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전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전차는 1915년 조선와사전기가 부산궤도를 매수하여 운행을 시작한 이후, 1968년 궤도사업이 폐지될 때까지 부산 시내에서 운행되었던 전차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시내 순환선이 완공되어 최전성기를 맞이하였으나, 한국 전쟁 이후 버스 사업의 팽창, 전차 노후화 등으로 인해 쇠퇴하였다. 1960년대 신차 도입, 노선 보수 등의 노력이 있었으나 사업성 개선에 실패하였고, 결국 1968년 5월 20일 궤도 사업이 폐지되었다. 현재는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보존된 차량이 유일하게 남아있다. 2020년대 들어 트램 부활 시도가 있었으나, 예산 문제 등으로 인해 계획이 진척되지 않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송정역 (부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에 위치한 송정역은 동해선 광역전철의 역으로, 과거 무인역으로 개업하여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구 역사를 가지며, 송정해수욕장 인근에 있어 이용객이 많다. - 부산광역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부산 구 성지곡수원지
부산 구 성지곡수원지는 1909년에 완공된 한국 최초의 콘크리트 중력식 댐으로, 부산 인구 증가에 대비하여 건설되어 수돗물을 공급하다가 용수 공급이 중단된 후 부산어린이대공원에 편입되었다. - 부산광역시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철도 - 동해선
동해선은 부산에서 강원도, 북한 원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6.25 전쟁으로 동해북부선이 폐선되고 분단되었으나,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이 중단된 후 현재 동해남부선 일부 구간이 광역전철로 운행 중이며, 포항~영덕 구간이 개통되었다.
부산전차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부산 전차 | |
![]() | |
문화재 정보 | |
이름 | 부산 전차 |
![]() | |
유형 | 국가등록문화재 |
번호 | 494 |
지정 | 2012년 4월 18일 |
주소 |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00 |
시대 | 1948년 |
소유 | 동아대학교 |
관리 | 동아대학교 |
참고 | 등록문화재 / 기타 / 동산 |
수량 | 1량 |
좌표 | 좌표|35|06|17.3|N|129|01|08.7|E|type:landmark|display=inline,title |
문화재청 | 79,04940000,21 |
2. 역사
1915년 11월 1일, 조선와사전기가 부산궤도를 매수하면서 부산전차가 시작되었다.[19] 초기에는 부산궤도의 열차와 노면전차가 함께 운행되었으나, 1916년 3월부터 전차만 운행되었다. 이후 노선 연장과 시내 순환선 완공으로 영업 거리가 19.5km까지 확장되었으며, 이 시기가 부산 전차 사업의 최전성기였다.[19]
1924년 경상남도 도청 이전과 함께 부산역-부산진 구간 복선화, 차량 증편 등이 이루어졌다. 1937년 조선와사전기는 남선합동전기(주)로, 해방 후에는 남선전기(주)로 개편되었다.[19]
한국전쟁 이후 부산 인구가 급증하며 버스 사업은 성장했으나, 전차는 노후화와 느린 속도로 어려움을 겪었다. 1961년 한국전력(주)으로 운영이 통합되었지만, 사업성 개선은 어려웠고 결국 1968년 5월 20일 폐지되었다.[19]
폐지 후 미국제 전차 한 량이 동아대학교에 보존, 공개되었다.[5][6][7][9][10]
2020년 부산 도시철도 오륙도선 기본 계획 승인으로 트램 부활이 추진되었으나, 예산 문제 등으로 지연되고 있다.[11][12]
2. 1. 일제강점기 (1915년 ~ 1945년)
1915년 11월 1일, 조선와사전기에서 부산궤도를 매수해 운행하면서 부산전차가 시작되었다.[19] 1916년 3월부터는 부산궤도의 열차와 노면전차 병행 운행이 중단되고 전차만 운행하게 되었다.[19] 이후 보수동을 거쳐 일본인이 많이 살던 부성교(현재의 토성교)의 조선와사 사옥 앞까지 노선을 연장하고 1916년 9월 22일에 영업을 시작하였다.[19] 1917년 12월 19일에는 나가테(長手)선(해방 후의 광복선)을 연장 개통하여 시내 순환선이 완성되었다.[19] 이 시점에서 19.5km의 영업거리를 갖추게 되었으며, 부산의 전차사업 최전성기였다고 전해진다.[19]1924년 4월 1일, 경상남도 도청 이전을 계기로 부산역 앞~부산진 3.2km 구간을 복선화하여 1924년 9월 말 준공하고, 차량 증편, 전차선 개수 등의 사업을 진행하였다.[19] 같은 해 9월에는 보수동 2가에서 도청앞을 거쳐 나카지마마치(中島町; 부용동, 현 부민동에 통합)에 이르는 단선을 연장하였다.[19]
1937년에는 전기사업 합리화를 위한 합병으로 조선와사전기는 남선합동전기 주식회사로 개편되었으며,[19] 해방 후에는 남선전기주식회사로 바뀌었다.[19]
이후 연혁은 다음과 같다.
- 1910년 11월 22일: 한국가스전기가 부산궤도(궤간 610mm, 동력 증기)를 매수하여 영업 승계.
- 1911년 3월 20일: 762mm 궤간 개량 공사 착수, 7월 11일 완료.
- 1913년 2월 27일: 총회에서 조선가스전기로 회사명 변경 결의.
- 1915년 11월 1일: 부산-동래온천장 간 전차 개통 (762mm).
- 1916년 9월 22일: 대청町선(우체국 앞 - 대청町 - 부성교) 개통, 증기 기관차 폐차.
- 1917년 12월 19일: 장수선(대청町 - 장수통) 개통, 시가지 일주선 완성(12리 8).
- 1918년 12월 1일: 자동차 운수 영업 개시.
- 1920년 3월 25일: 자동차 운수 영업 폐지.
- 1927년 10월 말: 동래온천장 종점 연장, 온천장역 신축.
- 1928년 9월: 대신町선 개통.
- 1931년 10월 말: 1067mm 궤간 개량.
- 1935년 3월: 자동차 운수 영업 재개.
2. 2. 해방 이후 (1945년 ~ 1968년)
1937년 전기사업 합리화를 위한 합병으로 조선와사전기는 남선합동전기 주식회사로 개편되었고, 해방 후에는 남선전기주식회사로 바뀌었다.[19]한국전쟁 발발로 대규모 피난민이 남하하면서 부산시가 급속히 팽창했다. 시내 버스 사업은 급격히 팽창했지만, 전차는 노후화와 느린 속도로 인해 수요 증가를 따라가지 못했다. 1961년 전기 3사 통합으로 한국전력주식회사가 운영하게 되었으나, 전차사업의 어려움은 계속되었다. 1960년대 통합 직후 신차 도입(1963년 2대 등), 노선 보수 공사, 서면~신좌수영간 궤도 복선화(1963년) 등이 실시되었으나, 사업성 개선은 이루어지지 않았다.[19]
결국 서울의 전차사업 이관 및 폐지 추진 과정을 따라 부산 전차도 시 측에 이관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서울과 달리 협의 자체가 성립되지 않아 무산되었다. 한전의 51차 이사회 결의에 따라 1968년 5월 20일을 기해 궤도사업을 폐지하게 되었다.[19]
태평양 전쟁 후, 일본인이 철수하고 전차 운행은 한국인의 손으로 넘어갔지만, 자재 부족과 정비 불량으로 전차 가동률이 점차 저하되었다. 미국은 로스앤젤레스의 노면전차 차량 중 불필요하게 된 것을 원조 형태로 들여왔다. 1950년대에는 설비 노후화로 일부 노선이 폐지되었다. 1961년 남선합동전기·경성전기·조선전업과의 합병으로 발족한 한국전력주식회사(후의 한국전력공사)로 경영 주체가 바뀌었다.
1963년 후지차량의 전차를 신규 도입하고 일부 노선을 복선화하는 등 승객이 증가했지만, 도로 사용료를 시에 지불하는 것이 큰 부담이 되어 운영을 시로 이관하게 되었다. 모터리제이션 발달에 휩쓸려 결국 1968년 5월 20일 전면 폐지되었다. 같은 해 서울특별시에서도 노면전차가 폐지되어 한국에서의 노면전차 역사는 여기서 끊어졌다.
전면 폐지 후, 부산시전차에서 사용하던 미국제 전차 한 량이 서구 동아대학교 구덕캠퍼스에 보존[5][6][7]되어 있었지만, 오랫동안 일반에 공개되지 않았다. 2009년 3월 신 캠퍼스 완공과 함께 전차가 일반 공개되었다. 동아대학교에서는 “근대 문화 유산”으로의 지정도 추진하기로 했다.[8] 2010년 12월 23일부터 부민캠퍼스에 수리된 전차가 일반에 공개되었다.[9][10]
2. 3. 폐선 이후
1961년 남선합동전기, 경성전기, 조선전업이 합병하여 한국전력주식회사(현 한국전력공사)가 발족하면서 부산전차의 경영 주체도 변경되었다.[19] 1963년에는 후지차량에서 제작한 전차를 신규 도입하고, 일부 노선을 복선화하는 등 승객 증가를 위한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도로 사용료를 시에 지불하는 것이 큰 부담이 되었고, 운영을 시로 이관하려 했으나 협의가 결렬되었다. 결국 모터리제이션의 발달에 밀려 1968년 5월 20일을 기해 부산전차는 전면 폐지되었다.[19] 같은 해 서울특별시에서도 노면전차가 폐지되면서, 한국에서 노면전차의 역사는 막을 내리게 되었다.폐지 후, 부산시전차에서 사용하던 미국제 전차 한 량이 서구 동아대학교 구덕캠퍼스에 보존[5][6][7]되었다가, 2010년 12월 23일부터 부민캠퍼스에서 수리되어 일반에 공개되었다.[9][10]
이후 2020년 10월 29일, 국토교통부 및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서 오륙도선 기본 계획이 승인되었다.[11] 오륙도선은 경성대·부경대역부터 용호동 이기대 입구 삼거리까지 1.9km 구간에 정류장 5곳과 차량기지를 포함하며, 총 사업비는 4870억원이다. 당초 2023년 준공 예정이었으나, 건설 예산 증가 문제로 2024년 현재 계획이 지연되고 있으며, 무가선형 전기 버스 도입 의견도 나오고 있다.[12] 한국에서 노면 전차 부활은 2026년 개통 예정인 서울 경전철 위례선이 먼저 이루어질 예정이다.[13][14]
2. 4. 트램 부활 시도 (2020년대 ~ 현재)
부산시는 2020년 10월 29일 국토교통부 및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서 오륙도선 기본 계획이 승인되었다고 발표했다.[11]오륙도선은 남구 대연동 용소 교차로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경성대·부경대역)에서 용호동 오륙도 SK 뷰 아파트까지 총 연장 5.15km 노선이다. 이 중 승인된 구간은 경성대·부경대역에서 용호동 이기대 입구 삼거리까지 1.9km 구간으로, 정류장 5곳과 부산환경공단 내 차량기지를 포함하며 총 사업비는 4.87억원이다. 당시 발표된 준공 예정은 2023년이었다. 이로써 1968년 노면 전차 폐지 이후 약 50년 만에 한국에 트램이 다시 도입되는 것이 승인되었다.
그러나 이후 건설 예산이 최초 견적보다 많이 들 것으로 예상되어 2024년 현재 계획이 진척되지 않고 있으며, 궤도를 제외한 무가선형 전기 버스로 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12] 한편, 2023년에 착공되어 2026년 개통 예정인 서울 경전철 위례선이 한국에서 노면 전차 부활을 선행하게 되었다.[13][14]
3. 노선
부산전차는 원래 동래온천으로 온천욕을 하러 오는 사람들을 수송하기 위해 1909년 부산진에서 동래온천까지 구간을 개통했던 경편철도인 '''부산궤도'''[2]를, 전력・가스 회사인 한국가스전기[3](후에 조선가스전기로 개칭)가 매수하여, 선로를 고치고 전기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변경하면서 시작되었다.
1911년에 계획이 시작되어 1915년부터 순차적으로 영업을 시작하였고, 이후에는 환상선 건설도 이루어져 시민의 발로서 약 17.7km의 노선망을 갖추게 되었다. 개업 구간은 부산부 내 약 8.85km, 부산진-동래 간 약 9.50km였으며, 전동 객차 29량, 1926년 당시 여객 인원은 6,103,081명[4]이었다. 1937년에는 조선 남부의 전력 회사들이 통합되어 남선합동전기가 되었다.
태평양 전쟁 이후, 일본인이 철수하고 전차 운행은 한국인의 손으로 넘어가지만, 자재 부족과 정비 불량으로 전차의 가동률은 점차 낮아졌다. 이를 도시 교통의 파괴로 우려한 미국은 로스앤젤레스의 노면전차 차량을 원조 형태로 들여왔다. 1950년대에는 설비 노후화로 일부 노선을 폐지하였다. 1961년에는 남선합동전기·경성전기·조선전업과의 합병으로 발족한 한국전력주식회사(후의 한국전력공사)로 경영 주체가 바뀌었다.
1963년에는 후지차량의 전차도 신규 도입되어 일부 노선은 복선화도 하는 등 승객이 증가했지만, 도로 사용료를 시에 지불하는 것이 큰 부담이 된 것도 있어서 운영을 시로 이관하게 된다. 그 후에는 모터리제이션의 발달에 휩쓸려 결국 1968년 5월 20일을 기점으로 전면 폐지되었다.
3. 1. 일제강점기 노선 (1924년 기준)
주요 기점역 및 환승 정거장은 다음과 같다.
3. 2. 해방 이후 노선
일제강점기 중반부터 해방 전후해서는 순환선 운행이 존재하였다고 하나, 한국전쟁을 전후하여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현재까지 알려진 노선은 아래와 같다.
- 공설운동장(현 구덕운동장)-대신동-부용동-재판소앞(현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시립병원앞(현 부산대학교병원)-토성동-충무동-남포동-시청앞(현 롯데백화점 광복점)-영도입구(현 영도대교)-영도-영도종점(현 남항동)
- 공설운동장(현 구덕운동장)-대신동-부용동-재판소앞(현 동아대학교박물관)-시립병원앞(현 부산대학교병원)-토성동-충무동-남포동-중앙동-부산역앞-영주동-초량입구-초량-고관입구-부산진역-좌천동-시장앞(현 부산진시장)-범일동-광무교-차고앞-서면-부전-신좌수영(현 양정)-거제리-남문구-사대앞(현 부산교육대학교)-동래-서문구-온천장
( )는 대한민국 건국 후의 역명
- 【범일정선】 '''부산역 앞''' ⇔ 경찰서 앞 ⇔ 영정2 ⇔ 영선정 ⇔ 초량 입구 ⇔ 초량교 ⇔ 초량역 앞 ⇔ 철도 관사 앞 ⇔ 고관 입구 ⇔ 수정정 ⇔ 부산진역 앞 ⇔ '''부산진 입구(좌천동)''' ⇔ 좌천정 ⇔ 범일정
- 【목도선】 '''본정''' ⇔ 부산부청 앞(시청 앞) ⇔ 대교(영도 입구) ⇔ 목도본정(영도) ⇔ 목도(영도 종점)
- 【장수선】 '''부산역 앞''' ⇔ '''대교통1(대교동)''' ⇔ 대교통2[15] ⇔ '''본정''' ⇔ 남빈정 ⇔ 변천정1 ⇔ 변천정2 ⇔ 사안교 ⇔ 행복정1 ⇔ 행복정2 ⇔ 부평정1 ⇔ 부성교(충무동) ⇔ 토성정(토성동) ⇔ 부립병원 앞(시립병원 앞) ⇔ '''재판소 앞'''
- 【대신정선】 '''재판소 앞''' ⇔ 도청 앞(폐지) ⇔ 중도정(부용동) ⇔ 대신정(대신동) ⇔ 구덕[16] ⇔ 운동장 앞(운동장) ⇔ 차고
- 【대청정선】 '''대교통1(대교동)''' ⇔ 부산우체국 앞 ⇔ 조은 앞 ⇔ 대청정2 ⇔ 보수정1 ⇔ 보수정2 ⇔ 보수정3 ⇔ '''재판소 앞'''
- 【동래선】 '''부산진 입구(좌천동)''' ⇔ 자성대(시장 앞) ⇔ 부산진역(범일동) ⇔ 광무교 ⇔ (차고 앞) ⇔ 서면 ⇔ 신좌수영(부전) ⇔ 거제리 ⇔ 남문구 ⇔ (사대 앞) ⇔ 동래 ⇔ 서문 ⇔ 온천장
3. 3. 주요 시설
항목 | 내용 |
---|---|
노선 연장 | 총 21.7km |
운영 기관 | 남선전기주식회사(1961년 이후 한국전력주식회사) |
궤간 | 1067mm (협궤)[18] |
통행 방식 | 좌측 통행 |
역 수 | 33개 |
복선 구간 | 서면~신좌~수영 간 (추정)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 600V DC |
주요 기점역 및 환승 정거장은 다음과 같다.
4. 차량
서울전차와 유사하게 소형, 중형, 대형, 미제 차량으로 구분되었으며, 화차 1량을 보유하고 있었다. 1952년 미국 애틀랜타에서 전차 40대를, 1956년에는 로스앤젤레스에서 전차 53대를 수입하였다. 1963년 5월 30일에는 일본 후지차량(富士車輛)에서 신차 10대를 도입하여 그 중 2량을 부산에서 사용하였다.
확인된 부산전차 번호는 애틀랜타 전차 309, 352, 354, 360, 362, 366호와 로스앤젤레스 전차 383, 385호이다. 352번 전차는 1968년 운행 중단 후 미국 라스베이거스로 보내져 식당으로 사용되다가 1988년 오렌지 엠파이어 철도박물관에 기증되었으며, 현재는 Seashore Trolley Museum (Kennebunkport, Maine)에 보관되어 있다.
4. 1. 동아대학교 소장 전차
동아대학교에서 소장하고 있는 「부산전차」는 1927년 미국의 신시내티차량회사(Cincinnati Car Company)에서 제작한 반강제(半鋼製) 보기식(Bogie式) 궤도차량이다. 이 전차는 미국 애틀랜타에서 운행되다가 1952년 무상원조로 한국에 들어와 부산에서 운행된 20량의 전차 중 하나로, 1968년까지 운행된 전차 중 1대이다.[17]1969년 2월, 동아대학교는 남선전기(주)로부터 이 전차를 학습용으로 기증받았다. 이후 보존처리 및 복원 작업을 거쳐 동아대학교박물관 야외에 전시되었으며, 이는 부산에서 운행했던 전차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것이다.[17]
1968년 전차 운행 중단 후, 동아학숙 설립자 정재환 박사의 요청으로 남선전기(주)는 이 전차를 동아대학교에 기증했다. 1969년 2월 23일, 전차는 동아대학교 구덕캠퍼스에 야외 보관되었으나, 노출로 인해 부식 및 훼손이 발생했다. 1980년, 전면부 철판 및 지붕, 내부 목재 교체, 도색 등 대대적인 수리 작업이 이루어졌고, 비바람을 피할 수 있는 간이 보관동이 설치되었다. 2009년 3월, 부민캠퍼스 완공 및 서구청의 임시수도 기념거리 조성에 따라 2010년 12월 부민캠퍼스로 이전되었다. 보존처리 과정을 거쳐 2011년 7월부터 일반에 공개되었으며, 2012년 4월 18일 문화재청 등록문화재 제494호로 지정되었다.
이 전차는 1927년 미국 Georgia Power Company가 Cincinnati Car Company에 주문번호 2960으로 제작 의뢰한 860-899 시리즈 중 893호이다.
- 크기: 길이 14m, 높이 3.2m (상부 집전장치 제외), 폭 2.4m
- 부산 운행 당시 번호: 불명
; 전차의 부속품
- 속도 제어 조종부: 미국 GENERAL ELECTRIC K-35-JJ LB-4형
- 제동장치: 미국 Westinghouse M 28 A 형
- 동력장치: Motor GE 265A 형
- 제동장치용 공기압축기: Westinghouse (Traction Brake Co) DH-15 형
- 집전장치: 도입 당시에는 집전봉(Trolley Pole)형이었으나, 후에 독일제 뷔겔(Bügel)형으로 교체됨.
- 한국 운행 당시 전차 사진을 보면, 전차 앞뒤로 집전봉 2개 설치, 앞뒤 한쪽에 집전봉 및 뷔겔 설치, 뷔겔 하나만 설치 등 3종류로 구분됨.
- 한국 전차 집전장치는 도입 및 운행 초기에는 집전봉형, 운행 중기에는 뷔겔형으로 점차 교체, 운행 말기에는 전부 뷔겔형으로 교체된 것으로 추정됨. 동아대학교 전차는 뷔겔이 가운데 설치되어 있음.
; 전차의 색상
참조
[1]
문서
朝鮮語版ウィキペディアでは「釜山電車」となっていたので、本稿における各種表記でもそれに従うこととする。
[2]
NDLDC
日本全国諸会社役員録. 明治43年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3]
NDLDC
日本全国諸会社役員録. 明治44年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4]
NDLDC
帝国鉄道年鑑. 昭和3年版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5]
웹사이트
九徳運動場前から東亜大学まで(保存車両の写真あり)
http://nekonote.jp/k[...]
[6]
웹사이트
釜山に残る電車1 (車体)
http://nekonote.jp/k[...]
[7]
웹사이트
釜山に残る電車2 (足回り)
http://nekonote.jp/k[...]
[8]
뉴스
추억의 '부산전차' 내달 시민에 개방(追憶の‘釜山電車’来月市民に開放)
http://news20.busan.[...]
釜山日報
2009-02-16
[9]
뉴스
추억의 부산전차, 시민 품으로(追憶の釜山電車、市民の懐に)
http://news.busan.go[...]
부산시 인터넷신문(釜山市インターネット新聞)BUVI News
2010-12-29
[10]
뉴스
なつかしの路面電車
http://app.yonhapnew[...]
連合ニュース
2011-07-20
[11]
웹사이트
釜山都市鉄道・五六島線基本計画を国土交通部承認
https://japanese.bus[...]
釜山市外国語ホームページ
2020-11-12
[12]
뉴스
釜山都市鉄道五六島線は総延長5.15㎞、8駅で、車両はトラムで計画されている。
https://www.mk.co.kr[...]
毎日経済
2024-04-01
[13]
뉴스
路面電車が57年ぶりにソウルを走る 慰礼トラム着工
https://world.kbs.co[...]
2023-04-13
[14]
뉴스
年末·来年開通を控えた広域交通網と不動産恩恵地域 ウンジョン~ソウル駅 GTX-A 配車間隔 水西~東灘 半分 ヨンシンネ·コヤン大谷注目 高陽~議政府郊外線 20年ぶりに運行再開 通勤時間が半分に減る
https://www.mk.co.kr[...]
毎日経済
2024-12-14
[15]
문서
韓国建国後に廃駅となった
[16]
문서
韓国建国後に廃駅となった
[17]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18]
문서
부산의 전차는 초기에 762mm 궤간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1915~1931 사이에 개궤가 이루어져 1067mm 궤간을 이후 사용하게 되었다.
[19]
서적
한국전기백년사
한국전력주식회사
1989
[20]
문서
상게서.
[21]
보고서
동아대학교 소장 ‘부산전차’보존처리 보고서
동아대학교박물관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