KMW사에서 생산하는 155mm 자주포로, 자동 장전 장치를 통해 빠른 연사 속도와 긴 사거리를 가지며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우크라이나에 지원되어 실전에서 사용된다.
  • 독일의 자주포 - 판처베르퍼
    판처베르퍼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네벨베르퍼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한 오펠 마울티어 반궤도 차량 기반의 자주식 다연장 로켓포로, 동부 전선과 서부 전선에서 화력 지원 및 심리적 공포 유발에 사용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자주포 - SU-85
    SU-85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이 독일 신형 전차에 대응하기 위해 SU-122 자주포 차체에 85mm 대전차포를 탑재하여 개발, 동부 전선에서 활약한 구축전차이며, T-34-85 전차 등장 후 생산이 중단되었으나 SU-100 개발 지연으로 SU-85M이 임시 생산되기도 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자주포 - 판처베르퍼
    판처베르퍼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네벨베르퍼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한 오펠 마울티어 반궤도 차량 기반의 자주식 다연장 로켓포로, 동부 전선과 서부 전선에서 화력 지원 및 심리적 공포 유발에 사용되었다.
  • 다연장 로켓포 - 카튜샤 로켓
    카튜샤 로켓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이 사용한 다연장 로켓포의 별칭으로, 흑색화약 로켓탄을 사용하며 융단폭격에 효과적이었으나 명중률은 낮았다.
  • 다연장 로켓포 - 구룡 다연장로켓
    구룡 다연장로켓(K136)은 북한의 BM-21 그라드에 대응하기 위해 1981년 대한민국 육군에 실전 배치된 다연장 로켓포 시스템으로, K136A1 개량형과 K33, K38 로켓 등이 개발되었으며 연평도와 백령도에 배치, 이집트에 수출되기도 하였다.
부르프라멘 40
개요
자주포
자주포(自走砲)
종류다연장 로켓포
개발국(나치 독일)
사용 국가(나치 독일)
실전 투입제2차 세계대전
계열 차량Sd.kfz 251
제원
승무원3명
길이6m
높이2.5m
2.2m
중량7.1톤
무장
주무장280mm-320mm (나무) 로켓 발사관
사용 포탄280mm 소이탄 로켓
300mm 소이탄 로켓
320mm 소이탄 로켓
부무장7.62mm MG42 1정
기동
엔진6실린더 오펠 리트레 엔진
노상 속도40km/h
항속 거리130km
장갑
장갑 두께8mm

2. 개발

부르프라멘 40의 장착 모습. 발사 프레임과 베이스 플레이트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바르샤바 봉기 당시 폴란드 진지를 공격하는 Sd.Kfz. 251에 장착된 부르프라멘 40


1940년 후반에 도입된 이 무기 체계는 차량의 상부나 측면에 장착되는 조절 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프레임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주로 30cm 네벨베르퍼 42 고폭탄 로켓을 사용했으며, 28cm 고폭탄 로켓과 32cm 소이탄 로켓도 운용 가능했다. 이 로켓들은 발사관 역할을 하는 적재용 틀 안에 담긴 채로 발사되었다.

로켓탄은 탄체 회전을 통해 안정성을 얻었지만, 일반적인 야포에 비해 정확도는 떨어졌다. 또한 로켓의 무게 때문에 재장전에도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목표 지점에 여러 발의 로켓을 동시에 발사하여 순식간에 제압하는 방식으로 운용되었다.

부르프라멘 40은 기동성이 중요한 기갑 부대의 화력 지원 무기로서, 특히 시가전에서 효과적인 성능을 발휘했다. 이는 포병 부대에 견인식 네벨베르퍼보다 더욱 높은 기동력과 방호력을 제공하는 장갑차 등에 탑재되어 운용되었기 때문이다.

다양한 차량에 탑재되었는데,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차량장착 방식
Sd.Kfz. 251 반궤도 장갑차양 측면에 3개씩, 총 6개의 발사 프레임 장착 (가장 일반적)
르노 UE 셰니예트양 측면에 2개씩 장착하거나, 차체 후방에 4개 장착
오치키스 H35 전차양 측면에 2개씩 장착
M3 하프트랙 (노획 미국제)양 측면에 2개씩 장착 [4]


3. 특징



1940년 후반에 도입된 부르프라멘 40은 차량의 상부나 측면에 조절 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프레임을 장착하는 방식의 무기 체계이다. 주로 300mm 고폭탄(HE) 로켓을 사용했으며, 280mm 고폭탄 로켓과 320mm 소이탄 로켓도 운용 가능했다. 로켓은 발사관 대신 적재된 상자(틀) 안에서 직접 발사되었다.

로켓은 발사 시 회전을 통해 탄도를 안정시키는 방식이었으나, 일반적인 포병 무기에 비해 정확도는 떨어졌다. 또한 로켓 자체의 무게 때문에 재장전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목표 지역을 효과적으로 제압하기 위해, 여러 발의 로켓을 동시에 발사하는 집중 사격(파상 공격) 전술이 주로 사용되었다.

부르프라멘 40은 기동성이 중요한 기갑 부대에 화력 지원을 제공하는 역할로 운용되었으며, 특히 복잡한 시가전 환경에서 효과적인 모습을 보였다. Sd.Kfz. 251과 같은 반궤도 장갑차에 탑재되어 운용될 경우, 기존의 견인식 네벨베르퍼와 비교하여 더 높은 기동성과 방호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부르프라멘 40은 다양한 차량에 탑재되어 운용되었다.

탑재 차량장착 방식
Sd.Kfz. 251 하프트랙양 측면에 3개씩, 총 6개의 프레임 장착 (가장 일반적인 방식)
르노 UE 셰니예트양 측면에 2개씩 장착하거나, 후면에 4개의 프레임 장착
오치키스 H35 전차양 측면에 2개씩 장착
M3 하프트랙 (노획)양 측면에 2개씩, 총 4개의 프레임 장착[4]


4. 운용



1940년 후반에 도입된 부르프라멘 40은 차량의 위나 옆에 조절 가능한 베이스 플레이트가 달린 프레임을 장착하는 방식의 무기 체계였다. 이 프레임에는 300mm 고폭탄 로켓이나, 280mm 고폭탄 및 320mm 소이탄 로켓 등을 장착할 수 있었다. 로켓은 발사 틀 안에 담긴 상태로 발사되었다.

로켓은 발사 시 회전을 통해 탄도를 안정시키려 했지만, 일반적인 포병 무기보다는 정확도가 떨어졌다. 또한 로켓 자체의 무게 때문에 재장전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운용 시에는 가능한 한 많은 로켓을 한꺼번에 발사하여 특정 목표 지역을 빠르게 제압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부르프라멘 40은 기동성이 중요한 기갑 부대를 지원하는 무기로서, 특히 건물과 장애물이 많은 시가지 전투에서 효과를 보였다.

가장 일반적으로는 Sd.Kfz. 251 하프트랙에 장착되어 운용되었다. 이 경우 차량 양 측면에 3개씩, 총 6개의 발사 프레임을 부착했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견인식 네벨베르퍼와 비교했을 때 포병 부대에 더 높은 기동성과 방호력을 제공했다. 이 외에도 나치 독일제2차 세계 대전 중 노획한 다양한 차량에 부르프라멘 40을 장착하여 활용했다. 프랑스제 르노 UE 소형 장갑차에는 측면당 2개 또는 차량 후면에 4개의 프레임을 장착했으며, 오치키스 H35 전차에도 측면당 2개의 프레임을 달았다. 일부 노획한 미국제 M3 하프트랙에도 측면당 2개씩 총 4개의 프레임을 장착하여 운용한 사례가 있다[4].

4. 1. 바르샤바 봉기



부르프라멘 40은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이 개발하여 운용한 다연장 로켓 발사기 시스템이다. 1940년 후반에 도입된 이 무기는 주로 Sd.Kfz. 251 반궤도 장갑차 등에 탑재되어 운용되었다.

특히 1944년 바르샤바 봉기 당시, 바르샤바 시내의 폴란드 저항군 진지를 공격하는 데 사용되었다는 기록과 사진 자료가 남아있다.[4] 부르프라멘 40은 280mm 고폭탄 로켓이나 300mm 고폭탄 로켓, 320mm 소이탄 로켓 등을 발사할 수 있었다. 로켓의 정밀도는 다소 떨어졌지만, 짧은 시간에 대량의 화력을 집중하여 특정 지역을 제압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특히 시가전 상황에서 독일 기갑 부대에 대한 근접 화력 지원 무기로서 유용하게 활용되었다.[4]

5. 대중 매체


  • R.U.S.E.에서 독일의 로켓 차량으로 등장한다.
  • 토탈 탱크 시뮬레이터에서 독일의 로켓 자주포로 등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dKfz251, in "WWII Vehicles" website http://www.wwiivehic[...]
[2] 웹사이트 M2/M3 Halftrack Gepanzerter Mannschaftstransportwagen M3 401(a) mit Wurfrahmen 40 https://web.archive.[...] 2017-11-05
[3] 웹사이트 SdKfz251, in "WWII Vehicles" website http://wwwさwwiivehic[...]
[4] 웹사이트 M2/M3 Halftrack Gepanzerter Mannschaftstransportwagen M3 401(a) mit Wurfrahmen 40 http://beutepanzer.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