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는 대한민국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을 조사하는 기관이다. 2008년 12월 중앙합동신문센터로 개소하여, 2014년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2021년에는 자유누리센터라는 공식 별칭을 얻었다. 국가정보원이 북한이탈주민의 배경을 조사하고 위장 탈북자를 분류하며, 일부는 대성공사로 보내져 조사를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흥시 소재의 관공서 - 시흥소방서
    시흥소방서는 1996년 개서하여 시흥시를 관할하며 화재, 구조, 구급 활동을 책임지는 기관으로, 소방행정과, 재난예방과, 재난대응과, 소방안전특별점검단, 현장대응단으로 구성되어 4개의 119안전센터와 1개의 구조대를 산하에 두고 있다.
  • 시흥시 소재의 관공서 - 수도포병여단
    수도포병여단은 1974년 창설되어 1991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경기도 시흥시에 본부를 두고 인천광역시와 김포시에 예하 대대가 분산 배치되어 K9 자주곡사포, K239 다연장 로켓포 등 다양한 포병 장비를 운용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포병여단이다.
  • 대한민국 국가정보원 - 테러방지법 반대 필리버스터
    테러방지법 반대 필리버스터는 2016년 대한민국 국회에서 테러방지법 직권상정에 반대하여 야당 의원들이 주도한 무제한 토론으로, 인권 침해 및 국정원 권한 강화 우려, 직권상정 과정의 정당성 문제 등이 쟁점이 되어 국내외적으로 주목받으며 안보와 인권의 균형에 대한 논의를 촉구했다.
  • 대한민국 국가정보원 - 대한민국의 국가정보원장
    대한민국의 국가정보원장은 대통령이 임명하고 국회가 인사청문회를 실시하는 직위로, 국가안보 관련 정보·보안 및 범죄수사를 관장하며,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고, 그 전신은 중앙정보부와 국가안전기획부이며, 1961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 2008년 설립 -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기획재정부는 대한민국의 경제 및 재정 정책을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중장기 국가발전전략 수립, 경제·재정정책 수립, 예산·기금 편성, 조세·관세 정책, 국고·국유재산 관리, 국제금융·경제협력, 공공기관 관리 등의 사무를 관장하며 장관은 경제부총리를 겸임한다.
  • 2008년 설립 -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대한민국 행정안전부는 국무회의 서무, 법령 공포, 정부 조직 관리, 정부혁신, 전자정부 구축, 지방자치 지원, 재난안전관리 등을 수행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내무부와 총무처의 통합 및 국민안전처 흡수를 거쳐 현재 명칭으로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다.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
현지어 이름北韓離脫住民保護센터
영어명North Korean Refugee Protection Center
약칭합신센터, 자유누리센터
설립일2008년 12월
설립 근거탈북자 보호, 정착 지원https://newstapa.org/article/Lqk7a
전신중앙합동신문센터
소재지경기도 시흥시
상급 기관국가정보원

2. 연혁


  • 2008년 12월: 중앙합동신문센터라는 명칭으로 개소하였다.[8]
  • 2014년 4월 4일: 중앙합동신문센터 첫 공개[8]
  • 2014년 7월 28일: '중앙합동신문센터'를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로 변경
  • 2021년 6월 23일: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 2차 공개
  • 2021년 10월 29일: 공식 별칭을 '자유누리센터'로 제정

2. 1. 설립 초기

2008년 12월, 중앙합동신문센터라는 명칭으로 개소하였다.[8]

2. 2. 명칭 변경 및 시설 공개

2008년 12월, '중앙합동신문센터'라는 명칭으로 개소하였다.[8] 2014년 4월 4일, 중앙합동신문센터가 처음으로 공개되었으며,[8] 같은 해 7월 28일,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21년 6월 23일,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가 두 번째로 공개되었고, 같은 해 10월 29일, 공식 별칭을 '자유누리센터'로 제정하였다.

3. 탈북자 조사

북한을 떠난 모든 북한이탈주민한국에 입국하면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로 가게 된다. 국가정보원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배경 조사 및 위장탈북자 분류를 하고 조사를 마치면 하나원으로 보내진다.[4]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는 국가보안시설 1급에 해당되므로 일반인 출입은 통제된다.[5]

일부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와 동일하게 탈북자 심문을 하는 기관인 '''대성공사'''로 보내진다. 이곳으로 보내진 북한이탈주민은 열악한 환경에서 조사를 받게 되며 인권침해가 우려되기도 한다.[6]

3. 1. 조사 기관

국가정보원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배경 조사 및 위장탈북자 분류를 하고 조사를 마치면 하나원으로 보내진다.[4]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는 국가보안시설 1급에 해당되므로 일반인 출입은 통제된다.[5] 일부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와 동일하게 탈북자 심문을 하는 기관인 '''대성공사'''로 보내진다. 이곳으로 보내진 북한이탈주민은 열악한 환경에서 조사를 받게 되며 인권침해가 우려되기도 한다.[6]

3. 2. 대성공사

북한을 떠난 모든 북한이탈주민한국에 입국하면 이곳으로 가게 되며, 일부 북한이탈주민은 탈북자 심문을 하는 기관인 '''대성공사'''로 보내진다.[6] 국정원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배경 조사 및 위장탈북자 분류를 하고 조사를 마치면 하나원으로 보내진다.[4] 국가보안시설 1급에 해당되므로 일반인 출입은 통제된다.[5] 이곳으로 보내진 북한이탈주민은 열악한 환경에서 조사를 받게 되며 인권침해가 우려되기도 한다.[6]

4. 별칭

내부의 조사관들이나 탈북자들은 '양지공사'로 부르기도 한다.[7] 그 밖에도 옛 정식명칭인 '중앙합동신문센터'의 약칭인 '합신센터'로도 불렸으며, 2021년 제정한 공식 별칭은 '자유누리센터'이다.

4. 1. 과거 별칭

내부의 조사관들이나 탈북자들은 '양지공사'로 부르기도 한다.[7] 그 밖에도 옛 정식명칭인 '중앙합동신문센터'의 약칭인 '합신센터'로도 불렸다.[7]

4. 2. 공식 별칭

내부의 조사관들이나 탈북자들은 '양지공사'로 부르기도 한다.[7] 그 밖에도 옛 정식명칭인 '중앙합동신문센터'의 약칭인 '합신센터'로도 불렸으며, 2021년 제정한 공식 별칭은 '자유누리센터'이다.

참조

[1] 뉴스 '한국의 관타나모' 탈북자 합동신문센터 https://newstapa.org[...] 뉴스타파 2014-03-18
[2] 뉴스 국정원, '합동신문센터→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 명칭 변경 http://view.asiae.co[...] 아시아경제 2014-07-28
[3] 뉴스 국정원, 탈북민 조사 센터 별칭 '자유누리센터' 제정 https://n.news.naver[...] 뉴시스 2021-10-29
[4] 뉴스 국정원, 합동신문센터→‘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로 개명...인권보호관 임명 https://n.news.naver[...] 파이낸셜뉴스 2014-07-28
[5] 뉴스 ‘유씨 간첩조작 사건’ 北이탈주민센터 탈바꿈…박지원 “인권침해 사례 전무” https://n.news.naver[...] 헤럴드경제 2021-06-23
[6] 뉴스 "[단독]'귀순용사' 때려잡던 '대성공사', 사라지지 않았다" https://n.news.naver[...] 프레시안 2015-01-27
[7] 뉴스 그곳은 탈북자의 ‘감옥’ https://www.sisain.c[...] 시사IN 2013-05-22
[8] 뉴스 "'간첩사건' 논란속 첫 공개…합동신문센터 가보니" https://m.yna.co.kr/[...] 연합뉴스 2014-04-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