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상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진상운은 2019년 강화운수 주식회사에서 분할되어 설립된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회사이다. 도시형버스, 직행좌석버스, 맞춤형버스를 운행하며, 과거에는 시외버스 및 시내버스 노선도 운영했다. 현재는 김포시를 중심으로 운행하며, 다양한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북부운수
북부운수는 1974년 설립되어 서울특별시 중랑구에 본사를 둔 시내버스 운송 업체로,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며 친환경 버스 도입을 통해 대중교통 시스템 개선에 노력하고 있다. - 1974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서부운수
서부운수는 1974년 서울승합에서 분리 독립하여 설립된 서울특별시의 버스 운송 업체이며, 현재 간선버스 721번, 지선버스 7018번, 7719번, 8773번을 운행한다. - 신성교통 계열사 - 문산시외버스터미널
과거 다양한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했던 문산시외버스터미널은 노선 축소와 문산역 앞 정류소 이전으로 터미널 기능이 약화되었고, 현재는 일부 시외버스 및 공항버스만 운행된다. - 신성교통 계열사 - 한국비알티자동차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본사를 둔 한국비알티자동차는 간선, 심야 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과거에는 순환, 맞춤 버스 노선도 운영했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선진상운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강화티엘 정보 |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1974년 4월 4일 |
시장 정보 | 비상장 |
장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중앙로 43 (남산리) |
국가 | 대한민국 |
이전 회사 | 강화운수 (1974년 ~ 2018년) |
이후 회사 | 선진상운 (여객운송사업부 물적분할, 2019년 1월 2일) |
인물 | 신재호 (대표이사) |
산업 | 여객종합터미널사업, 항공기대여업, 여객운송업 |
자본금 | 600,000,000원 (2018.12) |
매출액 | 16,662,518,910원 (2018) |
영업이익 | 131,057,940원 (2018) |
순이익 | 6,335,097,646원 (2018) |
자산총액 | 23,336,491,326원 (2018.12) |
주주 | 선진네트웍스 : 33.2% 인천선진교통 : 16.4% 선진버스 : 42.3% 김포운수 : 8.1% |
계열사 | 선진네트웍스 |
종업원 | 181명 (2015.12) |
선진상운 정보 | |
원어 | SUN JIN SANG WOON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 | 2019년 1월 2일 |
시장 정보 | 비상장 |
장소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로 2600 (갈산리) |
국가 | 대한민국 |
인물 | 신재호 (대표이사) |
산업 | 운수업 |
자본금 | 300,000,000원 (2020.12) |
매출액 | 12,818,888,038원 (2020) |
영업이익 | -2,583,528,168원 (2020) |
순이익 | -424,430,404원 (2020) |
자산총액 | 6,051,067,921원 (2020.12) |
주주 | 강화티엘 : 100% |
계열사 | 선진네트웍스 |
종업원 | 230명 (2020.12) |
2. 연혁
- 2019년 1월 2일: 강화운수에서 분할되어 선진상운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본사는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로 2600에 위치하며, 자본금은 3억원이었다.
- 2023년 1월 2일: 김포골드라인 혼잡을 개선하기 위해 70번 노선을 신설 운행하였다.
- 2024년 8월 16일: 88번 노선이 마곡역에서 영등포 구간을 단축하고 송정역으로 회차하도록 변경되었다.
2. 1. 강화운수 주식회사 (현 강화티엘 주식회사)
- 1974년 4월 4일: 강화운수라는 상호로 법인 설립.
- 1999년 5월 6일: 김포시 통진면 마송리 186-8로 본사 이전.
- 2007년 5월 25일: 현 위치인 김포시 북변동 142-12로 본사 이전.
- 2010년 1월 말: 강화~김포~부천 시외버스 노선 시내버스로 전환.[1]
- 2010년 4월 23일: 영등포~김포~강화, 김포대학~개화동~안양 시외버스 2개 노선을 시내버스로 전환.[2]
- 2010년 4월 30일: 신촌~김포~강화, 신촌~김포~화도 시외버스 2개 노선을 직행좌석버스로 전환.[2]
- 2013년 8월 28일: 선진그룹의 회장 신재호가 대표이사로 취임과 동시에 선진그룹 산하 자회사로 편입.[3]
- 2016년: 본사를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로 2600으로 이전.
- 2016년 4월 21일: 따복버스 3번, 3-1번 신설 운행.
- 2016년 10월 5일: 직행버스 2000번 덕포리~신촌역 구간 신설 운행.
- 2018년 4월 2일: 따복버스 7번, 7-1번, 7-2번 신설 운행.
- 2019년 1월 2일: 강화운수 주식회사에서 운수사업 분야를 선진상운 주식회사로 분할하고 남은 법인은 강화티엘 주식회사로 상호 변경. 본사를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중앙로 43 (강화여객터미널)으로 이전.
2. 2. 선진상운 주식회사
2019년 1월 2일: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로 2600 소재 강화운수에서 자본금 3억원으로 분할 설립되었다.2023년 1월 2일: 김포골드라인 혼잡 개선 대책의 일환으로 70번 노선을 신설 운행하였다.
2024년 8월 16일: 88번 노선 마곡역 ~ 영등포 구간 단축 및 송정역 회차.
3. 운행 노선
2022년 1월 기준으로, 선진상운이 운행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4]
운행업체 | 보유 노선 수 | 등록 대수 | ||||||
---|---|---|---|---|---|---|---|---|
노선 합계 | 직행좌석 | 시내일반 | 맞춤형버스 | 대수 합계 | 직행좌석 | 시내일반 | 맞춤형버스 | |
선진상운 | 12 | 2 | 6 | 4 | 83 | 29 | 54 | 0 |
3. 1. 도시형버스
선진상운은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로 2600 (갈산리)에 본사를 둔 버스 회사이다. 본래 시외버스, 좌석버스, 입석형 버스 노선을 각각 1개씩(2번 좌석버스, 88번 입석형 버스) 운행했다. 2007년 8월 2번 좌석버스를 입석형 버스로 전환했고, 2010년 2월부터 단계적으로 시외버스 노선을 입석형 버스로 전환했다. 2010년 3월에는 모든 노선이 입석형 버스로 바뀌었고, 신촌행 시외버스는 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어, 결과적으로 입석형 버스 회사로 전환되었다.- ● 2번: 귀전리 ↔ 하성 ↔ 누산리 ↔ 전원, 수정마을 ↔ 구 시가지↔ 사우역(김포고) ↔ 풍무역 ↔ 캐슬엔패밀리 ↔ 개화역 ↔ 송정역(중) (현재 고촌역 미경유, 고촌고, 캐슬엔패밀리 경유)
- ● 70번: 김포마루공원 - 걸포북변역 - 풍무역 - 고촌역 - 개화역 - 김포공항역 (사우역 지하차도 통과, 주말·공휴일 미운행, 출·퇴근 시간대 한정 운행)
- ● 88번: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강화터미널) ↔ 김포대학 ↔ 마송 ↔ 전원, 수정마을 ↔ 구 시가지 ↔ 사우역(김포고) ↔ 풍무역 ↔ 고촌역 ↔ 개화역 ↔ 김포공항역 ↔ 송정역(중) (2024년 8월 16일 마곡동 ~ 영등포동 구간 단축)
- ● 388번: 한강신도시 A지구(운양동) ↔ 모담, 한옥마을 ↔ 걸포동 ↔ 사우역(김포고) ↔ 풍무역 ↔ 고촌역 ↔ 개화역(광역환승센터) ↔ 송정역(중) ↔ 마곡수명산파크 ↔ 신월동 ↔ 남부순환로 ↔ 개봉역 ↔ 시흥대로 ↔ 석수역(중) (2013년 3월 15일 직행좌석버스 3800번으로 형간 전환)
3. 2. 직행좌석버스
- ● 3000-1번: 월곶공영차고지 ↔ 김포대학 ↔ 마송(조강로) ↔ 걸포북변역 ↔ 사우역·김포고등학교 ↔ 풍무역 ↔ 고촌역 ↔ 개화역 ↔ 송정역(중) ↔ 염창역(중)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현대백화점 신촌점 (가로변) ↔ 지하 신촌역 ↔ 경의선신촌역 (구 3000번, 2024년 7월 1일부터 기점을 월곶공영차고지로 단축 및 노선 번호를 3000-1번으로 변경)
- ● G6003번: 매수리마을 ↔ 마송우회도로사거리 ↔ 통진중고등학교 ↔ 누산삼거리 ↔ 장기본동 ↔ 장기사거리·수정마을 ↔ 걸포북변역 ↔ 사우역 ↔ 풍년마을 ↔ 당산역 (2020년 3월 1일 경기도 공공버스 신설 노선)
3. 3. 맞춤형버스
4. 미운행 노선
선진상운에서 운행하다가 중단된 노선은 다음과 같다.
=== 시외버스 ===
선진상운은 2010년 3월부터 모든 노선이 일반버스로 전환되면서 시외버스 사업을 중단했다. 다음은 전환 이전에 운행했던 시외버스 노선들이다.
- 강화-신촌 직행 (현 3000번):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김포대학 ↔ 마송 ↔ 북변터미널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고촌 ↔ 송정역 ↔ 염창역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현대백화점 신촌점 (가로변) ↔ 지하 신촌역 ↔ 신촌터미널
- 화도 직행 (현 단축 전 3100번): 화도터미널 ↔ 마니산입구 ↔ 문산리마을회관 ↔ 덕포 ↔ 선두1리 ↔ 온수리 ↔ 밤나무골 ↔ 초지대교 ↔ 대명항입구 ↔ 대명초등학교 ↔ 대곶사거리 ↔ 양곡버스정류장 ↔ 북변터미널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고촌 ↔ 송정역 ↔ 염창역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현대백화점 신촌점 (가로변) ↔ 지하 신촌역 ↔ 신촌터미널
- 외포리 직행 (3000번에 통폐합): 외포리 ↔ 안양대학교 강화캠퍼스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김포대학 ↔ 마송 ↔ 북변터미널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고촌 ↔ 송정역 ↔ 염창역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현대백화점 신촌점 (가로변) ↔ 지하 신촌역 ↔ 신촌터미널
- 강화 ↔ 김포한강신도시 ↔ 김포국제공항 ↔ 청주 (현재 대원고속과 충북리무진에서 운행 중)
- 강화 ↔ 김포한강신도시 ↔ 대전
- R1번: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군하리 ↔ 마송 ↔ 전원, 수정마을 ↔ 구 시가지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발산역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시장역 ↔ 영등포역 (2010년 4월에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 같은 해 7월에 88번에 통폐합)
- R3번, R3-1번: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김포대학 ↔ 마송 ↔ 전원, 수정마을 ↔ 구 시가지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고촌 ↔ 개화역 ↔ 김포국제공항 ↔ 송정역 ↔ 마곡수명산파크 ↔ 남부순환로 ↔ 개봉역 ↔ 석수역 ↔ 관악역 ↔ 안양역 (2010년 4월 23일 도시형버스 380번으로 전환)
- R33A번: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김포대학 ↔ 마송 ↔ 전원, 수정마을 ↔ 구 시가지 ↔ 김포고등학교 ↔ 풍무동 ↔ 귤현역 ↔ 임학역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KTX광명역 ↔ 안양역 (이후 강화, 김포 구간 폐지, 3003번으로 변경 및 부천으로 노선 변경, 대원고속에 매각 후 2009년 폐선)
- R33B번: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김포대학 ↔ 마송 ↔ 전원, 수정마을 ↔ 구 시가지 ↔ 김포고등학교 ↔ 풍무동 ↔ 귤현역 ↔ 임학역 ↔ 부천터미널 (2010년 도시형버스 330번으로 형간전환, 같은 해 7월 폐선)
=== 시내버스 ===
노선번호 | 운행 구간 | 비고 |
---|---|---|
R1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영등포역 | 2010년 4월 도시형버스로 전환, 같은 해 7월 88번에 통폐합 |
R3, R3-1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김포대학 ↔ 안양역 | 2010년 4월 23일 도시형버스 380번으로 전환 |
R33A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안양역 | 이후 강화, 김포 구간 폐지, 3003번으로 변경 후 부천으로 노선 변경, 대원고속에 매각 후 2009년 폐선 |
R33B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부천터미널 | 2010년 도시형버스 330번으로 전환, 같은 해 7월 폐선 |
2-1 | 하성면 순환 | 현재 선진버스 201번과 202번의 전신 |
8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송정역 | 2012년 5월 운행 중지 |
9, 9-1 | 검단 ↔ 송정역 | 2007년 김포운수에 매각, 9번은 2009년 10월 60번에 통폐합 |
60 | 검단 ↔ 영등포역 | 2004년 10월 15일 도시형버스로 전환, 2007년 김포운수에 매각 |
69, 69-1 | 오류동 신동아아파트 ↔ 영등포역/송정역 | 2007년 김포운수에 매각, 69-1번은 이후 69번에 통폐합 |
80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대화역 | 2013년 11월 1일 운행 중단 |
300 | 주엽역 ↔ 계양역 | 2011년 8월까지 330번, 2012년 10월 폐선 |
330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부천터미널 | 구 시외완행 33번, 2010년 7월 폐선 |
380 | 마송 ↔ 안양역 | 구 시외버스 3번 단축, 2010년 4월 23일 ~ 2012년 1월, 388번과 통합 |
388 | 마송 ↔ 안양역 | 2011년 9월 11일 ~ 2012년 8월 23일, 직행좌석버스 3800번으로 전환 |
==== 일반좌석버스 ====
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비고 |
---|---|---|
6번 | 대명항 ↔ 영등포역 | 2007년 김포운수 매각, 이후 1대로 운행하다 60-3번에 통폐합 |
7번 | 대명항 ↔ 영등포역 | 2007년 김포운수 매각, 2008년 7월 631번에 통폐합 |
11번 | 검단 ↔ 지하 신촌역 | 2004년 1월 9번에 통폐합 |
66번 | 검단 ↔ 영등포역 | 현재 인천 신동아교통 운행 |
==== 직행좌석버스 ====
노선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비고 |
---|---|---|---|---|
2000번 | 화도터미널 덕포리 | 온수리, 전등사 동문, 대명초교, 대곶면사무소사거리, 양곡터미널, 양곡주공7단지, 신양초등학교, 한가람마을, 복합환승센터, 솔터마을, 은여울마을, 고창마을.KCC, 청송2.3단지, 전원, 수정마을, 북변환승센터, 김포고, 고촌, 올림픽대로, 양화대교, 합정역, 홍대입구역, 동교동삼거리, 현대백화점 신촌점 (가로변), 지하 신촌역, 경의선신촌역 | 경의선신촌역 | 2016년 10월 5일 운행 개시, 구 김포운수 3100번 노선 재운행, 2020년 9월 14일 운행 중단 |
3000번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김포대학, 마송(조강로), 걸포북변역, 사우역.김포고등학교, 풍무역, 고촌역, 개화역, 송정역(중), 염창역(중), 양화대교, 합정역, 홍대입구역, 동교동삼거리, 현대백화점 신촌점 (가로변), 지하 신촌역, 경의선신촌역 | 경의선신촌역 | 2024년 10월 1일 신동아교통 이관 |
3000A번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마송(김포대로), 북변터미널, 김포고등학교, 사우동, 고촌, 올림픽대로, 양화대교, 합정역, 홍대입구역, 동교동삼거리, 현대백화점 신촌점 (가로변), 지하 신촌역, 경의선신촌역 | 경의선신촌역 | 2020년 9월 14일 운행 중단 |
3100번 | 양곡버스정류장 | 양곡주공7단지, 신양초등학교, 고창마을.KCC, 청송2.3단지, 풍경마을, 하늘빛마을, 개화역, 송정역, 염창역, 양화대교, 합정역, 홍대입구역, 동교동삼거리, 현대백화점 신촌점 (가로변), 지하 신촌역, 신촌기차역 | 신촌기차역 | 2013년 12월 1일 김포운수 이관 |
3800번 | 마송 | 전원, 수정마을, 김포고등학교, 사우동, 고촌, 개화역, 김포국제공항, 송정역, 마곡수명산파크, 남부순환로, 개봉역, 석수역, 관악역, 안양역 | 안양역 | 구 도시형버스 388번 전환, 2012년 8월 23일 ~ 2013년 3월 15일, 도시형버스 388번 전환 |
G6003A번 | 매수리마을 | 통진중고등학교, 누산삼거리, 걸포북변역, 사우역, 양쳔향교입구, 가양역9번출구, 우성아파트 | 가양역9번출구, 우성아파트 | 2024년 10월 1일 폐선 |
4. 1. 시외버스
선진상운은 본래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였으나, 2010년 3월부터 전 노선이 일반버스로 전환되면서 시외버스 사업은 중단되었다. 다음은 전환 이전에 운행했던 시외버스 노선들이다.- 강화-신촌 직행: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김포대학 ↔ 마송 ↔ 북변터미널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고촌 ↔ 송정역 ↔ 염창역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현대백화점 신촌점 (가로변) ↔ 지하 신촌역 ↔ 신촌터미널 (현 3000번)
- 화도 직행: 화도터미널 ↔ 마니산입구 ↔ 문산리마을회관 ↔ 덕포 ↔ 선두1리 ↔ 온수리 ↔ 밤나무골 ↔ 초지대교 ↔ 대명항입구 ↔ 대명초등학교 ↔ 대곶사거리 ↔ 양곡버스정류장 ↔ 북변터미널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고촌 ↔ 송정역 ↔ 염창역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현대백화점 신촌점 (가로변) ↔ 지하 신촌역 ↔ 신촌터미널 (현 단축 전 3100번)
- 외포리 직행: 외포리 ↔ 안양대학교 강화캠퍼스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김포대학 ↔ 마송 ↔ 북변터미널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고촌 ↔ 송정역 ↔ 염창역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현대백화점 신촌점 (가로변) ↔ 지하 신촌역 ↔ 신촌터미널 (3000번에 통폐합)
- 강화 ↔ 김포한강신도시 ↔ 김포국제공항 ↔ 청주 (한때 용남고속에서 인수해 운행하기도 하였으나 현재는 대원고속과 충북리무진에서 운행 중이다.)
- 강화 ↔ 김포한강신도시 ↔ 대전
- R1번: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군하리 ↔ 마송 ↔ 전원, 수정마을 ↔ 구 시가지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발산역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시장역 ↔ 영등포역 (2010년 4월에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되었고, 같은 해 7월에 88번에 통폐합되었다.)
- R3번: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김포대학 ↔ 마송 ↔ 전원, 수정마을 ↔ 구 시가지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고촌 ↔ 개화역 ↔ 김포국제공항 ↔ 송정역 ↔ 마곡수명산파크 ↔ 남부순환로 ↔ 개봉역 ↔ 석수역 ↔ 관악역 ↔ 안양역 (2010년 4월 23일 도시형버스 380번으로 전환)
- R3-1번: 김포대학 ↔ 마송 ↔ 전원, 수정마을 ↔ 구 시가지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고촌 ↔ 개화역 ↔ 김포국제공항 ↔ 송정역 ↔ 마곡수명산파크 ↔ 남부순환로 ↔ 개봉역 ↔ 석수역 ↔ 관악역 ↔ 안양역 (2010년 4월 23일 도시형버스 380번으로 전환)
- R33A번: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김포대학 ↔ 마송 ↔ 전원, 수정마을 ↔ 구 시가지 ↔ 김포고등학교 ↔ 풍무동 ↔ 귤현역 ↔ 임학역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KTX광명역 ↔ 안양역 (이후 강화, 김포 구간은 폐지하고 3003번으로 번호 변경 및 부천으로 노선 변경하였다가 대원고속으로 매각 후 2009년에 폐선.)
- R33B번: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김포대학 ↔ 마송 ↔ 전원, 수정마을 ↔ 구 시가지 ↔ 김포고등학교 ↔ 풍무동 ↔ 귤현역 ↔ 임학역 ↔ 부천터미널 (2010년에 도시형버스 330번으로 형간전환하였다가 같은 해 7월에 폐선되었다.)
4. 2. 시내버스
선진상운은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로 2600 (갈산리)에 본사를 둔 버스 회사였다. 초기에는 시외버스, 좌석버스, 일반버스 노선을 운영했으나, 2007년 8월부터 순차적으로 노선 개편을 진행했다. 2010년 3월에는 모든 노선이 일반버스로 전환되었고, 신촌행 시외버스는 직행좌석버스로 변경되었다.선진상운에서 운행했던 시내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번호 | 운행 구간 | 비고 |
---|---|---|
R1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영등포역 | 2010년 4월 도시형버스로 전환, 같은 해 7월 88번에 통폐합 |
R3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안양역 | 2010년 4월 23일 도시형버스 380번으로 전환 |
R3-1 | 김포대학 ↔ 안양역 | 2010년 4월 23일 도시형버스 380번으로 전환 |
R33A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안양역 | 이후 강화, 김포 구간 폐지, 3003번으로 변경 후 부천으로 노선 변경, 대원고속에 매각 후 2009년 폐선 |
R33B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부천터미널 | 2010년 도시형버스 330번으로 전환, 같은 해 7월 폐선 |
2-1 | 하성면 순환 | 현재 선진버스 201번과 202번의 전신 |
8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송정역 | 2012년 5월 운행 중지 |
9 | 검단 ↔ 송정역 | 2007년 김포운수에 매각, 2009년 10월 60번에 통폐합 |
9-1 | 김포이젠 ↔ 송정역 | 2007년 김포운수에 매각 |
60 | 검단 ↔ 영등포역 | 2004년 10월 15일 도시형버스로 전환, 2007년 김포운수에 매각 |
69 | 오류동 신동아아파트 ↔ 영등포역 | 2007년 김포운수에 매각 |
69-1 | 오류동 신동아아파트 ↔ 송정역 | 2007년 김포운수에 매각, 이후 69번에 통폐합 |
80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대화역 | 2013년 11월 1일 운행 중단 |
300 | 주엽역 ↔ 계양역 | 2011년 8월까지 330번, 2012년 10월 폐선 |
330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부천터미널 | 구 시외완행 33번, 2010년 7월 폐선 |
380 | 마송 ↔ 안양역 | 구 시외버스 3번 단축, 2010년 4월 23일 ~ 2012년 1월, 388번과 통합 |
388 | 마송 ↔ 안양역 | 2011년 9월 11일 ~ 2012년 8월 23일, 직행좌석버스 3800번으로 전환 |
4. 2. 1. 일반좌석버스
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비고 |
---|---|---|
6번 | 대명항 ↔ 대곶면 ↔ 양곡 ↔ 누산리 ↔ 지경 ↔ 나진교 ↔ 구 시가지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발산역 ↔ 하이웨이주유소 ↔ 강서보건소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역 | 2007년에 김포운수로 매각. 이후 1대로 운행하다가 60-3번에 통폐합. |
7번 | 대명항 ↔ 대곶면 ↔ 양곡 ↔ 장기지구 ↔ 지경 ↔ 나진교 ↔ 구 시가지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발산역 ↔ 하이웨이주유소 ↔ 강서보건소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역 | 2007년에 김포운수로 매각. 2008년 7월에 631번에 통폐합. |
11번 | 검단 ↔ 불로동 ↔ 홈플러스 김포점 ↔ 구 시가지 ↔ 김포고등학교 ↔ 장곡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발산역 ↔ 강서구청사거리 ↔ 등촌역 ↔ 염창역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지하 신촌역 | 2004년 1월에 9번에 통폐합. |
66번 | 검단 ↔ 당하동 ↔ 백석동 ↔ 검암역 ↔ 공촌동 ↔ 계산역 ↔ 신대진아파트 ↔ 상야동 ↔ 하야동 ↔ 개화역 ↔ 송정역 ↔ 발산역 ↔ 하이웨이주유소 ↔ 강서보건소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역 | 현재 인천 신동아교통에서 운행 중. |
4. 2. 2. 직행좌석버스
노선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비고 |
---|---|---|---|---|
2000번 | 화도터미널 덕포리 | 온수리 ↔ 전등사 동문 ↔ 대명초교 ↔ 대곶면사무소사거리 ↔ 양곡터미널 ↔ 양곡주공7단지 ↔ 신양초등학교 ↔ 한가람마을 ↔ 복합환승센터 ↔ 솔터마을 ↔ 은여울마을 ↔ 고창마을.KCC ↔ 청송2.3단지 ↔ 전원, 수정마을 ↔ 북변환승센터 ↔ 김포고 ↔ 고촌 ↔ 올림픽대로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현대백화점 신촌점 (가로변) ↔ 지하 신촌역 ↔ 경의선신촌역 | 경의선신촌역 | 2016년 10월 5일 운행 개시, 구 김포운수 3100번 노선 재운행, 2020년 9월 14일 운행 중단 |
3000번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김포대학 ↔ 마송(조강로) ↔ 걸포북변역 ↔ 사우역.김포고등학교 ↔ 풍무역 ↔ 고촌역 ↔ 개화역 ↔ 송정역(중) ↔ 염창역(중)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현대백화점 신촌점 (가로변) ↔ 지하 신촌역 ↔ 경의선신촌역 | 경의선신촌역 | 2024년 10월 1일 신동아교통으로 이관 |
3000A번 |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 | 마송(김포대로) ↔ 북변터미널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고촌 ↔ 올림픽대로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현대백화점 신촌점 (가로변) ↔ 지하 신촌역 ↔ 경의선신촌역 | 경의선신촌역 | 2020년 9월 14일 운행 중단 |
3100번 | 양곡버스정류장 | 양곡주공7단지 ↔ 신양초등학교 ↔ 고창마을.KCC ↔ 청송2.3단지 ↔ 풍경마을 ↔ 하늘빛마을 ↔ 개화역 ↔ 송정역 ↔ 염창역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현대백화점 신촌점 (가로변) ↔ 지하 신촌역 ↔ 신촌기차역 | 신촌기차역 | 2013년 12월 1일 김포운수로 이관 |
3800번 | 마송 | 전원, 수정마을 ↔ 김포고등학교 ↔ 사우동 ↔ 고촌 ↔ 개화역 ↔ 김포국제공항 ↔ 송정역 ↔ 마곡수명산파크 ↔ 남부순환로 ↔ 개봉역 ↔ 석수역 ↔ 관악역 ↔ 안양역 | 안양역 | 구 도시형버스 388번 전환. 2012년 8월 23일 ~ 2013년 3월 15일, 도시형버스 388번으로 전환. |
G6003A번 | 매수리마을 | 통진중고등학교 ↔ 누산삼거리 ↔ 걸포북변역 ↔ 사우역 ↔ 양쳔향교입구 ↔ 가양역9번출구, 우성아파트 | 가양역9번출구, 우성아파트 | 2024년 10월 1일 폐선 |
5. 보유 차종
차종 | 비고 |
---|---|
현대 카운티 |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 |
현대 유니시티 |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럭셔리 |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 |
중통 매그넘 EV | |
황해버스 E-SKY EV | |
스카이웰 네오포스 EV | |
스카이웰 리오네 EV | |
MAN 라이온스 시티 | |
볼보 B8RLE |
참조
[1]
뉴스
경기, 시외버스 2개 노선 시내노선 전환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0-02-04
[2]
뉴스
경기도, 시외버스 4개 노선 시내버스로 전환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0-04-28
[3]
웹인용
선진그룹 알림판 70번 글
http://www.sunjingro[...]
2013-11-08
[4]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2-03-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