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교통네트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교통네트웍은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설립된 컨소시엄 업체이다. 흥안운수, 삼화상운, 범일운수 등을 주주로, 도봉구 도봉동에 본사를 두고, 구로구 온수동과 금천구 시흥동에 영업소를 운영한다. 2022년 12월 1일 기준 간선버스, 지선버스, 심야버스, 출근버스, 퇴근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KGM커머셜, 현대자동차, 우진산전, 하이거 버스, 비야디 자동차 등의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흥안운수 계열사 - 관악교통
    관악교통은 1970년 성진상운으로 설립되어 1974년 사명을 변경한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며, 2004년 서울시내버스 개편 이후 지선버스를 운행하고, 2009년 흥안운수에 인수되었으며, 현재 간선, 지선, 심야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 흥안운수 계열사 - 한성여객
    한성여객은 1962년에 설립되어 서울특별시에서 시내버스를 운영하는 회사로, 버스 개편 이후 지선 및 간선 노선을 운행하며 과거 한성버스를 흡수 합병했고 현대자동차, 하이거 버스, 비야디 자동차 등 다양한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 서울 도봉구의 교통 - 동부간선도로
    동부간선도로는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서울특별시를 남북으로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분당수서로와 연결되어 수도권 간선 도로망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며, 이륜차 통행이 금지되고 일부 구간에서 화물차량 진입이 제한되며 지하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 서울 도봉구의 교통 - 덕릉로
    덕릉로는 서울 강북구에서 시작해 도봉구, 노원구를 지나 경기 남양주시 별내동까지 이어지는 도로로, 2개 이상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지정되었으며 주변에 다양한 공공기관, 복지시설, 교육기관이 위치한다.
  • 200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정평운수
    정평운수는 2004년 설립되어 서울 강서구와 송파구에 본사를 두고 4433번, 6642번 등 노선을 운행하는 버스 운송 업체이며, 친환경 차량 도입으로 대기 질 개선에 기여한다.
  • 200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한국비알티자동차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본사를 둔 한국비알티자동차는 간선, 심야 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과거에는 순환, 맞춤 버스 노선도 운영했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서울교통네트웍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서울교통네트웍주식회사
원어Seoul Transportation Network Co., Ltd.
형태주식회사
창립2004년 6월 17일
장소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961 (도봉동)
서울교통네트웍 도봉차고지업소 건물
서울교통네트웍 도봉차고지업소 건물
사업 지역온수동 영업소 :
서울특별시 구로구 부일로 841 (온수동)
시흥동 영업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대로 33 (시흥동)
국가대한민국
대표이사조장우
산업운수업
주주흥안운수: 58.72%
한성여객운수: 25.30%
삼화상운: 15.98%
모기업흥안운수
계열사삼화상운
한성여객운수
관악교통
흥안마을버스
웹사이트서울교통네트웍
재무 정보 (2020년 기준)
자본금4,267,680,000원
매출액40,699,012,622원
영업이익2,249,593,744원
순이익2,738,943,158원
자산총액23,097,475,397원
종업원521명

2. 회사 소개

2004년 서울특별시 버스 개편으로 흥안운수, 삼화상운, 범일운수, 군포교통, 보성운수가 지분을 출자하여 설립된 컨소시엄 업체이다.

2010년 8월 군포교통, 보성운수가 컨소시엄에서 손을 떼면서 간선버스 500번은 군포교통과, 구 670번(현 660번)은 보성운수와 공동 배차하기 시작했다. 현재 주주는 최대 주주인 흥안운수, 삼화상운, 한성여객과 2대 주주인 범일운수가 있다.

본사는 도봉구 도봉동 공영차고지에 있으며, 구로구 온수동 공영차고지와 금천구 시흥3동 석수역 근처에 영업소가 있다.

버스 회사 글자 수가 7글자로 서울특별시에서는 가장 길다.

3. 운행 노선

2022년 12월 1일 기준 서울교통네트웍의 운행 노선은 다음과 같다.[1]

노선 번호유형운행 구간배차 간격 (분)인가 대수비고
150번간선도봉산역 ↔ 시흥대교6~950
160번간선도봉산역온수동6~949
500번간선석수역 ↔ 을지로입구7~1018군포교통과 공동 배차
507번간선석수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7~11292004년 8월 26일 신설
600번간선온수동광화문7~927
660번간선온수동가양역11~157서울항동지구 경유, 보성운수와 공동 배차
1143번지선수락리버시티 ↔ 신내동13~201흥안운수, 한성여객, 삼화상운과 공동 배차
N16번심야도봉산역온수동20~304아진교통, 양천운수와 공동 배차
서울05출근번출근양주신도시도봉산역1일 4회42023년 11월 6일 신설
서울05퇴근번퇴근도봉산역양주신도시1일 2회22024년 6월 10일 신설


3. 1. 간선버스

도봉산역과 시흥대교를 잇는 150번 버스를 운행한다. (50대, 6~9분 간격) 도봉산역온수동을 잇는 160번 버스를 운행한다. (49대, 6~9분 간격) 석수역과 을지로입구를 잇는 500번 버스를 군포교통과 공동 배차로 운행한다. (18대, 7~10분 간격) 석수역과 동대문역사문화공원을 잇는 507번 버스를 운행한다. (29대, 7~11분 간격) 온수동광화문을 잇는 600번 버스를 운행한다. (27대, 7~9분 간격) 온수동가양역을 잇는 660번 버스를 보성운수와 공동 배차로 운행한다. (7대, 11~15분 간격) 서울항동지구를 경유한다.[1]

노선번호운행구간배차간격 (분)인가대수비고
150번도봉산역 ↔ 시흥대교6~950
160번도봉산역온수동6~949
500번석수역 ↔ 을지로입구7~1018군포교통과 공동배차
507번석수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7~11292004년 8월 26일 신설
600번온수동광화문7~927
660번온수동가양역11~157서울항동지구 경유, 보성운수와 공동배차


3. 2. 지선버스

흥안운수, 한성여객, 삼화상운과 공동 배차로 수락리버시티와 신내동을 잇는 1143번 버스를 운행한다. (1대, 13~20분 간격)[1]

노선번호운행구간배차간격 (분)인가대수비고
1143번수락리버시티 ↔ 신내동13~201구 484번 변경, 흥안운수, 한성여객, 삼화상운과 공동 배차


3. 3. 심야버스

아진교통, 양천운수와 공동 배차로 도봉산역온수동을 잇는 N16번 버스를 운행한다. 배차 간격은 20~30분이며, 4대로 1일 8회 운행한다.[1]

3. 4. 출근버스

서울05출근번한국어 버스는 양주신도시에서 도봉산역까지 1일 4회 운행한다. 4대의 버스가 투입되며, 2023년 11월 6일에 신설되었다.[1]

노선운행 구간운행 횟수인가 대수비고
서울05출근번양주신도시도봉산역1일 4회42023년 11월 6일 신설


3. 5. 퇴근버스

2024년 6월 10일에 신설된 노선으로, 도봉산역에서 양주신도시까지 1일 2회 운행한다. 인가 대수는 2대이다.[1]

노선운행 구간운행 횟수인가 대수
서울05퇴근번도봉산역양주신도시1일 2회2대


4. 과거 운행 노선


  • 660A번: 온수동 차고지 ↔ 가양동 (2010년 1월 8일 660B번과 통합 후 670번으로 노선 번호 변경)
  • 660B번: 온수동 차고지 ↔ 가양동 (2010년 1월 8일 660A번과 통합 후 670번으로 노선 번호 변경)
  • 670번: 온수동 차고지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2020년 2월 1일 단축으로 660번으로 노선 번호 변경)

5. 본사 및 영업소

도봉구 도봉동 공영차고지에 본사가 있으며, 구로구 온수동 공영차고지와 금천구 시흥3동 석수역 근처에 영업소가 있다.[1]


  • 도봉공영차고지 본사: 150번, 160번, N16번, 서울05번 버스 노선 관리[1]
  • 온수동 차고지 영업소: 600번, 660번 버스 노선 관리, N16번 버스 회차[1]
  • 시흥동 차고지 영업소: 500번, 507번 버스 노선 관리[1]

6. 보유 차량

서울교통네트웍은 KGM커머셜, 현대자동차, 우진산전, 하이거 버스, 비야디 자동차 등 다양한 제조사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6. 1. 차종 목록

7. 갤러리

서울 150번 시내버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