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카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카린은 1879년 콘스탄틴 파흘베르크에 의해 발견된 인공 감미료이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설탕 부족으로 상업화되었으며, 1960~70년대 다이어트 식품에 널리 사용되었다.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방광암 연관성이 제기되었으나, 이후 연구를 통해 인체에는 무해하다는 결론이 내려졌고, 현재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식품 첨가물로 사용되고 있다. 사카린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합성되며, 설탕보다 훨씬 강한 단맛을 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설탕 대체 첨가물 - 갈락토스
갈락토스는 찰스 바이스만에 의해 명명되었고 젖당의 구성 성분이며, 인체 내에서 포도당으로 전환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지만, 대사 이상 시 갈락토스혈증을 유발하고 혈액형 결정 등 임상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당류이다. - 설탕 대체 첨가물 - 자일리톨
자일리톨은 설탕 대체 감미료로 충치 예방 효과가 있고 혈당 영향이 적어 당뇨 환자에게 유용하지만, 과다 섭취 시 소화기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개에게는 독성이 있어 주의해야 하는 5탄당 알코올이다. - 설폰아마이드 - 아세타졸아마이드
아세타졸아마이드는 탄산탈수효소 억제제로, 녹내장, 부종, 간질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이뇨 작용을 통해 안압, 혈압, 두개내압을 감소시키지만, 대사성 산증, 전해질 이상 등의 부작용과 약물 상호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 설폰아마이드 - 푸로세미드
푸로세미드는 부종 치료 및 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이뇨제로, 헨레 고리의 Na–K–Cl 공동수송체를 억제하며, 신장 질환, 간 경변 등에도 사용되고 부작용으로 통풍, 고혈당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러시아의 발명품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러시아의 발명품 - 태양 전지
태양전지는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로, 기술 발전을 거듭하여 발전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고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고집광 태양전지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의 새로운 기술 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이다.
사카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 | |
IUPAC 명칭 | 1,1-다이옥소-1,2-벤조티아졸-3-온 |
다른 이름 | ortho-benzoic sulfimide (오르토-벤조산 설피미드) ortho sulphobenzimide (오르토 설포벤지미드) |
식별 정보 | |
IUPHAR 리간드 | 5432 |
ChemSpider ID | 4959 |
UNII | FST467XS7D |
KEGG | D01085 |
InChI | 1/C7H5NO3S/c9-7-5-3-1-2-4-6(5)12(10,11)8-7/h1-4H,(H,8,9) |
InChIKey | CVHZOJJKTDOEJC-UHFFFAOYAR |
ChEMBL | 310671 |
표준 InChI | 1S/C7H5NO3S/c9-7-5-3-1-2-4-6(5)12(10,11)8-7/h1-4H,(H,8,9) |
표준 InChIKey | CVHZOJJKTDOEJC-UHFFFAOYSA-N |
CAS 등록번호 | 81-07-2 |
PubChem | 5143 |
ChEBI | 32111 |
SMILES | O=C2c1ccccc1S(=O)(=O)N2 |
속성 | |
분자식 | C7H5NO3S |
겉모습 | 흰색 결정성 고체 |
밀도 | 0.828 g/cm3 |
녹는점 | 228.8 - 229.7 °C |
용해도 | 1 g per 290 mL (1 g/290 mL) |
pKa | 1.6 |
위험성 |
2. 역사
사카린은 발견 직후 상업화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설탕 부족 사태가 발생하기 전까지 널리 보급되지 않았다. 칼로리가 없는 감미료인 사카린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다이어트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아졌다. 미국에서는 사카린이 종종 레스토랑에서 분홍색 포장으로 제공되는데, 가장 인기 있는 브랜드는 "Sweet'N Low"이다. 1963년부터 판매를 시작한 코카콜라사의 탭 등 다이어트 음료에도 사용되고 있다.
2. 1. 발견
1878년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이라 렘젠 실험실에서 콜타르 유도체를 연구하던 화학자 콘스탄틴 파흘베르크는 어느 저녁 손에서 단맛을 느꼈고, 이를 그날 연구하던 벤조산 술피미드 화합물과 연결시켜 1879년 사카린을 처음으로 생산했다.[20][21][22] 파흘베르크와 렘젠은 1879년과 1880년에 벤조산 술피미드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3][23] 1884년, 뉴욕시에서 독자적으로 연구하던 파흘베르크는 사카린이라는 이름을 붙인 이 물질의 생산 방법을 설명하며 여러 국가에 특허를 신청했다.[24] 2년 후, 그는 독일 마그데부르크 교외에 있는 공장에서 이 물질의 생산을 시작하여 곧 부자가 되었지만, 렘젠은 자신의 실험실에서 생산된 물질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야 한다고 믿으며 "파흘베르크는 악당이다. 그와 같은 숨결로 내 이름이 언급되는 것을 듣는 것은 역겹다."라고 말하며 격분했다.[25]2. 2. 초기 상업화
사카린은 1879년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이라 렘젠 실험실에서 콜타르 유도체를 연구하던 화학자 콘스탄틴 파흘베르크에 의해 처음 생산되었다.[20] 파흘베르크는 어느 저녁 손에서 단맛을 느꼈고, 이를 그날 연구하던 벤조산 술피미드 화합물과 연결시켰다.[21][22] 1879년과 1880년에 파흘베르크와 렘젠은 벤조산 술피미드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3][23]1884년, 뉴욕시에서 독자적으로 연구하던 파흘베르크는 사카린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이 물질의 생산 방법을 설명하며 여러 국가에 특허를 신청했다.[24] 2년 후, 그는 독일 마그데부르크 교외에 있는 공장에서 이 물질을 생산하기 시작하여 곧 부자가 되었다. 그러나 렘젠은 자신의 실험실에서 생산된 물질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야 한다고 믿으며 분노했다. 렘젠은 "파흘베르크는 악당이다. 그와 같은 숨결로 내 이름이 언급되는 것을 듣는 것은 역겹다."라고 말했다.[25]
2. 3. 확산과 규제
제1차 세계 대전 중 서인도 제도로부터 설탕 수입이 어려워지면서 영국에서는 설탕 부족 사태가 발생했고, 이에 따라 사카린 사용이 널리 보급되었다. 1917년 영국 사카린 회사가 설립되어 랭커셔 주 애크링턴 근처 Paragon Works에서 사카린 생산을 시작했다. 생산은 런던 무역위원회의 허가 및 관리를 받았으며, 1926년까지 그곳에서 계속되었다.[25]일본은 안전성을 이유로 사카린을 포함한 인공 감미료 판매를 제한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쇼와 21년)에 사카린은 사카린산나트륨(ズルチン)과 함께 유통되기 시작했다.[53]
3. 성질
사카린은 열에 안정적이며[7] 다른 식품 성분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아 보관이 용이하다. 다른 감미료와 혼합하여 각 감미료의 단점을 보완하기도 한다.
산성 형태의 사카린은 물에 잘 녹지 않는다. 인공 감미료로 사용되는 형태는 일반적으로 나트륨 염이며,[8] 칼슘 염도 때때로 사용되는데, 특히 나트륨 섭취량을 제한하는 사람들에게 그렇다. 두 염 모두 물에 잘 녹으며, 상온에서 물 1ml당 0.67g이 녹는다.[9][10]
수용액은 슈크로스의 200~700배[54][55]의 단맛과, 얼얼한 듯한 자극적인 뒷맛을 지닌다. 고농도에서는 쓴맛이 느껴지기 때문에 당류계 감미료와 혼합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사카린 자체는 거의 물에 녹지 않아 츄잉검에만 사용되며, 일반적으로는 수용성인 나트륨염(사카린산나트륨)으로서 다양한 가공식품에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한때 발암성 우려(후술) 등으로 인해 가공식품에서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 아스파탐 등으로 거의 대체되었지만, 치약에는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단맛이 나는 간장을 선호하는 규슈 지방의 간장에는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3. 1. 물리화학적 성질
사카린은 열에 안정적이며[7] 다른 식품 성분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아 보관이 용이하다. 사카린과 다른 감미료를 혼합하여 각 감미료의 단점을 보완하기도 한다. 두 감미료가 모두 합법적인 국가에서는 10:1의 사이클라메이트-사카린 혼합물이 일반적이며, 이 혼합물에서 각 감미료는 서로의 불쾌한 맛을 감춘다. 사카린은 다이어트 탄산음료에 아스파탐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분수대 시럽이 아스파탐의 비교적 짧은 유통기한을 넘어서 보관되더라도 어느 정도의 단맛이 남아있게 된다.산성 형태의 사카린은 물에 잘 녹지 않는다. 인공 감미료로 사용되는 형태는 일반적으로 나트륨 염이다.[8] 칼슘 염도 때때로 사용되는데, 특히 나트륨 섭취량을 제한하는 사람들에게 그렇다. 두 염 모두 물에 잘 녹는다. 상온에서 물 1ml당 0.67g이 녹는다.[9][10]
수용액은 슈크로스의 350배[54] 또는 200~700배[55]의 단맛과, 얼얼한 듯한 자극적인 뒷맛을 지닌다. 단, 고농도에서는 쓴맛이 느껴지기 때문에, 당류계 감미료와 혼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카린 자체는 거의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츄잉검에만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수용성인 나트륨염(사카린산나트륨)으로서 다양한 가공식품에 사용된다.
3. 2. 다른 감미료와의 혼합
사카린은 다른 감미료와 혼합하여 각 감미료의 단점을 보완하는 경우가 많다. 사이클라메이트와 사카린을 10:1 비율로 혼합하면 각 감미료의 불쾌한 맛을 서로 감출 수 있다.[7] 사카린은 아스파탐과 함께 다이어트 탄산음료에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아스파탐의 짧은 유통기한을 보완하여 단맛을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이다.사카린은 농도가 높으면 쓴맛이 나기 때문에 당류계 감미료와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54][55]
4. 안전성 및 건강 영향
사카린은 과거 발암성 논란으로 인해 여러 국가에서 사용이 금지되기도 했으나,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나타난 방광암 발생이 인체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오해가 풀렸다.[63][64][65] 현재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다시 사용이 허용되고 있다.
2010년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사카린을 '인간 유해 우려 물질' 목록에서 삭제했다.[64][65] 이는 사카린이 인체 건강에 잠재적 위험이 아니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미국에서는 사카린이 대량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중국[57]이나 일본 등에서는 식품위생법에 따라 각 식품에 대한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으며, 포장에 그 내용과 사용량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에서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사카린나트륨의 사용 기준을 정하고 있다.
사카린나트륨은 다음 식품에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량은 다음과 같다.
식품 종류 | 사용량 (사카린나트륨 기준) |
---|---|
젓갈류, 절임류, 조림류 | 1.0g/kg 이하 |
김치류 | 0.2g/kg 이하 |
음료류 (발효음료류, 인삼․홍삼음료, 다류 제외) | 0.2g/kg 이하 (5배 이상 희석 시 1.0g/kg 이하) |
어육가공품류 | 0.1g/kg 이하 |
시리얼류 | 0.1g/kg 이하 |
뻥튀기 | 0.5g/kg 이하 |
특수의료용도등식품 | 0.2g/kg 이하 |
체중조절용조제식품 | 0.3g/kg 이하 |
건강기능식품 | 1.2g/kg 이하 |
추잉껌 | 1.2g/kg 이하 |
잼류 | 0.2g/kg 이하 |
장류 | 0.2g/kg 이하 |
소스 | 0.16g/kg 이하 |
토마토케첩 | 0.16g/kg 이하 |
탁주 | 0.08g/kg 이하 |
소주 | 0.08g/kg 이하 |
과실주 | 0.08g/kg 이하 |
기타 코코아가공품, 초콜릿류 | 0.5g/kg 이하 |
빵류 | 0.17g/kg 이하 |
과자 | 0.1g/kg 이하 |
캔디류 | 0.5g/kg 이하 |
빙과 | 0.1g/kg 이하 |
아이스크림류 | 0.1g/kg 이하 |
조미건어포 | 0.1g/kg 이하 |
떡류 | 0.2g/kg 이하 |
복합조미식품 | 1.5g/kg 이하 |
마요네즈 | 0.16g/kg 이하 |
과·채가공품 | 0.2g/kg 이하 |
옥수수(삶거나 찐 것) | 0.2g/kg 이하 |
당류가공품 | 0.3g/kg 이하 |
2015년에는 사카린이 항암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66]
최근 연구에서는 사카린이 장내 미생물총 변화를 통해 당내성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58] 사카린은 식품 에너지가 없고 영양가도 없지만,[14] 당뇨병 또는 전당뇨병 환자의 섭취에도 안전하다.[15][16] 다만, 설폰아마이드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사카린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수 있다.[17][18]
4. 1. 발암성 논란
1970년대,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고용량의 사카린 섭취와 방광암 발생 사이의 연관성이 발견되었다.[11] 그러나 후속 연구에서 이러한 효과는 인체에는 해당되지 않는 메커니즘(결정의 침착) 때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11] 역학적 연구에서는 사카린이 인체의 방광암과 관련이 있다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11][12] 국제암연구소(IARC)는 초기에는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카린을 2B군("사람에게 발암 가능성이 있음")으로 분류했지만, 후속 연구 검토 결과 3군("사람에 대한 발암성으로 분류할 수 없음")으로 재분류했다.[13]1960년대에 실시된 동물실험에서 수컷 쥐에게 방광암 발생이 관찰되었으나(암컷에서는 관찰되지 않음), 이후 원숭이를 포함한 다양한 동물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발암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코헨 등[56]이 원숭이에게 24년간 사카린을 투여한 실험에서도 사카린이 원인으로 보이는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재검토를 거쳐 현재 사카린은 발암물질 목록에서 삭제되었다.
4. 2. 안전성 재평가
1970년대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고용량 사카린 섭취와 방광암 발생 간 연관성이 발견되었다.[11]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 이는 인체에 해당되지 않는 메커니즘 때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11] 역학 연구에서도 사카린이 인체 방광암과 관련 있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11][12] 국제암연구소(IARC)는 초기 쥐 대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카린을 2B군(사람에게 발암 가능성이 있음)으로 분류했으나, 이후 3군(사람에 대한 발암성으로 분류할 수 없음)으로 재분류했다.[13]1907년부터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사카린을 조사하기 시작했다. 당시 FDA 화학국 국장이었던 하비 와일리는 사카린을 설탕의 불법 대체재로 간주했다. 그러나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사카린을 섭취했고, 와일리에게 "사카린이 건강에 해롭다고 말하는 사람은 바보입니다."라고 말했다.[26] 1911년 식품검사결정 135는 사카린 함유 식품을 변질되었다고 했지만,[27] 1912년 식품검사결정 142는 사카린이 해롭지 않다고 밝혔다.[28]
1969년 FDA 조사 자료가 발견되며 논란이 일었다. 이 조사들은 사카린이 인체에 해롭다는 것을 거의 증명하지 못했다. 1977년 FDA는 사카린이 쥐에게 방광암을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금지하려 했으나, 대중 반대로 실패하고 경고 라벨을 의무화했다.[39] 2000년, 인간은 쥐와 다르게 반응하며 일반적 섭취량에서는 암 위험이 없다는 결론으로 경고 라벨은 삭제되었다.[39]
2001년, FDA와 캘리포니아 주는 사카린을 안전한 섭취 물질로 선언했다.[39] 2010년 12월,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사카린을 '인간 유해 우려 물질' 목록에서 삭제했다.[64][65] EPA는 사카린이 더 이상 인체 건강에 잠재적 위험이 아니라고 밝혔다.[40]
사카린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허용되며, 캐나다는 식품 첨가물로서 사카린에 대한 이전 금지를 해제했다.[30] 사카린이 방광암과 관련 있다는 주장은 영장류 실험에서 근거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31] 사카린은 제안 65의 화학 물질 목록에서 2001년에 제외되었다.[33]
유럽 연합에서는 사카린을 E 번호(첨가물 코드) E954로 표기한다.[29]
4. 3. 기타 건강 영향
사카린은 식품 에너지가 없으며 영양가도 없다.[14] 당뇨병 또는 전당뇨병 환자가 섭취해도 안전하다.[15][16]설폰아마이드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사카린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항균성 설폰아마이드와 비항균성 설폰아마이드(사카린과 같은) 사이의 특정 교차 반응이라기보다는 일반적인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소인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17][18] 치약에 함유된 사카린은 민감한 사람에게 입술과 입의 작열감, 부기, 발진을 유발할 수 있다.[19]
마우스에 포도당 또는 사카린을 투여하면, 사카린을 투여받은 마우스에서는 포도당 부하 검사에서 당내성장애를 보였다. 사카린을 투여받은 마우스와 포도당을 투여받은 마우스를 비교하면, 두 그룹은 서로 다른 장내미생물총 분포를 보였다. 또한, 사카린 투여 마우스의 당내성 장애는 항생제를 투여하면 개선되고, 사카린 투여 마우스의 장내미생물총이나 사카린 존재 하에 배양된 장내세균을 무균 마우스에 이식하면 당내성 장애를 일으키며, 사람에게서도 사카린 투여에 의해 당내성 이상을 보인 경우에는 투여 전후로 장내미생물총의 변화를 인지하고, 투여 후의 장내미생물총을 마우스에 이식함으로써 당내성 이상을 일으키는 등의 결과로부터, 사카린에 의한 장내미생물총의 변화에 의해 당내성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생각되었다. 기전으로는, 사카린 투여에 의해 장내세균의 글리칸 분해 경로가 활성화되어, 그것에 따라 에너지 흡수의 증가로 이어지는 단쇄지방산이 장관 내에 증가하는 것이 나타나, 그것이 당내성 이상을 유발했다고 생각된다.[58]
5. 용도
사카린은 열에 안정적이고[7] 다른 식품 성분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아 보관이 용이하다. 사이클라메이트와 10:1로 혼합하여 각 감미료의 단점을 보완하기도 한다. 사카린은 아스파탐과 함께 다이어트 탄산음료에 사용되기도 한다.
산성 형태의 사카린은 물에 잘 녹지 않아, 보통 나트륨 염 형태 (사카린나트륨)로 사용된다.[8] 칼슘 염도 사용되는데, 특히 나트륨 섭취량을 제한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다. 두 염 모두 물에 잘 녹으며, 상온에서 물 1ml당 0.67g이 녹는다.[9][10] 사카린 수용액은 슈크로스의 200~700배[55] (또는 350배[54])의 단맛을 가지며, 약간의 쓴 뒷맛이 있다. 고농도에서는 쓴맛이 강해지므로, 당류계 감미료와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사카린 자체는 물에 잘 녹지 않아 츄잉검에만 사용되며, 일반적으로는 물에 잘 녹는 사카린나트륨 형태로 다양한 가공식품에 사용된다.
과거에는 발암성 문제로 인해 사용이 금지되기도 했으나, 오해가 풀려 현재는 다시 허용되고 있다.[63][64][65] 2010년,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사카린을 '인간 유해 우려 물질' 목록에서 삭제했다.[64][65]
2015년 3월 23일 플로리다 의대의 로버트 메켄너 교수 연구팀은 사카린이 항암 효과가 있어 여러 암의 항암제 개발의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66]
5. 1. 식품 첨가물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첨가물공전에 따르면, 사카린나트륨은 다음 식품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량은 아래와 같다.식품 종류 | 사용량 (사카린나트륨 기준) |
---|---|
젓갈류, 절임류, 조림류 | 1.0g/kg 이하 |
김치류 | 0.2g/kg 이하 |
음료류 (발효음료류, 인삼·홍삼음료, 다류 제외) | 0.2g/kg 이하 (단, 5배 이상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은 1.0g/kg 이하) |
어육가공품류 | 0.1g/kg 이하 |
시리얼류 | 0.1g/kg 이하 |
뻥튀기 | 0.5g/kg 이하 |
특수의료용도등식품 | 0.2g/kg 이하 |
체중조절용조제식품 | 0.3g/kg 이하 |
건강기능식품 | 1.2g/kg 이하 |
추잉껌 | 1.2g/kg 이하 |
잼류 | 0.2g/kg 이하 |
장류 | 0.2g/kg 이하 |
소스 | 0.16g/kg 이하 |
토마토케첩 | 0.16g/kg 이하 |
탁주 | 0.08g/kg 이하 |
소주 | 0.08g/kg 이하 |
과실주 | 0.08g/kg 이하 |
기타 코코아가공품, 초콜릿류 | 0.5g/kg 이하 |
빵류 | 0.17g/kg 이하 |
과자 | 0.1g/kg 이하 |
캔디류 | 0.5g/kg 이하 |
빙과 | 0.1g/kg 이하 |
아이스크림류 | 0.1g/kg 이하 |
조미건어포 | 0.1g/kg 이하 |
떡류 | 0.2g/kg 이하 |
복합조미식품 | 1.5g/kg 이하 |
마요네즈 | 0.16g/kg 이하 |
과·채가공품 | 0.2g/kg 이하 |
옥수수 (삶거나 찐 것에 한함) | 0.2g/kg 이하 |
당류가공품 | 0.3g/kg 이하 |
사카린은 열에 안정적이며[7] 다른 식품 성분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아 보관이 용이하다. 사카린과 다른 감미료를 혼합하여 각 감미료의 단점을 보완하기도 한다. 사이클라메이트와 사카린을 10:1로 혼합한 것이 대표적인 예시다. 사카린은 아스파탐과 함께 다이어트 탄산음료에 사용되기도 한다.
산성 형태의 사카린은 물에 잘 녹지 않아, 보통 나트륨 염 형태 (사카린나트륨)로 사용된다.[8] 칼슘 염도 사용되는데, 특히 나트륨 섭취량을 제한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다. 두 염 모두 물에 잘 녹으며, 상온에서 물 1ml당 0.67g이 녹는다.[9][10]
사카린 수용액은 슈크로스의 200~700배[55] (또는 350배[54])의 단맛을 가지며, 약간의 쓴 뒷맛이 있다. 고농도에서는 쓴맛이 강해지므로, 당류계 감미료와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사카린 자체는 물에 잘 녹지 않아 츄잉검에만 사용되며, 일반적으로는 물에 잘 녹는 사카린나트륨 형태로 다양한 가공식품에 사용된다.
과거에는 발암성 문제로 인해 사용이 금지되기도 했으나, 오해가 풀려 현재는 다시 허용되고 있다.[63][64][65] 2010년,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사카린을 '인간 유해 우려 물질' 목록에서 삭제했다.[64][65]
5. 2. 기타 용도
사카린은 치약에 많이 사용되며, 단맛이 나는 간장을 선호하는 규슈 지방의 간장에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54]6. 합성
사카린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41] 초기에는 톨루엔을 이용해 합성했지만, 수율이 낮았다. 1950년에는 안트라닐산에 아질산, 이산화황, 염소, 암모니아를 순차적으로 반응시키는 개선된 합성법이 보고되었다.[59] 2-클로로톨루엔을 이용해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6. 1. 초기 합성법
사카린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생산될 수 있다.[41] 렘센과 파흘베르크가 처음 사용한 방법은 톨루엔을 이용하는 것이고, 다른 방법은 오르토-클로로톨루엔으로 시작한다.[42] 클로로황산을 이용한 톨루엔의 설폰화는 오르토 및 파라 치환된 술포닐 클로라이드를 생성한다. 오르토 이성질체를 분리하여 암모니아를 이용해 술폰아미드로 전환한다. 메틸 치환체의 산화는 카르복실산을 생성하고, 이는 고리화되어 사카린 유리산을 생성한다.[43]
6. 2. 개량 합성법
1950년, 오하이오주 톨레도의 모미 화학 회사(Maumee Chemical Company)에서 개선된 합성법이 개발되었다. 이 합성법에서는 메틸 안트라닐레이트가 아질산나트륨과 염산으로부터 생성된 아질산과 이산화황, 염소, 그리고 암모니아와 순차적으로 반응하여 사카린을 생성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accharin
https://pubchem.ncbi[...]
PubChem,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3-06-15
[2]
웹사이트
Saccharin (CAS: 81-07-2)
https://www.merckmil[...]
Merck Millipore
2022-08-22
[3]
서적
NCERT Chemistry Part II Textbook for Class XII
NCERT
2021
[4]
웹사이트
Saccharin
https://www.drugs.co[...]
2023-06-15
[5]
웹사이트
Saccharine
https://dictionary.r[...]
[6]
웹사이트
Saccharine
https://www.etymonli[...]
[7]
웹사이트
Sweetener Comparisons
https://projects.ncs[...]
NCSU
2006
[8]
논문
Artificial sweeteners - a review
2014-04
[9]
논문
Über die Oxydation des Orthotoluolsulfamids
https://gallica.bnf.[...]
1879
[10]
논문
Making governmental policy under conditions of scientific uncertainty: a century of controversy about saccharin in Congress and the laboratory
1980
[11]
웹사이트
Artificial Sweeteners and Cancer
https://www.cancer.g[...]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5-08-18
[12]
논문
Artificial sweeteners--do they bear a carcinogenic risk?
2004-10
[13]
웹사이트
Saccharin: FDA Agencies
https://enhs.umn.edu[...]
University of Minnesota,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14]
웹사이트
Common Terms: S–Z
https://www.diabetes[...]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15]
웹사이트
Low-Calorie Sweeteners: What's News, What's New
https://journal.diab[...]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16]
웹사이트
Are Artificial Sweeteners Safe for People With Diabetes?
https://health.cleve[...]
Cleveland Clinic
2015-06-29
[17]
논문
Absence of Cross-Reactivity between Sulfonamide Antibiotics and Sulfonamide Nonantibiotics
2003
[18]
논문
Sulfonamide Allergies
2019
[19]
웹사이트
Toothpaste Allergy: Yes, You Can be Allergic to Toothpaste
https://www.colgate.[...]
2020-03-29
[20]
문서
Saccharin Discovery Contested
[21]
논문
The inventor of saccharine
https://books.google[...]
1886-07-17
[22]
서적
The 100 Most Important Chemical Compounds: A Reference Guide
Greenwood Press
2007
[23]
논문
On the Oxidation of Substitution Products of Aromatic Hydrocarbons. IV. – On the oxidation of orthotoluenesulphamide
https://babel.hathit[...]
1880-02
[24]
특허
Manufacture of saccharine compounds
[25]
서적
The Life of Ira Remsen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40
[26]
웹사이트
Sugar: A Cautionary Tale
https://www.fda.gov/[...]
[27]
서적
Federal, State, and Territorial Reference Manual of Pure Food and Drug Law: Dunn's Pure Food and Drug Legal Manual
https://books.google[...]
1913
[28]
뉴스
Monthly Bulletin
https://books.google[...]
California State Board of Health
1921
[29]
웹사이트
Approved additives and E numbers
https://www.food.gov[...]
[30]
웹사이트
Saccharin cleared for use in foods in Canada
https://www.agcanada[...]
Health Canada
[31]
논문
Long-term feeding of sodium saccharin to nonhuman primates: implications for urinary tract cancer
1998-01
[32]
웹사이트
USPS Mailing Conditions
https://pe.usps.com/[...]
[33]
웹사이트
Saccharin Delisted Effective April 6, 2001 as Known to the State to Cause Cancer
https://www.oehha.ca[...]
2015-12-28
[34]
뉴스
Saccharin warning
https://news.google.[...]
Associated Press via Telegraph-Herald
1973-05-22
[35]
논문
Saccharin mechanistic data and risk assessment: urine composition, enhanced cell proliferation, and tumor promotion
1996
[36]
저널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IPCS conceptual framework for evaluating mode of action of chemical carcinogens
2002-12-01
[37]
웹사이트
Report on Carcinogens, Thirteenth Edition, Appendix B
https://ntp.niehs.ni[...]
National Toxicology Program
[38]
웹사이트
Artificial Sweeteners and Cancer
https://www.cancer.g[...]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9-08-05
[39]
뉴스
Saccharin's mostly sweet following
https://www.latimes.[...]
2010-12-27
[40]
뉴스
EPA Removes Saccharin from Hazardous Substances Listing
https://yosemite.epa[...]
2010-12-14
[41]
저널
Commercial, Synthetic Nonnutritive Sweeteners
1998-01-01
[42]
저널
Die Süßstoffe
1967-01-01
[43]
Ullmann's
Sweeteners
[44]
저널
The Catalyzed Dehydration of Acetaldehyde Hydrate, and the Effect of Structure on the Velocity of Protolytic Reactions
1949-01-01
[45]
저널
Synthesis and reactivity of nitrogen nucleophiles-induced cage-rearrangement silsesquioxanes
2012-11-01
[46]
저널
Novel Gabriel reagents
2002-05-01
[47]
저널
A New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Secondary Amines. I. Synthesis of Aliphatic Secondary Amines
https://www.jstage.j[...]
1952-01-01
[48]
웹사이트
Saccharin
https://pubchem.ncbi[...]
PubChem,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3-06-13
[49]
웹사이트
Saccharin (CAS: 81-07-2)
https://www.merckmil[...]
Merck Millipore
2023-01-01
[50]
서적
NCERT Chemistry Part II Textbook for Class XII
NCERT
2021-01-01
[51]
저널
The Catalyzed Dehydration of Acetaldehyde Hydrate, and the Effect of Structure on the Velocity of Protolytic Reactions
1949-01-01
[52]
웹사이트
Saccharin
https://www.guideche[...]
[53]
서적
増補新版 現代世相風俗史年表 昭和20年(1945)-平成20年(2008)
河出書房新社
2003-11-07
[54]
서적
マクマリー有機化学(下)
東京化学同人
[55]
웹사이트
砂糖のあれこれ
http://sugar.alic.go[...]
独立行政法人農畜産業振興機構
2001-09-01
[56]
저널
Long-term feeding of sodium saccharin to nonhuman primates: implications for urinary tract cancer
[57]
문서
zh:Special:Permalink/61714123
[58]
웹사이트
人工甘味料と糖代謝|農畜産業振興機構
https://www.alic.go.[...]
[59]
저널
Commercial, Synthetic Nonnutritive Sweeteners
[60]
서적
Merck Index
[61]
웹사이트
IUPAC-Name
https://pubchem.ncbi[...]
PubChem
[62]
저널
The Catalyzed Dehydration of Acetaldehyde Hydrate, and the Effect of Structure on the Velocity of Protolytic Reactions
[63]
저널
http://query.nytimes[...]
[64]
뉴스
사카린, '인체 유해물질' 목록서 삭제
http://mbn.mk.co.kr/[...]
뉴스채널
[65]
뉴스
설탕보다 300배 단맛…사카린은 ‘인체 유해물질’? NO!
http://biz.heraldm.c[...]
헤럴드경제
[66]
뉴스
발암물질 누명 벗은 사카린의 역전… 항암 효과 있는 것으로 밝혀져
http://m.news.naver.[...]
서울경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