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빌헬름 킬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헬름 킬링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활동한 독일의 수학자이다. 그는 뮌스터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베를린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후, 김나지움 교사, 브라니에보의 콜레기움 호시아눔 교수, 뮌스터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킬링은 리 대수와 비유클리드 기하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리 대수 이론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또한 예외적 리 대수 g₂를 발견하고, 복소 유한 차원 단순 리 대수를 분류하는 데 중요한 공헌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뮌스터 대학교 교수 - 송두율
    송두율은 1944년 도쿄에서 태어나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유학한 사회학자이자 철학자로, 독일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한국과 북한 사회를 연구하고 북한을 방문하여 조선로동당 당원 가입 논란과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내재적 접근론' 등 독창적인 이론과 남북 학술 교류 활동으로 한국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 뮌스터 대학교 교수 - 한스 로베르트 야우스
    한스 로베르트 야우스는 독일의 문학 이론가이자 콘스탄츠 학파의 주요 인물로서, 문학 수용 이론을 발전시켜 문학 연구에 기여했으나, 친위대 복무 경력 논란으로 학문적 유산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 뮌스터 대학교 동문 - 김종인
    김종인은 5선 국회의원과 장관, 경제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며 경제민주화를 추진했으나 뇌물수수 전력과 국보위 참여 경력 등으로 논란이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이다.
  • 뮌스터 대학교 동문 - 프란츠 브렌타노
    프란츠 브렌타노는 독일 출신의 철학자이자 심리학자로서, 아리스토텔레스 연구를 바탕으로 심적 현상의 의도성 개념을 도입하고 현상학, 분석철학 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에드문트 후설, 지그문트 프로이트 등 많은 제자를 배출했다.
  • 1847년 출생 - 조르주 소렐
    조르주 소렐은 프랑스의 사상가로, 마르크스주의를 연구하며 신화와 직접 행동을 통한 자본주의 전복을 주장했고, 파시즘과 볼셰비즘에 양면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아나코생디칼리즘과 파시즘에 영향을 미쳤다.
  • 1847년 출생 - 볼레스와프 프루스
    볼레스와프 프루스는 알렉산데르 그워바츠키라는 본명을 가진 폴란드의 소설가, 언론인, 단편 작가로, 사회 비판적인 주제를 사실주의적, 실증주의적 관점으로 다루었으며, 대표작으로는 《인형》과 《파라오》가 있다.
빌헬름 킬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빌헬름 카를 요제프 킬링
이름빌헬름 카를 요제프 킬링
출생
출생일1847년 5월 10일
출생지프로이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사망
사망일1923년 2월 11일
사망지바이마르 공화국 뮌스터
국적
국적독일
학력 및 경력
분야수학
소속콜레기움 호시아눔(Collegium Hosianum)
뮌스터 대학교
출신 대학뮌스터 대학교(학사)
베를린 대학교(박사)
박사 지도교수카를 바이어슈트라스
에른스트 쿠머
업적
주요 업적킬링 벡터
킬링 형식
리 대수
리 군
비유클리드 기하학
수상로바쳅스키 상 (1900년)

2. 생애

킬링은 뮌스터 대학교와 베를린 대학교에서 수학하였으며,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에른스트 쿠머의 지도를 받았다. 1868년~1872년에는 김나지움 교사로 재직하였다. 이후 브라니에보(Braniewopl, 당시 Braunsberg|브라운스베르크de)의 예수회 신학 대학인 콜레기움 호시아눔(Collegium Hosianumla) 교수가 되기 위해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가 되었다.[1]

1875년에는 음악 강사의 딸인 안나 코머와 결혼하였고, 1886년에는 프란치스코회 제3회에 들어갔다. 1892년에 뮌스터 대학교 교수가 되었으며, 1923년에 사망하였다.[1]

2. 1. 교육

킬링은 뮌스터 대학교에서 공부하였으며, 1872년 카를 바이어슈트라스에른스트 쿠머의 지도 아래 베를린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Dr. phil.)를 취득하였다.[1] 1868년부터 1872년까지는 김나지움(중등학교)에서 교사로 있었다.[1]

2. 2. 경력

뮌스터 대학교와 베를린 대학교에서 공부하였고, 1868년~1872년에는 김나지움 교사로 재직하였다. 1872년에 박사 학위(Dr. phil.)를 취득하였다. 졸업 후 브라니에보(Braniewopl, 당시 Braunsberg|브라운스베르크de)에 있는 예수회 신학 대학인 콜레기움 호시아눔(Collegium Hosianumla) 교수직을 얻기 위해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가 되었다.[1]

1892년에 뮌스터 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1923년에 사망하였다.

1875년, 음악 강사의 딸인 안나 코머와 결혼했다. 브라운스베르크(현재 브라니에보) 콜레기움 호시아눔 교수로 재직하며, 이 대학의 학장이자 시의회 의장을 역임하였다. 교수이자 행정가로서 킬링은 널리 호감을 얻고 존경받았다.[1]

1886년, 킬링과 그의 아내는 프란치스코회 제3회에 들어갔다.[1]

2. 3. 개인사

킬링은 1875년에 음악 강사의 딸인 안나 코머와 결혼했다. 1886년에 킬링과 그의 아내는 프란치스코회 제3회에 들어갔다.[1]

3. 업적

킬링의 주요 업적은 리 대수 이론과 비유클리드 기하학 분야로 나눌 수 있다.

1880년경 킬링은 소푸스 리와는 별도로 리 대수를 발견했다. 당시 킬링의 대학 도서관에는 리의 논문이 실린 스칸디나비아 저널이 없었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다. 킬링의 작업은 리의 작업보다 논리적으로 덜 엄격했지만, 그룹 분류 측면에서 훨씬 더 원대한 목표를 가지고 있었고, 훗날 사실로 밝혀진 수많은 추측을 했다. 킬링은 자신의 업적에 대해 겸손한 태도를 보였다. 1888년부터 1890년까지 복소 유한 차원 단순 리 대수를 분류하여 카르탕 부분 대수카르탕 행렬의 개념을 발명했다. 엘리 카르탕의 1894년 논문은 킬링의 논문을 엄격하게 다시 작성한 것이다. 킬링은 또한 근계의 개념을 도입했으며, 1887년에 예외적 리 대수 ''g2''를 발견했다. 그의 근계 분류는 모든 예외적인 경우를 보여주었지만, 구체적인 구조는 나중에 밝혀졌다. A. J. 콜먼은 "그는 바일이 3살이었을 때 바일 군의 특성 방정식을 보여주었고, 콕세터가 태어나기 19년 전에 콕세터 변환의 차수를 나열했다."라고 평가했다.[5]

1878년 킬링은 쌍곡기하학의 쌍곡면 모형(hyperboloid model)을 도입하였다.[6]

3. 1. 리 대수 이론

1880년경 킬링은 소푸스 리와 독자적으로 리 대수를 발견하였다.[6] 킬링이 있었던 콜레기움 호시아눔 도서관에는 리가 출판했던 저널이 없었기 때문이다. 1888년~1890년에는 복소 유한차원 단순 리 대수들을 분류하였고, 카르탕 부분대수와 카르탕 행렬, 근계의 개념을 도입하였다.[6] 엘리 카르탕의 1894년 박사 학위 논문은 킬링의 아이디어들을 수학적으로 엄밀하게 정의하는 내용이었고, 이 때문에 이들 개념에 카르탕의 이름이 붙게 되었다. 1887년에 킬링은 예외 리 대수 G2를 발견하였다.[6]

3. 2. 비유클리드 기하학

킬링은 1878년에 쌍곡기하학의 쌍곡면 모형(hyperboloid model)을 도입하였다.[6] 같은 해 크렐레 저널에 공간 형태에 대해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관점에서 글을 썼으며, 이는 1880년과 1885년에 더욱 발전시켰다.[2] 그는 베어슈트라스의 강의를 인용하며, ''베어슈트라스 좌표''로 설명되는 쌍곡 기하학의 쌍곡면 모델을 도입했다.[3] 또한 1885년에 ''n''차원에서 로렌츠 변환과 수학적으로 동일한 변환을 공식화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4]

4. 출판물

킬링은 비유클리드 기하학리 군(변환군)에 관한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출판하였다.

4. 1. 비유클리드 기하학

빌헬름 킬링은 비유클리드 기하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다음은 그가 비유클리드 기하학과 관련하여 발표한 주요 저작 목록이다.

발표 연도제목학술지/출판사기타
1878Ueber zwei Raumformen mit constanter positiver Krümmung|상수 양의 곡률을 갖는 두 공간 형태에 관하여de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순수 및 응용 수학 저널de
1880Die Rechnung in den Nicht-Euklidischen Raumformen|비유클리드 공간 형태에서의 계산de[1]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순수 및 응용 수학 저널de
1885Die Mechanik in den Nicht-Euklidischen Raumformen|비유클리드 공간 형태에서의 역학de[2]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순수 및 응용 수학 저널de
1885Die nicht-euklidischen Raumformen|비유클리드 공간 형태de[3]Teubner|토이브너de원문 보기
1891'Ueber die Clifford-Kleinschen Raumformen|클리포드-클라인 공간 형태에 관하여de''[4]Mathematische Annalen|수학 연보de
1892Ueber die Grundlagen der Geometrie|기하학의 기초에 관하여de[5]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순수 및 응용 수학 저널de
1893Zur projectiven Geometrie|사영 기하학에 관하여de[6]Mathematische Annalen|수학 연보de
1893Einführung in die Grundlagen der Geometrie I|기하학의 기초 입문 IdeSchöningh|쇠닝de원문 보기
1898Einführung in die Grundlagen der Geometrie II|기하학의 기초 입문 IIdeSchöningh|쇠닝de원문 보기


4. 2. 변환군 (리 군)

킬링은 리 군(Lie group)으로 알려진 변환군(transformation group)에 대한 중요한 연구를 수행했다.

제목출판 연도저널
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연속 유한 변환군의 구성de1888마테마티셰 아날렌
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Zweiter Theil.|연속 유한 변환군의 구성. 제2부de1889마테마티셰 아날렌
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Dritter Theil.|연속 유한 변환군의 구성. 제3부de1889마테마티셰 아날렌
Erweiterung des Begriffes der Invarianten von Transformationsgruppen|변환군의 불변량 개념 확장de1890마테마티셰 아날렌
Die Zusammensetzung der stetige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 Vierter Theil.|연속 유한 변환군의 구성. 제4부de1890마테마티셰 아날렌
Bestimmung der grössten Untergruppen von endlichen Transformationsgruppen|유한 변환군의 최대 부분군 결정de1890마테마티셰 아날렌


참조

[1] 웹사이트 Wilhelm Killing - Biography https://mathshistory[...] 2005-02
[2] 서적 Emergence of the Theory of Lie Groups Springer
[3] 논문 Hyperbolic geometry on a hyperboloid
[4] 서적 Foundations of Hyperbolic Manifolds
[5] 간행물 "The Greatest Mathematical Paper of All Time," ''[[The Mathematical Intelligencer]],'' vol. 11, no. 3, pp. 29–38.
[6]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