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범일운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범일운수는 1970년 5월 신도운수로 설립되어, 아시아상운, 시흥교통 등을 인수하며 사명을 옥성운수로 변경했다가 1989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 서울시 강제 퇴출된 남부운수와 광명운수를 인수하고, 2004년 서울시 시내버스 개편에 참여하여 간선, 지선 버스 노선을 운행하기 시작했다. 2023년 3월 기준, 간선, 지선, 마을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자일대우버스, KGM커머셜, 우진산전 등 다양한 제조사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관악교통
    관악교통은 1970년 성진상운으로 설립되어 1974년 사명을 변경한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며, 2004년 서울시내버스 개편 이후 지선버스를 운행하고, 2009년 흥안운수에 인수되었으며, 현재 간선, 지선, 심야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 1970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한일고속
    한일고속은 1970년 고속버스 회사로 설립되어 고속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1979년 해운 사업에도 진출하여 현재 고속버스 회사 중 유일하게 여객해운업을 겸업하며 40개의 고속버스 노선과 3척의 여객선을 운영하고 있다.
  • 서울 금천구의 교통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서울 금천구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 - 도선여객
    도선여객은 1973년 삼영교통으로 설립되어 서울여객을 인수하며 확장, 2004년 체계개편 후 간선 및 지선버스를 운영하며 개포동을 기점으로 현대자동차 버스를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업체이다.
  •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기업 - 한국도심공항
    한국도심공항은 1985년 설립되어 시내 체크인 서비스와 공항버스 운수업을 운영했으며, 2023년 시내 체크인 서비스를 폐업하고 현재는 공항버스 사업과 수출입 물류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범일운수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어Bumil Traffic Service Co., Ltd.
국가대한민국
장소서울특별시 금천구 금하로 738 (시흥동)
사업 지역광명 영업소: 경기도 광명시 범안로 587 (노온사동)
독산동 영업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136 (독산동)
법원단지 영업소: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로50길 89 (시흥동)
창립1970년 5월 30일
인물박도식 (대표이사)
산업운수업
제품시내버스
마을버스
자본금2,918,830,000원 (2020.12)
매출액46,331,295,969원 (2020)
영업이익1,151,063,107원 (2020)
순이익1,647,772,514원 (2020)
자산총액55,958,882,370원 (2020.12)
주주박도식: 41.53%
노영희: 33.20%
이동규: 12.82%
조순덕: 4.78%
박동진: 4.48%
종업원615명 (2020.12)
웹사이트범일운수

2. 연혁

1970년 5월 30일 '''신도운수'''로 설립되었다.[3] 1971년 8월 '''아시아상운'''을 인수하였고, 1973년 5월에는 '''시흥교통'''[3]을 인수하였다.[3] 1974년 5월 '''옥성운수'''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1989년 10월에 '''범일운수'''로 다시 사명을 변경하였다.[3]

2000년 1월에는 서울특별시로부터 강제 퇴출된 남부운수를 인수하였고, 같은 해 3월 31일에는 광명운수를 인수하였다.[3] 2000년 12월 금천구 마을버스 1-2번을 지역순환버스 482번으로 승격시켰다.[3]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개편에 참여하여 간선버스 2개 노선, 지선버스 10개 노선을 운행하기 시작했다.[3]

2. 1. 설립 초기 (1970년대)

1970년 5월 30일 '''신도운수'''로 설립되었다. 1971년 8월 '''아시아상운'''을 인수하였다. 1973년 5월에는 '''시흥교통'''[3]을 인수하였다. 1974년 5월 '''옥성운수'''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2. 2. 사명 변경 및 확장 (1980년대 ~ 2000년대)

1970년 5월 30일 신도운수로 설립되었다. 1971년 8월 아시아상운을 인수하였고, 1973년 5월에는 시흥교통[3]을 인수하였다. 1974년 5월 옥성운수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1989년 10월, 현재의 사명인 범일운수로 변경하였다.

2000년 1월, 서울특별시로부터 강제 퇴출된 남부운수를 인수하였고, 같은 해 3월 31일에는 역시 서울특별시로부터 강제 퇴출된 광명운수를 인수하였다. 2000년 12월에는 금천구 마을버스 1-2번을 지역순환버스 482번으로 승격시켰다.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개편과 함께 간선버스 2개, 지선버스 10개 노선으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2. 3. 2004년 서울시 버스 개편 참여

1970년 5월 30일 '''신도운수'''로 설립되었다.[3] 1971년 8월 '''아시아상운'''을 인수하였고, 1973년 5월에는 '''시흥교통'''을 인수하였다.[3] 1974년 5월 '''옥성운수'''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1989년 10월에 '''범일운수'''로 다시 사명을 변경하였다.[3]

2000년 1월에는 서울특별시로부터 강제 퇴출된 남부운수를 인수하였고, 같은 해 3월 31일에는 광명운수를 인수하였다.[3] 2000년 12월 금천구 마을버스 1-2번을 지역순환버스 482번으로 승격시켰다.[3]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개편에 참여하여 간선버스 2개 노선, 지선버스 10개 노선을 운행하기 시작했다.[3]

3. 운행 노선

wikitext

범일운수는 2023년 3월 17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4]

운행 노선운행 구간배차 간격 (분)인가 대수비고
505번노온사동 ↔ 서울역5~15292004년 7월 1일 신설
5413번시흥동고속터미널역5~1327구 56번 좌석 → 560번
5525번시흥동보라매공원10~2072004년 7월 1일 신설
5537번시흥동 ↔ 가산디지털단지역13~206
5617번시흥동구로디지털단지역7~138구76단축
5619번시흥동신도림역7~1513구 108-1번
5620번시흥동선유도역4~1321구 108번 연장
5621번삼익아파트 ↔ 구로디지털단지역5~98구 금천마을 1-2번, 482번
5627번노온사동 ↔ 구로디지털단지역6~1211구 107-2번 단축
5633번노온사동 ↔ 순복음교회9~1521구 124번 단축, 5533번 연장
6637번노온사동 ↔ 목동531구 100-3번
N51번하계동 ↔ 범일운수종점25~30분, 8회42022년 4월 18일 신설, 한성여객과 공동 배차
금천01번독산역 ↔ 벽산아파트1단지1~319구 금천마을 1번, 1-1번 적·청색 공동배차[5]
금천02번벽산아파트3단지 ↔ 하안주공14단지183구 금천마을 1-3번


3. 1. 간선버스

범일운수는 2023년 3월 17일 기준으로 간선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4]

노선번호운행구간배차간격 (분)인가대수비고
505번노온사동 ↔ 서울역5~15292004년 7월 1일 신설
5413번시흥동고속터미널역5~1327구 56번 좌석 → 560번
5525번시흥동 ↔ 보라매공원10~2072004년 7월 1일 신설
5537번시흥동 ↔ 가산디지털단지역13~206
5617번시흥동구로디지털단지역7~138구76단축
5619번시흥동신도림역7~1513구 108-1번
5620번시흥동선유도역4~1321구 108번 연장
5621번삼익아파트 ↔ 구로디지털단지역5~98구 금천마을 1-2번, 482번
5627번노온사동 ↔ 구로디지털단지역6~1211구 107-2번 단축
5633번노온사동 ↔ 순복음교회9~1521구 124번 단축, 5533번 연장
N51번하계동 ↔ 범일운수종점25~30분, 8회42022년 4월 18일 신설, 한성여객과 공동배차



2004년 8월 24일, 570번 (노온사동↔삼송동)의 공동배차에서 철수하였다. 해당 노선은 신성교통과 공동 배차했었다.[10]

3. 2. 지선버스

2023년 3월 17일 기준이다.[4]

운행 노선배차 간격 (분)인가 대수비고
노온사동 ↔ 서울역5~15292004년 7월 1일 신설
시흥동고속터미널역5~1327구 56번 좌석 → 560번
시흥동보라매공원10~2072004년 7월 1일 신설
시흥동 ↔ 가산디지털단지역13~206
시흥동구로디지털단지역7~138구76단축
시흥동신도림역7~1513구 108-1번
시흥동선유도역4~1321구 108번 연장
삼익아파트 ↔ 구로디지털단지역5~98구 금천마을 1-2번, 482번
노온사동 ↔ 구로디지털단지역6~1211구 107-2번 단축
노온사동 ↔ 순복음교회9~1521구 124번 단축, 5533번 연장
노온사동 ↔ 목동531구 100-3번
봉천역노량진역10-122한남운수, 한성운수와 공동 배차
하계동 ↔ 범일운수종점25~30분, 8회42022년 4월 18일 신설, 한성여객과 공동 배차
독산역 ↔ 벽산아파트1단지1~319구 금천마을 1번, 1-1번 적·청색 공동배차[5]
벽산아파트3단지 ↔ 하안주공14단지183구 금천마을 1-3번


  • 5527번 (신설노선): 벽산아파트(호압사) ~ 석수역 (2005년 7월 5일 폐지)[9]
  • 5533번 : 노온사동공영차고지 ↔ 노들역
  • 6639번 (구 140번 단축): 노온사동공영차고지 ↔ 여의도

3. 3. 마을버스

범일운수는 마을버스 노선도 운영하고 있다. 2023년 3월 17일 기준으로, 금천01번과 금천02번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4]

노선번호운행구간배차간격 (분)인가대수비고
금천01번독산역 ↔ 벽산아파트1단지1~319구 금천마을 1번, 1-1번 적·청색 공동배차[5]
금천02번벽산아파트3단지 ↔ 하안주공14단지183구 금천마을 1-3번


4. 과거 운행 노선

4. 1. 개편 전 노선


  • 70번: 소하동신촌《현 7611번, 구 남부운수 출신 노선》[6]
  • 76번: 범일운수 시흥동차고지 ↔ 옥수동 종점《현 5617번, 구 남부운수 출신 노선》[7]
  • 100-1번: 노온사동공영차고지 ↔ 목동당산역을 경유하여 목동으로 간 노선으로, 개편 후 100-3번과 통합하여 지선버스 6637번으로 운행 중이다. 구 광명운수 출신 노선》
  • 140번: 노온사동공영차고지 ↔ 사당역《개편 후 6639번, 구 광명운수 출신 노선》[8]

4. 2. 폐선된 노선


  • 5527번 (신설노선): 벽산아파트(호압사) ~ 석수역 (2005년 7월 5일 폐지)[9]
  • 5533번: 노온사동공영차고지 ↔ 노들역
  • 6639번 (구 140번 단축): 노온사동공영차고지 ↔ 여의도

5. 보유 차량

5. 1. 자일대우버스

자일대우 BS090 뉴 로얄미디, 자일대우 BS106 뉴 로얄시티, 자일대우 BS110 뉴 로얄논스텝 차종을 운용한다.

5. 2. KGM커머셜

KGM커머셜(구 에디슨모터스)에서 도입한 차량은 에디슨모터스 화이버드, 에디슨모터스 E-화이버드, KGM 스마트 110 등이 있다.

5. 3. 우진산전

우진산전 아폴로 900과 우진산전 아폴로 1100을 운용한다.

6. 본사 및 영업소

시흥동 본사에는 5413번, 5525번, 5537번, 5617번, 5619번, 5620번 노선이 있다. 노온사동 영업소에는 505번, 5627번, 5633번, 6637번 노선이 있다. 법원단지 영업소에는 5621번 노선이 있다.

참조

[1] 문서 구 광명운수 본사 및 차고지
[2] 문서 구 남부운수 본사 및 차고지
[3] 문서 경기도 시흥시 소재의 시내버스 업체인 시흥교통과는 이름만 같을뿐 아무 관련이 없다.
[4] 뉴스 2023년 3월 시내버스 인가현황 http://news.seoul.go[...] 서울교통정보과 2023-03-17
[5] 문서 청색은 호압사 입구까지 운행
[6] 문서 개편 후 현대교통 (서울)|현대교통 소속 지선버스 7611번으로 기점이 홍은동으로 연장 및 종점이 여의도로 단축되어 운행 중이다.
[7] 문서 개편 후 구로디지털단지역 구간은 5617번, 서울교통네트웍 소속은 간선버스 500번, 507번 대체 노선이다.
[8] 문서 개편 후 지선버스 6639번으로 영등포역까지 단축돼서 운행하다가 같은해 말 구로역으로 단축되었고, 이후 종점이 또 개봉중앙시장으로 단축되었다가 2006년 11월 30일 폐선되었다. 현재 중앙대학교 ↔ 사당역 구간은 오케이버스 5524번, 한서교통 350번 등이 대체하고있다.
[9] 웹사이트 http://www.sbus.or.k[...]
[10] 문서 개편 후 신성교통과 공동배차로 운행개시하였으나 같은해 8월 24일 차량댓수 문제로 본 회사가 공배에서 철수와 동시에 신성교통 서울법인이 단독운행하면서 종점이 영등포역까지 단축되어 노선번호도 760번으로 변경된데 이어 2005년 9월 26일 지선버스 7735번과 통합하여 기점이 파주시 금촌동으로 연장되었으나 2017년 11월 17일에 761번과 775번으로 분할되었다가 775번이 폐지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