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서울역사박물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서울역사박물관은 서울특별시 행정기구 설치조례에 따라 설치된 박물관으로, 서울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전시하며 관련 자료를 수집, 연구하는 기관이다. 1993년 경희궁에 건물 공사를 시작하여 2002년에 개관했으며, 상설전시를 통해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서울의 모습을 보여준다. 기획 전시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문화 시설을 운영하며, 경희궁, 백인제가옥 등 여러 분관을 두고 있다.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를 다수 소장하고 있으며, 과거 경희궁 부지 사용으로 인한 문화재 훼손 논란과 특정 시정 홍보 전시로 인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역사 박물관 - 국립민속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은 대한민국 민속 문화를 연구하고 전시하는 박물관으로, 1993년 경복궁 내 건물로 이전하여 개관했으며, 한국인의 일상, 농경 생활, 생애 주기를 다루는 상설 전시와 야외 전시장, 교육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98,000점이 넘는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역사 박물관 - 청주백제유물전시관
    청주백제유물전시관은 2001년 11월 29일에 개관하여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관람이 가능한 전시시설이며, 매주 월요일과 명절, 공휴일 다음 날은 휴관한다.
  • 2001년 설립된 박물관 -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한국은행 화폐박물관은 서울 중구에 위치한 화폐를 주제로 한 박물관으로, 과거 일본 제일은행 경성지점으로 건립되어 조선은행과 한국은행 본점 건물로 사용되었으며, 절충주의 양식의 건축물로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 2001년 설립된 박물관 -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은 다니엘 리베스킨트가 설계한 지그재그 형태의 건물로, 독일 유대인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상설 전시와 기획 전시를 개최하며, 홀로코스트 희생자를 기리는 공간을 갖추고 있다.
  • 2002년 설립된 박물관 - 백범김구기념관
    백범김구기념관은 백범 김구 선생의 삶과 사상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기념관으로, 김대중 대통령의 지원과 국민 모금 운동을 통해 2002년 10월 22일에 개관되었으며, 임시정부 관련 유물과 유품, 그리고 김구 선생의 생애를 따라 구성된 전시관을 갖추고 있다.
  • 2002년 설립된 박물관 - 국립춘천박물관
    국립춘천박물관은 강원도의 국립박물관으로서, 선사시대부터 근현대까지의 유물을 전시하며, 건축 디자인의 우수성을 인정받았고, 전시, 연구, 교육 등의 다양한 사업을 수행한다.
서울역사박물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2012년 박물관 외부
2012년 박물관 외부
한국어 이름서울역사박물관
한자 이름서울歷史博物館
로마자 표기Seoul Yeoksa Bangmulgwan
영어 이름Seoul Museum of History
개관일2002년 5월 21일
위치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 (신문로1가 2-1)
대중교통지하철 5호선 서대문역 4번 출구 (도보 641m, 10분 소요)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7, 8번 출구 (도보 462m, 7분 소요)
웹사이트museum.seoul.kr/eng/index.do (영어)
운영
관장김용석
운영 주체서울특별시청

2. 설치 근거 및 소관 사무

서울역사박물관은 서울특별시 행정기구 설치조례 제77조제1항[8]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박물관 운영 및 관리, 자료 수집 및 보존, 전시, 조사 및 연구, 전시 유물 조사, 보존 및 관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2. 1. 설치 근거

서울특별시 행정기구 설치조례 제77조제1항[8]

2. 2. 소관 사무


  • 서울역사박물관의 운영·관리에 관한 사항
  • 서울역사박물관 자료의 수집·보존·전시 및 조사·연구
  • 전시유물의 조사·보존 및 관리에 관한 사항

3. 연혁


  • 1993년 12월 15일: 경희궁에서 서울역사박물관 건물 공사가 완료되었다.[5]
  • 1997년 4월 21일: 서울특별시립박물관이 설치되었다.[9]
  • 2001년 9월 29일: 서울역사박물관으로 개편되었다.[10]
  • 2002년 5월 21일: 박물관이 개관하였다.[5]
  • 2006년 1월 1일: 청계천 박물관을 인수하였다.[5]
  • 2008년 12월 24일: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었다.[11]

4. 상설전시

서울역사박물관의 상설전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1존 (조선시대의 서울): 조선 건국 후 한양 정도부터 개항 이전까지 조선시대의 서울을 보여주는 공간이다. 조선의 수도였던 서울의 모습과 역할을 전시한다.
  • 2존 (개항, 대한제국기의 서울): 서울에 불기 시작한 변화의 새 바람을 돌아보는 공간이다. 서울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경제 활동을 전시한다.
  • 3존 (일제강점기의 서울): 1910년 일본에 강제로 병합된 이후 암울했던 식민도시 경성을 돌아보는 공간이다. 서울의 궁중 문화, 학술 문화, 예술 문화를 다양하게 전시한다.
  • 4존 (고도성장기 서울): 해방 이후 서울의 비약적인 성장과 변화를 돌아보는 공간이다.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서울의 모습을 도시사(都市史)의 관점에서 전시한다.
  • 특별관: 3층과 4층 사이의 중층에 대형 도시모형전시관이 마련되어 있다.

5. 기획 전시

서울역사박물관은 서울의 역사·문화와 관련된 기획 전시 및 국제 교류전을 개최하는 공간을 운영하고 있다.

5. 1. 특별 전시 목록 (영어 위키백과 참고)

서울역사박물관은 선사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서울의 변천사를 보여주는 상설 전시 외에도 특별 전시회를 개최한다.[1]

연도전시 제목
2011파노라마 프라하[1]
2008한국 삼국지[6]


6. [[서울역사아카이브]]

서울역사박물관은 서울역사아카이브라는 온라인 서비스를 운영한다. 이 웹사이트는 박물관 자료를 디지털화하여 대중에게 무료로 제공하며, 자료는 비상업적 및 상업적 용도로 모두 이용 가능하다.[2][3]

7. 시설

서울역사박물관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이 있다.


  • 교육실: 다양한 대상과 연령별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강당 및 시청각실: 학술 대회, 심포지엄, 워크숍 등을 개최한다.
  • 문화정보센터: 서울의 역사·문화 관련 도서 및 영상 자료를 열람할 수 있다.
  • 뮤지엄 카페 및 샵: 박물관 간행물을 비롯하여 다양하고 특색있는 문화상품을 판매한다.
  • 중정휴게소: 박물관 단체 이용자에게 식사 장소와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7. 1. 분관

서울역사박물관은 특정 주제에 초점을 맞춘 여러 분관을 운영하고 있다.[4]

7. 2. 관장

현재 박물관장은 김용석이다.[5]

8. 보유 문화재

서울역사박물관은 다양한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으며, 그중 일부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8. 1.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목록 (일부)

번호명칭이미지
제137호십장생도
제138호친림광화문내근정전정시시도
제139호삼국지연의도
제142호흥선대원군이하응필묵란도
제143호진관사 소 삼존불상(석가불,미륵보살,제화갈라보살)
제152호청화백자산수인물문병
제153호청화백자성새산수문병
제154호청화백자매화절지문필통
제155호청화백자운룡문병
제156호백자대병
제157호백자양각시문병
제158호백자장군
제159호양온명수이도기편호
제162호금동보살좌상
제163호, 제164호간평의
제165호조선본천하여지도
제167호전송림사출토청동불구일괄
제168호금동불좌상(아미타불)
제169호송시열상
제170호전이한철필어해도병
제172호을축갑회도
제173호경수연도
제174호태학계첩
제175호경현당어제어필화재첩
제176호기성도병
제177호관서명승도첩
제178호두씨통전
제179호지장보살본원경
제180호번역명의집권1~3
제181호자치통감강목권16
제182호성북동포백훈조계완문절목
제183호원조정본농상집요권5~7
제193호류홍영정
제221호유순정초상
제272호백자청화칠보수복문호
제273호백자상감연리지문병
제274호백자청화화훼문병
제275호백자호
제276호백자동화원형문각호
제277호백자청화산수인물문사각병
제278호백자청화화분문호
제297호도성대지도
제298호수선총도
제299호망우동지
제300호훈도방주자동지
제301호북한지
제312호백자‘동묘치성병’명병
제314호백자청화산수문호
제316호홍재전서
제317호인천안목 권상
제318호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9. 논란

서울역사박물관은 건립 과정과 운영에서 문화재 훼손 및 시정 홍보와 관련한 논란이 있었다.

9. 1. 문화재 훼손 우려

서울역사박물관이 있는 자리는 본래 종로구 신문로2가에 있던 경희궁 건물이 있던 곳이었다. 박물관 부지가 이곳으로 결정되자 문화재 훼손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고, 이후 우려가 현실이 되면서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5]

9. 2. 시정 홍보 논란

박물관 1층 로비 왼쪽에는 실제 크기의 1/400로 축소한 '세빛둥둥섬' 모형이 반포대교 무지개분수와 함께 관람객을 맞이하고 있다. 세빛둥둥섬은 오세훈 서울시장의 핵심 사업인 '한강르네상스 사업' 중 하나로, 최근 감사원이 민간사업자에 대한 서울시의 특혜성 지원을 문제 삼은 곳이다. 오른편에는 아직 완공되지도 않은 '세운 초록띠 광장' 모형이 가로 1.6m, 세로 90cm의 유리 상자에 전시돼 있었다. 안내 표시문에는 "2015년에 전체 구간이 완공되면…"이라는 설명도 곁들여졌다.[16]

참조

[1] 뉴스 Seoul's best museums http://www.cnngo.com[...] CNN Go 2011-10-27
[2] 웹사이트 [우리문화신문] 서울 역사의 모든 것 '서울역사아카이브’로 일원화 http://www.koya-cult[...] 2023-09-26
[3] 웹사이트 서울 역사에 관한 모든 것,‘서울역사아카이브’에서 찾으세요! https://www.slnews.c[...] 2023-09-26
[4] 웹사이트 About us > Branch > Cheonggyecheon Museum SEOUL MUSEUM OF HISTORY https://museum.seoul[...] 2023-09-26
[5] 웹사이트 About us > Mission&History SEOUL MUSEUM OF HISTORY https://museum.seoul[...] 2023-09-26
[6] 뉴스 Events Calendar http://www.koreahera[...] Korea Herald 2008-10-11
[7] 법률 서울특별시 행정기구 설치조례 시행규칙 제96조
[8] 법률 「지방자치법」 제114조에 따라 박물관의 운영에 관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장 소속하에 서울역사박물관 및 한성백제박물관을 설치한다.
[9] 법률 조례 제3387호
[10] 법률 조례 제3896호
[11] 웹사이트 기획행정 > 기획행정자료실 > 기획조정 - 서울시 책임운영기관제도 http://gov.seoul.go.[...] 2017-10-08
[12] 문서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13] 문서 지방학예연구관으로 보한다.
[14] 문서 지방행정사무관 또는 지방학예연구관으로 보한다.
[15] 뉴스 경희궁을 복원할 생각이 있기는 하니?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1-01-14
[16] 뉴스 서울역사박물관은 시정 '홍보'관? https://news.v.daum.[...] 노컷뉴스 2011-07-0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