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블리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블리크는 동유럽에서 유래한 고리 모양의 빵으로, 원시 슬라브어 "*bǫbьlь"에서 파생된 단어에서 유래했다. 우크라이나 부블리크는 아슈케나지 유대인의 베이글과 유사하며, 러시아어에서는 바란카로도 불린다. 부블리크는 밀 반죽에 효모를 넣어 만들며, 양귀비 씨를 넣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블리크는 차나 커피와 함께 먹거나, 잼, 사워크림 등과 함께 곁들여 먹기도 한다. 문화적으로는 타라스 셰우첸코의 시와 유명한 노래 "부블리치키"에 등장하며, "부블리크 구멍"이라는 표현은 무가치함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라루스 요리 - 피로그
피로그는 동유럽에서 유래하여 곡물 가루 반죽에 다양한 소를 넣어 만드는 음식으로, 시대에 따라 변화하며 다양한 종류가 생겨났고, 현대에는 세계 각국에서 사랑받고 있다. - 벨라루스 요리 - 보르시
보르시는 슬라브 조어에서 유래된 수프로, 동유럽에서 널리 즐겨 먹으며, 비트, 양파, 당근, 고기 등을 넣어 끓여 만들고 사워크림을 곁들여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 리투아니아 요리 - 월귤잼
월귤잼은 월귤과 설탕을 주재료로 하고 사과나 펙틴을 첨가하여 만들며, 스웨덴 전통 음식과 함께 먹거나 현대에는 시리얼, 팬케이크, 고기 요리 등의 소스나 토핑, 베이킹 재료로 활용된다. - 리투아니아 요리 - 보르시
보르시는 슬라브 조어에서 유래된 수프로, 동유럽에서 널리 즐겨 먹으며, 비트, 양파, 당근, 고기 등을 넣어 끓여 만들고 사워크림을 곁들여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 우크라이나 요리 - 피로그
피로그는 동유럽에서 유래하여 곡물 가루 반죽에 다양한 소를 넣어 만드는 음식으로, 시대에 따라 변화하며 다양한 종류가 생겨났고, 현대에는 세계 각국에서 사랑받고 있다. - 우크라이나 요리 - 보르시
보르시는 슬라브 조어에서 유래된 수프로, 동유럽에서 널리 즐겨 먹으며, 비트, 양파, 당근, 고기 등을 넣어 끓여 만들고 사워크림을 곁들여 먹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블리크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부블리크 |
다른 이름 | 바란카 |
종류 | 빵 |
![]() | |
지역별 정보 | |
국가 | 우크라이나(부블리크), 벨라루스(바란카) |
지역 | 동유럽 |
관련 요리 | 벨라루스 요리, 리투아니아 요리, 러시아 요리, 우크라이나 요리 |
세부 정보 | |
주재료 | 밀가루, 우유, 설탕, 버터, 소금, 계란 흰자 |
2. 어원
''부블리크''는 고대 동슬라브어 бубьлъ (''bubl'')에서 유래했으며, 궁극적으로는 원시 슬라브어 ''*bǫbьlь''에서 유래했다. 여기에서 폴란드어 bąbel|바벨pl, 체코어 boubel|보우벨cs 및 슬로바키아어 bublina|부블리나sk도 파생되었으며, 이 단어들은 모두 "거품"을 의미한다.[3][4]
우크라이나 부블리크는 아슈케나지 유대인 베이글과 비슷하지만, 크기가 약간 더 크고 구멍도 더 크다. 부블리크는 보통 베이글보다 덜 촉촉하고, 더 밀도가 높으며, "쫄깃한" 질감을 가지고 있다.[2] 러시아의 바란카|바란카ru(복수형 바란키|바란키ru)는 부블리크보다 약간 작은 빵 고리이지만, 더 얇고 건조하다. 수쉬카 (수쉬키|수쉬키ru; 복수형 수쉬키|수쉬키ru)는 훨씬 작고 건조한 종류로, 일반적으로 크기가 약 5cm이며, 딱딱한 크래커와 같은 질감을 가지고 있다.[2]
베이글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610년 크라쿠프 시의 '지역 규정'에서 발견된다.[7] 베이글은 유대인 인구가 많은 폴란드를 거쳐 우크라이나에 전해졌으며,[8] 그곳에서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부블리크'라는 단어는 우크라이나어에서 러시아어로 차용되었으며, 18세기에 처음 문서화되었다. 1717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야코프 브루스가 출판한 '러시아어에서 네덜란드어로의 어휘 또는 알파벳 모음집'에는 "밀 부블리크"(бублик пшеничнои)로 언급되었다.[9]
부블리크는 보통 그대로 먹지만, 수쉬키와 바라니키를 먹는 관습처럼 차에 담가 먹기도 한다.[17] 수쉬키와 바라니키는 맛이 매우 비슷하지만, 매우 건조하고 딱딱해서 적시지 않으면 먹기 어렵다.
이반 쿨리코프의 1910년 그림 ''바란키가 있는 시장''에는 부블리키가 묘사되어 있다.
러시아어 баранка|바란카ru 또는 баранок|바라녹ru은 "데친"/"반숙"을 의미하는 단어 ''обваранок|오브바라녹ru''의 축약형이다. 벨라루스어 абаранак|아바라낙be, 우크라이나어 об[v]арінок|오브[브]아리녹uk 및 폴란드어 obwarzanek|오브바자넥pl도 같은 어원을 공유한다.[5] 러시아어 표기는 이 단어가 벨라루스어에서 러시아어로 채택되었음을 시사한다.[5]
베이글에서 기원했으며, 19세기 초에 동유럽에 전해져 부블리크가 되었다.[19] 명칭은 고대 슬라브어로 "거품"을 의미하는 "부블"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19]
3. 종류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에서 ''부블리크''는 이러한 종류의 고리 모양 제품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명칭으로 자주 사용된다. 러시아어에서는 바란카|바란카ru 또한 이와 유사한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되며, 바라노치니예 이즈델리야|бараночные изделия|baranochnye izdeliyaru는 제품 종류의 공식적인 명칭이다.[2] 동족어인 ''오바리노크''(обарінок) 또는 ''오바바리노크''(обварінок)는 우크라이나어에서 부블리크 또는 바란카의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한다.[6] 부블리크 또는 바란카는 벨라루스어에서는 아바라나크|абаранакbe로, 리투아니아어에서는 리에스타이니lt 또는 바로코스lt로 알려져 있다.
폴란드의 오브와르자넥|오브와르자넥pl은 부블리크 또는 바란카와 동일한 기술로 만들어지지만, 가장 흔한 형태인 크라쿠프 오브와르자넥은 땋은 고리 모양을 하고 있다.
4. 역사
'바란카'는 17세기의 러시아 자료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1665년 발다이 이베르스키 수도원의 회계 장부에는 "형제들을 위해 보호로디치노 마을에서 바란키와 계란을 10 알틴에 구매했다."라고 적혀 있다.[10] 19세기에 발다이는 바란키로 유명했다.[11] 발다이 바란키는 알렉산드르 푸시킨, 알렉산드르 라디셰프 등이 언급했다.
윌리엄 포클료브킨은 러시아 바란카의 기원을 현재 벨라루스에 위치한 스마르혼’ (구 리투아니아 대공국)으로 추적한다.[11] 홀로코스트로 학살되기 전까지 스마르혼의 대부분의 인구는 유대인이었다. 바란키는 현지 곰 훈련 학교(소위 "곰 아카데미")에서 곰에게 먹이를 주는 데 사용되었다고 한다. 스마르혼 바란키에 대한 기록은 19세기에 나타났다. 아담 키르코르는 백과사전 '그림 같은 러시아'에서 "빌나주 오시먀니 지구의 스모르곤에서는 거의 모든 소부르주아 인구가 작은 부블리키 또는 크링글을 굽는 데 바쁘고, 이는 '스모르곤 오바르잔키'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각 여행자는 틀림없이 이 부블리키 묶음을 몇 개 살 것이고, 게다가 그것들은 빌뉴스와 다른 도시로 운송됩니다."라고 썼다.[12] Władysław Syrokomla는 스마르혼을 "모든 리투아니아에서 유명한 오바르잔키의 수도"라고 언급했다.[13] 스마르혼 오바르잔키는 빌뉴스의 성 카시미르 박람회의 전통적인 간식이었다.[14][15]
부블리크의 기원은 베이글이며, 19세기 초에 동유럽으로 전해져 부블리크가 되었다.[19] 명칭은 고대 슬라브어로 "거품"을 의미하는 "부블"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19]
5. 제조법
부블리크는 효모로 발효시킨 밀 반죽으로 만들어지며, 일반적으로 우유, 버터, 계란 흰자를 포함하여 다소 달콤하다. 양귀비 씨는 반죽에 많이 사용되며, 다른 여러 가지 충전물도 사용된다. 짭짤한 부블리크의 경우 설탕을 빼고 대신 강판에 간 치즈와 양파즙 몇 방울을 넣을 수 있다.[1]
벨라루스, 러시아, 우크라이나에서는 부블리크와 바라노크를 빵처럼 취급하기보다는 차나 커피와 함께 먹는 일종의 과자처럼 취급한다.[1] 따라서 부블리크 반죽은 일반적으로 베이글 반죽보다 더 달콤하고 밀도가 높으며, 보통 달걀 노른자로 유약을 바른다. 부블리크의 가장 인기 있는 종류는 양귀비 씨를 듬뿍 넣은 것이다.
6. 섭취 방법
부블리크를 먹는 다른 흔한 방법은 여러 조각으로 부수어 잼(바레니예)이나 사워크림(스메타나), 또는 다른 딥과 함께 먹는 것이다. 부블리크는 차와 함께 자주 먹지만, 현대식 베이글과는 달리 아침 식사로는 잘 먹지 않는다.[17]
7. 문화적 의미
타라스 셰우첸코의 시집 ''코브자르''에 수록된 "Protoptala stezhku cherez yar" ("나는 계곡을 따라 길을 냈다")라는 짧은 시는 시장에서 부블리키를 코사크에게 파는 젊은 여성을 언급한다.[16]
부블리키의 애칭인 ''부블리치키''는 1920년대 오데사에서 작곡된 유명한 이디시-우크라이나-러시아 노래의 제목이다. 레오니드 우푈소프는 소련에서 이 노래를 대중화시켰다. 배리 자매는 지기 엘만 오케스트라와 함께 1939년 미국에서 이 노래를 유행시켰다. 오늘날 이 곡은 클레즈머, 재즈 및 팝 음악가들의 레퍼토리에 속한다.
흔한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 표현은 "부블리크 구멍" (дырка от бу́блика|dyrka ot búblikaru, ді́рка з (від) бу́блика|dírka z (vid) búblykauk)인데, 이는 "아무것도 아니다" 또는 "가치가 없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이 표현은 블라디미르 마야코프스키가 1918~1921년에 쓴 사회주의 극인 미스터리-부프에서 문학적으로 발견된다.
: ''어떤 사람은 부블리크를 얻었고, 다른 사람은 부블리크 구멍을 얻었다.''
: ''그것이 민주 공화국이 될 것이다.''
참조
[1]
서적
Traditional Ukrainian Cookery
Trident Press, Canada
1989
[2]
웹사이트
Изделия хлебобулочные бараночные. Общие технические условия. ГОСТ 32124-2013
http://docs.cntd.ru/[...]
2019-02-24
[3]
서적
Russ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Winter
Heidelberg
1953–1958
[4]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Ukrainian language
Naukova Dumka, Kyiv
2003
[5]
서적
Russ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Winter
Heidelberg
1953–1958
[6]
서적
Словник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 (1970—1980)
http://sum.in.ua/s/o[...]
Наукова думка
1974
[7]
서적
The New Joys of Yiddish: Completely Updated
https://books.google[...]
Three Rivers Press
2010
[8]
서적
Explanatory Dictionary of the Live Great Russian language
2016-04-06
[9]
서적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XVIII века
http://feb-web.ru/fe[...]
Наука
1984
[10]
서적
Словарь русского языка, XI - XVII вв.
Наука
1975
[11]
웹사이트
Баранки
http://www.rus-food-[...]
В. В. Похлёбкин, Кулинарный словарь от А до Я
2000
[12]
서적
Живописная Россия
1881
[13]
서적
Добрыя весці: паэзія, проза, крытыка
Маст. літ.
[14]
서적
Творы
http://pdf.kamunikat[...]
1998
[15]
간행물
Na Kaziuku
https://jbc.bj.uj.ed[...]
1937-02-28
[16]
문서
Kobzar
1840
[17]
웹사이트
ケシの実のブーブリク
http://www.panpedia.[...]
日本パン技術研究所
2020-09-20
[18]
웹사이트
ロシアのベーグル:バランカ、ブーブリク、それともスーシュカ?
https://jp.rbth.com/[...]
ロシア新聞
2020-09-20
[19]
웹사이트
ブーブリク:ロシア風ベーグルブランチ
https://jp.rbth.com/[...]
ロシア新聞
2020-09-29
[20]
웹사이트
2014年第9回海外製パンセミナー開催のご案内「ロシア製パンセミナー」
http://jibt.com/imag[...]
日本パン技術研究所
2020-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