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벨베르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벨베르퍼는 1930년대 독일에서 개발된 다연장 로켓 발사기 시리즈를 지칭한다. 초기에는 화학전 부대에서 독가스 공격용으로 사용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이후 고폭탄, 소이탄 등을 발사하는 다양한 종류의 네벨베르퍼가 등장했다. 15cm, 21cm, 28/32cm, 30cm 등 다양한 구경의 로켓을 사용했으며, 10cm 박격포 형태의 네벨베르퍼도 존재했다. 네벨베르퍼는 넓은 지역에 화력을 집중하는 데 효과적이었지만, 사거리가 짧고 명중률이 낮으며 발사 시 위치가 노출되기 쉬운 단점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켓포 - 카튜샤 로켓
카튜샤 로켓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이 사용한 다연장 로켓포의 별칭으로, 흑색화약 로켓탄을 사용하며 융단폭격에 효과적이었으나 명중률은 낮았다. - 로켓포 - RPG-7
RPG-7은 제2차 세계 대전 말 독일의 판처파우스트 250을 발전시킨 휴대용 대전차 로켓 발사기로, 1961년 소련군에 채용되어 전 세계 분쟁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 다연장 로켓포 - 카튜샤 로켓
카튜샤 로켓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이 사용한 다연장 로켓포의 별칭으로, 흑색화약 로켓탄을 사용하며 융단폭격에 효과적이었으나 명중률은 낮았다. - 다연장 로켓포 - 구룡 다연장로켓
구룡 다연장로켓(K136)은 북한의 BM-21 그라드에 대응하기 위해 1981년 대한민국 육군에 실전 배치된 다연장 로켓포 시스템으로, K136A1 개량형과 K33, K38 로켓 등이 개발되었으며 연평도와 백령도에 배치, 이집트에 수출되기도 하였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대포 - 21 cm 18호 구포
21 cm 18호 구포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에서 사용된 21cm 구경의 중(重)곡사포로, 제1차 세계 대전 시기의 21 cm Mörser 16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이중 반동 시스템을 채용하여 반동을 억제한 것이 특징이고, 운용에 어려움이 많아 자주포화가 계획되기도 했으며, 현재는 몇몇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대포 - 80 cm 열차포가 캐넌포 구스타프
80 cm 열차포 "구스타프"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에서 개발 및 운용된 초대형 열차포로, 마지노 선 파괴를 위해 설계되어 7톤 포탄으로 철근 콘크리트와 강철 장갑판을 관통할 수 있었으며, 특수 섀시에 거치되어 철도 선로를 따라 이동하며 슈베러 구스타프는 세바스토폴 공방전에서 사용되었다.
네벨베르퍼 | |
---|---|
개요 | |
![]() | |
종류 | 다연장 로켓포 |
개발 국가 | 나치 독일 |
사용 국가 | 나치 독일 |
생산 연도 | 1930년대 ~ 1945년 |
사용 연도 | 1941년 ~ 1945년 |
제원 (15cm Nb.W 41) | |
구경 | 15cm (5.9인치) |
중량 | 83.6kg |
길이 | 98cm |
발사 속도 | 10초에 6발 |
최대 사거리 | 6,900m |
종류 | |
로켓 종류 | 15cm 네벨베르퍼 41 (15cm Nb.W 41) 21cm 네벨베르퍼 42 (21cm Nb.W 42) 28/32cm 네벨베르퍼 41 (28/32cm Nb.W 41) 30cm 네벨베르퍼 42 (30cm Nb.W 42) 라케텐베르퍼 5.6 (Raketenwerfer 5.6) |
운용 | |
사용 부대 | 네벨트루펜 (Nebeltruppen) |
주요 교전 | 제2차 세계 대전 (동부 전선, 서부 전선, 이탈리아 전선) |
기타 정보 | |
별칭 | "울부짖는 미미 (Moaning Minnie)", "소리치는 하녀 (Screaming Meemie)", "스탈린 오르간 (Stalin's Organ)" (소련군이 붙인 별명) |
2. 역사적 배경
1930년경, 독일은 지상 전투용 로켓을 사용하는 연구를 시작했다.
1930년경, 독일에서는 지상 전투용 로켓을 사용하는 연구를 시작했다. 로켓탄은 발사 반동이 적어 발사기 자체를 가볍게 만들 수 있고, 여러 발을 동시에 발사하기 쉬워 일반적인 화포보다 한 번에 많은 양의 탄을 발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로켓탄은 발사 반동이 적어 발사기 자체를 경량화하고 간이화할 수 있으며, 다연장화도 용이하여 통상 화포에 비해 포문당 일제 투사 탄량을 비약적으로 늘릴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은 면 목표를 기습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덮는 것이 요구되는 독가스 공격에 최적이라고 여겨졌고, 포병과의 일부인 네벨트루펜(직역하면 연막부대이지만, 실제로는 화학전 부대)에 의해 실용화가 추진되었다.
다른 국가에서는 주로 안정 날개를 단 로켓탄을 사용했지만, 독일은 바닥에 동심원상으로 뚫린 다수의 구멍에서 비스듬히 뿜어져 나오는 로켓 추진으로 회전을 주어 안정시키는 스핀 방식을 선호했다.
스핀 방식은 구조는 복잡해지지만 비행 중에 횡풍의 영향을 덜 받고, 안정 날개 방식보다 약간 집탄성이 좋은 것이 그 이유였다. 명중 정밀도는 중시하지 않았지만, 착탄 산포계가 너무 넓어지는 것은 촘촘한 독가스 살포를 방해하기 때문이었다.
3. 개발 및 개량
이러한 특성은 넓은 지역에 독가스를 살포하는 데 적합하다고 여겨졌고, 포병의 일부인 네벨트루펜(화학전 부대)에 의해 실용화가 추진되었다.
독일은 다른 국가들과 달리 로켓 추진으로 회전을 주어 안정시키는 스핀 방식을 선호했다. 스핀 방식은 구조는 복잡하지만, 비행 중 바람의 영향을 덜 받고 안정 날개 방식보다 명중률이 약간 더 좋았다.
1941년, 독일군은 최초의 실전용 네벨베르퍼인 15cm 네벨베르퍼 41형을 완성했다. 15cm 네벨베르퍼 41형은 6개의 로켓 발사관을 원형으로 묶은 형태로, 3.7cm Pak36/37대전차포의 포가를 사용했다. 그러나 발사 시 발생하는 큰 소리와 연기, 빛 때문에 위치가 쉽게 노출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후 추진제를 변경하여 발사음, 발사 연기 및 빛이 줄어들어 은밀성이 향상되었다.
"네벨베르퍼"라는 명칭을 가진 병기는 다음과 같이 6종류가 있었다.종류 설명 15cm 네벨베르퍼 41형 6연장, 15cm 41형 로켓 유탄 발사 21cm 네벨베르퍼 42형 5연장, 1943년 채용, 21cm 42형 로켓 유탄 발사, 기존의 15cm 로켓탄도 사용 가능 28/32cm 네벨베르퍼 41형 6연장, 28cm 로켓 유탄 및 32cm 로켓 소이탄 발사 30cm 네벨베르퍼 42형 6연장, 30cm 42형 로켓 유탄 발사 10cm 네벨베르퍼 35형 실질적으로는 박격포 10cm 네벨베르퍼 40형 고각 사격이 가능하고 유탄포와 유사한 형식
3. 1. 베르퍼그라나테 21 (WGr21)
베르퍼그라나테 21(Werfergranate 21, WGr21)은 네벨베르퍼 42에 사용된 발사체의 공대공 로켓 버전으로, 비유도식 공대공 로켓이다. 1943년 8월 17일 슈바인푸르트 방어전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15] 루프트바페가 사용한 최초의 공대공 로켓이었다.[15] 21 cm BR 이라고도 불렸다.
''Wfr. Gr. 21''은 메서슈미트 Bf 109 및 포케불프 Fw 190 전투기 (각 날개 아래에 발사 튜브 1개)와 메서슈미트 Bf 110 및 메서슈미트 Me 410 중(重)전투기 (각 날개 아래에 발사 튜브 2개)에 장착되었다.[15] 이 로켓은 흩어진 연합군 항공기에 대한 독일 전투기의 보다 효과적인 공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연합군 폭격기 전투 대형을 붕괴시키기 위해 사용되었다.[17] 그러나 발사 장치로 인한 높은 항력은 발사 항공기의 속도와 기동성을 감소시켰는데, 이는 연합군 전투기를 만날 경우 치명적일 수 있는 불리한 조건이었다. 또한 발사 후 비행 중 발사체의 상당한 탄도 낙하를 상쇄하기 위해 발사체를 수평 비행에서 약 15° 위로 향하게 하는 발사 튜브의 날개 아래 장착 방식도 항력 문제를 더했다.
4. 종류
네벨베르퍼de는 다양한 구경과 형태의 로켓 발사기를 포괄하는 명칭이다. "네벨베르퍼"는 "안개 발사기"로 번역되며,[1][2][3] 처음에는 연막탄 발사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이후 화학탄과 고폭탄을 발사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네벨베르퍼"라는 명칭을 가진 병기는 다음과 같이 6종류가 존재했다.
명칭 | 설명 |
---|---|
10 cm 네벨베르퍼 35 | 초기형 박격포. |
10 cm 네벨베르퍼 40 | 10 cm 네벨베르퍼 35보다 사거리가 길어진 개량형 박격포. |
15 cm 네벨베르퍼 41 | 6연장 15cm 로켓 발사기. 1941년 제식화.[9] |
21 cm 네벨베르퍼 42 | 5연장 21cm 로켓 발사기. 15cm 로켓탄도 발사 가능. |
28/32 cm 네벨베르퍼 41 | 6연장 28cm/32cm 로켓 발사기. |
30 cm 네벨베르퍼 42 | 6연장 30cm 로켓 발사기. |
이 외에도 8cm 라케텐-비엘파흐베르퍼와 판처베르퍼 등의 파생형이 존재했다.
4. 1. 10cm 네벨베르퍼 35
초기형 박격포의 낮은 포구 속도는 포탄 벽을 포병 포탄보다 얇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으며, 동일한 무게의 포병 포탄보다 더 큰 탄두를 탑재할 수 있었다. 이는 독가스를 운반하는 매력적인 시스템으로 만들었다. 미국 육군 화학전 부대는 바로 그 이유로 4.2인치 화학 박격포를 개발했으며, ''네벨트루펜''도 같은 이유를 공유했다. 이 부대의 첫 번째 무기는 1934년에 설계된 박격포인 10 cm 네벨베르퍼 35였다.[7]4. 2. 10cm 네벨베르퍼 40
루돌프 네벨은 독일의 비행사이자 로켓 제작자였다. 그의 성은 "안개"로 번역되는데, 이 때문에 네벨베르퍼de 포병의 발명가로 잘못 언급되기도 한다. 그러나 네벨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전투기 조종사로 복무하면서, 화약 기반 로켓 시스템을 개발하여 영국 비행기 두 대를 격추시킨 바 있다.[5][6]10 cm NbW 35는 3000m의 사거리를 가졌는데, 이보다 더 긴 사거리를 목표로 한 신형 무기 개발이 추진되었다. 1940년 5월, 두 가지 프로토타입에 대한 부대 시험이 진행되었으나, 둘 다 만족스럽지 못했다. 결국 두 모델의 장점을 결합하여 10 cm ''네벨베르퍼'' 40을 개발하였다. 이 무기는 반동 메커니즘과 일체형 바퀴가 달린 포가(carriage)를 갖춘 매우 진보된 후장식 무기였다. 이전 모델보다 사거리는 두 배였지만, 무게는 8배, 가격은 거의 10배(1,500RM에서 14,000RM)나 비쌌다.[7]
4. 3. 15cm 네벨베르퍼 41
1930년대 후반에 개발이 완료된 15cm 네벨베르퍼 41은 가스, 연기, 고폭탄 탄두를 탑재한 특수 설계 로켓을 사용하는 6연장 발사기였다.[8] 거의 모든 독일 로켓과 마찬가지로 정확성을 위해 회전 안정화 방식을 채택했다. 로켓 모터가 앞쪽에 위치하고 배기 벤츄리가 노즈에서 몸체의 3분의 2 지점에 있는 특이한 구조를 가졌다. 이는 탄두가 폭발할 때 지면 위에 남아있도록 하여 로켓의 폭발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제조가 복잡하고 이후 설계에 복제되지 않았다.[8]15cm 네벨베르퍼 41은 3.7 cm PaK 36에서 개조한 포가에 장착되었으며, 사거리는 였다.[8] 1941년 제식화되었으며,[9] 전쟁 기간 동안 약 550만 발의 15cm 로켓과 6,000대의 발사기가 생산되었다.[9]
독일은 1930년경부터 지상 전투용 로켓 연구를 시작했다. 로켓탄은 발사 반동이 적어 발사기를 경량화, 간이화, 다연장화 할 수 있어, 포문당 일제 투사 탄량을 크게 늘릴 수 있었다.
| 구분 | 1개 중대 12문 초탄 | 비고 |
| ---------------------------------- | ----------------- | -------------------------- |
| 박격포 형식 네벨베르퍼 (NbW35 또는 NbW40) | 105mm탄 12발 | 박격포이므로 연사 가능 |
| 로켓탄 형식 네벨베르퍼 41 (NbW41) | 150mm탄 72발 | 수량 및 구경 차이로 압도적 |
이러한 특성은 면 목표를 기습적으로 짧은 시간 안에 덮어야 하는 독가스 공격에 적합하다고 여겨졌고, 포병과의 일부인 네벨트루펜(화학전 부대)에 의해 실용화가 추진되었다.
독일군은 1941년에 이 로켓 발사기를 완성했다. 구경 150mm의 원통형 로켓 발사 장치 6문을 환형으로 설치하고, 하부는 3.7cm Pak36/37대전차포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콤팩트했다. 그러나 명중 정밀도가 낮고, 발사 시의 큰 발사음, 발사 연기 및 빛이 눈에 띈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후 추진제가 변경되어 발사음, 연기 및 빛은 덜 눈에 띄게 되었다.
4. 4. 21cm 네벨베르퍼 42

21 cm Nebelwerferde 42 로켓은 1942년에 등장했으며, 15 cm 로켓보다 사거리가 7850m로 더 길고 설계가 단순했다. 이 로켓은 고폭탄두만 사용했고, 5연장 발사기에서 발사되었다. 더 작은 15 cm 로켓을 발사할 수 있도록 선형 레일이 사용되었다. 또한 1943년 베르퍼-그라나테 21로 Luftwaffe에 의해 연합국 폭격기 편성을 해체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10] 40만 개 이상의 로켓과 1,400개의 발사기가 완성되었다.[9]
21cm 네벨베르퍼 42형은 기존의 15cm 로켓탄을 사용할 수 있으며, 41형의 부품이 활용되었다.
4. 5. 28/32cm 네벨베르퍼 41

28/32 cm 네벨베르퍼 41 로켓은 바르바로사 작전 이전인 1941년에 도입되었다. 로켓은 고폭탄(HE) 탄두를, 로켓은 소이탄을 탑재했다. 두 로켓의 최대 사거리는 에 불과하여 심각한 전술적 단점으로 작용했다.[10]
두 로켓 모두 나무 포장 상자 또는 특수 나무(''schweres Wurfgerät'' 40 – 중(重)미사일 장치) 또는 튜브형 금속(''schweres Wurfgerät'' 41 (sW.G. 41)) 프레임에서 발사할 수 있었다. 이후, 6개의 로켓을 탑재할 수 있는 견인식 발사기가 개발되었다. 두 로켓 모두 동일한 발사기를 사용했지만, 로켓에는 특수 라이너 레일이 사용되어야 했다.[10]
중(重)로켓의 기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차량 발사 프레임인 ''schwere'' ''Wurfrahmen'' 40 (sWu.R. 40)도 설계되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Sd.Kfz. 251 하프트랙 측면에 장착되었지만, 다양한 노획된 프랑스군 궤도 차량에도 적용되었다. sWuR 40은 ''Stuka-zu-Fuß'' ("슈투카 on Foot")라는 별명을 얻었다.[10]
1941년, 독일군은 이 로켓 발사기를 완성했다. 구경 150mm의 원통형 로켓 발사 장치를 환형으로 6문 설치했으며, 하부에는 3.7cm Pak36/37대전차포와 동일한 것을 사용, 로켓 발사기로서는 매우 콤팩트했다. 하지만 다른 무유도 로켓탄과 공통되는 특성으로 명중 정밀도가 낮고, 발사 시의 이상하게 큰 발사음, 발사 연기 및 빛이 매우 눈에 띈다는 단점도 있었다. 이후 추진제를 이질산 디에틸렌 글리콜로 변경했기 때문에 발사음·발사 연기 및 빛은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
전쟁 중 sW.G. 및 sWu.R. 발사 프레임을 제외하고 60만 개 이상의 로켓과 700개의 발사기가 제작되었다. 총 345개의 발사기가 1941년부터 제작되었다.[9]
4. 6. 30cm 네벨베르퍼 42
1943년에 채용된 30cm 42형 로켓 유탄을 발사하는 6연장 로켓 발사기이다. 30cm 네벨베르퍼 42형은 사거리가 짧았던 28/32cm 로켓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추진제 개선으로 연기 발생이 줄었다.[1]4. 7. 8cm 라케텐-비엘파흐베르퍼
Raketen-Vielfachwerfer|라케텐-비엘파흐베르퍼de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무장친위대가 소련의 카츄샤 로켓 발사기를 모방하여 개발한 24연장 로켓 발사기이다. 그러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8cm 라케텐-비엘파흐베르퍼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다.4. 8. 판처베르퍼
네벨베르퍼 부대의 기동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0연장 15cm 발사기를 Sd.Kfz. 4 "마울티어" 반궤도 차량 섀시에 경장갑으로 장착한 15 cm 판처베르퍼 42 ''auf Selbstfahrlafette'' Sd.Kfz. 4/1가 개발되었다. (이는 오펠 "''Maultier''", 즉 "노새" 반궤도 차량을 기반으로 함).[13] 이 중 300대가 생산되었으며, 발사기와 탄약 수송 차량(발사기를 제외하고는 동일함)으로 균등하게 분배되었다.[13] 이후 생산 과정에서 15 cm ''Panzerwerfer'' 42 ''auf Schwerer Wehrmachtschlepper'' (''Panzerwerfer auf'' SWS)로 대체되었으며, 이는 향상된 야지 기동성을 가졌고 "''Maultier''"보다 더 많은 탄약 저장 능력을 갖추었다.[11] 이 후자형 무기의 정확한 생산 대수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종전 전에 100대 미만이 완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9]이렇게 개발된 네벨베르퍼는 주로 동부 전선에 배치되어 각지에서 충분한 위력을 발휘했다. 1발당 명중률은 기대할 수 없었지만, 제압 사격용으로는 최적이었고, 또한, 보다 소형인 로켓탄을 대량으로 투사하는 소련군의 날개 안정식 로켓탄보다 명중 정밀도가 높았고, 1발당 위력도 높았다. 그러나, 일반적인 야포 등에 비해 사거리가 짧아, 전선에 더 배치되기 때문에, 적 보병이나 전차와의 직접 교전으로 인한 손해도 컸다. 이 때문에, 자주포화함으로써 생존성을 높인 판처베르퍼가 개발되어, 나치 독일 붕괴 시까지 사용되었다.
5. 실전 운용
네벨베르퍼는 주로 동부 전선에 배치되어 제압 사격에 효과적이었다. 일반 야포보다 사거리가 짧아 전선에 배치되어 적 보병, 전차와 직접 교전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로 인한 손실도 컸다.[18] 발사 시에는 10m에서 15m 밖으로 대피해야 할 정도로 강력했지만, 발사 후 긴 연기 자국이 발생하여 대(對)포병 사격에 취약해 신속한 이동이 필요했다.[18]
오토 카리우스는 그의 저서에서 네벨베르퍼의 오발로 아군 보병이 적의 카츄샤 로켓 발사기보다 큰 피해를 입었다고 증언했다.
일반적으로 네벨트루펜의 박격포는 6~8문의 박격포로, 로켓 발사기는 6문의 발사기로 포대를 구성했다. 각 대대는 3개 포대로 편성되었고, 3개 대대가 연대를, 전쟁 중반에는 2개 연대가 여단을 구성했다. 연대는 6~8대의 판저베르퍼(Panzerwerfer) 포대로 보강되기도 했다. 1942년부터는 "네벨베르퍼"라는 명칭이 "베르퍼"로 변경되었다.[19][20]
무장친위대(Waffen-SS)도 1943년부터 자체적인 베르퍼 부대를 편성했지만, 대대보다 큰 규모는 없었고 육군과 거의 동일하게 편성되었다.[21]
6. 제원
구분 | 15cm 네벨베르퍼 41형 | 21cm 네벨베르퍼 42형 | 28/32cm 네벨베르퍼 41형 | 30cm 네벨베르퍼 42형 | 10cm 네벨베르퍼 35형 | 10cm 네벨베르퍼 40형 |
---|---|---|---|---|---|---|
포신 내경 | 158.5mm | 214.5mm | - | - | 105mm | 105mm |
포신장 | 1300mm | 1300mm | - | - | 1207mm | 1720mm |
전체 길이 | 3600mm | 3600mm | 3200mm | 3200mm | - | - |
중량 (미장전) | 590kg | 605kg | 1130kg | 1144kg (장전) | 102.6kg | 800kg |
최대 사정거리 | 6900m (7066m으로 하는 자료도 있음) | 9150m | 2138m (28cm), 2028m (32cm) | 6000m | 3000m | 6225m-6350m |
포탄 직경 | 158mm | 210mm | 280mm (28cm), 320mm (32cm) | 300mm | - | - |
포탄 전체 길이 | 979mm | 1249.9mm | 1190mm (28cm), 1289mm (32cm) | 1230mm | - | - |
포탄 중량 | 31.8kg (로켓 연료 6.35kg/고성능 작약 2.5kg) | 109.55kg (로켓 연료 18.27kg/고성능 작약 10.17kg) | 82.2kg (로켓 연료 6.6kg/고성능 작약 49.9kg) (28cm), 79kg (로켓 연료 6.6kg/소이제 39.8kg) (32cm) | 125.7kg (로켓 연료 15kg/고성능 작약 44.66kg) | 7.36kg | 8.6kg (유탄), 8.9kg (연막탄) |
7. 평가
네벨베르퍼는 넓은 지역에 화력을 집중하여 적을 제압하거나 혼란시키는 데 효과적인 무기였다. 1발당 명중률은 낮았지만, 제압 사격용으로는 적합했다. 그러나 일반적인 야포보다 사거리가 짧아 적에게 위치가 쉽게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었고, 이 때문에 전선에 더 가까이 배치되어 적 보병이나 전차와의 직접 교전으로 인한 손실이 컸다.[1]
한국 전쟁 당시 북한군이 사용한 카츄샤 다연장 로켓포는 네벨베르퍼와 유사한 무기체계로, 국군과 유엔군에게 큰 위협이 되었다. 오토 카리우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아군 보병에게 네벨베르퍼의 오폭으로 인해 카츄샤보다 더 큰 피해를 입혔다고 언급했다.[1] 네벨베르퍼와 카츄샤의 사례는 다연장 로켓포가 현대전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8. 미디어
- OVA 군청의 함대 후기에 등장한다.
- Company of Heroes 게임에 등장한다.
- 콜 오브 듀티 시리즈에 등장한다.
- CoD2:BRO에서 15cm 네벨베르퍼 41형이 등장한다.
- CoD3에서 15cm 네벨베르퍼 41형이 등장한다.
- 메달 오브 아너 시리즈에 등장한다.
- 토탈 탱크 시뮬레이터 게임에서 독일과 이탈리아 로켓포 NEBELWELFER로 15cm 네벨베르퍼 41형을 사용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Drive on Moscow, 1941: Operation Taifun And Germany's First Great Crisis Of World War II
Casemate Publishers
2013-05-07
[2]
서적
The Ardennes, 1944-1945: Hitler's Winter Offensive
Casemate
2014-11-03
[3]
웹사이트
The weapons used, feared and threatened in Ukraine war
https://www.rte.ie/n[...]
2022-04-06
[4]
웹사이트
Germany's Rocket and Recoilless Weapons
http://www.lonesentr[...]
1945-03
[5]
뉴스
125. Geburtstag von Rudolf Nebel: Pionier der Raketentechnik
https://www.deutschl[...]
Deutschlandfunk
[6]
서적
Halberstadt Fighters - Classics of WWI Aviation, Volume 1
Albatros Publications
[7]
문서
Gander and Chamberlain, p. 298
[8]
문서
Gander and Chamberlain, p. 321
[9]
웹사이트
German Weapon and Ammunition Production 1 Sep 39-1 Apr 45
http://sturmvogel.or[...]
[10]
문서
Gander and Chamberlain, p. 322
[11]
문서
Chamberlain and Ellis, p. 188
[12]
문서
Chamberlain and Ellis, pp. 224–225
[13]
문서
Chamberlain and Ellis, p. 180
[14]
웹사이트
Sonderwaffenanlage: 21 cm BR
http://www.cockpitin[...]
1944-09-10
[15]
웹사이트
Rockets of Bf 109
http://www.adlertag.[...]
[16]
서적
Messerschmitt Me 210/Me 410 Hornet
Midland
[17]
서적
V2--Der Schuss ins Weltall
Bechtle Verlag
[18]
문서
Gander and Chamberlain, pp. 321-22
[19]
서적
Leichter Zugkraftwagen 1 t: (Sd.Kfz. 10) Ausf.A and B and Variants: Development and Employment from 1935 to 1945
Panzer Tracts
[20]
웹사이트
Army Nebelwerfer Units
http://sturmvogel.or[...]
[21]
웹사이트
Independent Nebelwerfer Units of the Waffen-SS
http://sturmvogel.or[...]
[22]
서적
Higher Headquarters - GHQ - Units - Static Units (1.09.39)
Military Press
[23]
문서
''Die Nebel- und Werfertruppe'', p. 366
[24]
서적
Mechanized GHQ Units and Waffen-SS Formations (10th May 1940)
Niehorster
[25]
서적
Mechanized GHQ Units and Waffen-SS Formations (22 June 1941)
Niehorster
[26]
문서
''Die Nebel- und Werfertruppe'', pp. 362–71
[27]
문서
''Die Nebel- und Werfertruppe'', pp. 261-312
[28]
웹사이트
Die Werfer-Brigaden der Wehrmacht
http://www.lexiko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