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람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람보》는 귀스타브 플로베르가 쓴 소설로, 제1차 포에니 전쟁 이후 카르타고를 배경으로 한다. 플로베르는 《보바리 부인》의 법적 문제 이후, 논란의 여지가 적은 주제를 찾다가 튀니지를 방문하여 소설의 배경을 탐험했다. 이 소설은 카르타고의 여사제 살람보와 용병 지도자 마토스의 비극적인 사랑을 중심으로, 용병들의 반란과 카르타고의 갈등을 그린다. 출판 당시 문체와 줄거리로 호평을 받았으며, 카르타고 의상과 북아프리카 묘사가 유행에 영향을 미쳤다. 이 작품은 오페라, 영화, 연극, 게임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으며,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어 미술 작품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2년 소설 - 죽은 영혼
니콜라이 고골이 1842년에 발표한 풍자 소설 《죽은 영혼》은 1861년 농노 해방 개혁 이전 러시아를 배경으로, 파벨 치치코프라는 사기꾼이 '죽은 영혼'을 사들이는 과정을 통해 당시 사회의 부패와 속물주의를 풍자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다. -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소설 - 보바리 부인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소설 보바리 부인은 낭만적 환상에 젖은 엠마 보바리의 비극적인 삶을 통해 프랑스 사회의 허위와 위선을 비판적으로 조명하며, 사실주의 문학의 대표작으로 현대 소설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소설 - 부바르와 페퀴셰
《부바르와 페퀴셰》는 귀스타브 플로베르의 미완성 소설로, 두 필경사가 시골에서 다양한 분야에 도전하며 겪는 실패를 통해 19세기 과학 만능주의와 인간 지식의 한계를 풍자한다.
살람보 - [서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Salammbô |
제목 | 살람보 |
언어 | 프랑스어 |
장르 | 역사 소설 |
저자 | 귀스타브 플로베르 |
국가 | 프랑스 |
출판사 | 미셸 레비 프레르 |
출판일 | 1862년 11월 24일 |
2. 집필 배경
《보바리 부인》 출판 이후 플로베르는 "부도덕"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다.[1] 이후 그는 다음 소설을 위해 논란이 적을 주제를 찾고자 했다. 1857년 3월, 플로베르는 펠리시앙 드 소시에게 편지를 보내 카르타고에 대한 조사를 할 계획을 밝혔다. 1858년 1월 23일, 샹테피 부인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나는 반드시 아프리카에 가야 합니다. 그래서 3월 말 즈음에 이국적인 대추야자의 나라로 돌아갈 것입니다. 흥분에 어지럽습니다. 다시 말에 올라타 낮을 보내고 밤에는 텐트에서 보낼 것입니다. 마르세유에서 증기선을 탈 때 얼마나 행복한 숨결을 들이쉴까!"라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1858년 4월 12일부터 6월 5일까지 플로베르는 소설의 배경을 탐험하기 위해 튀니지를 방문했지만, 고대 시대의 유물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2]
플로베르의 이전 사실주의 작품인 ''보바리 부인''과 출판 이후 이어진 법적 논쟁에 익숙했던 당시 독자들은, 폭력성과 관능성이 플로베르의 이전 작품과는 거리가 멀었음에도 불구하고, ''살람보''를 베스트셀러로 만들었다. 이 작품은 문체와 줄거리로 호평을 받았다. 카르타고 의상에 대한 묘사, 그리고 로마 시대 북아프리카에 대한 묘사는 당시 유행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 지역에 대한 고고학적 탐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제1차 포에니 전쟁 이후, 카르타고는 용병들에게 약속한 보수를 지급하지 못해 반란에 직면한다. 카르타고의 장군 하밀카르 바르카의 딸이자 여사제인 살람보는 용병 지도자 마토의 욕망의 대상이 된다. 마토는 책략가인 자유 노예 스펜디우스의 도움을 받아 카르타고의 성스러운 베일인 자임프를 훔치고, 살람보는 이를 되찾기 위해 용병 진영으로 잠입한다. 자임프는 여신 타니트의 사당인 ''지성소'' 안에 있는 여신상에 걸린 화려한 보석 장식 베일로, 도시의 수호자이자 만지는 자에게 죽음을 가져다주는 물건이다.
3. 출판 및 반응
4. 줄거리
4. 1. 주요 등장인물
등장인물 | 설명 |
---|---|
살람보 | 하밀카르 바르카의 딸이자 여사제. 신비롭고 매혹적인 인물로, 마토와의 비극적인 사랑을 통해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
마토 | 리비아 출신의 용병 지도자. 살람보를 향한 맹목적인 욕망에 사로잡혀 파멸을 향해 나아간다. |
하밀카르 바르카 | 카르타고의 장군이자 살람보의 아버지. 용병 반란 진압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스펜디우스 | 노예 출신의 책략가. 마토를 부추겨 반란을 일으키고, 교활한 계략으로 카르타고를 위협한다. |
나르 하바스 | 누미디아 왕자이자 용병 지도자. 살람보를 사이에 두고 마토와 대립한다. |
하노 | 카르타고의 장군. 무능하고 부패한 인물로, 용병 반란을 제대로 진압하지 못한다. 용병 전쟁의 한니발과 하노 대왕을 기반으로 한다. |
압달로님 | 하밀카르 바르카의 집사 감독관 |
오타리투스 | 용병의 갈리아 지도자 |
데모나데스 | 하노의 하인 |
기데넴 | 하밀카르 바르카의 노예 총독 |
기스코(게스코) | 카르타고 장군 |
한니발 | 하밀카르 바르카의 어린 아들 |
이디발 | 하밀카르 바르카의 하인 |
샤하바림 | 타니스의 대제사장이며 살람보의 스승 |
타아나크 | 살람보를 시중드는 노예 |
자르자스 | 발레아레스 제도 출신의 용병 지도자 |
5. 역사적 부정확성
플로베르는 그리스 역사가 폴리비오스의 포에니 전쟁에 대한 기록을 참고했지만, 소설의 재미를 위해 일부 내용을 각색하거나 창작했다. 용병들이 한니발이라는 카르타고 장군을 처형했지만, 플로베르는 제2차 포에니 전쟁의 영웅인 한니발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등장인물의 이름을 '하노'로 변경했다.
6. 각색
《살람보》는 소설의 인기에 힘입어 오페라, 영화, 만화 등 다양한 장르로 각색되었다.
분야 | 제목 및 설명 |
---|---|
오페라 | |
영화 | |
기타 |
6. 1. 오페라
모데스트 무소르그스키가 작곡한 미완성 오페라 살람보(1863–66)와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가 작곡한 미완성 오페라 살람보가 있다. 에르네스트 레예르는 플로베르의 소설을 바탕으로 오페라 살람보(1890)를 작곡했다. 요제프 마티아스 하우어도 플로베르의 소설을 바탕으로 오페라 ''살람보''(1929)를 작곡했다. 프랑스 작곡가 필리프 페넬롱의 오페라 ''살람보''는 플로베르의 소설을 바탕으로 장-이브 마송이 쓴 대본을 사용했다(1998). 플로랑 슈미트의 ''살람보: 세 개의 관현악 모음곡 작품 76''은 피에르 마라돈의 1925년 영화 음악에서 발췌했다.6. 2. 영화
조반니 파스트로네 감독의 1914년 이탈리아 무성 영화 《카비리아》가 제작되었다.[1] 도메니코 가이도 감독의 1915년 이탈리아 무성 영화 《살람보》는 이탈리아에서 1914년 10월에 개봉되었고, 미국에서는 1915년 3월 3일에 초연되었다.[2] 피에르 마로동 감독, 플로랑 슈미트 작곡의 1925년 무성 영화 《살람보》가 제작되었다.[3] 세르지오 그리에코 감독의 1962년 검과 샌들 영화 《살람보의 사랑》이 제작되었다.[4] 오손 웰스의 영화 《시민 케인》에서는 찰스 포스터 케인의 아내 수잔이 가상의 오페라에서 살람보 역을 노래하는 장면이 나오며, 여기에 사용된 아리아는 버나드 허먼이 작곡했다.[5]6. 3. 기타
- 찰스 러드램의 연극 《살람보》(1988)가 만들어졌다.
- 필리프 드뤼예의 SF 그래픽 노블 시리즈 《살람보》(1980, 1982, 1986)가 만들어졌다.
- 드림캐처 인터랙티브에서 제작하고 드뤼예의 삽화가 사용된 윈도우 게임 《살람보: 카르타고를 위한 전투》(2003)가 만들어졌다. 이 게임은 귀스타브 플로베르와 필리프 드뤼예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다.
- 케이트린 R. 키어넌의 단편 소설 "살람보"(1999)와 "살람보 리덕스"(2007)가 있다.
- 자크 마르탱의 역사 만화 시리즈 《알릭스의 모험》은 이 소설에서 영감을 받았다.[3]
- 루앙 미술관은 2021년에 "살람보: 분노! 열정! 코끼리!"라는 전시회를 열었다.[4]
7. 예술 작품
소설 《살람보》는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어, 다양한 미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알폰스 무하, 가스통 뷔시에르, 장-앙투안-마리 이드라크, 앙리 아드리앙 타누, 오귀스트 로댕, 조르주 로슈그로스 등 여러 화가와 조각가들이 살람보를 주제로 작품을 만들었다.
8. 한국어 번역
참조
[1]
웹사이트
Art Imitates Life Imitates Art
https://www.parisupd[...]
2021-06-02
[2]
서적
Correspondances, Tome II
Bibliothèque de la Pléiade
[3]
웹사이트
Jacques Martin
https://www.lambiek.[...]
2021-06-03
[4]
웹사이트
Salambô: Fureur! Passion! Éléphants!
https://mbarouen.fr/[...]
2021-01-28
[5]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オペラ大事典
[6]
서적
元版は「フロオベル全集6」改造社、1936年。改造文庫(上下)、1938年
[7]
서적
初訳版は白水社(1950年、序文[[辰野隆]])。「全集」初版は1966年(再版1976年)、長年品切で希少本となり古書値は高かった。
[8]
서적
元版:博文館「近代西洋文芸叢書」、1913年/春陽堂「世界名作翻訳全集」、1932年。後者を復刻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