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가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가선은 사가현 사가에서 후쿠오카현 세타카를 잇는 일본국유철도 노선으로, 1931년 개통되어 1987년 폐지되었다. 국도 208호선 개통과 모터리제이션의 영향으로 승객이 감소하여 적자 노선으로 지정되었고, 급행 열차 운행 중단 후 특정 지방 교통선으로 지정되어 폐지되었다. 지쿠고강 교량은 국가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폐지 후에는 대체 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가현의 교통 - 규슈 자동차도
    규슈 자동차도는 후쿠오카현 모지시에서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를 잇는 총 연장 약 346km의 고속자동차국도로, 1971년 첫 개통 이후 1995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현재도 확장 사업이 진행 중이나, 일본 자위대 이동 용이성으로 안보 우려를 낳기도 한다.
  • 사가현의 교통 - 마쓰우라 철도
    마쓰우라 철도는 1987년에 설립되어 JR 큐슈 마쓰우라 선을 인수하여 니시큐슈 선을 운영하는 일본의 철도 회사이며, 한때 흑자를 기록했으나 이용객 감소로 적자 경영을 겪다가 연선 자치체의 지원을 받아 적자 축소를 시도하고 있다.
  • 후쿠오카현의 교통 - 규슈 자동차도
    규슈 자동차도는 후쿠오카현 모지시에서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를 잇는 총 연장 약 346km의 고속자동차국도로, 1971년 첫 개통 이후 1995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현재도 확장 사업이 진행 중이나, 일본 자위대 이동 용이성으로 안보 우려를 낳기도 한다.
  • 후쿠오카현의 교통 - 히가시큐슈 자동차도
    히가시큐슈 자동차도는 기타큐슈에서 가고시마를 잇는 고속도로로, 1987년 동규슈 종관 자동차도로 지정 이후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쳐 건설되었으며, 1994년 일부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2016년 기타큐슈에서 미야자키까지, 2023년 기요타케미나미-가노야히가시 구간이 연결되었다.
사가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지쿠고 강 승개교 ([[사가시]], 국가지정 [[중요문화재]])
지쿠고 강 승개교 (사가시, 국가지정 중요문화재)
노선 이름사가 선
현황폐지
기점사가역
종점세타카역
역수13역
개업1931년 9월 24일
전체 개통1935년 5월 25일
폐지1987년 3월 28일
소유자철도성 → 운수통신성 → 운수성 → 일본국유철도
노선 거리24.1 km
궤간1067 mm
선로 수단선
전철화 방식비전철화
폐색 방식타블렛 폐색식
정차장/시설/접속 노선 (폐지 당시)
지쿠고 강 승개교 (1981년경)
지쿠고 강 승개교 (1981년경)
기점사가역
종점세타카역
역 목록
역 이름사가역
동사가역
남사가역
고우노우역
모로도미역
지쿠고와카쓰역
지쿠고오오카와역
히가시오오카와역
지쿠고야나가와역
햐쿠초우역
미하시역
세타카역
기타 정보
비고지쿠고 강 승개교, 하나무네 강 교량, 오키노하타 강 교량, 야베 강 교량 포함

2. 역사

사가선은 철도 부설법에 규정된 예정 노선 중 일부였다. 이 노선은 사가현 사가에서 후쿠오카현 야베강(현재의 세타카), 구마모토현 구마베(기쿠치시)를 거쳐 호히 본선 히고오즈에 이르고, 구마베에서 분기하여 큐다이 본선 분고모리에 이르는 철도로 계획되었다.[1]

사가선 개통 전인 1911년부터 야베강-야나가와 간에는 경편 철도인 야나가와 궤도가 영업을 하고 있었으나, 사가선 개통으로 1932년 2월 21일 폐지되었다.

사가선은 모로토미-지쿠고와카쓰 간에서 지쿠고강을, 지쿠고와카쓰-지쿠고오카와 간에서 하나무네강을 건너야 했다. 대형 선박의 항행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 지쿠고강에는 지쿠고강 승개교(전장 506m)가, 하나무네강에는 하나무네강 교량(전장 64m)이 설치되었다. 사가선 폐지 후 하나무네강 교량은 철거되었지만, 지쿠고강 교량은 국가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후쿠오카현 오카와시가구 산업이 발달하여 사가선을 통해 전국으로 가구가 출하되었다. 모로토미역에서 아지노모토 큐슈 공장으로 연결되는 인입선이 1970년대까지 존재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중요한 노선이었다. 1961년에는 구마모토역과 나가사키역을 잇는 준급열차 "지쿠고"가 1일 1왕복 운행되기도 했다.

그러나 모터리제이션의 영향으로 승객이 감소하고 화물 운송도 트럭으로 전환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1968년 적자 83선으로 지정되었으나 폐지를 면했다. 1980년 10월 1일 국철 시간표 개정으로 급행 "지쿠고"는 폐지되었고, 국철 재건법에 의한 특정 지방 교통선으로 지정되어 결국 폐지되고 버스로 전환되었다.

2. 1. 연표


  • 1931년 9월 24일 : 야베강 - 지쿠고야나가와 간 (8.6km)을 '''사가선'''으로 신규 개업. 미하시역·지쿠고야나가와역을 신설.[2]
  • 1933년 6월 17일 : 지쿠고야나가와 - 지쿠고오오카와 간 (5.4km) 연장 개업. 지쿠고오오카와역을 신설.[3]
  • 1935년 5월 25일 : 사가 - 지쿠고오오카와 간 (10.0km)을 연장 개업하여 전선 개통.[4][5]。동시에 기점을 반대로 하여 가고시마선 부에서 나가사키선 부로 변경. 모로토미역·미나미사가역을 신설. 기동차 운전 개시.[6]
  • 1936년 6월 18일 : 지쿠고강 신호소를 신설.
  • 1937년 6월 10일 : 효쿠초역을 신설.
  • 1938년
  • * 3월 30일 : 지쿠고와카츠역을 신설.
  • * 9월 10일 : 고호역을 신설.
  • 1939년 9월 11일 : 히가시사가역을 신설.
  • 1942년 4월 1일 : 야베가와역이 세타카마치역으로 개칭.
  • 1944년 11월 11일 : 고호역, 효쿠초역이 휴지.[7]
  • 1947년
  • * 2월 11일 : 고호역과 효쿠초역이 영업 재개.[8]
  • * 5월 1일 : 지쿠고강 신호소를 신호장으로 변경.
  • 1956년
  • * 1월 10일 : 히가시오오카와역을 신설.
  • * 4월 10일 : 세타카마치역을 세타카역으로 개칭.
  • * 4월 11일 : 일부 열차에 기동차를 투입.[9]
  • * 5월 1일 : 열차를 기동차로 전부 대체 (무연화).
  • 1961년 10월 1일 : 당선 경유로 구마모토역 - 나가사키역 간을 운행하는 준급 열차 '''지쿠고''' 운행 개시.
  • 1966년 3월 5일 : '지쿠고'가 급행 열차로 등급 상향.
  • 1976년 2월 19일 : 사가역 고가 이전으로, 사가 - 히가시사가 간을 개업 (+0.1km).[10]
  • 1980년 10월 1일 : 급행 열차 '지쿠고'가 운행 종료.
  • 1984년 6월 22일 : 제2차 특정 지방 교통선으로 폐지 승인.
  • 1987년 3월 28일 : 전선 (24.1km)을 폐지하고, 서일본 철도·호리카와 버스·사가시영 버스로 전환.[1]

3. 운행 형태

개통 초기에는 증기 기관차가 끄는 객차 열차로 운행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가솔린 동차를 도입하여 기동차로 대체되었다. 1982년까지는 하야키 기관구(1976년까지는 사가 기관구)의 키하17계 3량 편성으로 운행되었고, 아침에는 가라쓰 철도사업부(1983년까지는 히가시가라쓰 기동차구)의 키하35계 2량 편성도 사용되었다. 1983년 이후에는 키하17계에서 교체된 키하40계 3량 편성으로도 운행되었다.[11]

폐지 직전에는 하루 10왕복 정도 운행되었으며, 일부 열차는 가라쓰선 니시가라쓰역에서 4량 편성으로 출발하여 사가역에서 2량 편성으로 분할, 앞의 2량은 세타카역행, 뒤의 2량은 니시가라쓰역행으로 운행(편도)되거나, 세타카역 도착 후 가고시마 본선 하이나즈카역으로 가는 열차도 있었다.[11]

1961년부터 1980년까지는 구마모토역나가사키역을 잇는 급행 '지쿠고'가 하루 1왕복 운행되었다. '지쿠고'는 나가사키 기관구의 그린샤를 포함한 키하58계 4량 편성으로 운행되었으며, 사가선 내에서는 지쿠고오카와역과 지쿠고야나가와역에 정차했다. 그러나 두 역 모두 승강장 유효 길이가 3량분밖에 되지 않아, 1량은 문을 닫은 채 운행되었다. 급행 '지쿠고'는 나가사키 본선 상의 사가역 - 나가사키역 간을 기동차 급행 '이나사'나 '데지마'와 병결하여 운행되었다.

4. 사용 차량

여객 열차는 개업 초기에는 증기 기관차가 끄는 객차 열차였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가솔린 동차를 거쳐 기동차로 대체되었다. 1982년까지는 키하17계 3량 편성이 주로 운행되었고, 아침에는 키하35계 2량 편성도 사용되었다. 1983년 이후에는 키하40계 3량 편성으로도 운행되었다.[11]

폐지 직전에는 하루 10회 왕복 운행되었으며, 일부 열차는 가라쓰선니시가라쓰역에서 4량 편성으로 출발하여 사가역에서 2량 편성으로 분할되는 방식으로 운행되었다. 또한 야베선과 차량을 같이 사용했기 때문에, 세타카역에 도착한 후 가고시마 본선 하이나즈카역으로 가는 열차도 있었다.[11]

1961년부터 1980년까지는 하루 1왕복으로 급행 "지쿠고"가 운행되었다. 이 열차는 키하58계 4량 편성으로 구마모토역-나가사키역 구간을 운행했으며, 사가선 내에서는 지쿠고오카와역과 지쿠고야나가와역에 정차했다. 하지만 두 역의 승강장 유효 길이가 3량분밖에 되지 않아, 1량은 문을 닫은 채로 취급되었다. 급행 "지쿠고"는 나가사키 본선 상의 사가역-나가사키역 구간을 기동차 급행 "이나사"나 "데지마"와 함께 운행되었다.

5. 역 목록

킬로미터영업
킬로미터연결 노선소재지사가역-0.0일본국유철도: 나가사키 본선, 가라쓰선사가현사가시히가시사가역2.32.3미나미사가역1.74.0고호역1.55.5모로토미역2.37.8사가군 모로토미정 (현 사가시)지쿠고강 신호장-9.0후쿠오카현오카와시지쿠고와카쓰역1.59.3지쿠고오카와역0.810.1히가시오카와역2.512.6지쿠고야나가와역2.915.5야마토군 미하시마치 (현 야나가와시)햐쿠초역3.318.8미하시역1.320.1세타카역4.024.1일본국유철도:가고시마 본선야마토군 세타카마치 (현 미야마시)



지쿠고야나가와역 - 햐쿠초역 구간에서 니시닛폰 철도 오무타선(현·니시테쓰 덴진오무타선)과 동선 야가베역 아래에서 교차했지만 사가선에는 역이 설치되지 않았다.

6. 노선 정보

7. 폐지 후

사가선 폐지 이후, 노선의 흔적은 일부 남아있다. 사가역세타카역에는 사가선용 0번 승강장이 남아있으며, 사가역 동쪽의 고가에는 사가선 부분이 끊어진 채 남아있다. 히가시사가역까지의 부지는 일반 도로로 전용되었고, 미나미사가역부터 지쿠고강 교량(지쿠고강 승개교)까지는 자전거 전용 도로 "서복 사이클 로드"가 되었다. 지쿠고강 교량은 보존되어 국가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사가선 폐지 이후, 니시테쓰 버스, 호리카와 버스, 사가시 교통국(사가시영 버스)이 대체 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8. 대체 버스

사가선 폐지 이전부터 사가역 버스센터 - 니시테츠 야나가와역 사이에는 니시니혼 철도(니시테쓰 버스) 및 사가시 교통국이, 야나가와 - 세타카 사이에는 호리카와 버스가 사가선과 나란히 운행하는 형태로 버스를 운행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노선들이 사가선의 대체 버스 노선이 되었다.[1]

사가선 폐지에 따라 니시테쓰·호리카와 버스·사가시 교통국은 전환 교부금으로 구입한 버스로 세타카 - 사가 간 직통 급행 버스를 공동 운행했지만 1990년대에 폐지되었으며, 현재 세타카 - 사가 간을 버스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니시테츠 야나가와역에서 환승해야 한다.[1] 2022년(레이와 4년) 9월 현재에도 사가 시내의 버스 정류장에는 운행 회사로서 '호리카와'라는 문자가 소수이지만 남아있다.[1]

현재는 사가역 버스센터 - 니시테츠 야나가와역 간에 니시테츠 버스 구루메가, 니시테츠 야나가와역 - 세타카역 간에 호리카와 버스가 노선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1] 사가시 교통국은 니시테츠 버스와 상호 운행이라는 형태로 니시테츠 야나가와역 - 사가역 간 노선 버스를 운행했지만, 1998년 (헤이세이 10년) 7월 28일에 폐지되어 니시테츠 버스 단독 운행이 되었다.[1] 다만 사가 시내의 사가역 버스센터 - 모로토 간에서는 사가시 교통국의 다른 계통의 노선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1]

니시테츠 버스 및 호리카와 버스는 니시테츠 야나가와역에서 텐진오무타선 니시테츠 후쿠오카(텐진)역 방면의 특급과 연결되는 체계로 전 편이 운전되고 있으며, 한때 운행했던 준급 버스도 모든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는 형태로 바뀌는 등, 니시테츠 전철로의 피더 수송이 되고 있다.[1] 2005년 (헤이세이 17년)경까지 니시테츠 버스의 정면 방향막에는 '준급' 표시가 남아있던 차량이 존재했다.[1]

참조

[1] 간행물 鉄道ジャーナル社 1987-06
[2] 문서 「鉄道省告示第255号・256号」『官報』1931年9月18日 "{{NDLDC|2957886/5}}[...]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3] 문서 「鉄道省告示第236号・237号」『官報』1933年6月12日 "{{NDLDC|2958404/2}}[...]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4] 문서 「鉄道省告示第200号・201号」『官報』1935年5月20日 "{{NDLDC|2958990/9}}[...]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5] 문서 記念スタンプ「逓信省告示第1340号」『官報』1935年5月22日 "{{NDLDC|2958992/3}}[...]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6] 문서 『鉄道省年報. 昭和10年度』 "{{NDLDC|1114644/102[...]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7] 문서 「運輸通信省告示第557号」『官報』1944年11月10日 "{{NDLDC|2961851/3}}[...]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8] 문서 「運輸省告示第22号・23号」『官報』1947年2月10日 "{{NDLDC|2962535/3}}[...]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9] 뉴스 佐賀線にディーゼル車 五月一日からは全面的に気動車化 交通協力会 1956-04-19
[10] 서적 日本鉄道旅行地図帳 新潮社 2009
[11] 서적 時刻表復刻版1982年11月号 JTBパブリッシング 2022
[12] 웹사이트 旧国鉄佐賀線(佐賀→瀬高) http://rail-road.sak[...] 2020-01-26
[13] 문서
[1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