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아프리카 전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아프리카 전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벌어진 일련의 전투를 통칭한다. 이탈리아의 이집트 침공으로 시작되어, 서부 사막 전역, 횃불 작전, 튀니지 전역을 거쳐 연합군의 승리로 종결되었다. 주요 전투로는 컴퍼스 작전, 엘 알라메인 전투, 카세린 협곡 전투 등이 있으며, 추축국과 연합군 간의 정보전도 치열하게 벌어졌다. 이 전역은 이탈리아 전역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발판이 되었으며, 약 40만 명의 사상자를 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집트 -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는 1942년 이집트 엘 알라메인에서 연합군이 추축군을 격파하고 북아프리카 전역의 전세를 역전시킨 결정적인 전투이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집트 - 알람 엘 할파 전투
    알람 엘 할파 전투는 1942년 북아프리카에서 롬멜이 이끄는 추축군의 이집트 침공을 연합군이 저지한 전투로, 추축군의 공세 포기와 연합군의 전술적 승리, 그리고 엘 알라메인 전투로 이어지는 전환점이 되었다.
  • 튀니지 전역 - 카세린 협곡 전투
    카세린 협곡 전투는 1943년 2월 튀니지 전역 중 카세린 협곡에서 추축군이 연합군의 전력 증강을 저지하고자 공세를 펼쳤으나 연합군의 반격과 보급 문제로 철수했으며, 미군에게 큰 피해를 주었지만 연합군이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승리하는 발판을 마련한 전투이다.
  • 튀니지 전역 - 벌컨 작전
    벌컨 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3년 5월 튀니지에서 연합군이 추축군을 상대로 감행한 대규모 공세 작전의 일부로,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추축군을 몰아내고 튀니스를 점령하여 추축군의 항복을 받아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리비아 - 가잘라 전투
    가잘라 전투는 1942년 북아프리카에서 추축군이 영국 제8군을 격파하고 토브룩을 점령하여 영국군이 후퇴하게 된 전투이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리비아 - 서부 사막 전역
    서부 사막 전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아프리카 서부 사막에서 벌어진 일련의 전투로, 식민지 정책, 자원 확보 경쟁, 지중해 영향력 확대 시도 등의 배경 속에서 이탈리아의 이집트 침공, 영국군의 컴파스 작전, 독일 아프리카 군단 개입 등을 거치며 추축군의 패배로 끝난 제2차 세계 대전의 중요한 전환점이다.
북아프리카 전역
북아프리카 전역
1942년 7월, 제1차 엘 알라메인 전투 중 방어 태세를 취하고 있는 영국군.
날짜1940년 6월 10일 – 1943년 5월 13일
장소이탈리아령 리비아, 이집트, 프랑스령 차드, 알제리, 모로코, 튀니지
결과연합군의 승리
영토이탈리아령 리비아는 영국과 프랑스의 군정 하에 놓임.
전투 세력 1연합국
' 영국 제국'
''
''
''
''
''
' 리비아 아랍군'
'' 1942년 11월부터 1943년 5월까지.
''
' 알제리'
' 튀니지'
' 모로코'
'' 1942년부터 자치
''
''
''
''
전투 세력 2추축국
''
' 리비아'
''
'----' 1942년 11월 8일~11일. 비시 프랑스는 공식적으로 무장 중립 정책을 추구했으며, 추축국과 연합국 교전 세력의 무력 침입에 맞서 군사 작전을 수행했다. 프랑스령 북아프리카의 비시군이 연합국에 충성을 맹세하자 추축국은 비시가 이 정책을 계속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프랑스 본토를 침공하여 점령했다 (안톤 작전).
' 알제리'
' 튀니지'
' 모로코'
지휘관 1' 아치볼드 웨이벌'
' 클로드 오킨렉'
' 해럴드 알렉산더'
' 앨런 커닝햄'
' 닐 리치'
' 버나드 몽고메리'
' 케네스 앤더슨'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앙리 지로'
지휘관 2' 우고 카발레로'
' 비토리오 암브로시오'
' 이탈로 발보'
' 로돌포 그라치아니'
' 이탈로 가리볼디'
' 에토레 바스티코'
' 쿠리오 바르바세티'
' 조반니 메세'
' 알베르트 케셀링'
' 에르빈 롬멜'
' 게오르크 슈투메'
' 한스-위르겐 폰 아르님'
'---- 프랑수아 다를랑' 다를랑은 1942년 11월 횃불 작전 이후 연합군에 합류했으나, 비시 프랑스에 대한 그의 이전 충성 때문에 나중에 암살당했다.
사상자 1' 대영제국: 사망 35,478명, 총 사상자 220,000명'
' 자유 프랑스: 사망, 부상 또는 실종 16,000명'
' 미국: 사망 2,715명, 부상 8,978명, 실종 6,528명'
물적 손실: 전차 2,000대 파괴, 항공기 1,400대 파괴
사상자 2' 이탈리아: 사망 22,341명, 포로 250,000–350,000명'
' 독일: 사망 18,594명, 실종 3,400명, 포로 180,000명'
' 비시 프랑스: 사망 1,346명, 부상 1,997명'
물적 손실: 전차 2,550대 손실, 트럭 70,000대 손실, 대포 6,200문 손실, 항공기 8,000대 파괴, 선박 2,400,000 총 톤
관련 전투

2. 서부 사막 전역 (1940년 6월 ~ 1942년 11월)

엘 알라메인 전투 중 영국군 마틸다 2 보병 전차 부대.


북아프리카 전역은 연합군과 추축군 모두에게 전략적으로 중요했다. 연합군은 이곳을 동부 전선에서 독일군의 압박을 줄이기 위한 발판으로 삼으려 했다. 추축군은 중동의 석유 자원을 확보하고자 했다. 그러나 독일 국방군 최고 사령부는 에르빈 롬멜에게 방어 작전만 수행하라고 지시하여, 실제로 독일이 북아프리카에 대해 명확한 전략을 가지고 있었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78]

1940년 9월 13일, 이탈리아군은 이탈리아령 리비아에서 알렉산드리아수에즈 운하를 목표로 영국령 이집트를 침공하여 시디바라니에 방어 요새를 설치했다. 영국군은 컴퍼스 작전으로 반격하여 1941년 2월 초 이탈리아군을 벵가지로 격퇴시켰다.

영국 함대와 공군은 지중해를 장악했는데, 1940년 7월 오랑알제리의 메르-엘-케비르에서 비시 프랑스 선박들을 격침, 손상시키고 알렉산드리아의 비시 프랑스 선박들도 몰수했다. 몇 차례 함포전에서 패배한 이탈리아 함대는 타란토로 후퇴했고 11월 항공모함 일러스트리어스 호에서 출격한 공군기들이 이탈리아군 전함 3척과 순양함 2척을 침몰시켰다.

영국군은 800km나 진격해 이탈리아령 리비아 전역을 정복하고 13만 명의 이탈리아군을 포로로 잡았다.

이탈리아군의 패배는 독일 아프리카 군단(Deutsches Afrikakorpsde, '''DAK''')의 참전을 불러왔다. 롬멜은 엘 아게일라에서 공세를 시작하여 영국군을 살룸까지 압박했고, 양측은 공방전을 벌였다. 1941년 4월 말, 독일군은 이집트 국경에 도달하여 리처드 오코너 장군을 생포하고 오스트레일리아군을 토브룩 항에 고립시켰다.

1941년 4월 지중해의 태양 작전 당시 독일군 판터 III 전차.


영국군은 브리비티 작전과 배틀액스 작전으로 반격했으나 실패했고, 클로드 오킨레크가 새로운 사령관으로 부임했다. 연합군은 8군을 재편성하여 크루세이더 작전을 개시, 1941년 12월 10일 토브룩 포위망을 풀고 12월 24일 벵가지를 점령했다.

1942년 2월 21일, 롬멜은 다시 공격하여 가잘라 전투에서 승리하고 토브룩을 함락시켰다. 5월 27일 롬멜은 다시 공세를 시작했지만, 제1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저지당했다.

버나드 몽고메리 장군이 8군 사령관에 취임했고, 8월 31일 롬멜의 엘 알라메인에 대한 2차 공세는 알람 할파 전투와 제2차 엘 알라메인 전투에서 격퇴되었다. 11월 5일 영국군은 시디바라니를 탈환했고, 1943년 1월 23일 트리폴리가 함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아프리카 전역은 사막에서의 전투였으며, 기동전이 펼쳐졌다. 지상전이었지만 보급은 섬에 원군을 보내는 것처럼 어려워 병참 능력이 매우 중요했다.

독일 아프리카 군단의 사령관 에르빈 롬멜은 소수의 파견군이라는 열세에도 불구하고 연합군과 싸워 '''사막의 여우'''라고 불렸다.[30] 1942년 6월 22일, 롬멜은 북아프리카 전선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당시 독일 국방군에서 최연소 원수가 되었다.[31]

2. 1. 이탈리아군의 이집트 침공 (1940년 9월)

1940년 9월 7일, 베니토 무솔리니이탈리아령 리비아에서 이집트로 공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33] 당시 이탈리아 정부는 동아프리카 식민지 확장을 계획하고 있었고, 영국 본토 공격을 앞둔 독일은 북아프리카 주둔 영국군을 공격해 달라고 요청했다.[32] 이탈리아군 수뇌부는 장비와 보급이 부족하여 신중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무솔리니는 군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공격을 명령했다.

9월 13일, 그라치아니 원수는 8만 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이탈리아 제10군(5개 사단 기반)을 투입하여 이집트 침공을 시작했다. 영국군이 후퇴하면서 이탈리아군은 순조롭게 진격하여 국경에서 약 100km 동쪽 시디 바라니를 점령했다.[36] 그러나 보병 부대가 대부분이었고, 보급이 부족하여 진격을 중단했다.[37]

2. 2. 영국군의 반격: 컴퍼스 작전 (1940년 12월 ~ 1941년 2월)

1940년 9월 13일, 이탈리아군은 이탈리아령 리비아에서 알렉산드리아수에즈 운하를 목표로 영국령 이집트를 향해 소규모 침공 작전을 개시했고, 시디바라니에 방어 요새를 설치했다. 50만 명에 달하는 이탈리아군에 비해 영국군은 3만 5,000명이라는 절대적인 열세였고, 그중에서도 절반이 전투 부대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군은 컴퍼스 작전이라는 반격을 개시했고 아치볼드 웨이벌 장군은 이집트 국경 100km 내 지점인 시디바라니 동쪽에서 이탈리아군을 저지했다. 이 작전은 영국군의 예상보다 더 크게 성공하여 12월 리처드 오코너 중장은 시디바라니를 탈환하고 1941년 2월 초 이탈리아군을 벵가지로 격퇴시켰다.

1941년 리비아와 이집트 지도


1940년 12월 9일, 오코너 장군의 지휘하에 영국 서부 사막 군단(1941년 1월 1일 제13군단으로 개칭됨)[38]은 제7기갑사단(3개 여단)과 제4인도사단(병력 약 3만 명)[39]을 투입하여 대규모 반격 작전인 컴퍼스 작전을 개시했다.[40] 영국군의 압도적인 기갑전력 앞에 제대로 된 기갑전력이나 기계화 부대를 갖추지 못한 시디 바라니의 이탈리아 제21군단 4개 사단은 속수무책으로 포위되어 궤멸되었고,[42] 1941년 1월 초에는 영국군의 신규 전력인 제6오스트레일리아 사단이 투입되어 후방 바르디아에 주둔하고 있던 잔여 부대도 격전 끝에 1월 6일 항복했다.[42]

이후 리비아까지 진격한 영국군에 맞서 이탈리아 제10군은 후퇴전을 계속하다가 페다 폼(Pedda Fomm)에서 내륙으로 선회한 영국군 기계화 부대에 의해 후퇴로가 차단되었다.[43] 이탈리아 제10군은 2월 7일 포위 돌파를 목적으로 한 마지막 공격으로 궤멸되었다.[43] 이 전투 중 제10군 사령관 텔레라(Tellera) 장군이 전사했고, 코나(Cona) 중장이 지휘권을 이어받았다.[44] 리비아 주둔군 총사령관도 그라치아니 원수에서 가리볼디 장군으로 교체되었다.[45] 이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은 13만 명의 병사가 포로로 잡히는 패배를 당했다.[46]

영국군은 1941년 2월까지 리비아의 토브룩과 바르디아 등 키레나이카 지방을 점령했지만, 독일군이 발칸반도에 침공했기 때문에 그리스에 원군을 보내야 했고, 진격은 중단되었다.[47]

2. 3. 독일 아프리카 군단의 참전과 롬멜의 공세 (1941년 3월 ~ 1942년 6월)

1941년 2월, 이탈리아군 지원을 위해 에르빈 롬멜을 사령관으로 하는 독일 아프리카 군단이 편성되어 리비아에 파병되었다.[48] 롬멜은 3월 본격적인 반격을 개시했고,[49] 4월에는 벵가지를 탈환[50]하고 영국의 오코너 장군을 포로로 잡는 전과를 올렸다.[51]

화염에 휩싸인 독일군 4호 전차와 영국군 크루세이더 순항전차


추축국군은 영국군의 요새가 된 토브룩을 포위했으나, 영국군의 저항과 그간의 전투로 인한 전력 소모 등으로 함락시키지 못했다.[52] 영국군은 토브룩 해방을 목표로 5월 브리비티 작전, 6월 배틀액스 작전을 수행했지만 실패했다.[53] 11월 크루세이더 작전을 개시하여 토브룩 해방에 성공하고, 계속된 전투 끝에 후퇴하는 추축국군을 엘 아게일라 부근까지 추격하여 다시 키레나이카를 영국군이 장악했다.[55] 그러나 보급품 수송 거점을 토브룩에만 설치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전선까지 장거리 보급을 해야 했고, 영국군의 진격은 멈췄다.[55]

일시적으로 엘 아게일라까지 후퇴했던 추축국군이었지만, 1942년 1월 반격을 개시했다. 1월 29일 벵가지가 추축국군에 점령되자, 영국군은 토브룩 서쪽 가자라 부근에 방어선을 구축하기로 했다.[57] 2월부터 양군 모두 물자 보급과 전력 보충을 위해 가자라 부근에서 일시적으로 대치하는 형세가 되었다.[58] 1942년 5월 26일 추축국군은 영국군의 가자라 방어선에 공격을 개시했고, 격전 끝에 영국군은 패배했다.[59] 추축국군의 공격이 계속되어 6월 21일 토브룩이 함락되었다.[60]

2. 4. 엘 알라메인 전투 (1942년 7월 ~ 11월)



가자라 전투에서 패배한 영국군은 이집트 영토 내로 후퇴하여 알렉산드리아 서쪽 엘 알라메인에 방어선을 구축했다.[61] 1942년 7월 1일, 독일군과의 전투(엘 알라메인 전투)가 시작되었지만, 독일군의 전력 부족으로 전투는 교착 상태에 빠졌다.[62][63]

1942년 8월, 영국군은 엘 알라메인 방어에 종사하던 영국 제8군 사령관에 버나드 몽고메리를 임명했다.[64] 영국 총리 처칠은 영국군의 조기 반격을 요구했지만, 몽고메리는 이를 거부하고 전력 증강에 힘썼다.[65][66] 1942년 10월 23일 밤, 영국군의 반격은 라이트풋 작전으로 시작되었고, 11월 1일 밤부터 슈퍼차지 작전을 개시했다.[67] 이 공격으로 추축군의 전차 등 전력은 극소수만 남게 되었고, 11월 4일 사령관 롬멜은 추축군의 서쪽(리비아 방면)으로의 퇴각을 명령했다.[68]

3. 횃불 작전 (1942년 11월)

횃불 작전 당시 침공도


상륙정에 탑승한 미군


1942년 11월 8일부터 11월 11일까지, 미군이 주축이 되고 영국군이 소수 포함된 연합군은 프랑스령 북아프리카(모로코, 알제리)에 상륙했다. 연합군은 독일군을 포위하고 비시 프랑스군의 저항이 거의 없을 것이라고 가정했다.[69]

하지만 비시 프랑스군은 오랑과 모로코에서 꽤 치열하게 저항했다. 특히 건조 중 독일에 항복하여 미완성(77% 완성) 상태로 정박해 있던 프랑스 해군 전함 장 바르와 미국 해군 전함 메사추세츠 호 간의 교전이 유명하다.

알제리에서는 11월 8일 프랑스 저항 세력이 쿠데타를 일으켜 연합군 상륙 전 프랑스 19군단이 중립을 지키고 비시파 장교들을 체포했다. 아이젠하워의 참모 마크 W. 클라크 장군은 알폰소 후앙 장군의 상사였던 프랑수아 다를랑 해군 제독과 3일간 대화와 협박을 거듭했다.

11월 10일11월 11일, 오랑과 모로코 주둔 비시 프랑스군은 무장 저항 중지 명령을 받았다. 다를랑 제독은 자유 프랑스에서 주둔군 사령관 직을 유지했지만,[70] 12월 24일 알제에서 자유 프랑스 지지 레지스탕스에게 암살당했다.

연합군 상륙으로 후방이 불안해진 독일은 안톤 작전으로 비시 프랑스를 점령했다. 툴롱 항에 정박해 있던 프랑스 해군 함대는 자침했고, 북아프리카 주둔 비시 프랑스군은 연합군에 가담했다.

3. 1. 작전의 배경과 목표

1942년 6월 미국 대통령 루스벨트와 영국 수상 처칠은 워싱턴 회담에서 연합군의 유럽 반격의 첫 단계로 비시 정권이 통치하는 북아프리카를 침공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에 따라 아이젠하워의 총지휘 아래 횃불 작전(Operation Torch)으로 명명된 침공 작전 준비가 진행되었다.[70]

연합군은 1942년 11월 8일모로코알제리오랑알제에 상륙할 계획을 세웠다. 이 지역을 통치하고 있던 비시 정권 프랑스군의 저항이 예상되었지만, 알제리에서 다를랑 제독과의 협상을 통해 11월 10일 알제리 비시 정권 프랑스군과 정전이 성립되었다.[70]

3. 2. 상륙 작전과 비시 프랑스군의 저항

1942년 11월 8일부터 11월 11일까지, 미군이 주축이 되고 영국군이 소수 포함된 연합군은 독일군을 포위하기 위해 비시 프랑스 정부가 통치하던 프랑스령 북아프리카(모로코와 알제리)에 상륙했다. 연합군은 비시 프랑스군의 저항이 미미하거나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69]

하지만 비시 프랑스군은 오랑과 모로코에서 꽤 치열하게 저항했다. 그중에서도 유명한 교전은 건조 중에 독일에 항복하여 미완성(77% 완성) 상태로 정박해 있던 프랑스 해군 전함 장 바르와 미국 해군 전함 메사추세츠 호 간의 교전이다.

그러나 알제리에서는 11월 8일에 프랑스 저항 세력이 일으킨 쿠데타가 성공하여 연합군이 상륙하기 전에 프랑스 19군단이 중립을 지키게 했고, 비시파 장교들을 체포했다. 아이젠하워의 참모 마크 W. 클라크 장군은 비시파이자 알폰소 후앙 장군의 상사였던 프랑수아 다를랑 해군 제독과 3일 동안 대화 및 협박을 거듭했다.

결국 오랑과 모로코 주둔 비시파 프랑스군에게 11월 10일11월 11일에 걸쳐 무장 저항을 중지하라는 명령을 내리게 하는 데 성공했으며, 그 대가로 다를랑 제독은 자유 프랑스에서 주둔군 사령관 직을 계속 유지하게 되었다.[70] 그러나 다를랑은 이후 12월 24일 알제에서 자유 프랑스를 따르는 레지스탕스의 총에 맞아 암살되었다.

1942년 6월, 미국 대통령 루스벨트와 영국 수상 처칠은 워싱턴 회담에서 연합군의 유럽 반격의 첫걸음으로 비시 정권이 통치하는 북아프리카에 침공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정에 따라 아이젠하워의 총지휘 아래 횃불 작전(Operation Torch)이 준비되었다. 1942년 11월 8일, 연합군은 모로코에 서부 임무 부대, 알제리의 오랑에 중부 임무 부대, 알제에는 동부 임무 부대가 상륙했다.

3. 3. 다를랑 제독과의 협상과 결과

1942년 11월 8일 연합군의 횃불 작전으로 시작된 프랑스령 알제리 및 모로코 전역에서, 연합군은 비시 프랑스군의 저항에 직면했다. 특히 오랑과 모로코에서 격렬한 저항이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미완성 상태로 계류 중이던 프랑스 해군 전함 장 바르와 미국 해군 전함 메사추세츠 호 간의 교전이 유명하다.

그러나 알제리에서는 11월 8일 프랑스 저항 세력이 쿠데타를 일으켜 프랑스 19군단이 중립을 지키고 비시파 장교들을 체포했다. 아이젠하워의 참모 마크 W. 클라크 장군은 비시파이자 알폰소 후앙 장군의 상사였던 프랑수아 다를랑 해군 제독과 3일 동안 대화와 협박을 거듭했다.

결국 11월 10일11월 11일에 걸쳐 오랑과 모로코 주둔 비시파 프랑스군에게 무장 저항을 중지하라는 명령을 내리게 하는 데 성공했다. 그 대가로 다를랑 제독은 자유 프랑스에서 주둔군 사령관 직을 계속 유지하게 되었으나, 12월 24일 알제에서 자유 프랑스를 따르는 레지스탕스의 총에 맞아 암살되었다.[70]

이후 독일은 안톤 작전을 감행해 비시 프랑스를 점령하고 모든 지역을 독일군이 관할하게 했다. 그 대응으로, 툴롱 항에 정박해 있던 프랑스 해군 함대는 자침했으며, 북아프리카 주둔 비시 프랑스군은 연합군에 가담하게 되었다.

4. 튀니지 전역 (1942년 11월 ~ 1943년 5월)

1942년 11월 17일부터 1943년 5월 13일까지 진행된 튀니지 전역은 연합군과 추축군 간의 튀니지에서의 최종 결전이었다. 이 전역에서는 카세린 협곡 전투에서 미군이 독일군에게 패배하기도 했지만, 결국 연합군이 승리했다.

1943년 1월 5일, 연합군은 이탈리아의 보급선을 차단할 목적으로 튀니지 동부 가베스만 스팍스 근처에서 라게세 작전을 실시했다. 3월 17일에는 퓨질리스트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가프사의 독일군 방어선을 공격했다.

에르빈 롬멜은 병력과 장비 부족, 카프리 작전 실패로 1943년 3월 9일 베를린으로 갔으나, 히틀러의 명령으로 본국에 남게 되었다. 한스 위르겐 폰 아르님 대장이 지휘권을 인수받았다. 3월 중순, 영국 제8군은 튀니지 국경에 도달, 롬멜과 폰 아르님은 양면에서 포위된 상황이었다. 롬멜은 건강상의 이유로 독일로 돌아갔고, 이탈리아 장군 조반니 메세가 그를 대신했다.

마레트 방어선 돌파 후, 연합군은 1943년 5월 13일 추축군의 항복을 받았다. 독일군 12만 5000명을 포함한 27만 5000명이 항복했는데, 이는 스타링그라드 전투 포로의 약 3배였다. 북아프리카에서 마지막으로 항복한 축군은 메세 장군의 이탈리아 제1군이었다.

튀니지 전역은 징벌 작전(Operation Retribution)으로 마무리되었다. 1943년 5월 7일 시작된 이 작전은 튀니지에서 시칠리아와 이탈리아로 철수하려는 독일군 함대를 공격했다. 653명이 탈출, 897명이 해상에서 포로가 되었고 상당수가 익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4. 1. 연합군의 튀니지 진격과 초기 전투

튀니지 전역에 처음 실전 투입된 티거 712호. 영국군은 이 전차를 노획하여 감상하다가 미군에게 넘겼다는 추측이 있다.


토치 작전으로 연합군이 모로코와 알제리에 상륙하면서, 엘 알라메인에서 패배(1942년 11월 초)한 추축군은 동쪽과 서쪽에서 연합군에게 포위될 위기에 놓였다. 이에 히틀러는 북아프리카 방어와 튀니지 파병을 명령했고, 첫 부대는 11월 11일에 도착했다(네링이 사령관).[71] 부대는 점차 증강되었고, 최신형 티거 전차도 배치되어 제5기갑군이 되었으며, 사령관은 아르님으로 교체되었다. 토치 작전으로 상륙한 연합군은 11월 말 튀니지에 도착하여 양 군의 전투가 시작되었다.

4. 2. 카세린 협곡 전투 (1943년 2월)

롬멜은 알제리에서 동진한 미군과 리비아에서 서진한 영국군 사이에 포위되었으나 1942년 12월 일련의 방어 작전으로 연합군을 저지하기 위해 애썼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제2군단을 상대로 한 카세린 협곡 전투였다.

그러나 롬멜은 병력과 장비가 부족했으며 카프리 작전이 실패되자 더 이상 희망이 없다고 판단했다. 1943년 3월 9일 롬멜은 지원 요청 및 튀니지에서 완전 철수를 위해 베를린에 갔다가 히틀러의 명령으로 본국에 남게 되고, 대신에 1942년에 튀니지로 파견된 한스 위르겐 폰 아르님 대장이 지휘권을 인수하여 독일군을 지휘했다.[72]

1943년 2월 중순, 아르님과 롬멜 두 사령관이 지휘하는 추축군은 서쪽에서 압박하는 연합군에 대해 춘풍 작전을 개시하여 카세린 고개 전투 등에서 국지적인 승리를 거두었지만, 보급의 제약으로 공세는 곧 중단되었다.

4. 3. 롬멜의 귀환과 아르님의 지휘

1942년 12월, 롬멜제2군단을 상대로 카세린 협곡 전투를 비롯한 일련의 방어 작전에서 연합군을 저지하려 애썼다. 그러나 롬멜은 병력과 장비가 부족했고, 카프리 작전이 실패하자 더 이상 희망이 없다고 판단했다. 1943년 3월 9일, 롬멜은 지원 요청 및 튀니지에서의 완전 철수를 위해 베를린으로 갔지만, 히틀러의 명령으로 본국에 남게 되었다.[72] 대신 1942년에 튀니지로 파견된 한스 위르겐 폰 아르님 대장이 지휘권을 인수하여 독일군을 지휘했다.[72]

하지만 결국 영국 8군이 마레트 방어선의 추축군 방어선을 돌파한 이후, 연합군은 아프리카에서 추축군의 저항을 분쇄하고 1943년 5월 13일 추축군의 항복을 받았다. 이때 독일군 12만 5000명을 포함한 27만 5000명의 추축국 병력이 항복했는데, 이는 추축군의 군사력을 크게 감소시켰다.[74]

4. 4. 추축군의 항복과 전역의 종결

1942년 11월 17일부터 1943년 5월 13일까지 진행된 튀니지 전역은 연합군의 최종 공세와 추축군의 항복으로 막을 내렸다. 롬멜은 알제리에서 동쪽으로 진격한 미군과 리비아에서 서쪽으로 진격한 영국군 사이에 포위되었지만, 1942년 12월 카세린 협곡 전투를 포함한 일련의 방어 작전으로 연합군을 저지하려 했다.[74]

그러나 롬멜은 병력과 장비 부족으로 카프리 작전이 실패한 후 더 이상 희망이 없다고 판단했다. 1943년 3월 9일, 롬멜은 지원 요청과 튀니지에서의 완전 철수를 위해 베를린을 방문했으나 히틀러의 명령으로 본국에 남게 되었다. 이후 1942년에 튀니지로 파견된 한스 위르겐 폰 아르님 대장이 지휘권을 인수받아 독일군을 지휘했다.

결국 영국 8군이 마레트 방어선의 추축군 방어선을 돌파한 후, 연합군은 아프리카에서 추축군의 저항을 분쇄하고 1943년 5월 13일 항복을 받아냈다. 이때 독일군 12만 5000명을 포함한 27만 5000명의 추축군 병력이 항복했는데, 이는 추축군의 군사력을 크게 감소시킨 엄청난 병력 손실이었다.[74]

튀니지 전역은 튀니지에서 독일군과 이탈리아군의 철수를 막기 위한 징벌 작전(Operation Retribution)으로 마무리되었다. 1943년 5월 7일에 시작된 이 작전은 튀니지에서 시칠리아와 이탈리아로 철수하려는 독일군 함대를 공격하는 데 집중했다. 653명이 탈출했지만, 897명이 해상에서 포로가 되었고 상당수가 익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5. 정보전

연합군과 추축군은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서로의 정보를 얻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했다.

연합군은 에니그마 암호를 해독하는 울트라 계획을 통해 독일군의 암호 메시지를 해독했지만, 초기에는 정보 전달 지연과 부정확성으로 인해 효과가 제한적이었다.[15] 1941년 3월 독일군의 초기 공격 성공은 울트라 정보에 과도하게 의존한 영국군이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결과 중 하나였다.[15] 그러나 울트라는 추축군의 튀니지 보급선 차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연합군의 승리에 기여했다. 암호 해독된 정보 덕분에 추축군 보급 선박의 40%에서 60%가 파괴된 것으로 추산된다.[15] 크레타 전투에서 울트라 경고는 독일군에게 큰 피해를 주었고, 마타판 곶 해전에서 이탈리아 해군의 손실과 함께 영국군이 지중해의 통제권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6] 영국군은 독일군의 암호 해독 사실을 숨기기 위해 정찰 비행으로 표적을 발견한 것처럼 위장했다.

5. 1. 추축군의 정보전

사막의 독일 신호 수신 부대


추축국은 무선 통신 도청과 부대 무선 교신 감시를 통해 상당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성공했다. 가장 중요한 성공은 이집트 주재 미국 군사 참관원이었던 펠러스(Fellers)의 보고서를 도청한 것이었다. 펠러스는 마셜(Marshall) 장군으로부터 아프리카의 군사 상황에 대한 상세한 보고서를 제공하라는 임무를 받았다.[14] 그는 영국 군부와 민간 본부 직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문서를 읽고, 전선을 방문했다. 독일군에게 "다이 구테 퀘레(die gute Quelle)"(좋은 정보원) 또는 '작은 녀석'으로 알려진 그는 미국 국무부(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의 "블랙 코드(Black Code)"를 사용하여 워싱턴으로 보고서를 전송했다. 그러나 1941년 9월, 이탈리아는 블랙 코드가 담긴 코드북을 훔쳐 사진을 찍고 로마에 있는 미국 대사관에 돌려주었다. 이탈리아는 도청한 정보의 일부를 독일 동맹국과 공유했다. 또한 Chiffrierabteilung(독일군 암호 부서)은 곧 코드를 해독할 수 있었다. 펠러스의 보고서는 매우 상세했으며, 1942년 1월부터 6월까지 연합군의 전력과 의도를 독일군에게 알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이탈리아의 Servizio Informazioni Segrete(SIS) 암호 해독가들은 영국 항공기 교통의 많은 무선 암호화 신호 정보(SIGINT)뿐만 아니라 영국 선박과 육상 기지의 일급 암호도 성공적으로 가로채어, 슈퍼마리나(Regia Marina)에 지중해에서 연합군의 의도에 대한 시기 적절한 경고를 제공했다. 실제로 이탈리아 SIS는 지중해에서 추축국 해군 정보의 대부분을 처리하는 데 매우 성공적이어서 "영국의 공세적 SIGINT 사용은 이탈리아의 방어적 SIGINT에 의해 대부분 무효화되었다."

아프리카 군단(Afrika Korps)에는 1941년 4월 말에 북아프리카에 도착한 제621 신호 대대 이동 감시 부대의 정보 부서가 있었다. 알프레드 제보옴(Alfred Seeböhm) 중위가 지휘했으며, 제621 신호 대대는 영국 부대 간의 무선 통신을 감시했다. 연합군에게 불행하게도 영국군은 코드를 자주 변경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전투 중 무선 규율이 좋지 않았다. 장교들은 상급 부대에 자주 공개적으로 암호화되지 않은 전송을 하여 독일군이 영국 부대와 배치를 더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했다.[14] 가잘라 전투(Battle of Gazala) 중 반격 이후 제621 신호 대대가 궤멸되고 여러 문서가 노획되면서 영국 정보 당국에 문제가 알려지자 상황이 바뀌었다. 영국은 개선된 호출 신호 절차를 도입하고, 무선 전화 코드를 도입하고, 예비 부대에 엄격한 무선 침묵을 부과하고, 가짜 교통으로 실제 메시지를 채우고, 전투 중 무선 규율을 강화하고, 남부 지역에 완전히 가짜 신호망을 만들어 대응했다.

5. 2. 연합군의 정보전

연합군 암호 해독가들은 에니그마 암호로 암호화된 것을 포함하여 많은 독일군 암호 메시지를 해독했다. 연합군의 울트라 계획은 초기에는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정보가 현장 지휘관에게 전달되기까지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고, 때로는 도움이 되지 않는 정보를 제공했기 때문이다.[15] 독일군의 다음 행동을 예측하는 데 울트라에 의존하는 것은 때때로 역효과를 낳았다. 1941년 3월 독일군의 초기 공격이 매우 성공적이었던 이유 중 하나는 울트라 요격으로 와벨 장군이 OKW(독일 최고 사령부)가 롬멜에게 공격하지 말고 5월에 15기갑사단으로 추가 증원될 때까지 기다리라는 명령을 내렸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롬멜은 이 정보를 받았지만, 상황에 대한 자신의 평가를 더 중시했다. 독일군이 큰 행동을 취할 의도가 없다고 믿은 영국군 사령부는 너무 늦을 때까지 대응하지 않았다.[15] 게다가 롬멜은 이탈리아인들이 정보를 유출하기 쉽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OKW나 이탈리아 최고사령부에 그의 계획된 작전에 대한 세부 사항을 알리지 않았다.

콜로서스 마크 II 컴퓨터, 블레츨리 파크


울트라 요격은 영국군에게 새로운 독일군 사령관의 이름, 도착 시간, 추축군의 수와 상태와 같은 정보를 제공했지만, 롬멜의 의도를 정확하게 밝히지 못할 수도 있었다. 북아프리카에서의 노력에 대한 울트라 요격의 주요 이점은 추축군의 튀니지로 향하는 보급선을 차단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다. 울트라 요격은 지중해를 가로지르는 추축군 보급품 수송의 시간과 경로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했다. 몰타가 심한 공습을 받았던 시기에는 이 정보에 따라 행동하는 능력이 제한적이었지만, 연합군의 공군과 해군의 힘이 향상됨에 따라 이 정보는 연합군의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암호 해독된 정보 덕분에 추축군 보급 선박의 40%에서 60%가 위치가 파악되고 파괴된 것으로 추산된다.[15]

무장 지프를 탄 영국 SAS 순찰대


크레타 전투에서 울트라 경고로 투하 시간과 장소를 알게 되어 발생한 독일군 강하병의 큰 손실은 히틀러가 몰타 공격을 주저하게 만들었고,[16] 마타판 곶 해전에서 이탈리아 해군의 손실과 마찬가지로 영국군이 지중해의 통제권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독일군 암호 메시지가 해독되고 있다는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영국군 사령부는 정찰 비행이 표적을 발견한 것처럼 보이도록 수송대를 공격하기 전에 상공 비행 임무를 수행해야 했다.

6. 전후

이탈리아 전역은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연합군이 승리한 후 다음 단계로 시작되었다. 튀니지 전역이 종료된 지 2달 후, 연합군은 시칠리아를 침공했다.[29]

튀니지의 베르마흐트 연료통, 2010


북아프리카 전역이 끝날 때까지 추축군과 연합군 양측에서 약 40만 명의 병력이 전사, 부상, 또는 질병으로 사망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북아프리카 전역은 사막이라는 특이한 지형에서 벌어진 전투로, 지형을 이용한 대담한 기동전이 펼쳐졌다.[29] 진격 거리는 길었지만, 점령 지역 자체의 가치는 낮았다. 지상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보급은 섬에 원군을 보내는 것처럼 어려워 병참 능력이 매우 중요했다. 지중해의 제해권, 항만의 수용 능력, 몰타섬의 가치, 제공권 등이 지상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양측의 전력과 보급량 문제로 전선은 단시간에 크게 이동했다. 이때 이동에 활용된 주요 경로는 대부분 과거 사하라 사막 횡단 무역로였다.

아프리카에서 고전하는 이탈리아군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된 독일 아프리카 군단의 사령관 에르빈 롬멜 대장은 소수의 파견군이라는 열세에도 불구하고 지리와 기후를 이용한 교묘한 용병술로 연합군과 싸워 '''사막의 여우'''라는 별명을 얻었다.[30] 1942년 6월 22일, 롬멜은 북아프리카 전선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당시 독일 국방군 최연소 원수가 되었다.[31]

이집트와 중동을 목표로 했던 이탈리아의 야망은 좌절되었고, 북아프리카는 이탈리아에게 지중해 패권의 꿈이 깨지는 땅이 되었다. 나치 독일에게는 자원을 고갈시키는 땅에 불과했다.

7. 잔학 행위

북아프리카 전역은 흔히 "증오 없는 전쟁", 즉 유럽 전역에서 벌어진 파르티잔에 의한 살인과 민족말살이 없는, 사막에서의 순수한 군사적 충돌로 묘사되곤 했다. 그러나 최근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견해에 이의를 제기한다. 왜냐하면 이 지역에는 많은 민간인이 거주하고 있었고, 이 전역은 이탈리아와 독일군이 연합군 포로와 현지 유대인, 베르베르인, 그리고 아랍 주민들에게 저지른 수많은 잔혹 행위와 학대로 특징지어졌기 때문이다.[1]

참조

[1] 웹사이트 Royal Artillery https://www.heritage[...] 2007-00-00
[2] 문서 November 1942 to May 1943
[3] 문서 Self-governance from 1942
[4] 문서 8–11 November 1942. Vichy officially pursued a policy of armed neutrality and conducted military actions against armed incursions from Axis and Allied belligerents. The pledging of allegiance of the Vichy troops in French North Africa to the Allies convinced the Axis that Vichy could not be trusted to continue this policy, so they invaded and occupied the French rump state (Case Anton)
[5] 문서 Darlan joined the Allies after Operation Torch in Nov. 1942 but was later assassinated due to his former allegiance to Vichy France.
[6] 서적 Mediterranean Operations
[7] 서적 Churchill
[8] 간행물 Wavell 1946-06-25
[9] 웹사이트 World War II's Opening Salvoes in North Africa http://www.touregypt[...] Tour Egypt
[10] 잡지 Fall of Bengasi https://web.archive.[...] 1941-02-17
[11] 간행물 Wavell 1946-06-25
[12] 서적 Rommel
[13] 웹사이트 AFTA Tiger I Page http://armorfortheag[...] 2016-09-28
[14] 웹사이트 Intercepted Communications for Field Marshal Erwin Rommel https://web.archive.[...] 2006-06-12
[15] 웹사이트 The Influence of ULTRA in the Second World War http://www.cl.cam.ac[...]
[16] 웹사이트 Intelligence in North Africa http://www.topedge.c[...] 2016-09-28
[17] 문서 1942年11月-1943年5月
[18] 문서 1942年11月8日から11日まで。ヴィシー政権は公式には武装中立政策をとり、枢軸国および連合国の交戦国からの武力侵攻に対して軍事行動を行った。フランス領北アフリカのヴィシー軍が連合国に忠誠を誓ったことで、枢軸国はヴィシーがこの政策を継続することは信頼できないと確信し、フランスに侵攻し占領した(アントン作戦)。
[19] 서적 Carell
[20] 서적 North Africa
[21] 서적 La Seconde Guerre Mondiale, vol4: 1943-Juin1944 Press Pocket
[22] 문서 Playfair, Volume IV, p. 460. United States losses from 12 November 1942
[23] 서적 Atkinson
[24] 서적 Morti E Dispersi Per Cause Belliche Negli Anni 1940–45 Instituto Centrale Statistica 1957-00-00
[25] 논문 The War in North Africa, 1940–1943: A Selected Bibliography 1996-00-00
[26] 서적 Carell
[27] 서적 Mediterranean Operations
[28] 서적 The Path to Victory: The Mediterranean Theater in World War II 2004-00-00
[29]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2009-00-00
[30] 서적 山崎 2009-00-00
[31] 서적 山崎 2009-00-00
[32]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2009-00-00
[33]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2009-00-00
[34]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2009-00-00
[35] 서적 ムーアヘッド 1977-00-00
[36]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37]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38] 서적 (제목 없음)
[39]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40]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41] 서적 (제목 없음)
[42]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43]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44] 서적 (제목 없음)
[45] 서적 (제목 없음)
[46]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47] 서적 (제목 없음)
[48] 서적 (제목 없음)
[49] 서적 (제목 없음)
[50] 서적 (제목 없음)
[51] 서적 (제목 없음)
[52]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53]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54] 서적 (제목 없음)
[55]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56] 서적 (제목 없음)
[57]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58] 서적 (제목 없음)
[59]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60]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61] 서적 (제목 없음)
[62] 서적 (제목 없음)
[63]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64] 서적 (제목 없음)
[65]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66] 서적 ライフ ロンメル対モントゴメリー
[67]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68] 서적 ライフ ロンメル対モントゴメリー
[69]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70] 서적 北アフリカ戦線
[71] 서적 砂漠のキツネ
[72] 서적 ライフ ロンメル対モントゴメリー
[73] 서적 ライフ ロンメル対モントゴメリー
[74] 서적 ライフ ロンメル対モントゴメリー
[75] 웹인용 Feldgrau Statistics and Numbers http://www.feldgrau.[...]
[76] 서적 Playfair, Volume IV
[77] 웹인용 GI - World War II Commemoration http://www.grolier.c[...]
[78] 문서 아돌프 히틀러의 소련 진격 계획에 대한 의문
[79] 문서 그리스 파병 이후 영국군의 약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