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 (대구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구 (대구광역시)는 1963년 대구시 서구로 설치되어 현재 대구광역시의 구(區)이다. 경부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광주대구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의 관문이며, 섬유산업, 염색단지, 기계공업 업체가 집중된 지역 경제의 중추 도시이다. 행정 구역은 9개의 법정동과 17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구는 2020년 6월 기준 약 17만 명이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3호선이 지나가며, 경부선 서대구역이 위치해 있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서구이며, 국민의힘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강한 지역이다. 자매 도시로는 필리핀의 바콜로드, 앙헬레스, 중국의 톈진 허시 구, 사오싱 커차오 구, 미국의 토머스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서구 - 거성관 화재
거성관 화재는 1991년 김정수가 나이트클럽 입장을 거부당한 것에 격분하여 휘발유를 뿌리고 불을 질러 16명이 사망하고 13명이 중경상을 입은 방화 사건이다. - 대구 서구 - 서문시장
서문시장은 조선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된 대구의 전통 시장으로, 현재 다양한 품목을 취급하며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3호선이 지나 대중교통 접근성이 용이하다. - 대구 서구의 행정 구역 - 상중이동
상중이동은 대구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1910년 대구부 달서면 일부에서 시작하여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98년 상리동, 중리동, 이현동이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렀으며, 대구의료원, 서부경찰서 이현지구대, 서대구역, 대구중리초등학교, 계성고등학교, 롯데캐슬, 상리그린빌 등 주요 기관, 학교, 주거 시설이 위치해 있다. - 대구 서구의 행정 구역 - 내당동
내당동은 대구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조선시대 대구부 달서면에 속했다가 일제강점기 달성군에 통합, 이후 대구부에 편입되어 해방 후 대구시 서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현재는 교육 및 금융 기관과 아파트 단지가 밀집한 주거 지역인 내당1동, 내당2·3동, 내당4동으로 구성된다. - 대구광역시의 구 - 수성구
대구광역시 수성구는 1980년 동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구로, 2021년 기준 418,883명의 인구와 76.46km²의 면적을 가지며, 범어동과 황금동을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수성못 주변에 관광 및 문화 시설이 발달하였고, 23개의 행정동과 26개의 법정동, 대구도시철도 2, 3호선, 국립대구박물관, 대구미술관, 수성대학교 등이 위치하며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구 - 달서구
달서구는 대구광역시 서남부에 위치하며 1988년 설치되어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성서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발전했고, 현재 23개 행정동과 두류공원, 대구수목원, 이월드 등의 문화·휴양 시설, 그리고 대구 도시철도 1, 2호선을 갖춘 교통의 요충지이다.
서구 (대구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서구 |
로마자 표기 | Seo-gu |
한자 표기 | 西區 |
위치 | 대한민국 영남 지방 대구광역시 |
![]() | |
면적 | 17.33 km² |
인구 (2024년 9월) | 163,463명 |
인구 밀도 | 9,619명/km² |
방언 | 경상도 |
웹사이트 | 서구청 웹사이트 |
![]() | |
행정 | |
시장 | 류한국 |
하위 행정 구역 | 17개 행정동 |
국회의원 | 김상훈(국민의힘, 서구) |
구청 소재지 | 대구광역시 서구 국채보상로 257 (평리동) |
상징 | |
구의 나무 | 소나무 |
구의 꽃 | 진달래 |
구의 새 | 까치 |
2. 역사
1963년 1월 1일 구제 실시와 함께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로 승격하였다.[7] 당시 서구는 성당동, 내당동, 비산동, 평리동, 중리동, 이현동, 상리동, 원대동, 노곡동, 조야동의 10개 법정동을 관할하였다.
1966년 1월 1일 북구 칠산동 일부가 서구에 편입되었고,[10] 1975년 10월 1일에는 노곡동, 조야동 및 원대동 일부가 북구로 편입되었다.[12] 1981년 7월 1일 경상북도 달성군 성서읍이 편입되면서 '''대구직할시 서구'''로 개편되었고,[16] 1987년 1월 1일 본리동 일부가 남구로 편입되었다.[21]
1988년 1월 1일 서구의 일부 지역(성당동, 장동, 장기동, 용산동, 감삼동, 죽전동, 이곡동, 파산동, 호림동, 파호동, 갈산동, 신당동, 본리동 및 내당동 일부)이 달서구로 분리되었다.[22]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서구'''로 개편되었다.[26]
2. 1. 행정 구역 변천
- 1963년 1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설치 (10법정동)[7]
- 1963년 12월 1일: 원대동 분동 (12법정동)[8]
- 1965년 2월 1일: 행정동 개편 및 통폐합 (16행정동)[9]
- 1966년 1월 1일: 법정동 원대동3가 분동, 북구 침산동 일부 편입, 행정동 개편 (15법정동)[10]
- 1970년 7월 1일: 내당3동, 비산1동 분동 (18행정동)[11]
- 1975년 10월 1일: 원대동 일부, 노곡동, 조야동 북구 편입, 행정동 개편 및 분동 (16행정동 10법정동)[12][13]
- 1979년 1월 1일: 비산5동, 평리1동 분동 (18행정동)[14]
- 1979년 5월 1일: 평리2동, 원대1·2·3가동 분동 (20행정동)[15]
-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 승격, 달성군 성서읍 편입 및 성서출장소 설치[16]
- 1982년 9월 1일: 내당1동, 평리3동 분동, 성서출장소에 성서1동,2동 및 본리동 설치 (23행정동)[17]
- 1983년 3월 15일: 성서출장소 폐지, 성서3동 설치[18]
- 1983년 7월 1일: 구청사 이전 (평리동)[19]
- 1985년 12월 1일: 성당동, 내당6동, 상중이동 분동 (26행정동)[20]
- 1987년 1월 1일: 본리동 일부 남구 편입[21]
- 1988년 1월 1일: 달서구 분리, 내당7동 내당4동으로 개칭[22]
- 1988년 5월 1일: 자치구 승격[23]
- 1991년 4월 15일: 대구직할시 서구의회 개원[24]
- 1992년 9월 1일: 평리5동 분동 (27행정동)[25]
-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서구로 개편[26]
- 1997년 1월 1일: 행정동 통합 (24행정동)[27]
- 1998년 9월 25일: 상이동, 중리동 통합 (23행정동)[28]
3. 지리
서구는 대구광역시 중서부에 위치하며 경부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광주대구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가 지나가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섬유산업, 염색단지, 기계공업 업체가 집중되어 있어 대구 지역 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3. 1. 기후
대구 지방은 내륙 분지 지형으로 인해 기온 변화가 크고 강수량이 적은 특징을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11~13°C이며, 연평균 강수량은 900~1100mm로 적은 편이다. 특히 8월의 평균 최고 기온은 31.3°C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데, 이는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넘어온 기류가 수증기를 잃고 건조한 상태로 분지에 불어오기 때문이다.[29]4. 행정 구역
대구 서구는 9개의 법정동과 이를 관리하는 17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17.48 km2이며, 2020년 6월 기준으로 인구는 다음과 같다.[30]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내당1동 | 內唐1洞 | 0.47km2 | 4,224 | 8,807 |
내당2·3동 | 內唐2·3洞 | 0.65km2 | 5,183 | 10,360 |
내당4동 | 內唐4洞 | 0.76km2 | 8,023 | 17,180 |
비산1동 | 飛山1洞 | 0.64km2 | 4,892 | 9,934 |
비산2·3동 | 飛山2·3洞 | 0.49km2 | 5,270 | 9,794 |
비산4동 | 飛山4洞 | 0.39km2 | 4,743 | 10,154 |
비산5동 | 飛山5洞 | 0.28km2 | 3,478 | 6,531 |
비산6동 | 飛山6洞 | 0.27km2 | 3,819 | 7,872 |
비산7동 | 飛山7洞 | 2.74km2 | 5,962 | 11,083 |
평리1동 | 坪里1洞 | 0.37km2 | 3,958 | 8,054 |
평리2동 | 坪里2洞 | 0.23km2 | 3,627 | 8,258 |
평리3동 | 坪里3洞 | 0.65km2 | 5,116 | 10,294 |
평리4동 | 坪里4洞 | 0.71km2 | 8,386 | 18,405 |
평리5동 | 坪里5洞 | 0.61km2 | 1,004 | 1,979 |
평리6동 | 坪里6洞 | 0.91km2 | 2,589 | 5,413 |
상중이동 | 上中梨洞 | 6.69km2 | 8,815 | 20,721 |
원대동 | 院垈洞 | 1km2 | 4,105 | 7,963 |
서구 | 西區 | 18.48km2 | 83,194 | 172,802 |
행정동 | 법정동 |
---|---|
내당1동 | 내당동 |
내당2·3동 | |
내당4동 | |
비산1동 | 비산동 |
비산2·3동 | |
비산4동 | |
비산5동 | |
비산6동 | |
비산7동 | |
평리1동 | 평리동 |
평리2동 | |
평리3동 | |
평리4동 | |
평리5동 | |
평리6동 | |
상중이동 | 상리동, 중리동, 이현동 |
원대동 | 원대동1가, 원대동2가, 원대동3가 |
5. 인구
대구광역시 서구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1989년 최고점을 기록한 후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였다.[31]
연도 | 총인구 | 비고 |
---|---|---|
1966년 | 177,900명 | |
1967년 | 194,567명 | |
1968년 | 220,613명 | |
1969년 | 249,294명 | |
1970년 | 271,816명 | |
1971년 | 291,116명 | |
1972년 | 305,375명 | |
1973년 | 317,098명 | 성서읍 편입 전 1차 최고점 |
1974년 | 268,361명 | |
1975년 | 278,463명 | |
1976년 | 297,131명 | |
1977년 | 315,129명 | |
1978년 | 338,327명 | |
1979년 | 369,726명 | |
1980년 | 392,875명 | |
1981년 | 452,334명 | 성서읍 편입 |
1982년 | 473,167명 | |
1983년 | 511,546명 | |
1984년 | 541,474명 | |
1985년 | 559,147명 | |
1986년 | 584,289명 | |
1987년 | 604,799명 | 성서동 일대 포함 최고점 |
1988년 | 419,913명 | |
1989년 | 420,482명 | 단독 최고점 |
1990년 | 406,427명 | |
1991년 | 394,090명 | |
1992년 | 381,599명 | |
1993년 | 368,577명 | |
1994년 | 357,786명 | |
1995년 | 346,250명 | |
1996년 | 336,929명 | |
1997년 | 324,910명 | |
1998년 | 307,827명 | |
1999년 | 295,669명 | |
2000년 | 288,722명 | |
2001년 | 282,847명 | |
2002년 | 275,323명 | |
2003년 | 267,106명 | |
2004년 | 260,284명 | |
2005년 | 252,881명 | |
2006년 | 245,587명 | |
2007년 | 239,868명 | |
2008년 | 230,761명 | |
2009년 | 225,193명 | |
2010년 | 224,618명 | |
2011년 | 222,619명 | |
2012년 | 220,211명 | |
2013년 | 215,399명 | |
2014년 | 210,770명 | |
2015년 | 206,028명 | |
2016년 | 199,507명 | |
2017년 | 191,992명 | |
2018년 | 184,372명 | |
2019년 | 175,277명 | |
2020년 | 170,700명 | |
2021년 | 164,528명 | |
2022년 | 161,802명 |
6. 교육 기관
대구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 관할 교육 기관은 다음과 같다.
종류 | 기관명 |
---|---|
대학교 | 한국폴리텍6대학 (본부대학) |
고등학교 | 경덕여자고등학교 |
고등학교 | 달성고등학교 |
고등학교 | 대구서부고등학교 |
고등학교 | 대구서부공업고등학교 |
고등학교 | 대구제일고등학교 |
고등학교 | 계성고등학교 |
중학교 | 경운중학교 |
중학교 | 중리중학교 |
중학교 | 서남중학교 |
중학교 | 대평중학교 |
초등학교 | 대구경운초등학교 |
초등학교 | 서도초등학교 |
초등학교 | 서평초등학교 |
초등학교 | 대구달서초등학교 |
초등학교 | 대구평리초등학교 |
초등학교 | 내당초등학교 |
초등학교 | 대구내서초등학교 |
초등학교 | 대구서부초등학교 |
초등학교 | 대구두류초등학교 |
7. 교통
서구에는 경부선 서대구역과 대구 도시철도 2호선, 3호선이 지나간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감삼역, 두류역, 반고개역은 달서구에, 3호선 공단역, 만평역은 북구에 있지만 서구와 경계에 위치한다. 서구는 대구광역시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도로 교통이 발달해 있다.
7. 1. 철도
wiki8. 정치
서구는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단일 선거구(서구)로 지정되어 있으며, 서구청장은 주민 직선으로 선출된다. 대구광역시는 진보 성향이 강한 지역으로 평가받지만, 서구는 국민의힘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강한 지역적 특성을 보인다.[1]
8. 1. 역대 구청장
와 템플릿은 허용되지 않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해야 합니다. 원본 소스에 내용이 없으므로 빈 내용이 출력됩니다.9. 자매 도시
대구광역시 서구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2]
국가 | 도시 |
---|---|
Philippines|필리핀영어 | 바콜로드 |
Philippines|필리핀영어 | 앙헬레스 시[3] |
China|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 톈진 Hexi |
China|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 사오싱 Keqiao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토머스빌 |
9. 1. 국내
9. 2. 해외
국가 | 도시 |
---|---|
Philippines|필리핀영어 | 바콜로드 |
Philippines|필리핀영어 | 앙헬레스 시 |
China|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 톈진 Hexi |
China|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 | 사오싱 Keqiao |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 | 토머스빌 |
10. 출신 인물
- 김태형: 대한민국 보이 그룹 방탄소년단의 멤버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Sister Cities
https://www.dgs.go.k[...]
Seo District, Daegu
2020-04-14
[3]
뉴스
Seo District, Daegu, Angeles City: Sister cities
http://www.sunstar.c[...]
Today
2012-11-06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5]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6]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7]
법률
법률 제1174호 대구시구설치에관한법률
1962-11-21
[8]
조례
시조례 제333호
1963-12-01
[9]
조례
시조례 제387호
1965-01-27
[10]
조례
시조례 제416호
1965-11-10
[11]
조례
시조례 제610호
1970-07-01
[12]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7816호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5-09-23
[13]
조례
시조례 제919호
1975-07-01
[14]
조례
시조례 제1144호
1978-12-29
[15]
조례
시조례 제1181호
1979-04-30
[16]
조례
시조례 제1357호
1981-06-29
[17]
조례
시조례 제1589호
1982-07-24
[18]
조례
시조례 제1651호
1983-03-11
[19]
조례
시조례 제1673호
1983-06-27
[20]
조례
시조례 제1911호
1985-10-03
[21]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200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의명칭변경에관한규정
[22]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12-31
[23]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244호 지방자치법시행령개정령
1988-05-07
[24]
법률
법률 제4310호
1990-12-31
[25]
조례
구조례 제244호
1992-08-31
[26]
법률
법률 제4789호
1994-12-20
[27]
조례
구조례 제391호
1996-11-30
[28]
조례
구조례 제440호
1998-09-25
[29]
웹사이트
대구광역시 서구 지역특성
http://www.dgs.go.kr[...]
2012-09-05
[30]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rcps.egov.go.[...]
2016-11-30
[31]
문서
대구광역시 서구 통계연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