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류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류왕은 삼국사기에 기록된 백제의 제12대 왕으로, 구수왕의 아들이자 사반왕의 동생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구수왕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 304년 분서왕이 암살된 후 왕위에 올랐으며, 재위 기간 동안 백성들의 고통을 살피고 구휼하는 등 자비로운 정치를 펼쳤다. 327년에는 이복 동생 부여우복의 반란을 진압했으며, 337년 신라에서 사신을 파견해 교류가 있었다. 41년간의 통치 끝에 344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부여구가 근초고왕으로 즉위하여 백제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44년 사망 - 동진 강제
동진 강제는 진나라 명제의 아들이자 유문군의 아들로, 342년부터 344년까지 동진의 황제였으며, 유빙과 유익 형제에게 실권을 빼앗긴 채 2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 3세기 한국 사람 - 창조리
창조리는 고구려 국상으로서 봉상왕을 폐위하고 미천왕을 옹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며, 모용외의 침략에 대비하고 미천왕의 치세를 보좌하는 등 국정 운영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 - 3세기 한국 사람 - 석우로
석우로는 신라의 이찬이자 대장군으로, 우루상팔국과의 전투와 감문국 토벌 등 군사적 활약을 펼쳤으나, 왜의 사신에게 실언하여 왜인에 의해 화형당해 신라와 왜의 관계를 악화시킨 인물이다. - 4세기 한국의 군주 - 아신왕
아신왕은 백제 제17대 국왕으로, 고구려의 침략에 맞서 왜와의 외교 관계를 강화하는 등 국운 유지를 위해 노력했으나, 전쟁에서의 패배로 백제의 쇠퇴를 막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의 삶과 결정은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4세기 한국의 군주 - 침류왕
침류왕은 근구수왕의 장남으로 384년 백제의 왕이 되었으며, 동진과의 외교를 통해 고구려에 대항하고, 마라난타를 통해 불교를 수용하여 백제에 불교를 처음 전파하고 사찰을 건립했으나, 재위 2년 만에 사망했다.
비류왕 | |
---|---|
기본 정보 | |
이름 | 비류 |
작위 | 어라하 |
왕조 | 백제 |
재위 기간 | 304년 10월 ~ 344년 10월 |
즉위 | 304년 10월 |
사망 | 344년 10월 |
출생 이름 | 부여비류 |
아버지 | 구수왕 |
어머니 | 미상 |
왕비 | 해씨 진씨 |
자녀 | 찬 휘 산 근초고왕 몽 |
직업 | 왕 |
한국어 이름 | |
한글 | 비류왕 |
한자 | 比流王 |
로마자 표기 | Biryu-wang |
음독 | Piryu-wang |
왕위 계승 | |
전임자 | 분서왕 |
후임자 | 계왕 |
기타 | |
묘호 | 없음 |
시호 | 없음 |
종교 | 없음 |
가문 | 부여씨 |
호칭 | 어라하 |
목록 | 제11대 백제 국왕 |
2. 생애
비류왕은 백제 제6대 근구수왕의 둘째 아들이자 제7대 사반왕의 동생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류왕이 최소 110세까지 통치해야 한다는 연대기적 모순 때문에, 현대 역사가들은 비류왕이 실제로는 사반왕의 동생의 아들이나 손자였을 것으로 추정한다.[1] 분서왕이 304년에 암살당하고, 분서왕의 아들들이 너무 어려 통치할 수 없었기 때문에 비류왕이 왕위에 올랐다. 이는 백제 왕실 내 초고왕계(비류왕의 조상)와 고이왕계 간의 권력 투쟁의 일환으로 보인다.
『삼국사기』에는 비류왕에 대해 "관대하고 자비로운 성품으로 활쏘기에 능했으며, 오랫동안 백성들 사이에 머물러 명성이 높았다. 분서왕 사후, 그의 자식들이 어려 왕위를 이을 수 없게 되자 신하와 백성들의 추천으로 왕위에 올랐다"라고 기록되어 있다.[2]
312년에 해구를 병관좌평에 임명하고, 327년에는 이복형제 부여우복의 반란을 진압했으며, 337년에는 신라로부터 사신을 받았다.
비류왕 재위 기간 동안 발생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사건 |
---|---|
308년 | 정월 초하루, 일식이 있었다. |
312년 | 백성들의 고충을 살피고, 스스로 생계를 유지할 수 없는 이들에게 쌀 3석을 지급하였다. 동명왕릉을 참배하고, 해구를 병관좌평에 임명하였다. |
313년 | 도성 남쪽에서 천지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
316년 | 가뭄과 자연재해가 발생했다. |
320년 | 궁궐 서쪽에 사격 연습장을 만들었다. |
321년 | 우복이 내신좌평에 임명되었으나, 이후 메뚜기떼 피해가 발생했다. |
325년 | 특이한 천문 현상이 관측되었다. |
327년 | 우복이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
331년 | 가뭄과 기근으로 백성들이 고통받았다. |
333년 | 왕궁에 화재가 발생하고, 궁궐을 수리했다. 진이(Jin Yi)가 내신좌평에 임명되었다. |
335년 | 일식이 있었다. |
336년 | 혜성이 관측되었다. |
337년 | 신라에서 사신이 방문했다. |
344년 | 비류왕이 사망했다. |
2. 1. 가계 배경 및 즉위 과정
삼국사기에 따르면 비류왕은 구수왕의 아들이자 사반왕의 동생이다.[1] 그러나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다른 기록에는 평민으로 살면서 명성을 얻었다고도 한다. 비류왕과 사반왕 사이에는 70년 이상의 연대 차이가 있어 형제 관계에 대한 이견이 있다.[1] 《삼국사기》는 구수왕을 아버지로, 사반왕을 형으로 지목했지만, 이들이 죽은 뒤 70년 만에 비류왕이 즉위하여 40년을 통치했다는 것은 연대상 맞지 않는다.현대 역사가들은 비류왕이 실제로는 사반왕의 동생의 아들이거나 손자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1] 이는 비류왕이 최소 110세까지 통치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분서왕이 즉위 7년째인 304년에 중국인 요원에 의해 암살당하고, 분서왕의 아들들이 너무 어려 왕위를 이을 수 없게 되자 비류가 왕위에 올랐다.[1] 이는 백제 왕실의 두 계파, 즉 제5대 초고왕(비류의 조상)의 후손들과 제8대 고이왕의 후손들 사이의 권력 투쟁의 일부였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는 비류왕에 대해 "성품은 관대하고 자비로웠으며, 활쏘기에 능하고 강했다. 오랫동안 백성들 사이에 머물렀고, 그 덕에 명성이 널리 퍼졌다. 분서왕이 죽자, 그의 자식들은 모두 어려서 왕위를 이을 수 없었다. 그래서 신하와 백성들의 추천으로 왕위에 올랐다"라고 기록하고 있다.[2]
사반왕은 구수왕의 첫째 아들로 234년에 즉위했고, 비류왕은 304년에 즉위했다고 전해진다. 형제가 70년의 차이를 두고 즉위했다는 것은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
K.J.H. GARDINER영어는 비류왕을 백제의 초대 왕인 온조왕의 형인 비류와 동일인물로 보고, 비류왕 이전의 10명의 백제 왕은 허구로 보았다.[5]
2. 2. 치세
312년 음력 2월, 비류왕은 신하를 보내 백성들의 질병과 고통을 살폈으며, 홀아비, 과부, 고아, 그리고 자식 없이 외롭게 지내는 노인들을 도왔다. 스스로 생활할 수 없는 자에게는 곡식 3섬씩을 나누어주었다.[1] 鰥寡孤獨|환과고독중국어에게 곡식을 지급한 것은 당시 사회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한편, 백성을 위하는 비류왕의 마음을 보여준다.321년 정월, 왕의 서제(庶弟) 우복을 내신좌평으로 삼았으나, 327년 북한산성을 근거지로 반란을 일으켰다. 비류왕은 군사를 보내 이를 토벌하였다.[1]
337년 봄 음력 2월, 신라에서 사신을 보내왔으며, 비류왕은 이들을 극진히 대접하였다.[1]
344년 겨울 음력 10월, 비류왕이 붕어하였다.[1]
비류왕의 치세 동안 있었던 사건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연도 | 사건 |
---|---|
308년 | 봄, 정월 초하루. 일식이 있었다.[1] |
312년 | 봄, 2월. 왕이 신하들을 파견하여 백성들의 고충을 살폈다. 과부와 고아 등 스스로 생계를 유지할 수 없는 이들에게 쌀 3석을 지급하였다. |
여름, 4월. 왕은 동명왕릉을 참배했다. 해구가 병관좌평에 임명되었다.[1] | |
313년 | 봄, 정월. 도성 남쪽에서 천지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왕이 직접 제물을 잡았다.[1] |
316년 | 봄. 가뭄이 들었다. 서쪽 하늘에 큰 별이 떨어졌다. |
여름, 4월. 도성의 우물이 넘쳤다. 그 안에서 검은 용이 나타났다.[1] | |
320년 | 가을, 8월. 궁궐 서쪽에 사격 연습장을 만들었다. 매달 초하루마다 사격 연습을 했다.[1] |
321년 | 봄, 정월. 왕의 이복형제 우복이 내신좌평에 임명되었다. |
가을, 7월. 낮에 금성이 보였다. 남쪽 지방에서 메뚜기떼가 곡식을 해쳤다.[1] | |
325년 | 겨울, 10월. 하늘에서 바람 소리와 파도가 부딪히는 듯한 소리가 들렸다. |
11월. 왕은 구원(Guwon) 북쪽에서 사냥을 하여 사슴을 쏘았다.[1] | |
327년 | 가을, 7월. 붉은 까마귀 같은 구름이 해를 향해 날아왔다. |
9월. 내신좌평 우복이 한강 북쪽의 성채를 장악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왕은 군사를 파견하여 토벌했다.[1] | |
331년 | 봄과 여름, 큰 가뭄이 들었다. 풀과 나무가 말라 죽었고 강물은 말랐다가 가을 7월에 비가 내렸다. 그 해 기근이 들었고, 사람이 사람을 잡아먹는 일도 발생했다.[1] |
333년 | 여름, 5월. 별이 떨어졌다. 왕궁에 불이 나서 백성들의 집으로 번졌다. |
가을, 7월. 궁궐을 수리했다. 배진씨(Jin clan) 진이(Jin Yi)가 내신좌평에 임명되었다. | |
겨울, 12월. 천둥이 쳤다.[1] | |
335년 | 겨울, 초하루. 일식이 있었다.[1] |
336년 | 봄, 정월. 辛巳일에 혜성이 28수 중 귀수(Kui)에 나타났다.[1] |
337년 | 봄, 2월. 신라에서 사신을 보내 조정에 예물을 바쳤다.[1] |
344년 | 겨울, 10월. 왕이 죽었다.[1] |
삼국사기에 의하면 비류왕은 구수왕의 아들이자 사반왕의 동생이라고 한다.[12] 그러나 비류왕과 사반왕 사이에는 70년 이상의 연대 차이가 있어, 형제 여부에 대한 이견이 있다.[1] 《삼국사기》는 비류왕의 아버지로 구수왕을, 형으로 사반왕을 지목하지만, 이들이 죽은 뒤 70년 만에 비류왕이 즉위하여 40년을 통치했다는 기록은 연대상 맞지 않는다.
비류왕은 백제의 제11대 국왕으로, 백제를 전성기로 이끈 근초고왕의 아버지였다.
3. 가계
관계 이름 비고 부왕 또는 선조 구수왕 이설 있음.[12] 형 또는 선조 사반왕 이복 동생 부여우복 321년에 내신좌평(內臣佐平)에 임명되었고, 327년에 반란을 일으켰다.[4] 왕비 왕비 해씨(解氏) 장남 ? 후궁 왕비 진씨(眞氏) 차남 근초고왕
대부분의 학자들은 연대 불일치로 인해 비류왕이 구수왕의 아들이 아니라 후손이라고 추정한다.[1] 그는 백제의 13대 국왕이자 백제를 최고의 전성기로 이끈 근초고왕의 아버지였다.왕비 자녀 해씨(解氏) 진씨(眞氏)
K.J.H. GARDINER영어는 비류왕을 백제의 초대 왕인 온조왕의 형인 비류와 동일인물로 보고, 비류왕 이전의 10명의 백제 왕은 허구로 보았다.[5]
4. 자연재해 및 천문 현상 기록
발생 시기 사건 308년 봄 정월 초하루 병자일 일식 발생.[7] 316년 봄 가뭄 발생. 321년 가을 음력 7월 태백성이 낮에 나타남. 나라 남쪽에 우박이 내려 곡식을 해침. 327년 가을 음력 7월 붉은 까마귀와 같은 구름이 해를 끼고 있었음.[8] 331년 봄, 여름 가뭄이 크게 들어 풀과 나무가 마르고 강물이 말랐음. 음력 7월에 이르러서야 비가 옴. 이 해에 기근이 들어 사람들이 서로 잡아먹음.[9] 333년 여름 음력 5월 별이 떨어짐. 335년 겨울 음력 10월 초하루 을미일 일식 발생.[10] 336년 봄 정월 신사일 혜성이 별자리 규(奎)에 나타남.[11]
5. 평가 및 의의
일본 역사학자들은 비류왕이 사반왕과 마찬가지로 일본 야마토 시대의 특정 귀족 씨족의 시조라고 추측한다. 그러나 관련된 족보 기록은 존재하지 않거나 1000년 이상 전에 유실 또는 파괴되었다.
6. 대중 문화
참조
[1]
서적
백제의중앙과지방 (Central area and regions of Baekje)
Juryuseong
2005
[2]
간행물
삼국사기
[3]
웹사이트
비류왕 (Biryu of Baekje)
https://www.doopedia[...]
Doopedia
2020-09-22
[4]
웹사이트
King Biryue
http://world.kbs.co.[...]
KBS World
2020-09-22
[5]
서적
The Early History of Korea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69-01-01
[6]
기타
[7]
간행물
삼국사기 백제본기
[8]
간행물
삼국사기 백제본기
[9]
간행물
삼국사기 백제본기
[10]
간행물
삼국사기 백제본기
[11]
간행물
삼국사기 백제본기
[12]
서적
한권으로 읽는 백제왕조실록
웅진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