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경로 (금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경로는 금나라가 통치했던 지역으로, 여진족의 발상지이자 금나라 초기 수도였던 상경을 중심으로 통치 체제가 강화되었다. 이 지역은 완안부를 비롯한 여러 생여진 부족들의 근거지였으며, 쑹화강에서 국명 '금(金)'이 유래되었다. 상경회령부를 비롯하여 조주, 융주, 신주 등의 행정 구역과 포여로, 합라로, 휼품로, 갈소관로, 호리개로 등의 속로로 구성되었다. 특히 합라로는 고려에게 반환받은 동북 9성 일대에 설치되어 군사적, 외교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나라의 로 - 북경로
    북경로는 금나라 시기에 현재의 랴오닝성, 내몽골 자치구, 허베이성 일부를 포함하는 지역을 관할하며, 수도 중도를 포함한 정치, 경제, 군사적 중심지였다.
  • 금나라의 로 - 진봉로
    진봉로는 송나라 시대 간쑤성 중부와 남부 지역을 일컫는 지명으로, 현재의 간쑤성 중부와 남부 일대에 해당하며, 진주와 봉상부가 이 지역에 속했다.
  • 헤이룽장성의 역사 - 쑹장성
    쑹장성은 1945년부터 1949년까지 중국에 존재했던 성으로, 만주국 붕괴 후 국민정부가 설치했으나 국공내전으로 중국 공산당의 군정이 시행되어 다른 성에 통폐합되었으며, 현재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대부분과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대부분 지역에 해당했고 성회는 무단장시에 있었다.
  • 헤이룽장성의 역사 - 넌장성
    넌장 성은 만주국 룽장 성을 전신으로, 현재의 헤이룽장 성 서부 지역에 해당했으며, 치치하얼 시에 성회를 두고 1시 18현 2기를 관할했으나 국공 내전으로 행정 기구가 붕괴되었다.
  • 지린성의 역사 - 지린성 (중화민국)
    지린성은 중화민국 시기에 설치되었으나 만주사변으로 만주국에 편입되어 통치권이 소멸되었다가 일본 패망 후 재건되었지만 국공내전으로 중국 공산당에 점령되어 중화민국의 행정권이 소멸되었다.
  • 지린성의 역사 - 쓰핑 육군전차학교
    쓰핑 육군전차학교는 1940년 일본 제국 육군이 중국 만주 쓰핑에 설립하여 기갑사단 장병의 교육 훈련을 담당하다 1945년 종전 직전 폐쇄된 전차 교육 기관이다.
상경로 (금나라)
상경로
국가금나라
행정 구역 정보
성격금나라의 5개의 수도 중 하나
별칭회령부(會寧府)
북경(北京)
지리 정보
위치지금의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아청구 부근

2. 연혁

여진족의 발상지: 상경로는 금나라를 세운 완안부를 비롯한 여러 생여진 부족들의 근거지였다. 완안부 인근의 쑹화강(송화강)은 당시 '안출호수'(安出虎水)로 불렸으며, 여기서 '금(金)'이라는 국명이 유래했다. 1138년(천권 원년), 금나라는 수도를 상경(上京)으로 옮기고, 이 지역을 중심으로 통치 체제를 강화했다.

3. 행정 구역

3. 1. 상경회령부

금나라 초기 수도는 상경이었다.

3. 2. 조주(肇州)

조주는 하급주로 방어사가 배치되었다. 옛 출하점으로, 조기왕(肇基王)이 길쌈하던 곳이다. 1130년(천회 8년), 완안아골타가 요나라를 격퇴하고 줄르 설치했다. 1138년 10월 방어사를 두고 회령부의 속주로 두었다. 해릉양왕 시절 제주(濟州)를 지탱하는 군으로 바뀌었다.

1198년(승안 3년), 태조의 땅이었다는 이름으로 절진을 설치하고 무흥군(武興軍)이라는 군명을 받았다. 1214년( 정원 2년), 무흥군 절진으로 이름짓고 초토사를 두었다. 1현 5,375호를 두었다. 시흥기(始興倚) 현이 있었으며, 압자하와 흑룡강(黑龍江)이 있다.

3. 3. 융주(隆州)

융주는 현재의 지린성 눙안현(농안현)이다. 부여부 문서를 참고.

3. 4. 신주(信州)

신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신주 문서를 참고.

4. 속로

4. 1. 포여로(蒲與路)

금나라 초에는 만호(萬戶)가 설치되었으나, 해릉양왕 시기에 폐지되고 절도사가 설치되었다. 1198년, 절도부사(節度副使)를 파견했다. 남쪽으로 상경까지 670리 거리로 동쪽에 호리개까지 1,400리 거리이다. 북쪽으로 국경선 지역에 있는 화로화탄모극(火魯火疃謀克)까지 3,000리 거리에 있었다. 당시 치소가 있던 고성은 치치하얼 시 커둥 현에 위치하고 있다.

4. 2. 합라로(合懶路)

합라로(合懶路)는 고려에게 환원받은 동북 9성 일대에 설치되었으며, 총관부가 있었다. 1153년(정원 원년) 총관을 윤(尹)으로 고치고 병마도총관을 겸임하게 했다. 절도부사를 두었다. 1198년 병마부관(과거에는 공해총(貢海蔥)이라 칭함)을 두었고 1187년(대정 27년)에 파했다. 이록고수(移鹿古水)가 있고 서쪽으로 상경까지 1,800리, 동남쪽으로 고려 국경까지 500리 거리에 있다. 고려와의 국경 지대에 위치하여 군사적, 외교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다.

4. 3. 휼품로(恤品路)

자세한 내용은 솔빈부 문서를 참고.

4. 4. 갈소관로(曷蘇館路)

1128년(천회 7년) 영주(현재 위치 불명)에 갈소관로의 치소를 옮겨두고 절도사를 배치하였다. 도통사(都統司)를 두었으나 1193년(명창 4년)에 폐지되었다. 용화관(龍化關)이 있었으며, 여진어로는 갈실한관(曷撒罕關)이라고 불렸다.

4. 5. 호리개로(胡裏改路)

금나라 초에는 만호를 두었다가 해릉양왕이 폐지하고 절도사를 파견했다. 1198년, 절도부사를 두었다. 서쪽으로 상경까지 630리, 북쪽까지 금나라 변경과 맞닿아 있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