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특별시도 제45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특별시도 제45호선은 김포공항입구 교차로부터 봉은사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다. 공항대로, 노들로, 현충로, 동작대로, 사평대로, 봉은사로 구간으로 구성되며, 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서초구, 강남구를 지난다. 주요 시설물로는 김포공항, 양화교, 한강대교, 중앙대학교, 국립서울현충원, 이수교차로, 교보타워사거리, 봉은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양천구의 교통 - 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과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을 잇는 총 8차로의 고속도로로, 일부 구간의 고속도로 지정 해제 및 관리권 이관으로 현재 총연장 13.44km이며 서울, 인천, 경기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시설이지만 신월 나들목 부근은 상습 정체 구간이다.
  • 서울 양천구의 교통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 서울 동작구의 교통 - 한강대교
    한강대교는 1917년에 완공된 한강인도교를 전신으로 하며,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전쟁으로 파괴되었으나 1958년에 재건되었고, 198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20년에는 서울특별시 등록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 동작구의 교통 - 한강철교
    한강철교는 경부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잇는 서울 한강의 철교로, A, B, C, D선의 4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철도 역사와 전쟁의 역사, 그리고 산업 발전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 서울 강남구의 교통 - 테헤란로
    테헤란로는 이란 테헤란에서 명칭이 유래되었으며, 1977년 테헤란 시장의 서울 방문을 기념하여 명칭이 변경되었고, 한국의 주요 비즈니스 및 금융 중심지로 발전했다.
  • 서울 강남구의 교통 - 도선여객
    도선여객은 1973년 삼영교통으로 설립되어 서울여객을 인수하며 확장, 2004년 체계개편 후 간선 및 지선버스를 운영하며 개포동을 기점으로 현대자동차 버스를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운송업체이다.
서울특별시도 제45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도로 종류서울특별시도 (관리용 노선)
노선명과해 ~ 삼성선
노선 번호명서울특별시도 제45호선
총 연장26.84km
기점서울특별시 강서구 과해동 (김포공항입구)
주요 경유지서울특별시 강서구
서울특별시 양천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서울특별시 동작구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울특별시 강남구
종점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봉은교)
주요 교차 도로국도 제1호선 (서부간선도로)
국도 제6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서울특별시도 제01호선 (서부간선도로)
서울특별시도 제05호선 (올림픽대로)
서울특별시도 제06호선 (구 경부고속도로)
서울특별시도 제21호선
서울특별시도 제22호선
서울특별시도 제25호선
서울특별시도 제26호선
서울특별시도 제27호선
서울특별시도 제29호선
서울특별시도 제30호선
서울특별시도 제32호선
서울특별시도 제42호선
서울특별시도 제46호선
서울특별시도 제49호선
서울특별시도 제51호선

2. 주요 구간 및 시설물

서울특별시도 제45호선은 김포공항에서 봉은사에 이르는 도로로, 여러 주요 구간과 시설물로 구성된다.



서울특별시도 제45호선 주요 구간
구간주요 시설물
공항대로김포공항입구 교차로, 송정역, 마곡역 교차로, 발산역 교차로, 강서구청입구 교차로, 등촌역 교차로, 염창역, 양화교 교차로
노들로성산대교남단IC, 양화대교남단, 당산역, 여의하류IC, 여의2교 교차로, 서울교 교차로, 여의교 교차로, 여의상류IC, 여의2교지하차도, 노들길지하차도, 여의교지하차도
현충로한강대교남단 교차로, 중앙대입구, 중앙대(병원)입구 교차로, 흑석역, 국립현충원 교차로, 동작역, 노들고가차도, 동작지하차도(하행전용)
동작대로이수교차로, 이수고가차도
사평대로방배삼호아파트, 서울성모병원 교차로(센트럴시티터미널, 고속터미널역), 삼호가든사거리(서울고속버스터미널), 사평역, 반포IC, 교보타워사거리(신논현역), 이수고가차도, 사평지하차도
봉은사로신논현역, 차병원 교차로, 언주역, 경복아파트 교차로, 선정릉역사거리, 차관아파트 교차로, 삼성중앙역, 봉은사, 코엑스, 코엑스 교차로, 봉은사역, 봉은교 교차로


2. 1. 공항대로 구간

서울특별시도 제42호선 (남부순환로)
방화동로서울특별시 강서구국도 제48호선 중복송정역(명칭 미상)서울특별시도 제4205호선 (방화대로)(명칭 미상)마곡서1로(명칭 미상)국도 제6호선 (마곡서로)
국도 제77호선 (마곡서로)
서울특별시도 제4203호선 (마곡서로)국도 제6, 48, 77호선 중복마곡역 교차로서울특별시도 제4204호선 (마곡중앙로)(명칭 미상)마곡동로발산역 교차로서울특별시도 제5103호선 (강서로)(명칭 미상)공항대로41길강서구청입구 교차로서울특별시도 제4207호선 (화곡로)등촌역 교차로등촌로
공항대로59길염창역서울특별시 양천구국도 제6, 48, 77호선 중복양화교 교차로서울특별시도 제5105호선 (안양천로)
서울특별시도 제4207호선 (양천로)
서울특별시도 제05호선 (올림픽대로)양화교


2. 2. 노들로 구간

양화교에서 한강대교 남단 교차로에 이르는 구간으로, 영등포구동작구를 지난다. 주요 시설물로는 양화교, 성산대교남단IC, 양화대교남단, 당산역, 여의하류IC, 여의2교 교차로, 서울교 교차로, 여의교 교차로, 여의상류IC 등이 있다. 이 구간에는 여의2교지하차도, 노들길지하차도, 여의교지하차도 등의 지하차도가 있다.

명칭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성산대교남단IC국도 제1호선, 국도 제48호선, 서울특별시도 제01호선 (서부간선도로)서울특별시 영등포구국도 제6호선, 국도 제77호선 중복
양화대교남단국도 제6호선, 국도 제77호선, 서울특별시도 제49호선 (선유로)
당산역서울특별시도 제4601호선 (당산로)
여의하류IC서울특별시도 제05호선 (올림픽대로), 서울특별시도 제2111호선 (여의서로), 서울특별시도 제2112호선 (여의도둔치선)
여의2교 교차로서울특별시도 제46호선 (국회대로)여의2교지하차도 구간
서울교 교차로국도 제46호선, 서울특별시도 제51호선 (경인로)노들길지하차도 구간
(명칭 미상)영등포로57길
여의교 교차로서울특별시도 제21호선 (여의대방로)여의교지하차도 구간
서울특별시 동작구
여의상류IC서울특별시도 제05호선 (올림픽대로), 서울특별시도 제2111호선 (여의동로), 노량진로17길
(명칭 미상)노량진로23길


2. 3. 현충로 구간

한강대교남단 교차로에서 이수교차로에 이르는 구간으로, 동작구를 지난다. 중앙대입구, 중앙대(병원)입구 교차로, 흑석역, 국립현충원 교차로, 동작역 등이 이 구간을 지난다. 이 구간에는 노들고가차도와 동작지하차도(하행전용)가 있다. 서울특별시도 제25호선 (동작대로)과 중복된다.[2]

2. 4. 동작대로 구간

이수교차로는 동작구서초구에 걸쳐 있는 교차로이다. 이수고가차도 구간이며, 서울특별시도 제25호선 (동작대로)과 중복된다.[2]

명칭소재지비고
이수교차로서울특별시 동작구 / 서초구이수고가차도 구간[2], 서울특별시도 제25호선 중복
(방배삼호아파트)서울특별시 서초구이수고가차도 구간[2]


2. 5. 사평대로 구간

이수교차로에서 교보타워사거리까지의 구간은 서초구를 지난다. 이 구간에는 이수고가차도와 사평지하차도가 있다.[2] 주요 시설 및 교차로는 다음과 같다.

사평대로 구간 주요 시설 및 교차로
명칭접속 노선 및 주요 시설
방배삼호아파트서울특별시도 제4229호선 (방배로)
서울성모병원 교차로
(센트럴시티터미널)
(고속터미널역)
서울특별시도 제26호선 (반포대로)
삼호가든사거리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서울특별시도 제4231호선 (잠원로, 서초중앙로)
사평역
반포IC서울특별시도 제06호선 (경부간선도로)
교보타워사거리
(신논현역)
서울특별시도 제27호선 (강남대로)


2. 6. 봉은사로 구간

교보타워사거리에서 봉은교 교차로에 이르는 구간으로, 강남구를 지난다. 이 구간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시설물이 있다.

이 구간은 서울특별시도 제27호선 (강남대로)과의 교차점인 교보타워사거리 (신논현역)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도 제29호선 (논현로)과 만나는 차병원 교차로 (언주역), 서울특별시도 제30호선 (언주로)과 교차하는 경복아파트 교차로를 거친다. 이후 선릉로와 교차하는 선정릉역사거리, 서울특별시도 제4231호선 (삼성로)과 만나는 차관아파트 교차로 (삼성중앙역)를 지나 봉은사코엑스를 지난다. 마지막으로 국도 제47호선 (영동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영동대로), 서울특별시도 제32호선 (영동대로)과 교차하는 코엑스 교차로 (봉은사역)를 지나 봉은사로113길, 봉은사로114길, 봉은사로115길과 만나는 봉은교 교차로에 이른다.

3. 주요 시설물 상세

서울특별시도 제42호선 (남부순환로)
방화동로서울특별시 강서구국도 제48호선 중복송정역(명칭 미상)서울특별시도 제4205호선 (방화대로)(명칭 미상)마곡서1로(명칭 미상)국도 제6호선 (마곡서로)
국도 제77호선 (마곡서로)
서울특별시도 제4203호선 (마곡서로)국도 제6, 48, 77호선 중복마곡역 교차로서울특별시도 제4204호선 (마곡중앙로)(명칭 미상)마곡동로발산역 교차로서울특별시도 제5103호선 (강서로)(명칭 미상)공항대로41길강서구청입구 교차로서울특별시도 제4207호선 (화곡로)등촌역 교차로등촌로
공항대로59길공항대로염창역서울특별시 양천구노들로염창IC서울특별시도 제05호선 (올림픽대로)서울특별시 영등포구양화대교남단국도 제6호선 (선유로)
국도 제77호선 (선유로)
서울특별시도 제49호선 (선유로)국도 제6, 77호선 중복(당산역)서울특별시도 제4601호선 (당산로)여의하류IC서울특별시도 제05호선 (올림픽대로)
서울특별시도 제2111호선 (여의서로)
서울특별시도 제2112호선 (여의도둔치선)(명칭 미상)영등포로57길여의상류IC서울특별시도 제05호선 (올림픽대로)
서울특별시도 제2111호선 (여의동로)
노량진로17길노들로(명칭 미상)노량진로23길서울특별시 동작구현충로(중앙대입구)흑석로서울특별시 동작구중앙대(병원)입구 교차로
(흑석역)서달로(이름 없음)흑석한강로국립현충원 교차로서울특별시도 제05호선 (올림픽대로)
서울특별시도 제25호선 (동작대로)사평대로(방배삼호아파트)서울특별시도 제4229호선 (방배로)서울특별시 서초구(이름 없음)신반포로16길서울성모병원 교차로
(센트럴시티터미널)
(고속터미널역)서울특별시도 제26호선 (반포대로)삼호가든사거리
(서울고속버스터미널)서울특별시도 제4231호선
(잠원로, 서초중앙로)사평역사평대로반포IC서울특별시도 제06호선 (경부간선도로)
(구 경부고속도로)서울특별시 서초구사평대로(이름 없음)서운로서울특별시 서초구봉은사로차병원 교차로
(언주역)서울특별시도 제29호선 (논현로)서울특별시 강남구경복아파트 교차로서울특별시도 제30호선 (언주로)선정릉역사거리선릉로차관아파트 교차로
(삼성중앙역)서울특별시도 제4231호선 (삼성로)봉은사
코엑스봉은사로코엑스 교차로
(봉은사역)국도 제47호선 (영동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영동대로)
서울특별시도 제32호선 (영동대로)서울특별시 강남구


3. 1. 지하차도

3. 2. 고가차도

한강대교 남단 교차로에서 서울특별시도 제22호선(양녕로), 서울특별시도 제4213호선(노량진로)과 교차하는 지점에 '''노들고가차도'''가 설치되어 있다.[2]

이수교차로에서 서울특별시도 제25호선(동작대로), 서울특별시도 제4501호선(신반포로), 방배중앙로가 만나는 지점에는 '''이수고가차도'''가 설치되어 있다.[2] 이 고가차도는 (방배삼호아파트)에서 서울특별시도 제4229호선(방배로)와도 교차한다.

3. 3. 교량

양화교는 양천구영등포구 사이에 있으며, 서울특별시도 제5105호선(안양천로), 서울특별시도 제4207호선(양천로), 서울특별시도 제05호선(올림픽대로)와 교차한다. 봉은교는 강남구에 있으며 봉은사로113길, 봉은사로114길, 봉은사로115길과 교차한다.[2]

4. 교통 정책 및 계획

서울특별시도 제45호선은 서울특별시의 주요 간선도로로서, 교통 혼잡 완화 및 효율적인 교통 흐름 관리를 위해 다양한 정책 및 계획이 시행되고 있다.

참조

[1] 문서 도로 표지판에 표기하지 않는다
[2] 문서 상행은 고가를 이용하여 계속 진행할 수 있으나, 하행의 경우는 사평대로에서 고가를 이용할 경우, 동작대교나 올림픽대로로만 이어지기 때문에, 현충로 (서울)|현충로 방향으로 계속 이용하려면 고가 하부도로를 이용하여야 한다. 단, 동작대로(남측)에서 고가를 이용하면 현충로 (서울)|현충로를 이용할 수 있다.
[3] 간행물 서울특별시청 도로현황 (2022년) https://news.seoul.g[...]
[4] 웹사이트 서울특별시 도로안내 노선번호 개선 http://lib.seoul.go.[...]
[5] 문서 안내용은 도로이정표에 표기되는 번호이며, 도로법에 의한 노선과는 별도로 지정된 것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