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가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가선은 사가현 사가에서 후쿠오카현 세타카를 잇는 일본국유철도 노선으로, 1931년 개통되어 1987년 폐지되었다. 국도 208호선 개통과 모터리제이션의 영향으로 승객이 감소하여 적자 노선으로 지정되었고, 급행 열차 운행 중단 후 특정 지방 교통선으로 지정되어 폐지되었다. 지쿠고강 교량은 국가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폐지 후에는 대체 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가현의 교통 - 규슈 자동차도
규슈 자동차도는 후쿠오카현 모지시에서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를 잇는 총 연장 약 346km의 고속자동차국도로, 1971년 첫 개통 이후 1995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현재도 확장 사업이 진행 중이나, 일본 자위대 이동 용이성으로 안보 우려를 낳기도 한다. - 사가현의 교통 - 마쓰우라 철도
마쓰우라 철도는 1987년에 설립되어 JR 큐슈 마쓰우라 선을 인수하여 니시큐슈 선을 운영하는 일본의 철도 회사이며, 한때 흑자를 기록했으나 이용객 감소로 적자 경영을 겪다가 연선 자치체의 지원을 받아 적자 축소를 시도하고 있다. - 후쿠오카현의 교통 - 규슈 자동차도
규슈 자동차도는 후쿠오카현 모지시에서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를 잇는 총 연장 약 346km의 고속자동차국도로, 1971년 첫 개통 이후 1995년 전 구간 개통되었으며 현재도 확장 사업이 진행 중이나, 일본 자위대 이동 용이성으로 안보 우려를 낳기도 한다. - 후쿠오카현의 교통 - 히가시큐슈 자동차도
히가시큐슈 자동차도는 기타큐슈에서 가고시마를 잇는 고속도로로, 1987년 동규슈 종관 자동차도로 지정 이후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쳐 건설되었으며, 1994년 일부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2016년 기타큐슈에서 미야자키까지, 2023년 기요타케미나미-가노야히가시 구간이 연결되었다.
사가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이름 | 사가 선 |
현황 | 폐지 |
기점 | 사가역 |
종점 | 세타카역 |
역수 | 13역 |
개업 | 1931년 9월 24일 |
전체 개통 | 1935년 5월 25일 |
폐지 | 1987년 3월 28일 |
소유자 | 철도성 → 운수통신성 → 운수성 → 일본국유철도 |
노선 거리 | 24.1 km |
궤간 | 1067 mm |
선로 수 | 단선 |
전철화 방식 | 비전철화 |
폐색 방식 | 타블렛 폐색식 |
정차장/시설/접속 노선 (폐지 당시) | |
![]() | |
기점 | 사가역 |
종점 | 세타카역 |
역 목록 | |
역 이름 | 사가역 동사가역 남사가역 고우노우역 모로도미역 지쿠고와카쓰역 지쿠고오오카와역 히가시오오카와역 지쿠고야나가와역 햐쿠초우역 미하시역 세타카역 |
기타 정보 | |
비고 | 지쿠고 강 승개교, 하나무네 강 교량, 오키노하타 강 교량, 야베 강 교량 포함 |
2. 역사
사가선은 철도 부설법에 규정된 예정 노선 중 일부였다. 이 노선은 사가현 사가에서 후쿠오카현 야베강(현재의 세타카), 구마모토현 구마베(기쿠치시)를 거쳐 호히 본선 히고오즈에 이르고, 구마베에서 분기하여 큐다이 본선 분고모리에 이르는 철도로 계획되었다.[1]
사가선 개통 전인 1911년부터 야베강-야나가와 간에는 경편 철도인 야나가와 궤도가 영업을 하고 있었으나, 사가선 개통으로 1932년 2월 21일 폐지되었다.
사가선은 모로토미-지쿠고와카쓰 간에서 지쿠고강을, 지쿠고와카쓰-지쿠고오카와 간에서 하나무네강을 건너야 했다. 대형 선박의 항행에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 지쿠고강에는 지쿠고강 승개교(전장 506m)가, 하나무네강에는 하나무네강 교량(전장 64m)이 설치되었다. 사가선 폐지 후 하나무네강 교량은 철거되었지만, 지쿠고강 교량은 국가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후쿠오카현 오카와시는 가구 산업이 발달하여 사가선을 통해 전국으로 가구가 출하되었다. 모로토미역에서 아지노모토 큐슈 공장으로 연결되는 인입선이 1970년대까지 존재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중요한 노선이었다. 1961년에는 구마모토역과 나가사키역을 잇는 준급열차 "지쿠고"가 1일 1왕복 운행되기도 했다.
그러나 모터리제이션의 영향으로 승객이 감소하고 화물 운송도 트럭으로 전환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1968년 적자 83선으로 지정되었으나 폐지를 면했다. 1980년 10월 1일 국철 시간표 개정으로 급행 "지쿠고"는 폐지되었고, 국철 재건법에 의한 특정 지방 교통선으로 지정되어 결국 폐지되고 버스로 전환되었다.
2. 1. 연표
- 1931년 9월 24일 : 야베강 - 지쿠고야나가와 간 (8.6km)을 '''사가선'''으로 신규 개업. 미하시역·지쿠고야나가와역을 신설.[2]
- 1933년 6월 17일 : 지쿠고야나가와 - 지쿠고오오카와 간 (5.4km) 연장 개업. 지쿠고오오카와역을 신설.[3]
- 1935년 5월 25일 : 사가 - 지쿠고오오카와 간 (10.0km)을 연장 개업하여 전선 개통.[4][5]。동시에 기점을 반대로 하여 가고시마선 부에서 나가사키선 부로 변경. 모로토미역·미나미사가역을 신설. 기동차 운전 개시.[6]
- 1936년 6월 18일 : 지쿠고강 신호소를 신설.
- 1937년 6월 10일 : 효쿠초역을 신설.
- 1938년
- * 3월 30일 : 지쿠고와카츠역을 신설.
- * 9월 10일 : 고호역을 신설.
- 1939년 9월 11일 : 히가시사가역을 신설.
- 1942년 4월 1일 : 야베가와역이 세타카마치역으로 개칭.
- 1944년 11월 11일 : 고호역, 효쿠초역이 휴지.[7]
- 1947년
- * 2월 11일 : 고호역과 효쿠초역이 영업 재개.[8]
- * 5월 1일 : 지쿠고강 신호소를 신호장으로 변경.
- 1956년
- * 1월 10일 : 히가시오오카와역을 신설.
- * 4월 10일 : 세타카마치역을 세타카역으로 개칭.
- * 4월 11일 : 일부 열차에 기동차를 투입.[9]
- * 5월 1일 : 열차를 기동차로 전부 대체 (무연화).
- 1961년 10월 1일 : 당선 경유로 구마모토역 - 나가사키역 간을 운행하는 준급 열차 '''지쿠고''' 운행 개시.
- 1966년 3월 5일 : '지쿠고'가 급행 열차로 등급 상향.
- 1976년 2월 19일 : 사가역 고가 이전으로, 사가 - 히가시사가 간을 개업 (+0.1km).[10]
- 1980년 10월 1일 : 급행 열차 '지쿠고'가 운행 종료.
- 1984년 6월 22일 : 제2차 특정 지방 교통선으로 폐지 승인.
- 1987년 3월 28일 : 전선 (24.1km)을 폐지하고, 서일본 철도·호리카와 버스·사가시영 버스로 전환.[1]
3. 운행 형태
개통 초기에는 증기 기관차가 끄는 객차 열차로 운행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가솔린 동차를 도입하여 기동차로 대체되었다. 1982년까지는 하야키 기관구(1976년까지는 사가 기관구)의 키하17계 3량 편성으로 운행되었고, 아침에는 가라쓰 철도사업부(1983년까지는 히가시가라쓰 기동차구)의 키하35계 2량 편성도 사용되었다. 1983년 이후에는 키하17계에서 교체된 키하40계 3량 편성으로도 운행되었다.[11]
폐지 직전에는 하루 10왕복 정도 운행되었으며, 일부 열차는 가라쓰선 니시가라쓰역에서 4량 편성으로 출발하여 사가역에서 2량 편성으로 분할, 앞의 2량은 세타카역행, 뒤의 2량은 니시가라쓰역행으로 운행(편도)되거나, 세타카역 도착 후 가고시마 본선 하이나즈카역으로 가는 열차도 있었다.[11]
1961년부터 1980년까지는 구마모토역과 나가사키역을 잇는 급행 '지쿠고'가 하루 1왕복 운행되었다. '지쿠고'는 나가사키 기관구의 그린샤를 포함한 키하58계 4량 편성으로 운행되었으며, 사가선 내에서는 지쿠고오카와역과 지쿠고야나가와역에 정차했다. 그러나 두 역 모두 승강장 유효 길이가 3량분밖에 되지 않아, 1량은 문을 닫은 채 운행되었다. 급행 '지쿠고'는 나가사키 본선 상의 사가역 - 나가사키역 간을 기동차 급행 '이나사'나 '데지마'와 병결하여 운행되었다.
4. 사용 차량
여객 열차는 개업 초기에는 증기 기관차가 끄는 객차 열차였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가솔린 동차를 거쳐 기동차로 대체되었다. 1982년까지는 키하17계 3량 편성이 주로 운행되었고, 아침에는 키하35계 2량 편성도 사용되었다. 1983년 이후에는 키하40계 3량 편성으로도 운행되었다.[11]
폐지 직전에는 하루 10회 왕복 운행되었으며, 일부 열차는 가라쓰선니시가라쓰역에서 4량 편성으로 출발하여 사가역에서 2량 편성으로 분할되는 방식으로 운행되었다. 또한 야베선과 차량을 같이 사용했기 때문에, 세타카역에 도착한 후 가고시마 본선 하이나즈카역으로 가는 열차도 있었다.[11]
1961년부터 1980년까지는 하루 1왕복으로 급행 "지쿠고"가 운행되었다. 이 열차는 키하58계 4량 편성으로 구마모토역-나가사키역 구간을 운행했으며, 사가선 내에서는 지쿠고오카와역과 지쿠고야나가와역에 정차했다. 하지만 두 역의 승강장 유효 길이가 3량분밖에 되지 않아, 1량은 문을 닫은 채로 취급되었다. 급행 "지쿠고"는 나가사키 본선 상의 사가역-나가사키역 구간을 기동차 급행 "이나사"나 "데지마"와 함께 운행되었다.
5. 역 목록
킬로미터
킬로미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