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파공작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파공작원은 대한민국 정부가 북한에 파견한 특수부대로, 한국 전쟁 중 김일성 체포 작전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휴전 이후에도 다양한 공작 활동을 벌였으며, 1972년까지 1만 명 이상이 북파되어 7,726명이 실종되었다. 684부대의 실미도 사건은 영화로 제작되어 널리 알려졌으며, 전직 공작원들은 보상 미지급, 감시, 차별 등의 어려움을 겪었다. 김대중 정부 이후 보상 요구 운동이 활발해졌고, 2002년에는 시위 과정에서 경찰관 부상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북파공작원은 계급과 군번이 없는 경우가 많았고, 독도법, 격투, 도둑질 등 특수한 훈련을 받았다. 정부는 진상 규명과 명예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파공작원 - 아웅산 묘역 테러 사건
아웅산 묘역 테러 사건은 1983년 10월 9일 미얀마 양곤의 아웅산 묘역에서 북한 공작원이 대한민국 고위 관료들을 노리고 폭탄을 터뜨려 17명의 한국 정부 관계자와 4명의 미얀마인이 사망한 사건이다. - 북파공작원 - 다대포 무장간첩 침투 사건
다대포 무장간첩 침투 사건은 1983년 북한 간첩들이 다대포 해안에 침투하려다 해군에 발각되어 실패한 사건으로, 남북 관계 악화와 다대포 해안 군 철조망 설치의 원인이 되었다.
북파공작원 | |
---|---|
개요 | |
활동 | 대한민국이 한국 전쟁 이후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북한에 침투시켜 첩보 및 파괴 공작 등의 활동을 수행한 특수요원 |
관련 용어 | 북파간첩 특수공작원 삐라살포원 정보원 북파특수공작원 |
창설 배경 및 목적 | |
배경 | 한국 전쟁 이후 남북 간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던 시기에, 북한에 대한 정보 획득과 군사적 압박을 가하기 위해 창설 |
목적 | 북한 내부의 정치, 군사 정보 수집 북한 내 주요 시설 파괴 북한 지도부 암살 북한 사회 혼란 조성 |
주요 활동 | |
침투 방식 | 해상 침투 육상 침투 공중 침투 |
활동 내용 | 첩보 활동 파괴 공작 활동 납치 및 암살 활동 심리전 활동 |
조직 및 운영 | |
주요 조직 | 대한민국 국군 정보사령부 육군첩보부대 해군첩보부대 공군첩보부대 |
선발 과정 | 강도 높은 훈련과 엄격한 심사를 통해 선발 |
훈련 내용 | 무술 훈련 생존 훈련 폭파 훈련 첩보 훈련 잠입 훈련 심리전 훈련 |
북파공작원의 운명 | |
생존 문제 | 대부분의 북파공작원들은 임무 수행 중 사망하거나 포로로 잡힘 |
귀환 문제 | 일부는 생환했으나,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음 |
전후 처리 문제 | 북파공작원들의 국가 유공자 인정 문제 및 보상 문제 발생 |
사회적 인식 | |
논란 | 북파공작원 활동의 윤리적 문제 및 국가 책임 논란 발생 |
재조명 | 2000년대 이후 북파공작원들의 활동에 대한 재조명 및 관심 증가 |
관련 사건 및 논란 | |
주요 사건 | 천안함 침몰 사건 관련 북파공작원 개입 의혹 |
논란 | 북파공작원의 존재를 부인하는 정부의 태도 북파공작원 활동의 정당성 논란 국가의 책임 문제 북파공작원 유가족의 보상 문제 |
기타 | |
관련 자료 | 영화 및 소설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북파공작원의 이야기가 재현됨 |
참고 자료 | 한겨레 기사: 천안함, 북파공작원 그리고 ‘국가의 거짓말’ |
2. 역사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에 대한 특수부대로서 북파공작원을 조직하였다. 1953년 7월 27일 한국전쟁 휴전협정 체결 이후에도 대한민국 정부는 북파공작원을 북한에 계속 파견하여 다양한 공작 활동을 벌였다. 1972년까지 1만 명이 넘는 북파공작원을 북한에 파견하였고, 7,726명이 실종 처리되었다.[2]
1971년 8월 23일 684부대 반란 사건은 영화 『실미도』로 제작되어 널리 알려졌다.
1998년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전직 북파공작원들은 보상을 요구하는 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했다.[6] 2002년 9월에는 전직 북파공작원 300여 명이 서울 시내에서 데모를 벌여 경찰관 26명이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3][4][5]
2. 1. 6.25 전쟁 시기 (1950-1953)
1950년 6월 25일 새벽, 6.25 전쟁이 발발하자, 주한 첩보 연락반(켈로부대) 대원들은 조선인민군 후방으로 잠입하여 여러 비밀 작전들을 수행하였으며, 이후 미국 극동사령부의 주한 유엔군 유격부대 육군 8086부대와 8240부대로 통합되었다.1952년 8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일성 수상을 체포하기 위해 북한 강원도 원산에 침투하였으나 작전은 실패하였다.[1]
2. 2. 전후 및 냉전 시기 (1953-1972)
1953년 7월 27일 한국전쟁 휴전협정 체결 이후에도 대한민국 정부는 북파공작원을 북한에 계속 파견하여 다양한 공작 활동을 벌였다.[2] 육군은 1950년 7월 육군본부 정보국 공작과(Headquarters of Intelligence Detachment; HID영어)를 발족시켰고, 1951년 3월에 이를 첩보전담부대로 독립시켰다.[8] 해군은 조선인민군 해군의 도발과 선박 피랍에 대응하기 위해 1954년에 UDU(Underwater Demolition Unit영어)를 창설했다. 공군도 1954년에 첩보부대인 20특무전대(=2325부대)를 창설했다. 육군의 HID는 1961년에 AIU(Army Intelligence Unit)로, 1972년에 AIC(Army Intelligence Command)로 부대명을 변경하였으나, 최초 부대명인 HID가 현재까지도 통용되고 있다.1968년 북한 124부대의 청와대 기습 이후, 대한민국은 보복을 위해 육군에 선갑도 부대, 해병대에 MIU, 공군에 684 부대(209파견대, 일명 실미도 부대)를 새로 창설하였다. 그러나 남북 관계 변화로 보복 계획이 백지화되면서 이 부대들은 해체될 예정이었다. 이 중 공군의 684부대원들은 해체에 저항하여 1971년 8월 23일 간부들을 살해하고 버스를 탈취하여 공군 본부를 폭파하려다 육군에 의해 대부분 사살되었고, 생존자들은 군사 재판으로 사형당했다. 이후 선갑도 부대 및 MIU도 해체되었다.
1972년 7·4 남북 공동 성명 이후,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양측은 공작원 파견을 자제하기로 성명함으로써 그 후로는 공작원을 파견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공식적으로는 알려져 있다.[2] 1972년까지 한국은 1만 명이 넘는 북파공작원을 북한에 파견하였고, 7,726명이 실종 처리되었다.[2]
2. 3. 1990년대 이후
1998년 김대중 정부가 출범한 이후, 전직 북파공작원들은 보상을 요구하는 운동을 활발하게 전개했다.[6] 이들은 고액의 보상을 약속받고 지원했으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도 보상이 전혀 지급되지 않았고, 극비 임무의 특성상 항의나 요구도 할 수 없어 억울함을 감수해야 했다.[6] 또한 변절이나 비밀 누설을 우려한 감시자들 때문에 직장이나 집 근처가 쑥대밭이 되거나, 범죄자로 의심받아 해고되거나 이사를 가는 등 고초를 겪는 경우도 많았다.[6] 북파공작원은 정규군(대한민국 국군)이 아니었기 때문에, 젊은 나이에 공작원이 된 사람들 중에는 병역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 다시 군대에 소집되는 경우도 있었다.[6]2002년 9월, 쇠파이프와 도끼 등으로 무장한 전직 북파공작원 300여 명이 서울 시내에서 데모를 벌여 흉기를 휘두르고 LPG에 불을 붙이는 등 과격한 행동을 하여 경찰관 26명이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3][4][5]
3. 편제 및 선발
북파공작원은 임무 특성상 계급과 군번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적에게 노출되었을 때 신분 및 임무 비중을 숨기기 위함이었다.[9] 서류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 군인으로서 군 복무를 하는 것이다.
선발은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졌으며, 기억력이 좋은 인원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장교의 경우, 정보 특기를 가진 장교 중 선발되었으며, 회사원으로 신분을 위장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부대원을 관리하거나 작전 중 사후 처리를 담당한다.
4. 훈련
북파공작원의 훈련은 은폐 및 기밀 유지가 최우선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군사 훈련과는 다른 방식으로 진행된다.
- 독도법: 지도를 통째로 외운 뒤 해당 지역으로 가서 머릿속의 지도를 떠올리며 독도법을 한다. 북파공작원은 서류를 지참할 수 없으므로 필요한 모든 서류는 외워야 한다.[1]
- 구보: 군견을 풀어서 추격하는 상황에서 산악 구보를 한다. 이는 북한 지형의 과반수가 산악 지대임을 감안한 것이다.
- 격투: 상대방을 조용하고 간단하게 처치하는 방법을 배운다.
- 사격: 눈을 가리고 감각으로 조준하여 사격하는 훈련을 한다.
- 이발: 병을 깨서 나오는 유리 조각으로 이발 및 면도를 하는 방법을 훈련한다. 장발은 적지에서 의심받기 쉽기 때문에 이발을 자주 해야 한다.
- 도둑질: 물자는 현지에서 조달해야 하므로, 민가에 침입해 물건을 훔치는 훈련을 한다. 실제 마을에서 도둑질을 하기도 하는데, 피해자에게는 국가에서 보상한다.
- 라디오: 북파공작원은 라디오로 통신한다. 휴대전화는 U-sim 칩을 강탈당하면 정체가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라디오 다루는 법을 훈련한다.
- 적지종심작전: 특전사 및 특공, 수색부대에서 실시하는 훈련이다.
북파공작원은 훈련을 받았다고 모두 투입되는 것이 아니라, 훈련 인원 중에서도 엄선된 일부만 투입된다. 복무 기간 내내 투입되지 않으면 훈련만 반복하다 전역한다.
5. 논란 및 사회적 문제
북파공작원은 임무의 특수성 때문에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하거나, 사회 복귀 후에도 감시와 차별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았다. 고액의 보상을 약속하며 지원자를 모집했음에도,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도 보상이 전혀 지급되지 않았고, 극비 임무의 특성상 항의나 요구를 할 수 없었다.[6] 변절이나 비밀 누설을 우려한 감시자들에 의해 직장이나 집 근처가 쑥대밭이 되고, 범죄자로 의심받아 해고되거나 이사를 가는 등의 고초를 겪는 경우도 많았다.[6]
북파공작원은 정규군(대한민국 국군)이 아니었기 때문에, 젊은 나이에 공작원이 된 사람들 중에는 병역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간주되어 다시 군대에 소집되는 경우도 있었다.[6]
2002년 9월, 쇠파이프, 도끼 등으로 무장한 전직 북파공작원 300여 명이 서울 시내에서 데모를 벌여 흉기를 휘두르고 LPG에 불을 붙이는 등의 행위로 경찰관 26명이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3][4][5] 이는 북파공작원들의 억울함과 사회적 불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1998년에 출범한 김대중 정부 이후, 보상을 요구하는 전직 공작원들의 운동이 활발해졌다.[6]
6. 대한민국 정부의 노력
1998년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전직 북파공작원들은 보상을 요구하는 운동을 활발하게 펼쳤다.[6] 이들은 고액의 보상을 약속받았으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더라도 보상이 전혀 지급되지 않았고, 극비 임무의 특성상 항의나 요구를 할 수도 없어 억울함을 감수해야 했다.[6] 또한 변절이나 비밀 누설을 우려한 감시자들 때문에 직장이나 집 근처가 쑥대밭이 되고, 범죄자로 의심받아 해고되거나 이사를 가는 등 고초를 겪기도 했다.[6] 정규군(대한민국 국군)이 아니었던 북파공작원들은 젊은 나이에 공작원이 된 경우, 병역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 다시 군대에 소집되기도 했다.[6]
2002년 9월에는 쇠파이프, 도끼 등으로 무장한 전직 북파공작원 300여 명이 서울특별시에서 데모를 벌여 흉기를 휘두르고 LPG에 불을 붙이는 등 과격한 행동을 벌여 경찰관 26명이 부상당하는 사건도 발생하였다.[3][4][5]
6. 1. 보상 및 지원
김대중 정부가 1998년에 출범한 이후, 보상을 요구하는 전직 북파공작원들의 운동이 활발해졌다.[6] 고액의 보상을 약속하며 지원자를 모집했음에도, 공작원으로서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더라도 보상이 전혀 지급되지 않았고, 극비 임무의 특성상 항의나 요구를 할 수 없어 전직 공작원들은 억울함을 감수해야 했다.[6] 변절이나 비밀 누설을 우려한 감시자들에 의해 직장이나 집 근처가 쑥대밭이 되고, 범죄자로 의심받아 해고되거나 이사를 가는 등의 고초를 겪는 경우도 많았다.[6] 북파공작원은 정규군(대한민국 국군)이 아니었기 때문에, 젊은 나이에 공작원이 된 사람들 중에는 아직 병역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간주되어 다시 군대에 소집되는 경우도 있었다.[6]2002년 9월, 쇠파이프·도끼 등으로 무장한 전직 북파공작원 300여 명이 서울 시내에서 데모를 벌여 흉기를 휘두르고 LPG에 불을 붙이는 등의 행위로 경찰관 26명이 부상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3][4][5]
6. 2. 진상 규명 및 명예 회복
1972년까지 한국은 1만 명이 넘는 북파공작원을 북한에 파견하였고, 이 가운데 7,726명이 실종 처리되었다.[2]북파공작원으로 선발된 이들은 고액의 보상을 약속받았으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더라도 보상이 전혀 지급되지 않았다. 극비 임무의 특성상 항의나 요구를 할 수도 없어 억울함을 감수해야 했다.[6] 또한 변절이나 비밀 누설을 우려한 감시자들 때문에 직장이나 집 근처가 쑥대밭이 되고, 범죄자로 의심받아 해고되거나 이사를 가는 등 고초를 겪기도 했다.[6] 정규군(대한민국 국군)이 아니었던 북파공작원들은 젊은 나이에 공작원이 된 경우, 병역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 다시 군대에 소집되기도 했다.[6]
1998년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전직 공작원들은 보상을 요구하는 운동을 활발하게 펼쳤다.[6] 2002년 9월에는 쇠파이프, 도끼 등으로 무장한 전직 북파공작원 300여 명이 서울특별시에서 데모를 벌여 흉기를 휘두르고 LPG에 불을 붙이는 등 과격한 행동을 벌여 경찰관 26명이 부상당하는 사건도 발생하였다.[3][4][5]
참조
[1]
뉴스
<ピープル>北派工作員キム・ドンソック氏…「金日成を4分差で逃した」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5-10-24
[2]
웹사이트
천안함, 북파공작원 그리고 ‘국가의 거짓말’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
2010-06-19
[3]
뉴스
북파공작원들 또 가스통 시위
https://www.kbs.co.k[...]
KBS NEWS
2002-09-29
[4]
뉴스
북파공작원, 보상법 제정하라!
https://www.kbs.co.k[...]
KBS NEWS
2002-09-29
[5]
웹사이트
<取材日記>催涙弾と公権力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3-06-05
[6]
서적
북朝鮮에 잠입せよ
[7]
웹인용
천안함, 북파공작원 그리고 ‘국가의 거짓말’
http://www.hani.co.k[...]
한겨레
2010-06-19
[8]
웹인용
북파공작원 보상 ‘앞으론 법대로’
http://weekly.donga.[...]
주간동아
2004-01-01
[9]
문서
단, 장교의 경우는 군번이 통합부여 형식이기 때문에 군번으로 병과나 주특기를 알 수 없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