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구 을 (광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구 을은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북구 갑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광주광역시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관할 구역은 선거구 획정에 따라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용봉동, 운암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건국동, 양산동을 포함한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이길재, 김태홍, 김재균, 임내현, 최경환, 이형석, 전진숙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의 선거구 - 북구 갑 (광주)
광주 북구 갑은 1992년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광주광역시 북구 일부를 관할하며, 주로 더불어민주당 계열 후보가 당선되었지만 2016년에는 국민의당 후보가 당선되기도 했다. - 광주광역시의 선거구 - 동구·남구 을
동구·남구 을은 20대 총선부터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광주광역시 동구 전체와 남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20대 총선에서는 박주선, 21대 총선에서는 이병훈, 22대 총선에서는 안도걸 후보가 당선되어 현재 더불어민주당의 텃밭으로 여겨진다. - 광주 북구의 정치 - 북구 갑 (광주)
광주 북구 갑은 1992년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광주광역시 북구 일부를 관할하며, 주로 더불어민주당 계열 후보가 당선되었지만 2016년에는 국민의당 후보가 당선되기도 했다. - 광주 북구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 북구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 북구의회는 6개 선거구에서 18명의 지역구 의원과 2명의 비례대표 의원을 선출하여,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하고 민주평화당과 민중당이 뒤를 이었다. - 1992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창원시 을
창원시 을은 1992년 신설되어 2012년 폐지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황낙주, 이주영, 권영길 등이 당선되었으며 보수와 진보 세력의 경쟁을 나타냈다. - 1992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수성구 갑
수성구 갑은 1992년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범어, 만촌, 황금, 고산 등의 지역을 관할하며, 박철언, 김부겸, 주호영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북구 을 (광주)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북구 을 |
의회 | 국회 |
연도 | 1992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북구 |
의원 | 전진숙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북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북구 을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당시 유동, 누문동, 북동, 임동, 신안동, 용봉동, 동운동, 서산동, 본촌동, 우치동, 삼소동이 북구 을에 속했고, 나머지 지역은 북구 갑이 되었다.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임동과 오치동이 북구 갑 선거구로 편입되었다.
2. 1. 선거구 역사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북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유동, 누문동, 북동, 임동, 신안동, 용봉동, 동운동, 서산동, 본촌동, 우치동, 삼소동이 북구 을로 묶이고 나머지는 북구 갑이 되었다.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임동과 오치동이 북구 갑 선거구로 넘어갔다.
3. 관할 구역
대수 | 관할 구역 |
---|---|
14대 | 북구 유동, 누문동, 북동, 임동, 신안동, 용봉동, 동운1동, 동운2동, 서산동, 본촌동, 우치동, 삼소동 |
15대 | 북구 유동, 누문동, 북동, 임동, 신안동, 용봉동, 동운1동, 동운2동, 동운3동, 서산동, 오치동, 본촌동, 우치동, 삼소동 |
16대 | 북구 임동,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서산동, 매곡동, 오치1동, 오치2동, 건국동 |
17대 ~ 19대 | 북구 임동,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오치1동, 오치2동, 건국동 |
20대 ~ 현재 | 북구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건국동, 양산동 |
4. 역대 국회의원
선거 | 정당 | 의원 |
---|---|---|
1992년 | 민주당 | 이길재 |
1996년 | 새정치국민회의 | 이길재 |
2000년 | 새천년민주당 | 김태홍 |
2004년 | 열린우리당 | 김태홍 |
2008년 | 통합민주당 | 김재균 |
2012년 | 민주통합당 | 임내현 |
2016년 | 국민의당 | 최경환 |
2020년 | 더불어민주당 | 이형석 |
2024년 | 더불어민주당 | 전진숙 |
5.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북구 을 지역구에서 치러진 역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명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이길재 | 민주당 | 71,022 | 85.67%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이길재 | 새정치국민회의 | 88,310 | 89.53% |
고귀남 | 신한국당 | 6,129 | 6.21% | |
유인상 | 통합민주당 | 3,449 | 3.49% | |
김천국 | 자유민주연합 | 739 | 0.74% | |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김태홍 | 새천년민주당 | 73,483 | 88.49% |
손민영 | 무소속 | 6,248 | 7.52% | |
강경구 | 한나라당 | 2,108 | 2.53% | |
김천국 | 자유민주연합 | 1,198 | 1.44% |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김태홍 | 열린우리당 | 57,317 | 55.70% |
최경주 | 새천년민주당 | 35,466 | 34.46% | |
안영돈 | 민주노동당 | 7,299 | 7.09% | |
손민영 | 무소속 | 1,164 | 1.13% | |
이인호 | 무소속 | 772 | 0.75% | |
김천국 | 자유민주연합 | 647 | 0.62% | |
최익주 | 구국총연합 | 226 | 0.21% |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김재균 | 통합민주당2008 | 62,567 | 79.23% |
김현정 | 민주노동당 | 9,643 | 12.21% | |
김천국 | 한나라당 | 5,462 | 6.91% | |
양길문 | 평화통일가정당 | 1,295 | 1.63% |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임내현 | 민주통합당 | 66,779 | 61.02% |
김재균 | 무소속 | 20,312 | 18.56% | |
윤민호 | 통합진보당 | 20,200 | 18.45% | |
안영돈 | 진보신당 | 2,139 | 1.95% |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최경환 | 국민의당 | 68,641 | 55.29% |
이형석 | 더불어민주당 | 44,138 | 35.55% | |
윤민호 | 민중연합당 | 4,957 | 3.99% | |
이인호 | 새누리당 | 2,833 | 2.28% | |
노남수 | 무소속 | 2,551 | 2.05% | |
이영수 | 무소속 | 1,017 | 0.81% |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이형석 | 더불어민주당 | 108,229 | 78.82% |
최경환 | 민생당 | 15,281 | 11.12% | |
윤민호 | 민중당 | 4,514 | 3.28% | |
황순영 | 정의당 | 4,086 | 2.97% | |
노남수 | 무소속 | 2,691 | 1.95% | |
강휘중 | 기독자유통일당 | 1,282 | 0.93% | |
이재욱 | 국가혁명배당금당 | 692 | 0.50% | |
김원갑 | 무소속 | 522 | 0.38% |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전진숙 | 더불어민주당 | 99,993 | 72.11% |
윤민호 | 진보당 | 22,664 | 16.34% | |
양종아 | 국민의힘 | 9,877 | 7.12% | |
박병석 | 새로운미래 | 4,674 | 3.37% | |
김원갑 | 개혁신당 | 1,444 | 1.04% |
5. 1.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5. 2.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5. 3.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5. 4.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태홍 | 열린우리당 | 57,317 | 55.70% |
최경주 | 새천년민주당 | 35,466 | 34.46% |
안영돈 | 민주노동당 | 7,299 | 7.09% |
손민영 | 무소속 | 1,164 | 1.13% |
이인호 | 무소속 | 772 | 0.75% |
김천국 | 자유민주연합 | 647 | 0.62% |
최익주 | 구국총연합 | 226 | 0.21% |
합계 | 102,891 | 100% |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광주광역시 북구 을 선거구의 유권자는 176,357명이었다. 무소속 지대섭 후보는 선거 전에 사퇴하였다.
5. 5.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재균 | 통합민주당2008 | 62,567 | 79.23% |
김현정 | 민주노동당 | 9,643 | 12.21% |
김천국 | 한나라당 | 5,462 | 6.91% |
양길문 | 평화통일가정당 | 1,295 | 1.63% |
합계 | 78,967 | 100% |
5. 6.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광주광역시 북구 을 선거구의 유권자는 211,323명이었다. 투표 결과는 위 표와 같았다.
5. 7.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최경환 | 국민의당 | 68,641 | 55.29 |
이형석 | 더불어민주당 | 44,138 | 35.55 |
윤민호 | 민중연합당 | 4,957 | 3.99 |
이인호 | 새누리당 | 2,833 | 2.28 |
노남수 | 무소속 | 2,551 | 2.05 |
이영수 | 무소속 | 1,017 | 0.81 |
합계 | 124,137 | 100.00 |
5. 8.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형석 | 더불어민주당 | 108,229 | 78.82 |
최경환 | 민생당 | 15,281 | 11.12 |
윤민호 | 민중당 | 4,514 | 3.28 |
황순영 | 정의당 | 4,086 | 2.97 |
노남수 | 무소속 | 2,691 | 1.95 |
강휘중 | 기독자유통일당 | 1,282 | 0.93 |
이재욱 | 국가혁명배당금당 | 692 | 0.50 |
김원갑 | 무소속 | 522 | 0.38 |
합계 | 137,297 | 100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광주광역시 북구 을 선거구의 총 유권자 수는 208,908명이었다. 더불어민주당 이형석 후보가 78.8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5. 9.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전진숙 | 더불어민주당 | 99,993 | 72.11% |
윤민호 | 진보당 | 22,664 | 16.34% |
양종아 | 국민의힘 | 9,877 | 7.12% |
박병석 | 새로운미래 | 4,674 | 3.37% |
김원갑 | 개혁신당 | 1,444 | 1.04% |
합계 | 138,652 | 100%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