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인사는 고려대장경(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법보사찰로, 802년(통일신라 애장왕 3년)에 창건되었다. 1962년 국보 제32호로 지정된 장경판전은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건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또한, 국보 제333호 건칠희랑대사좌상 등 다수의 국보 및 보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템플스테이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인사 -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은 고려 시대에 제작된 불교 경전 등을 담은 총 54종 2,835판의 목판으로, 국보와 보물로 지정되어 해인사 대장경판전에 봉안되어 있으며, 한국 목판 인쇄술과 서각예술을 보여주는 문화유산이다. - 해인사 -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은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목조비로자나불좌상과 그 안에서 발견된 복장 유물들로, 불상의 조형성과 조각적 완성도가 뛰어나며 조선 후기 복장 의례 연구, 불상 연대 추정, 직물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해제된 대한민국의 사적 및 명승 - 불국사
불국사는 김대성이 부모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중창을 시작하여 신라시대에 완공된 경주시 토함산의 대표적인 사찰로, 석가탑과 다보탑 등 국보급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임진왜란 이후 복원을 거쳐 현재에 이르러 신라 불교 건축의 정수이자 한국 문화유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해제된 대한민국의 사적 및 명승 - 화엄사
화엄사는 신라 진흥왕 때 연기조사가 창건하고 《화엄경》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중수되었고, 국보와 보물을 보유한 선교 양종의 대가람으로 현재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한국의 절 - 불국사
불국사는 김대성이 부모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중창을 시작하여 신라시대에 완공된 경주시 토함산의 대표적인 사찰로, 석가탑과 다보탑 등 국보급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임진왜란 이후 복원을 거쳐 현재에 이르러 신라 불교 건축의 정수이자 한국 문화유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한국의 절 - 범어사
범어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되어 임진왜란 이후 중건되었고, 조선시대 불교 탄압에도 존속하며 근대 고승들의 수행을 통해 선불교 전통을 계승하고, 현재도 한국 불교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사찰이다.
해인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한국어 이름 | 해인사 |
한자 이름 | 印 |
로마자 표기 | Haeinsa |
위치 |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
사찰 정보 | |
산 이름 | 가야산 |
종파 | 조계종 |
창건 년도 | 802년 (신라 애장왕 3년) |
창건자 | 순응, 이정 |
본존 | 비로자나불 |
별칭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해인사 고려대장경 판전 소장 사찰 |
문화재 | 고려팔만대장경 (국보 제32호) 해인사 대장경판전 (세계유산) |
소재지 |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해인사길 122 |
사적 지정일 | 2009년 12월 21일 |
사적 지정 번호 | 504 |
면적 | 56,469m2 |
소유 | 해인사 |
유네스코 세계유산 정보 | |
이름 | 해인사 장경판전 |
영어 이름 | Haeinsa Temple Janggyeong Panjeon, the Depositories for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
등록 구분 | 세계문화유산 |
등록 년도 | 1995년 |
지정 번호 | 737 |
지역 | 아시아·태평양 |
유네스코 사이트 | 유네스크와 유산 - 해인사 장경판 |
기준 | Ⅳ, VI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정보 | |
이름 |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
영어 이름 | Printing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and miscellaneous Buddhist scriptures |
등록 구분 | 세계기록유산 |
등록 년도 | 2007년 |
지역 | 아시아·태평양 |
유네스코 사이트 | 유네스크와 유산 -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高麗大藏經板-諸經板) |
기타 | |
![]() | |
관람료 면제 | 문화재 관람료 면제 (2023년 5월 4일 부터) |
2. 삼보사찰
해인사는 불교의 세 가지 보물인 삼보(三寶) 중 법보(法寶), 즉 부처님의 가르침을 상징하는 사찰이다.[11]
한국의 삼보사찰은 다음과 같다.
구분 | 사찰명 | 위치 | 내용 |
---|---|---|---|
불보사찰 | 통도사 | 경상남도 양산시 | 부처님의 진신사리(진짜 부처님 몸에서 나온 사리)를 모시고 있다. |
법보사찰 | 해인사 | 경상남도 합천군 | 고려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다. |
승보사찰 | 송광사 | 전라남도 순천시 | 예로부터 이름 난 스님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
802년(통일신라 애장왕 3년), 순응(順應)과 이정(利貞)이 왕비의 병을 낫게 해준 것을 계기로 애장왕의 도움을 받아 해인사가 창건되기 시작했다.[13] 전설에 따르면 대가야 출신의 이 두 스님은 당나라에서 돌아와 왕비의 병을 고쳐주었고, 석가모니의 자비에 감사한 왕이 절 건립을 명했다고 한다.[1]
해인사와 관련된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3. 역사
865년(통일신라 경문왕 5년), 이정에 이어 결언대덕(決言大德)이 해인사의 주지가 되었다.[14] 통일신라 진성여왕은 삼촌 위홍이 사망하자 그를 혜성대왕(惠成大王)으로 추봉하고 해인사의 이름을 혜성대왕원당으로 바꾸었으며,[15] 원당을 지어 추모했다. 진성여왕은 해인사 주위로 거처를 옮겨 생을 마감했다.[16]
920년대 말, 고려 태조 왕건은 후백제군과 해인사 인근에서 전투를 벌였다. 왕건은 당시 해인사 주지인 희랑대사에게 도움을 청했고,[17] 희랑대사는 승병을 보내 왕건의 승리를 도왔다.[18] 935년 경순왕의 막내아들 김덕지(金德摯) 왕자가 법명을 범공(梵空)이라 하고 출가하였다. 신라가 망하자 경순왕의 어진을 제작하여 해인사에 봉안하였고, 해인사에서 입적하였다.[19]
고려 건국 후, 태조 왕건은 희랑대사의 공덕을 높이 사서 해인사를 증축하고 국찰(國刹)로 삼았다. 또한 토지를 하사하고 국가의 중요 문서를 보관하기 시작했다.[20] 이후 해인사는 5차례가 넘는 화재로 인해 여러 번 중창되었다. 현재의 전각은 대부분 조선 말기 때의 것이며, 3층 석탑·석등 등이 현존한다.
1393년(조선 태조 2년), 정중탑을 중영(重營)하고 해인사를 중창하였으며, 고려대장경판이 해인사에 봉안되었다.[21] 1481년( 조선 성종 12년)부터 8년간 중건이 이루어졌다.
1951년 9월, 6.25전쟁 당시 김영환 대령은 해인사 폭격 명령을 거부하여 해인사와 팔만대장경을 지켰다. 1993년에는 성철 스님이 입적했다.
해인사는 10세기, 1488년, 1622년, 1644년에 각각 중수되었다. 당시 주지였던 희랑은 고려 태조의 후원을 받았다. 해인사는 1817년 화재로 소실되었고 1818년에 재건되었다.[1] 1964년 중수 과정에서 1622년 중수에 책임이 있었던 조선 광해군(光海君)의 왕복과 상량문이 발견되었다.
한국 전쟁 당시 해인사 주변 지역은 북한 게릴라와 대한민국 및 유엔군 연합군 간의 충돌 지역이었다. 1951년 9월, 게릴라 토벌 폭격 작전 중 김영환 공군 대령은 사찰을 파괴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이를 거부하고 단 한 발의 폭탄도 투하하지 않고 그의 전투기 편대를 사찰 상공으로 이끌었다.[3]
4. 해인사와 관련된 인물
4. 1. 진성여왕과 각간 위홍
통일신라의 마지막 여왕인 진성여왕은 삼촌인 위홍과 사랑을 나누었고, 위홍이 죽자 해인사에 원당을 만들어 추모했다. 이 원당이 지금의 원당암이다.[22]
과거 해인사의 법보전과 대적광전에는 비로자나불이 각각 하나씩 있었다. 2005년 7월, 법보전 비로자나불 안에서 통일신라 시대의 글씨가 발견되었다. 조사 결과 이 불상은 통일신라 시대의 불상으로 밝혀졌다.[23]
비로자나불 안의 글씨는 "대각간의 등신불과 오른편에 부인의 등신불을 2위 만드노니~"라는 내용이었다. 여기서 대각간은 삼대목을 편찬한 각간 위홍으로, 부인은 진성여왕으로 추정된다.[24] 현재는 대비로전에 쌍둥이 비로자나불이 함께 모셔져 있다.
4. 2. 김영환 대령
1951년 9월, 한국전쟁 당시 UN군 폭격기 4대가 인천상륙작전 이후 퇴각하지 못하고 해인사에 남은 1천여 명의 북한군 잔당을 소탕하기 위해 해인사 폭격 명령을 받았다. 그러나 공군 편대장 김영환 대령은 팔만대장경과 해인사를 지키기 위해 명령에 불복, 폭탄을 투하하지 않았다.[25]
이러한 공로로 김영환 대령은 준장으로 진급했으며, 2002년 6월 해인사 삼선암 입구에 공적비가 세워졌다.[25][3]
4. 3. 성철 스님과 혜암 스님
성철 스님과 혜암 스님은 해인사를 대표하는 현대 한국 불교의 큰 스님들이다. 성철은 팔공산 파계사 성전암에서 장좌불와(長坐不臥) 수행과 해인총림 초대 방장을 역임했고,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라는 법어로 널리 알려져 있다. 혜암은 해인총림 방장, 조계종 원로회의 의장, 조계종 제10대 종정을 역임하며 화두 수행을 강조했고, "공부하다 죽어라."라는 말로 유명하다.
4. 3. 1. 성철 스님
파계사 성전암에서 10년 동안 눕지 않고 앉아서만 수행을 하였다. 1967년 해인총림 초대 방장으로 취임하였다. 조계종에서 종정으로 모시려 했지만, 81번을 사양했다.
이후 6대와 7대 종정을 역임하면서 처음 매스컴에 모습을 드러냈다. 절을 3천 배 한 사람에게만 잠깐 접견을 허용했을 따름이다.[26]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라는 법어로 유명하다.[27]
4. 3. 2. 혜암 스님
해인총림 방장, 조계종 원로회의 의장을 거쳐 조계종 제10대 종정을 지냈다.
화두 수행을 강조했으며, "공부하다 죽어라."라는 말로 유명하다.[28]
5. 주요 볼거리
해인사는 여러 전각과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 대적광전: 비로자나불을 모시는 전각으로 해인사의 주된 전각이다.


- 장경판전: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는 전각이다.
- 대비로전: 쌍둥이 비로자나불을 모신 전각이다.
- 국사단: 산신과 토지신을 모신 곳이다.[29]
- 구광루
- 해인범종
6. 문화재
해인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국보, 보물 등 국가지정문화재를 20여 점 보유하고 있다.[1] 세계기록유산이자 국보 제32호인 팔만대장경과 세계문화유산이자 국보 제52호인 장경판전이 대표적이다.
국보로는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제32호),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제52호),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제206호),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제333호)이 있다. 보물은 20여 점이 있으며, 명승 제62호 가야산 해인사 일원, 천연기념물 제541호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 중요민속문화재 제3호 광해군 내외 및 상궁 옷 등도 있다.
6. 1. 유네스코 세계유산
해인사와 팔만대장경판고는 199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유네스코 위원회는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건물이 유물 보존을 위해 특별히 지어졌으며, 사용된 기술이 특히 독창적이라는 점을 언급했다.[2] 1970년 현대적인 보존 기술을 이용한 현대식 보관 시설이 건설되었지만, 시험 목판에서 곰팡이가 발견되어 이전 계획은 취소되었고 목판은 해인사에 남게 되었다.6. 1. 1. 세계기록유산(팔만대장경)
팔만대장경은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동양 각국의 대장경과 비교할 때 오탈자가 거의 없고, 글꼴이 한 사람이 새긴 듯이 일정해서 자체가 예술품처럼 느껴지는 고려 재조대장경이다.[1]6. 1. 2. 세계문화유산(장경판전)
장경판전(국보 제32호)은 해인사에 있는 ''팔만대장경'' 목판을 보관하는 건물로,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국보로 지정되었다. 이 건물들은 세계에서 가장 큰 목조 보관 시설 중 일부이다.[4] 임진왜란 때 피해를 입지 않았고, 1818년 대부분의 사찰이 불타는 화재에서도 무사하였다. 총 7번의 큰 화재와 한국 전쟁 중 한 차례의 근접 폭격 위협을 넘기기도 했다.
장경판전은 사찰에서 가장 오래된 부분이며, ''팔만대장경''의 81,258개의 목판을 보관하고 있다. 세조가 1457년에 확장 및 개축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건물은 직사각형으로 배치된 네 개의 건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창고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매우 간소한 양식을 갖추고 있다. 북쪽 건물은 법보전(法寶殿)이라고 하고, 남쪽 건물은 수다라장("경전각")이라고 한다. 이 두 개의 주요 건물은 길이 60.44m, 너비 8.73m, 높이 7.8m이다. 둘 다 15개의 방과 2개의 인접한 방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동쪽과 서쪽에는 두 개의 작은 도서관을 보관하는 두 개의 작은 건물이 있다.
목판을 보존하기 위해 여러 가지 독창적인 보존 기술이 사용되었다. 건축가들은 자연을 이용하여 팔만대장경을 보존하는 데에도 도움을 주었다. 보관 시설은 사찰의 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하며 해발 655m에 있다. 장경판전은 아래 계곡에서 불어오는 습한 남동풍을 피하기 위해 남서쪽을 향하고 있으며, 산봉우리에 의해 차가운 북풍으로부터 보호받고 있다. 두 개의 주요 건물의 북쪽과 남쪽에 크기가 다른 창문을 설치하여 유체역학 원리를 이용한 환기를 실시하였다. 모든 건물에 창문을 설치하여 환기를 극대화하고 온도를 조절하였다. 점토 바닥에는 숯, 산화칼슘, 소금, 석회, 모래를 채워 빗물이 내릴 때 과도한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한 겨울철에 그 습기를 유지하게 하였다. 지붕도 점토로 만들어졌으며, 공포와 나무 서까래는 급격한 온도 변화를 방지한다. 또한, 건물의 어떤 부분도 햇볕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정교한 보존 조치는 오늘날까지 목판이 놀라운 상태로 보존될 수 있었던 이유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6. 2. 국보
- 국보 제32호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국보 제52호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 국보 제206호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 국보 제333호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6. 3. 보물
해인사는 20여 점의 보물을 보유하고 있다.[1]지정 번호 | 명칭 | 이미지 |
---|---|---|
보물 제128호 |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 | |
보물 제129호 | 합천 월광사지 동ㆍ서 삼층석탑 | |
보물 제222호 | 합천 치인리 마애여래입상 | |
보물 제264호 | 합천 해인사 석조여래입상 | -- |
보물 제518호 | 합천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 | |
보물 제734호 |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 |
보물 제1208-2호 | 춘추경좌씨전구해 권60~70 | |
보물 제1242호 | 합천 해인사 길상탑 | |
보물 제1253호 | 해인사 동종 | |
보물 제1273호 | 해인사 영산회상도 | |
보물 제1300호 | 합천 해인사 홍제암 | |
보물 제1301호 |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 |
보물 제1697호 | 합천 해인사 감로왕도 | |
보물 제1777호 |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 |
보물 제1778호 |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 |
보물 제1779호 |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 |
보물 제1780호 |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 |
보물 제1799호 | 합천 해인사 지장시왕도 | |
보물 제1806호 | 합천 해인사 내전수함음소 권490 목판 | |
보물 제2072호 |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및 복장유물 | -- |
보물 제2075호 | 합천 해인사 원당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복장전적-제다라니 | -- |
6. 4. 기타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31호 합천 해인사 존상도는 조선 세조의 진영으로 전해지고 있다.[14] 합천 해인사 삼화상 진영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86호이다.[15] 합천 해인사 백련암 목조여래좌상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01호이다.[16] 합천 해인사 백련암 풍계집 목판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02호이다.[17]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는 천연기념물 제541호이다.[18] 광해군 내외 및 상궁 옷은 중요민속문화재 제3호이다.[19] 가야산 해인사 일원은 명승 제62호이다.[20]7. 해인사 산하 암자
해인사에는 다음과 같은 산하 암자들이 있다.
8. 해인사 성보박물관
2000년에 완공되었으며, 입장료는 무료이다.[1]
대표적인 보물로는 고려 왕건 시대에 희랑대사를 조각한 건칠희랑대사좌상(대한민국의 국보 제333호)·조선 성종 시대에 만들어진 동종·석가의 설법을 그린 불화 등이 있다.[1]
9. 연중행사
- 고려 팔만대장경 인경 기념행사(신력 4월 둘째 금요일·토요일)
- 부처님오신날 (구력 4월 8일)
- 해인사 개산대재(구력 10월 16일)
- 보살계 수계법회(신력 10월 넷째 금요일·토요일)
10. 불상사
최근 해인사에서는 여러 불미스러운 사건이 발생했다.
; 성 스캔들로 주지 추방
2023년 1월 19일, 해인사는 주지(2인자)를 두 번 역임하고 조계종 교육원장도 지낸 현응을 여승에 대한 성희롱과 성풍속업소 출입 혐의로 사찰에서 추방(산문축송)했다.[8]
; 수행 기간 중 해외 골프
2023년 1월 19일, 금족 수행 기간(동안거) 중 태국까지 나가 골프를 친 고승 2명(주지와 방장시자)이 적발되었으며, 이들은 2년 전 하안거에도 골프를 친 것으로 밝혀졌다.[9]
11. 체험 및 시설
해인사에서는 템플 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내·외국인 방문객들이 불교 문화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5]
11. 1. 템플스테이
해인사에서는 내·외국인을 위한 다양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5]12. 교통 정보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서부정류장역에서 내려 해인사행 버스를 타고 종점에서 내리면 된다. 소요 시간은 약 1시간 30분이다. 종점에서 해인사까지 이어지는 길을 약 45분 동안 걸어 올라가면 된다. 돌아올 때는 해인사 버스 정류장에서 대구행 버스를 타고 서부정류장역으로 돌아오면 된다.[1]
참조
[1]
웹사이트
Asian Historical Architecture: A Photographic Survey
http://www.orientala[...]
[2]
웹사이트
WH Committee: Report of 19th Session, Berlin 1995
https://whc.unesco.o[...]
[3]
웹사이트
World Heritage - Republic of Korea - Haeinsa Temple Janggyeong Panjeon, the Depositories of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https://english.cha.[...]
Korea Heritage Service
2024-06-12
[4]
웹사이트
Haeinsa Temple Janggyeong Panjeon, the Depositories for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https://whc.unesco.o[...]
[5]
웹사이트
Templestay A joyful journey to Find the True Happiness within Myself
https://eng.templest[...]
[6]
웹사이트
‘해인사 팔만대장경’ 살려낸 김영환 장군, 지하에서 통곡
https://www.joongang[...]
2023-09-26
[7]
기타
[8]
뉴스
「韓国の古刹・海印寺の住職、性的スキャンダルで寺から追放」
https://news.yahoo.c[...]
ハンギョレ新聞
2023-01-19
[9]
뉴스
「「修行期間」なのにタイに遠征ゴルフ…海印寺僧侶だった=韓国」
https://s.japanese.j[...]
中央日報
2023-01-20
[10]
웹인용
4일부터 조계종 산하 사찰 문화재 관람료 면제
https://www.korea.kr[...]
문화체육관광부
2023-05-02
[11]
웹인용
삼보사찰 (三寶寺刹)
https://encykorea.ak[...]
한국중앙학연구원
2023-05-09
[12]
웹인용
법보종찰 가야산 해인사 - 연혁
http://www.haeinsa.o[...]
해인사
2023-05-09
[13]
웹사이트
http://yoksa.aks.ac.[...]
[14]
웹인용
결언대덕
http://hamyang.grand[...]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05-09
[15]
웹인용
해인사는 寺格을 지켜야
http://www.beopbo.co[...]
㈜법보신문사
2023-05-09
[16]
웹인용
9세기 왕위도 버린 로맨스 ‘단짝 불상’…17년 만에 국보
https://www.hani.co.[...]
한겨레
2023-05-09
[17]
웹인용
‘태조 왕건 스승’ 희랑대사 조각상, 국보로 승격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3-05-09
[18]
웹인용
[만파식적] 희랑대사
https://www.sedaily.[...]
서울경제신문
2023-05-09
[19]
웹인용
합천 해인사, 경순왕 어진 봉안식 거행
http://www.gnnews.co[...]
경남일보
2023-05-09
[20]
웹인용
[만파식적] 희랑대사
https://www.sedaily.[...]
서울경제신문
2023-05-09
[21]
웹인용
법조종찰 가야산 해인사 - 연
http://www.haeinsa.o[...]
해인사
2023-05-09
[22]
웹인용
[배혜숙의 한국100탑(32)]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https://www.ksilbo.c[...]
경상일보
2023-05-09
[23]
웹인용
9세기 왕위도 버린 로맨스 ‘단짝 불상’…17년 만에 국보
https://www.hani.co.[...]
한겨례
2023-05-09
[24]
웹인용
해인사 법보전 비로자나불상은 대적광전불상과 쌍둥이
http://www.hyunbulne[...]
현대불교신문사
2023-05-09
[25]
웹인용
김영환 장군 공적비 제막식 봉행
http://news.bbsi.co.[...]
BBS불교방송(재)
2023-05-09
[26]
웹인용
입적한 성철스님-10년간 눕지않고 무언수행.5개국어 능통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3-05-09
[27]
웹인용
성철 (性徹)
https://encykorea.ak[...]
한국중앙학연구원
2023-05-09
[28]
웹인용
공부하다 죽어라- 혜암스님의 벼락같은 화두
http://www.ibulgyo.c[...]
불교신문
2023-05-09
[29]
웹인용
해인사 국사단
http://www.yangpatv.[...]
양파티브이뉴스
2023-05-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정청래 "따끔하게 가르쳐달라" 상진스님 "민주당은 한 식구"
“감정 절제” 스님 조언에 정청래 “법대로 탕평 인사”
“감정 절제해야” 진우스님 조언에···정청래 “감정 빼고 탕평인사했다”
정청래, 조계종 총무원장 예방…불교계 목소리 청취
국보 3건·보물 7건, 18세기 조선 미술의 거장 의겸을 만나다
“혼란 속 국민 위로·상처 치료”…조계종 ‘담선대법회’ 14일 개최
‘고요한 하루절’의 탄생
“언제 볼지 모른 사람인게 한 국자 더 주제”
조계사 1층에 있는 키오스크의 용도는?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