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구 갑 (광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구 갑 (광주)은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광주 북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리되면서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북구 을의 일부 지역이 편입되는 경계 조정이 있었다. 관할 구역은 선거구 획정에 따라 변동되었으며,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박광태, 김상현, 강기정, 김경진, 조오섭, 정준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의 선거구 - 동구·남구 을
동구·남구 을은 20대 총선부터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광주광역시 동구 전체와 남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20대 총선에서는 박주선, 21대 총선에서는 이병훈, 22대 총선에서는 안도걸 후보가 당선되어 현재 더불어민주당의 텃밭으로 여겨진다. - 광주광역시의 선거구 - 동구·남구 갑
동구·남구 갑은 광주광역시 동구와 남구 일부를 관할하는 국회의원 선거구로, 2016년 동구 인구 감소로 남구 일부와 통합 신설되었으며, 장병완, 윤영덕, 정진욱 후보가 당선되었다. - 광주 북구의 정치 - 북구 을 (광주)
광주 북구 을은 1992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관할 지역이 변경되었으며, 민주당 계열 후보가 주로 당선되었으나 2016년에는 국민의당 후보가 당선되기도 했고, 현재 용봉동, 운암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건국동, 양산동을 관할한다. - 광주 북구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 북구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주 북구의회는 6개 선거구에서 18명의 지역구 의원과 2명의 비례대표 의원을 선출하여,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하고 민주평화당과 민중당이 뒤를 이었다. - 1992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창원시 을
창원시 을은 1992년 신설되어 2012년 폐지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황낙주, 이주영, 권영길 등이 당선되었으며 보수와 진보 세력의 경쟁을 나타냈다. - 1992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수성구 갑
수성구 갑은 1992년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범어, 만촌, 황금, 고산 등의 지역을 관할하며, 박철언, 김부겸, 주호영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북구 갑 (광주)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의회 | 국회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북구 |
연도 | 1992 |
의원 | 정준호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북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리되면서 신설되었다.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북구 을의 임동, 오치동이 북구 갑으로 넘어오는 경계 조정이 있었다.
2. 1. 선거구 신설
1992년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북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리되면서 신설되었다. 신설 당시 중흥동, 우산동, 풍향동, 문화동, 두암동, 충효동, 청옥동, 장운동이 북구 갑으로 묶이고 나머지는 북구 을이 되었다.2. 2. 경계 조정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북구 을의 임동, 오치동이 북구 갑으로 넘어오는 경계 조정이 있었다.3. 관할 구역
광주광역시 북구 갑 선거구는 1988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신설되었다.
대수 | 관할 구역 |
---|---|
14대 | 북구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우산동, 풍향1동, 풍향2동, 문화동, 두암1동, 두암2동, 충효동, 청옥동, 장운동 |
15대 | 북구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우산동, 풍향1동, 풍향2동, 문화동, 문흥1동, 문흥2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충효동, 청옥동, 장운동 |
16대 ~ 19대 | 북구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신안동, 우산동, 풍향동, 문화동, 문흥1동, 문흥2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석곡동 |
20대 ~ 현재 | 북구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임동, 신안동, 우산동, 풍향동, 문화동, 문흥1동, 문흥2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오치1동, 오치2동, 석곡동 |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인 "역대 관할 구역"을 참조하면 된다.
3. 1. 역대 관할 구역
대수 | 관할 구역 |
---|---|
14대 | 북구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우산동, 풍향1동, 풍향2동, 문화동, 두암1동, 두암2동, 충효동, 청옥동, 장운동 |
15대 | 북구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우산동, 풍향1동, 풍향2동, 문화동, 문흥1동, 문흥2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충효동, 청옥동, 장운동 |
16대 ~ 19대 | 북구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신안동, 우산동, 풍향동, 문화동, 문흥1동, 문흥2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석곡동 |
20대 ~ 현재 | 북구 중흥1동, 중흥2동, 중흥3동, 중앙동, 임동, 신안동, 우산동, 풍향동, 문화동, 문흥1동, 문흥2동, 두암1동, 두암2동, 두암3동, 오치1동, 오치2동, 석곡동 |
4. 역대 국회의원
wikitext
선거 | 정당 | 의원 | |
---|---|---|---|
1992년 | 민주당 | 박광태 | |
1996년 | 새정치국민회의 | ||
2000년 | 새천년민주당 | ||
2002년 | 새천년민주당 | 김상현 | |
2004년 | 열린우리당 | 강기정 | |
2008년 | 통합민주당 | ||
2012년 | 민주통합당 | ||
2016년 | 국민의당 | 김경진 | |
2020년 | 더불어민주당 | 조오섭 | |
2024년 | 더불어민주당 | 정준호 |
4.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선거 | 정당 | 의원 | |
---|---|---|---|
1992년 | 민주당 | 박광태 | |
1996년 | 새정치국민회의 | ||
2000년 | 새천년민주당 | ||
2002년 | 새천년민주당 | 김상현 | |
2004년 | 열린우리당 | 강기정 | |
2008년 | 통합민주당 | ||
2012년 | 민주통합당 | ||
2016년 | 국민의당 | 김경진 | |
2020년 | 더불어민주당 | 조오섭 | |
2024년 | 더불어민주당 | 정준호 |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당선인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2위 후보 | 2위 정당 | 2위 득표율 | 2위 득표수 |
---|---|---|---|---|---|---|---|---|
제14대 | 박광태 | 민주당 | 83.64% | 68,643 | 지대섭 | 민주자유당 | 13.16% | 10,806 |
제15대 | 박광태 | 새정치국민회의 | 92.67% | 83,596 | 정경주 | 신한국당 | 5.16% | 4,658 |
제16대 | 박광태 | 새천년민주당 | 75.49% | 59,195 | 강기정 | 무소속 | 19.90% | 15,606 |
2002년 재보궐 | 김상현 | 새천년민주당 | 55.9% | 18,618 | 변형 | 무소속 | 20.6% | 6,870 |
제17대 | 강기정 | 열린우리당 | 59.82% | 51,258 | 김상현 | 새천년민주당 | 33.87% | 29,023 |
제18대 | 강기정 | 통합민주당 | 63.28% | 36,656 | 한화갑 | 무소속 | 22.91% | 13,273 |
제19대 | 강기정 | 민주통합당 | 57.71% | 37,718 | 김경진 | 무소속 | 29.11% | 19,027 |
제20대 | 김경진 | 국민의당 | 70.80% | 65,721 | 정준호 | 더불어민주당 | 23.34% | 21,673 |
제21대 | 조오섭 | 더불어민주당 | 57.79% | 59,011 | 김경진 | 무소속 | 37.60% | 38,397 |
제22대 | 정준호 | 더불어민주당 | 83.45% | 86,713 | 김정명 | 국민의힘 | 8.52% | 8,856 |
5. 1.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박광태 후보가 83.64%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자유당 지대섭 후보는 13.16%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고, 무소속 이관형 후보는 3.19%를 득표하였다.
5. 2.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박광태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5. 3.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박광태 후보가 3선에 성공하였다.
5. 4. 2002년 재보궐선거
2002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김상현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김상현 | 새천년민주당 | 18,618 | 55.9% |
변형 | 무소속 | 6,870 | 20.6% |
강기정 | 무소속 | 6,047 | 18.1% |
박영구 | 한나라당 | 1,376 | 4.1% |
이준수 | 무소속 | 430 | 1.3% |
합계 | 33,431 | 100% |
5. 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 강기정 후보가 59.8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새천년민주당 김상현 후보는 33.87%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
5. 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 강기정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강기정 | 통합민주당 | 36,656 | 63.28 |
한화갑 | 무소속 | 13,273 | 22.91 |
이봉훈 | 민주노동당 | 2,757 | 4.75 |
이가연 | 한나라당 | 2,369 | 4.08 |
김경진 | 무소속 | 2,357 | 4.06 |
최한규 | 평화통일가정당 | 514 | 0.88 |
합계 | 57,926 | 100 |
5. 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강기정 후보가 3선에 성공하였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강기정 | 민주통합당 | 37,718 | 57.71% |
김경진 | 무소속 | 19,027 | 29.11% |
이채언 | 통합진보당 | 7,314 | 11.19% |
이관행 | 정통민주당 | 1,289 | 1.97% |
총 유권자수 | 130,943 | 100% | |
총 투표수 | 65,348 |
5. 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국민의당 김경진 후보가 70.8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후보는 23.34%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 민중연합당 장세레나 후보는 3.15%, 무소속 박대우 후보는 2.69%를 득표하였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국민의당 | 김경진 | 65,721 | 70.80% |
더불어민주당 | 정준호 | 21,673 | 23.34% |
민중연합당 | 장세레나 | 2,924 | 3.15% |
무소속 | 박대우 | 2,502 | 2.69% |
합계 | 92,820 | 100.00% |
5. 9.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조오섭 후보가 57.7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조오섭 후보는 지역 현안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주민들의 지지를 얻었다. 무소속 김경진 후보는 37.60%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더불어민주당 | 조오섭 | 59,011 | 57.79% |
무소속 | 김경진 | 38,397 | 37.60% |
미래통합당 | 범기철 | 2,423 | 2.37% |
정의당 | 이승남 | 1,786 | 1.74% |
국가혁명배당금당 | 박현두 | 480 | 0.47% |
합계 | 102,097 | 100.00% |
5. 10.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후보가 83.4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정준호 후보는 젊은 정치인으로서 참신한 정책과 소통 능력을 바탕으로 압승을 거두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정준호 | 더불어민주당 | 86,713 | 83.45% |
김정명 | 국민의힘 | 8,856 | 8.52% |
김주업 | 진보당2017 | 6,396 | 6.15% |
장경수 | 무소속 | 1,937 | 1.86%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