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간선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부간선도로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과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을 잇는 서울특별시도로, 1988년 개통되었다. 2021년 서부간선지하도로가 개통되면서 기존 도로는 일반도로로 변경되었다. 서부간선지하도로는 성산대교 남단에서 금천 나들목까지 연결되는 소형차 전용도로이며, 2021년 9월 개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도 제48호선 - 사직로 (서울)
사직로는 독립문에서 광화문까지 서울 종로구를 관통하며 주요 지역을 경유하고, 서울 시내 주요 도로와의 접근성을 높이지만, 출퇴근 시간대 교통 정체가 심각한 도로이다. - 국도 제48호선 - 성산대교
제공된 정보 부족으로 성산대교에 대한 위키백과 도입부 작성이 불가합니다. - 서울 금천구의 교통 - 서해안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는 전라남도 무안군에서 시작하여 서울특별시 금천구까지 연결되며, 1991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2001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총 연장 340.81km이다. - 서울 금천구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서울 구로구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서울 구로구의 교통 - 평택파주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파주시를 잇는 총 연장 117.9km의 고속국도 제17호선으로,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의 통합으로 지정되었으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현재는 파주시 월롱면까지 개통되었고,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며 광명-서울 구간은 2026년 개통 예정이다.
서부간선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도로 종류 | 일반 국도 서울특별시도 |
노선 | 국도 제1호선의 일부 서울특별시도 제01호선 (관리용) |
다른 이름 | 서부 간선 도로 (Seobu Ganseon Doro) Seobu Urban Expressway |
노선 정보 | |
총 연장 | 10.80km |
개통 년도 | 1987년 |
노선 | |
기점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성산대교 남단 |
종점 | 서울특별시 금천구 소하 분기점 |
주요 경유지 | 해당사항 없음 |
연결 및 교차 도로 | |
주요 교차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성산로 남부순환로 국회대로 내부순환로 |
연결 노선 (남쪽) | [[File:Korea Expressway No.15.svg|20px]] Geumcheon IC, Geumcheon-gu |
연결 노선 (북쪽) | Seongsan Br. JCT, Yeongdeungpo-gu |
주요 연결 도로 | 20px Gukhoe-daero [[File:Korea_Urban_Expwy_No.88.svg|20px]] Olympicdaero [[File:Korea_Urban_Expwy_No.70.svg|20px]] Gangbyeon Expressway |
2. 역사
날짜 | 내용 |
---|---|
1985년 11월 26일 | 시흥대교 ~ 경인고속도로 입구(목동교) 10.8km 구간 착공[1] |
1988년 9월 14일 | 시흥대교 ~ 경인고속도로 입구(목동교) 10.8km 구간 개통[2] |
1989년 2월 13일 | 시흥대교 ~ 성산대교 남단 10.8km 구간 자동차 전용도로 지정[3] |
1996년 7월 1일 | 국도 노선 변경으로 국도 제1호선 지정[4] |
2016년 3월 1일 | 서부간선지하도로 (성산대교 남단 ~ 금천 나들목 지하화) 구간 착공 |
2019년 12월 26일 | 시흥대교 ~ 소하 분기점 구간 자동차 전용도로 지정[5] |
2019년 12월 28일 | 금하지하차도 개통 |
2021년 9월 1일 | 서부간선지하도로 (성산대교 남단 ~ 금천 나들목 지하화) 구간 개통[6], 무료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 해제 |
2. 1. 건설 배경 및 초기 역사 (1980년대 ~ 2000년대)
1980년대 초, 서울특별시의 교통 체증은 날로 심각해져 갔다. 특히 서남부 지역의 교통난 해소가 시급했는데, 경인고속도로와 국도 제1호선이 그 역할을 일부 담당하고 있었지만 역부족이었다. 이에 서울시는 새로운 도로 건설을 계획하게 되었고, 그 결과물이 바로 서부간선도로이다.1985년 11월 26일, 시흥대교에서 경인고속도로 입구(목동교)에 이르는 10.8km 구간의 공사가 시작되었다.[1] 1988년 9월 14일, 이 구간이 개통되면서[2] 서울 서남부 지역의 교통 흐름이 개선되기 시작했다. 1989년 2월 13일에는 시흥대교에서 성산대교 남단까지의 10.8km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3] 차량 통행의 효율성을 높였다.
1990년대에 들어서도 서부간선도로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96년 7월 1일, 국도 노선 변경에 따라 서부간선도로는 국도 제1호선으로 지정되었다.[4]
2. 2. 서부간선지하도로 건설 및 변화 (2010년대 ~ 현재)
2010년 6월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 이후 별다른 진척이 없었으나, 2015년 3월 사업대상자로 서서울도시고속도로(주)가 선정되어 공사에 들어갔다. 2016년 3월 1일 서부간선지하도로 (성산대교 남단 ~ 금천 나들목 지하화) 구간 착공에 들어갔다.[8][9]2019년 12월 26일 시흥대교 ~ 소하 분기점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으며,[5] 2019년 12월 28일 금하지하차도가 개통되었다.
'''서부간선지하도로'''는 강남순환로의 2단계 구간이자 영등포구 양평동 성산대교 남단 ~ 금천구 독산동 금천 나들목 구간을 잇는 연장 10.33km, 왕복 4차로의 지하도로이다. 만성적인 정체와 통행량 증가로 인해 2011년 중으로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공사를 착공할 예정이었으나 착공하지 못하고 무기한 연기되고 있었다.[7]
2021년 9월 1일 서부간선지하도로 (성산대교 남단 ~ 금천 나들목 지하화) 구간이 개통되었으며,[6] 무료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해제되었다. 서부간선지하도로가 개통되면 기존의 서부간선도로는 일반도로화되며 안양천과 연결하여 친환경 공간으로 조성될 예정이다.[8][9] 신월여의지하도로처럼 소형차 전용도로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총중량 3.5t 초과 화물차량, 높이가 3m를 초과하거나 너비가 2.5m를 초과하는 차량, 10톤 이상 화물차, 대형 버스, 이륜차량, 초소형 자동차는 이 지하도로로 운행할 수 없다.[10] 요금은 2021년 9월 1일부터 2021년 9월 14일까지는 무료이고, 2021년 9월 15일부터 2500KRW이 징수된다.
3. 노선 구성
종류 | 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국도 제1, 48호선 성산로와 직결 | |||||
IC | 성산대교 남단 | 국도 제6호선,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노들로, 올림픽대로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올림픽대로에서는 성산 방향 진입만 가능 | |
IC | 양평교 교차로 | 서부간선지하도로, 양평로, 양평로27길, 양평로28길, 양평로30길 | 안양 방향 진입 불가, 교차로 이용 시 서부간선지하도로 진출입 불가 | ||
IC | 목동교 교차로 | 국회대로, 경인고속도로 | 신월동 방향 진출시 경인고속도로 간접 연결 | ||
IS | 오목교 교차로 | 오목로, 영등포로 | 우회전 방향 진출입만 가능 | ||
IS | 신정교 교차로 | 도림천로, 경인로67길 | |||
IS | 오금교 교차로 | 목동로, 구로중앙로 | 서울특별시 구로구 | ||
IS | 고척교 교차로 | 국도 제46호선, 경인로 | |||
- | 안양천철교 | 경인선 | |||
IC | 구일초교앞 | 구일로 | 성산 방향 진입, 안양 방향 진출만 가능 | ||
IS | 광명교 교차로 | 가마산로 | 서울특별시 금천구 | ||
IS | 철산교 교차로 | 디지털로 | 우회전 방향 진출입, 디지털단지에서 안양 방향 진입만 가능 디지털단지에서 성산 방향 진입은 가산디지털2로 또는 서부샛길 이용 | ||
IS | 금천 교차로 | 가산디지털2로 | 성산 방향 진출만 가능 | ||
IC | 금천교 교차로 | 범안로, 서부간선지하도로 | 성산 방향 진입, 안양 방향 진출만 가능 교차로 이용 시 서부간선지하도로 진출입 불가 | ||
IC | 금천 나들목 | 서해안고속도로 | 안양 방향 진출, 성산 방향 진입만 가능 | ||
BR | 안양천교 | ||||
IS | 시흥대교 교차로 (금하지하차도) | 국도 제1호선, 금하로, 안양천로 | 경기도 광명시 | ||
IC | 소하 나들목 | 평택파주고속도로, 강남순환로 | |||
IS | 기아대교 교차로 (소하 나들목) | 기아로, 뚝방길 | 서울특별시 금천구 |
3. 1. 서부간선도로
서부간선도로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 성산대교 남단에서 경기도 광명시 소하동 기아대교 교차로를 잇는 서울특별시도이다.
총 연장은 9.8km이며, 국도 제1호선과 직결된다. 성산대교 남단부터 금천 나들목까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구간은 다음과 같다.
차로수는 다음과 같다.
- 금천 나들목 ~ 목동교 나들목: 4차로
- 목동교 나들목 ~ 성산대교: 6차로
다음은 서부간선도로의 교차로 및 분기점 목록이다.
종류 | 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48호선 성산로와 직결 | ||||
나들목 | 성산대교 남단 | 국도 제6호선,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노들로, 올림픽대로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올림픽대로에서는 성산 방향 진입만 가능 |
나들목 | 양평교 교차로 | 서부간선지하도로, 양평로, 양평로27길, 양평로28길, 양평로30길 | 안양 방향 진입 불가, 교차로 이용 시 서부간선지하도로 진출입 불가 | |
나들목 | 목동교 교차로 | 국회대로, 경인고속도로 | 신월동 방향 진출시 경인고속도로 간접 연결 | |
평면 교차로[11] | 오목교 교차로 | 오목로, 영등포로 | 우회전 방향 진출입만 가능 | |
평면 교차로[11] | 신정교 교차로 | 도림천로, 경인로67길 | ||
평면 교차로[11] | 오금교 교차로 | 목동로, 구로중앙로 | 서울특별시 구로구 | |
평면 교차로[11] | 고척교 교차로 | 국도 제46호선, 경인로 | ||
- | 안양천철교 | 경인선 | ||
나들목 | 구일초교앞 | 구일로 | 성산 방향 진입, 안양 방향 진출만 가능 | |
평면 교차로[11] | 광명교 교차로 | 가마산로 | 서울특별시 금천구 | |
평면 교차로[11] | 철산교 교차로 | 디지털로 | 우회전 방향 진출입, 디지털단지에서 안양 방향 진입만 가능 디지털단지에서 성산 방향 진입은 가산디지털2로 또는 서부샛길 이용 | |
평면 교차로[11] | 금천 교차로 | 가산디지털2로 | 성산 방향 진출만 가능 | |
나들목 | 금천교 교차로 | 범안로, 서부간선지하도로 | 성산 방향 진입, 안양 방향 진출만 가능 교차로 이용 시 서부간선지하도로 진출입 불가 | |
나들목 | 금천 나들목 | 서해안고속도로 | 안양 방향 진출, 성산 방향 진입만 가능 | |
다리 | 안양천교 | |||
평면 교차로[11] | 시흥대교 교차로 (금하지하차도) | 국도 제1호선, 금하로, 안양천로 | 경기도 광명시 | |
나들목 | 소하 나들목 | 평택파주고속도로, 강남순환로 | ||
평면 교차로[11] | 기아대교 교차로 (소하 나들목) | 기아로, 뚝방길 | 서울특별시 금천구 |
3. 2. 서부간선지하도로
'''서부간선지하도로'''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동 성산대교 남단에서 금천구 독산동 금천 나들목까지 잇는 연장 10.33km의 왕복 4차로 지하도로이다. 만성적인 정체와 통행량 증가로 인해 2011년 중으로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공사를 착공할 예정이었으나 착공하지 못하고 무기한 연기되었다.[7] 2010년 6월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 이후 별다른 진척이 없었으나 2015년 3월 사업대상자로 서서울도시고속도로(주)가 선정되어 공사에 들어갔다. 2016년 3월 1일에 착공되어 2021년 9월 1일에 개통되었다.[8][9]서부간선지하도로가 개통되면서 기존의 서부간선도로는 일반도로화되며 안양천과 연결하여 친환경 공간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신월여의지하도로처럼 소형차 전용도로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총중량 3.5t 초과 화물차량, 높이가 3m를 초과하거나 너비가 2.5m를 초과하는 차량, 10톤 이상 화물차, 대형 버스, 이륜차량, 초소형 자동차는 이 지하도로로 운행할 수 없다.[10] 요금은 2021년 9월 1일부터 2021년 9월 14일까지는 무료이고, 2021년 9월 15일부터 2500KRW이 징수된다.
- 시설물
- * IC : 나들목 (Interchange)
- * IS : 평면 교차로[11] (Intersection)
-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종류 | 이름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국도 제1, 48호선 성산로와 직결 | |||||
IC | 성산대교남단 | 국도 제6호선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노들로) 올림픽대로 | 서울특별시 | 영등포구 | 올림픽대로에서는 성산 방향 진입만 가능 |
IC | 양평교 교차로 | 서부간선지하도로 양평로 양평로27길 양평로28길 양평로30길 | 안양 방향 진입 불가 교차로 이용 시 서부간선지하도로 진출입 불가 | ||
IC | 목동교 교차로 | 국회대로 (120호선 경인고속도로) | 신월동 방향 진출시 경인고속도로 간접 연결 | ||
IS | 오목교 교차로 | 오목로 영등포로 | 우회전 방향 진출입만 가능 | ||
IS | 신정교 교차로 | 도림천로 경인로67길 | |||
IS | 오금교 교차로 | 목동로 구로중앙로 | 구로구 | ||
IS | 고척교 교차로 | 국도 제46호선 (경인로) | |||
- | 안양천철교 | 경인선 | |||
IC | 구일초교앞 | 구일로 | 성산 방향 진입, 안양 방향 진출만 가능 | ||
IS | 광명교 교차로 | 가마산로 | 금천구 | ||
IS | 철산교 교차로 | 디지털로 | 우회전 방향 진출입, 디지털단지에서 안양 방향 진입만 가능 디지털단지에서 성산 방향 진입은 가산디지털2로 또는 서부샛길 이용 | ||
IS | 금천 교차로 | 가산디지털2로 | 성산 방향 진출만 가능 | ||
IC | 금천교 교차로 | 범안로 서부간선지하도로 | 성산 방향 진입, 안양 방향 진출만 가능 교차로 이용 시 서부간선지하도로 진출입 불가 | ||
IC | 금천 나들목 | 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 | 안양 방향 진출, 성산 방향 진입만 가능 | ||
BR | 안양천교 | ||||
IS | 시흥대교 교차로 (금하지하차도) | 국도 제1호선 (금하로) 안양천로 | 경기도 | 광명시 | |
IC | 소하 나들목 | 17호선 평택파주고속도로 강남순환로 | |||
IS | 기아대교 교차로 (소하 나들목) | 기아로 뚝방길 | 서울특별시 | 금천구 |
3. 3. 서울특별시도 제01호선
'''서울특별시도 제01호선'''('''서부간선''')은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계와 마포구 사천교를 잇는 서울특별시도이다. 서부간선도로의 전 구간과 성산로의 일부 구간을 포함하며 총 연장은 17.3km이다.; 서부간선도로 구간
; 성산로 구간
4. 문제점 및 논란
서부간선도로는 여러 자료에서 기점(혹은 종점)이 명확하게 표기되지 않아 혼란이 있다. 서울특별시에서 제공하는 https://news.seoul.go.kr/safe/files/2012/02/5e5cbfe5a633c2.10225451.pdf 2020년도 도로 통계에는 기점이 '제물포길'로, 목동교가 기점이며 성산로와 직결된다고 명시되어 있다.[12] 그러나 자동차 전용도로는 성산대교 남단 ~ 시흥대교 구간으로 지정되어 있어, 기점이 목동교인지 성산대교인지 불분명하다. 성산대교와 직결되는 도로 특성상, 일반적인 인식으로는 목동교 ~ 성산대교 구간도 서부간선도로로 간주되었고 교통방송 등에서도 그렇게 안내되었다. 2011년 7월 29일 도로명주소 사업으로 성산로의 기점이 목동교에서 성산대교 북단으로 변경되었지만, 서부간선도로에는 도로명이 부여되지 않아 기점을 파악하기 더 어려워졌다. 서울특별시 주요도로 노선번호부여 및 표지판설치계획(1988)에는 기점이 성산대교 북단으로 표기되는 등, 자료마다 기점이 다르게 나타난다.
4. 1. 기점 문제
현재 여러 가지 자료 상의 문제로 인해 이 도로의 기점(혹은 종점)이 어디인지 명확히 알 수 없다. 서울특별시에서 제공하는 https://news.seoul.go.kr/safe/files/2012/02/5e5cbfe5a633c2.10225451.pdf 2020년도 도로 통계에는 서부간선도로의 기점이 '제물포길'로 되어있어, 목동교가 기점이며 기점에서 성산로와 직결됨을 알 수 있다.[12] 그러나 자동차 전용도로는 성산대교 남단 ~ 시흥대교 구간으로 지정되면서 기점이 목동교인지 성산대교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하지만 성산대교에서 직결되는 도로의 특성상 일반적인 인식으로는 목동교 ~ 성산대교 구간도 서부간선도로 구간으로 취급되었고 교통방송 등에서도 그렇게 안내하였다. 또한 도로명주소 사업으로 2011년 7월 29일 성산로에는 도로명을 새로 부여하면서 기점이 목동교에서 성산대교 북단으로 변경된 것에 반해 서부간선도로에는 도로명이 부여되지 않아 정확한 기점을 알기 더 어려워졌다. 이외에도 서울특별시 주요도로 노선번호부여 및 표지판설치계획(1988)에는 기점이 성산대교 북단으로 되어 있는 등, 여러 자료들 각각에 기점이 다르게 표기되어 있다.4. 2. 상습 정체
서부간선도로의 제한 최고 속도는 금천 나들목에서 성산대교까지는 80km/h이고, 성산대교에서 성산 나들목까지는 60km/h이다.5. 주변 시설
번호 | 명칭 | 한국어 명칭 | 한자 명칭 | 연결 노선 | 비고 | 위치 | |
---|---|---|---|---|---|---|---|
IC | 금천 IC | 금천나들목 | 衿川나들목 | 서해안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독산역 (1호선) | 고속도로 시작 지점 | 서울특별시 금천구 | |
IC | 금천교 교차로 | 금천교교차로 | 衿川橋交叉路 | 범안로 | 금천 방향만 진출입 가능 | ||
IC | 철산교 교차로 | 철산교교차로 | 鐵山橋交叉路 | 디지털로 | |||
IC | 광명교 교차로 | 광명교교차로 | 光明橋交叉路 | 가마산로 | |||
IC | 구일초교 IC | 구일초교나들목 | 九一初校앞 交叉路 | 구일로 | 성산 방향만 진출입 가능 | 서울특별시 구로구 | |
IC | 고척교 교차로 | 고척교교차로 | 高尺橋交叉路 | 국도 제46호선 | |||
IC | 오금교 교차로 | 오금교교차로 | 梧琴橋交叉路 | 목동로 | |||
IC | 신정교 교차로 | 신정교교차로 | 新亭橋交叉路 | 도림천로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 ||
IC | 오목교 교차로 | 오목교교차로 | 木洞橋交叉路 | 국회대로, 경인고속도로, 오목교역 (5호선) | |||
IC | 양평교 교차로 | 양평교교차로 | 楊坪橋交叉路 | 양평로 | |||
IC | 성산대교 남단 | 성산대교남단 | 城山大橋南端 | 올림픽대로, 국도 제6호선,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 |||
BR | 성산대교 | 성산대교 | 城山大橋 | L=1,410m | |||
IC | 성산 IC | 성산대교북단 | 城山大橋北端 | 강변북로,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 서울특별시 마포구 | ||
IC | 내부순환로 입구 | 내부순환로입구 | 內部循環路入口 | 국도 제1호선 (농수산시장로), 내부순환로 | |||
IC | 사천교 교차로 | 사천교 교차로 | 泗川橋交叉路 | 서울특별시도 50호선 (수색로) | 모래내고가도로 구간 |
참조
[1]
뉴스
東(동)·西部(서부)간선도로 착공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5-11-26
[2]
뉴스
서울西部(서부)간선도 開通(개통)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8-09-14
[3]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117호
http://theme.archive[...]
1989-02-13
[4]
법률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5]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2019-3231호
2019-12-26
[6]
뉴스
지하 뻥 뚫린 서부간선·월드컵대교 9월1일 개통…2주는 무료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7]
뉴스
제물포터널 경쟁 입찰 공고…서부간선지하도로는 연말 착공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1-01-20
[8]
뉴스
서울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추진, 왕복 4차선 금천IC까지 10.33km
http://joongang.join[...]
중앙일보
2015-03-12
[9]
웹인용
서부간선지하도로·월드컵대교 본선 다음 달 1일 개통
https://news.kbs.co.[...]
KBS
2021-08-29
[10]
Youtube
사흘에 한 번 오히려 더 막히는 '유료'도로가 있다? 서부간선지하도로에 자꾸 차가 끼는 이유는?
https://www.youtube.[...]
[11]
문서
반입체 교차로도 포함
[12]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273호
http://theme.archive[...]
[13]
보고서
서울특별시청 도로현황 (2022년)
https://news.seoul.g[...]
[14]
보고서
서울특별시 도로안내 노선번호 개선
http://lib.seoul.go.[...]
[15]
문서
안내용은 도로이정표에 표기되는 번호이며, 도로법에 의한 노선과는 별도로 지정된 것이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차량 화재로 서부간선도로 1시간 넘게 통제…출근길 정체 극심
차량 화재로 서부간선도로 1시간 반가량 통제…정체 극심
서부간선지하도로 서부간선요금소 차량 화재…40분만 진압 완료
서부간선도로서 음주운전 승용차 전복…일대 정체
‘서부간선도로서 죽이겠다’ 살해 협박글 올린 20대에···오세훈 “처불불원”
오세훈 서울시장 살해 협박 글 올린 20대 긴급체포
경찰, '오세훈 서울시장 살해 협박글' 20대 화성서 체포
오세훈 서울시장 온라인 살해 협박글…경찰, 작성자 추적중
디시인사이드에 “오세훈 시장 살해” 협박 글···경찰, 수사 나서
서부간선도로 지하차도 폐쇄 연기…교통 상황 분석 후 순차 추진
서부간선 광명교·오금교 지하차도 폐쇄 연기…교통 안정화 후 추진
서부간선도로 광명교·오금교 지하차도 폐쇄…평면교차로 전환
서부간선도로 광명교·오금교 지하차도 폐쇄…평면교차로 전환
서울 강한 비에 서부간선도로 금천교→광명교 부분통제
구로구 철산교 하부→서부간선로 진입 램프 침수로 전면 통제
폭염 후 기습폭우에 퇴근길 곳곳 혼란…도로·하천 통제
퇴근길 쏟아진 폭우…폭염·호우경보 겹친 서울
기습 폭우에 퇴근길 불편…"피할 곳 없다" 푹푹 찌는 밤
[속보] 기습폭우에 서울 서부간선도로 오목교 동쪽 지하차도 통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