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군은 공식적으로 인정된 별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정의되는 별들의 모임이다. 고대 문명에서부터 별들을 연결하여 패턴을 만들었으며, 국제천문연맹(IAU)이 88개의 별자리를 공식화한 이후, 추가적으로 선택된 별들의 그룹이나 과거 별자리를 성군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별자리는 하늘 전체를 구획하는 반면, 성군은 별자리 내부에 존재하거나 여러 별자리에 걸쳐 나타날 수 있으며, 문화권이나 개인에 따라 다른 이름과 형태를 갖는다. 주요 성군으로는 여름철 대삼각형, 겨울철 대삼각형, 북두칠성, 북십자 등이 있으며,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한 성군도 존재한다.
고대부터 여러 문명은 밤하늘의 별들을 연결하여 특정한 패턴을 만들고, 이에 이름을 붙여 사용해 왔다. 이는 별자리의 기원이 되었으며, 인도와 바빌로니아의 고대 기록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누구든지 별들을 묶어 이름을 지을 수 있었기 때문에 '별자리'와 '성군' 사이에는 뚜렷한 구분이 없었다. 예를 들어,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박물지에서 72개의 성군을 언급했다.[7]
국제천문연맹(IAU)이 정한 88개의 별자리는 영역과 소속 천체가 정해진 공식적인 천문 집합체인 반면, 성군은 남십자자리와 북두칠성등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국제천문연맹으로부터 인정을 받지 않은 비공식적인 천문 집합체이다.
밝은 1등성으로 완전히 구성되거나 부분적으로 구성된 성군들은 밤하늘에서 쉽게 눈에 띄기 때문에 예로부터 항해나 천체 관측에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2. 역사적 배경
히파르코스와 프톨레마이오스 같은 고대 천문학자들은 별자리를 정리하고 목록을 만들기 시작했다. 별자리는 형태를 구성하는 별들로만 구성된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남은 별들을 사용하여 기존 별자리 사이에 새로운 그룹을 만들고 끼워 넣는 것이 가능했다.
대항해 시대 유럽의 탐험가들은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남반구의 새로운 별들을 관측하게 되었다. 요한 바이어와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는 남쪽 별자리의 수를 크게 확장한 대표적인 천문학자였다. 바이어는 프톨레마이오스가 볼 수 없었던 남쪽 하늘의 별들로 12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만들었고, 라카유는 남극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14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추가했다. 이들이 제안한 별자리 중 많은 수가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졌지만, 나머지는 성군으로 남았다.
1928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하늘을 88개의 공식 별자리로 나누고, 별자리의 경계를 명확하게 정의했다. 이 과정에서 기존 별자리에 포함되지 않은 별들의 모임이나, 과거 별자리로 여겨졌던 일부는 성군으로 남게 되었다. 현대 별자리와 성군의 기술적인 구분은 다소 모호하게 남아있다.
3. 별자리와 성군의 차이점
성군은 여러 현대 별자리에 걸쳐 있거나, 반대로 별자리 내부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정보원에 따라 명칭과 영역이 다를 수 있다. 고전적인 별자리나 지역적인 별자리 또한 성군에 포함된다. 대 플리니우스는 그의 저서 박물지에서 72개의 성군을 언급했다.[7]
별자리는 별들을 잇는 점 잇기 막대 인물 패턴으로 묶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누구든지 별들을 묶어 이름을 지을 수 있었기 때문에, '별자리'와 '성군'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현대 별자리와 마찬가지로 성군의 별 배열은 지구로부터의 성간 거리에 기반하지 않으며, 공간적인 묶음을 갖지 않는다.
4. 주요 성군
카노푸스는 시리우스 남쪽의 아르고자리 성군에 있으며, 용골자리 성운의 동쪽에 시각적으로 위치하며, 대마젤란 은하 근처에 있다. 아케르나르는 카노푸스 동쪽의 에리다누스자리 별자리에, 포말하우트는 아케르나르 동쪽의 남쪽 물고기자리 별자리에, 안타레스는 전갈자리 별자리에 위치하며 은하 중심 근처에 시각적으로 위치한다.
4. 1. 1등성으로 구성된 성군
4. 2. 별자리 기반 성군
4. 3. 기타 성군
4. 4. 여러 별자리에 걸친 성군
용골자리와 돛자리의 별들이 이루는 십자 형태의 성군이다. 알세피나(δ Velorum), 마르케브(κ Velorum), 아비오르(ε Carinae), 아스피디스케(ι Carinae)로 구성된다.[14] 남십자성으로 오인되기도 한다.[20]
큰개자리, 작은개자리, 오리온자리, 돛자리의 별들이 이루는 X자 형태의 성군이다. 시리우스(α CMa), 프로키온(α CMi), 베텔게우스(α Ori)는 겨울의 대삼각형을 이루고, 시리우스, 나오스(ζ Pup), 파크트(α Col)는 또 다른 삼각형을 이룬다.
5.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한 성군
망원경으로 관측 가능한 성군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asterism
http://dictionary.ob[...]
2018-01
[2]
웹사이트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constellation
http://dictionary.ob[...]
2018-01
[3]
웹사이트
Table of Asterisms
http://www.wro.org/r[...]
2018-08-31
[4]
웹사이트
Asterisms
http://maps.seds.org[...]
1997-03-09
[5]
뉴스
Spring triangle
http://www.space.com[...]
Space.com
2011-03
[6]
문서
AstronomyOnline: Image of Big Dipper, Diamond of Virgo, The Sail, Sickle, and Asses and the Manger
http://astronomyonli[...]
Astronomyonline.org
[7]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https://books.google[...]
Dover Publication
1899
[8]
뉴스
Space.com: Hercules: See the Celestial Strongman
http://www.space.com[...]
[9]
문서
History of the Constellations: Bootes
http://hsci.cas.ou.e[...]
[10]
웹사이트
Astronomy Online – View Images Template
http://astronomyonli[...]
2019-03-10
[11]
웹사이트
Astronomy Online – View Images Template
http://astronomyonli[...]
2019-03-10
[12]
문서
AstronomyOnline: Image of Cassiopeia, Square of Pegasus, The Circlet, and Y of Aquarius
http://astronomyonli[...]
Astronomyonline.org
[13]
논문
Origins of the ancient constellations: I. The Mesopotamian traditions
1998-02-01
[14]
웹사이트
Starry Night Photography – Southern Cross, False Cross & Diamond Cross
http://www.southerns[...]
2019-03-10
[15]
웹사이트
Astronomy Online – View Images Template
http://astronomyonli[...]
2019-03-10
[16]
웹사이트
BBC Science Focus – How can I see the Teapot and Teaspoon asterism?
https://www.sciencef[...]
2024-03-19
[17]
웹사이트
LacusCurtius • Allen's Star Names – Sagittarius
https://penelope.uch[...]
2019-03-10
[18]
웹사이트
Ursa Major
http://www.daviddarl[...]
2019-03-10
[19]
웹사이트
Centaurus
http://www.daviddarl[...]
2019-03-10
[20]
서적
Patrick Moore's Astronomy: Teach Yourself
https://books.google[...]
Hachette
[21]
문서
Asterisms
http://www.constella[...]
Constellation Guide
2024-04-19
[22]
문서
Orion Constellation
http://www.constella[...]
Constellation Guide
2014-03-03
[23]
논문
Spot the ring that hides in the Little Dipper
https://astronomy.co[...]
2019-05
[24]
웹사이트
Asterisms – Broken Engagement Ring
https://www.astronom[...]
2020-09-11
[25]
웹사이트
A star hop through Monoceros including M 50, The Christmas Tree Cluster (NGC 2264), Hubble's Variable Nebula (NGC 2261), NGC 2244, NGC 2301, The Rosette Nebula, 11 Beta Monocerotis, Harrington's Star 17 and Harrington's Star 18.
http://www.backyard-[...]
2019-03-10
[26]
뉴스
"It's Christmastime in the Cosmos - Astronomers have a long tradition of finding holiday cheer in outer space."
https://www.nytimes.[...]
2023-12-19
[27]
웹사이트
Asterisms
http://www.deep-sky.[...]
2019-03-10
[28]
논문
Deep Sky Wonders: Doodles in the Sky
https://skyandtelesc[...]
2017-06
[29]
웹사이트
Mon catalogue d'amas d'étoiles
http://splendeursduc[...]
2020-05-27
[30]
논문
NGC 6994: Clearly not a physical stellar ensemble
2002
[31]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04
[32]
문서
姫路科学館の星図より判断
http://www.city.hime[...]
[33]
문서
鹿角平天文台の星図より判断
https://web.archive.[...]
[34]
문서
鹿角平天文台の星図より判断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