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흥고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흥고속은 1966년 삼흥여객자동차로 설립되어 세종시, 청양군, 공주시 시내버스를 분사한 후, 1997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2018년 KD운송그룹에 인수되었으며,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한다. 2023년 7월 18일 기준 총 88개의 노선을 운영하며, 대전, 울산, 천안, 창원 등지를 연결하는 고속버스와 서울/경기, 충청, 기타 지역을 잇는 시외버스를 운행한다. 운행 차량으로는 현대자동차, 기아, 자일대우버스 등의 버스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청남도의 공항버스 기업 - 충남고속
충남고속은 1966년 충남교통운수로 설립되어 1998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2016년 고속버스 업체로 전환하여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 인천, 부산 등지로 운행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운송 업체이다. - 충청남도의 공항버스 기업 - 금남고속
금남고속은 1965년 금남여객자동차로 설립되어 충청남도 시내버스 사업을 운영하다가 현재는 성남-익산 간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에 주력하는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기업으로, 과거 고속버스 사업 매각 및 사명 변경을 거쳐 2020년 기준 214개 노선을 보유하고 현대 유니버스와 기아 그랜버드 차량을 운용한다. - 충청남도의 시외버스 기업 - 충남고속
충남고속은 1966년 충남교통운수로 설립되어 1998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2016년 고속버스 업체로 전환하여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 인천, 부산 등지로 운행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운송 업체이다. - 충청남도의 시외버스 기업 - 금남고속
금남고속은 1965년 금남여객자동차로 설립되어 충청남도 시내버스 사업을 운영하다가 현재는 성남-익산 간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에 주력하는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기업으로, 과거 고속버스 사업 매각 및 사명 변경을 거쳐 2020년 기준 214개 노선을 보유하고 현대 유니버스와 기아 그랜버드 차량을 운용한다. - 충청남도의 버스 기업 - 충남고속
충남고속은 1966년 충남교통운수로 설립되어 1998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2016년 고속버스 업체로 전환하여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서울, 인천, 부산 등지로 운행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버스 운송 업체이다. - 충청남도의 버스 기업 - 금남고속
금남고속은 1965년 금남여객자동차로 설립되어 충청남도 시내버스 사업을 운영하다가 현재는 성남-익산 간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에 주력하는 대한민국의 버스 운송 기업으로, 과거 고속버스 사업 매각 및 사명 변경을 거쳐 2020년 기준 214개 노선을 보유하고 현대 유니버스와 기아 그랜버드 차량을 운용한다.
삼흥고속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이름 | 주식회사 삼흥고속 |
원어 | Samheung Express Corp. |
형태 | 주식회사 |
창립 | 1966년 1월 10일 |
시장 정보 | 비상장 |
장소 | 충청남도 공주시 전막2길 10-3 (신관동) |
인물 | 허명회 (회장) 허상준 (대표이사 사장)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외버스 공항버스 |
자본금 | 109,000,000원 (2020.12) |
매출액 | 14,938,568,876원 (2020) |
영업이익 | -2,160,896,222원 (2020) |
순이익 | -650,114,520원 (2020) |
자산총액 | 4,300,902,000원 (2020.12) |
주주 | 주식회사 경기고속: 34.53% 주식회사 대원고속: 32.84% 주식회사 대원버스: 32.63% |
종업원 | 184명 (2020.12) |
모기업 | KD운송그룹 |
2. 역사
1966년에 '''삼흥여객자동차'''로 설립하였다. 이후 세종시내버스를 성일버스, 청양군내버스를 청양교통, 공주시내버스를 시민교통 등으로 각각 분사하였다. 1997년 상호명을 '''삼흥여객자동차'''에서 '''삼흥고속'''으로 변경하였으며, 2006년 체불 임금문제로 파업을 벌어온 시민교통을 다시 인수하였으나 2010년 계열사에서 분리하였으며, 2016년에는 세종교통과 청양교통이 계열사에서 분리되면서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2018년 5월 25일에 KD운송그룹에 인수되면서 차량 도색이 보라색으로 변경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66년 ~ 1997년)
1966년에 '''삼흥여객자동차'''로 설립하였다. 이후 세종시내버스, 청양교통, 공주시내버스 등으로 분사하였다.2. 2. 사명 변경 및 계열사 변화 (1997년 ~ 2018년)
1997년 상호명을 '''삼흥여객자동차'''에서 '''삼흥고속'''으로 변경하였다. 2006년 체불 임금 문제로 파업을 벌였던 시민교통을 재인수하였으나, 2010년 계열사에서 분리되었다. 2016년에는 세종교통과 청양교통이 계열사에서 분리되었다.2. 3. KD운송그룹 인수 (2018년 ~ 현재)
2018년 5월 25일에 KD운송그룹에 인수되면서 차량 도색이 보라색으로 변경되었다. KD운송그룹 인수 이후 노선 확장 및 서비스 개선을 지속하고 있다.3. 운행 노선
운행업체 | 보유 노선수 | 면허 대수 | 등록 대수 | ||||||
---|---|---|---|---|---|---|---|---|---|
노선 합계 | 시외버스 | 고속버스 | 대수 합계 | 시외버스 | 고속버스 | 대수 합계 | 시외버스 | 고속버스 | |
KD 삼흥고속 | 88 | 88 | - | 90 | 90 | - | 90 | 90 | - |
'''고속버스'''
삼흥고속은 다음 고속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2]
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 구간 | 경유지 | 일반 | 우등 | 비고 |
---|---|---|---|---|---|---|
대전 ↔ 울산 | 대원고속 | 대전 ↔ 울산 | 신복 | 1 | 3 | 2014년 3월 28일 우등 1대 일반 전환 2018년 9월 1일 동양고속에서 양수 |
세종 ↔ 울산 | 대원고속 | 세종 ↔ 울산 | 1 | 1 | 2014년 9월 29일 신설 인가 2015년 9월 23일 운행 중지 2018년 11월 7일 코리아와이드경북에서 양수 | |
천안 ↔ 진주 | 경전여객 | 천안 ↔ 진주 | 인삼랜드휴게소, 개양 | 1 | 2 | 2014년 1월 10일 고속버스로 전환 2015년 3월 27일 일반 1대 우등 전환 2016년 3월 2일 진주 도착으로 변경 2018년 11월 7일 코리아와이드경북에서 양수 |
천안 ↔ 창원 | 경전여객 | 천안 ↔ 창원 | 마산 | 1 | 1 | 2018년 신설 미운행 노선 |
청주 ↔ 창원 | 청주 ↔ 창원 | 사창, 남청주, 마산 | 2 | 2 | 2016년 3월 2일 중간 경유지 추가 2016년 9월 13일 일반 증차 2018년 12월 6일 코리아와이드대성에서 양수 |
'''시외버스'''
'''서울/경기권 출발 노선'''
-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구의동) 출발 노선
- * 동서울 → 대전청사 → 유성 (금남고속, 중부고속과 공동 운행, 주말(금토일) 차량 증회 운행, 전 차량 우등)
- * 동서울 → 자운대 (세종청사, 세종시 경유,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3]
- * 동서울 → 탕정 (죽전, 신갈영덕, 천안3공단, 선문대학교, 트라팰리스 경유,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 동서울 → 공주 (잠실역, 가락시장, 장지역 경유, 금남고속, 대원고속[4]과 공동 운행)
- * 동서울 → 논산 (잠실역, 가락시장, 장지역, 공주, 산성동 경유,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1일 2회 강경 종착 운행)
- * 동서울 → 부여 (잠실역, 가락시장, 장지역, 공주, 산성동 경유,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서울남부버스터미널 (서초동) 출발 노선
- * 남서울 → 천안 (금남고속, 대원고속과 공동 운행)
- * 남서울 → 공주 (천안 경유 완행과 공주산성동 종착 우등형 직행으로 나뉨,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일부 시간대 세종청사, 세종 경유 운행)
- * 남서울 → 논산 (천안, 공주 경유 완행,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1일 5회 강경 종착 단독 운행)
- * 남서울 → 부여 (천안, 공주 경유 완행과 우등형 직행으로 나뉨,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 남서울 → 장항 (서천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 한양고속과 공동 운행)
'''충청권 출발 노선'''
- 청주시외버스터미널 출발
- * 청주 → 성남 (새서울고속과 공동 운행)
- * 청주 → 안산 (금남고속, 새서울고속과 공동 운행)
- * 청주 → 수원 (오산 경유, 새서울고속과 공동 운행)
- * 청주 → 공주 (조치원, 세종청사, 세종 경유)
- * 청주 → 논산 (조치원, 세종청사, 세종, 공주 경유)
- * 청주 → 강경 (조치원, 세종청사, 세종, 공주, 논산 경유)
- * 청주 → 부여 (조치원, 세종청사, 세종, 공주, 산성동 경유)
- * 청주 → 안동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 예천 경유, 충북리무진, 친선고속과 공동 운행)
- 대전복합터미널 출발
- * 대전복합 → 청주 (남부정류장 경유, 강원고속,[5] 금강고속,[5] 서울고속, 충북리무진, 코리아와이드대성, 친선고속,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 대전복합 → 공주 (유성, 공암, 산성동 경유,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 대전복합 → 보령 (유성, 공주, 정산, 쳥양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6]
- * 대전복합 → 태백 (상주, 꽃동산, 예천, 영주, 봉화, 장수, 도리원 경유)
- 대전서남부터미널 출발 노선
- * 대전서남부 → 공주 ( 유성 경유 직행과 유성, 공암, 공주산성동 경유 완행 나뉨 ,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 대전서남부 → 청양 (유성, 공암, 공주, 정산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 대전서남부 → 보령 ( 유성, 공주, 정산, 청양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 대전서남부 → 예산 (유성, 공암, 공주, 유구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 대전서남부 → 당진 (유성, 공주, 기지시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유성시외버스터미널 출발
- * 유성 → 공주 (직행과 산성동 경유 완행 나뉨,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1일 1회 대평동, 세종, 장군면, 신관동, 공주터미널, 공주산성동 종착 단독 운행)
- * 유성 → 청양 (공주, 정산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 유성 → 보령 (공주, 정산, 청양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 유성 → 예산 (공주, 유구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 한양고속[7]과 공동 운행)
- * 유성 → 당진 (공주, 기지시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공주종합버스터미널 출발
- * 공주 → 천안 (완행과 일부 시간대 세종, 세종청사 경유로 나뉘며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1일 1회 세종, 세종청사, 조치원, 전의 경유 종착 단독 운행)
- * 공주 → 부여 (완행과 공주역(KTX) 경유로 나뉨,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 공주 → 인천국제공항 (금남고속, 동양고속 공동운행)
- 부여시외버스터미널 출발
- * 부여 → 천안 (공주 경유 완행, 금남고속, 대원고속과 공동 운행, 1일 1회 은산, 정산, 유구, 아산 경유 단독 운행)
- * 부여 → 인천국제공항 (무정차와 공주 경유로 나뉨,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출발 노선
- * 서산 → 포항 ( 당진, 기지시, 구미, 경주 경유,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 서산 → 울산 ( 당진, 기지시, 울산신복 경유,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 서산 → 동대구 (당진, 기지시, 구미 경유,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기타 지역 출발 노선'''
- 평택시외버스터미널 출발 노선
- * 평택 → 청주 (평택대 경유, 새서울고속, 충북리무진과 공동 운행)
- * 평택 → 동대구 (세종청사, 세종시, 구미 경유)
- * 평택 → 고현 (세종청사, 세종시, 거제 경유, 경원여객과 공동 운행)
3. 1. 고속버스
삼흥고속은 대전 ↔ 울산 (대원고속 공동운행), 세종 ↔ 울산 (대원고속 공동운행), 천안 ↔ 진주 (경전여객 공동운행), 천안 ↔ 창원 (경전여객 공동운행), 청주 ↔ 창원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2]운행 노선 | 공동 운행사 | 운행 구간 | 경유지 | 일반 | 우등 | 비고 |
---|---|---|---|---|---|---|
대전 ↔ 울산 | 대원고속 | 대전 ↔ 울산 | 신복 | 1 | 3 | 2014년 3월 28일 우등 1대 일반 전환 2018년 9월 1일 동양고속에서 양수 |
세종 ↔ 울산 | 대원고속 | 세종 ↔ 울산 | 1 | 1 | 2014년 9월 29일 신설 인가 2015년 9월 23일 운행 중지 2018년 11월 7일 코리아와이드경북에서 양수 | |
천안 ↔ 진주 | 경전여객 | 천안 ↔ 진주 | 인삼랜드휴게소, 개양 | 1 | 2 | 2014년 1월 10일 고속버스로 전환 2015년 3월 27일 일반 1대 우등 전환 2016년 3월 2일 진주 도착으로 변경 2018년 11월 7일 코리아와이드경북에서 양수 |
천안 ↔ 창원 | 경전여객 | 천안 ↔ 창원 | 마산 | 1 | 1 | 2018년 신설 미운행 노선 |
청주 ↔ 창원 | 청주 ↔ 창원 | 사창, 남청주, 마산 | 2 | 2 | 2016년 3월 2일 중간 경유지 추가 2016년 9월 13일 일반 증차 2018년 12월 6일 코리아와이드대성에서 양수 |
3. 2. 시외버스
-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구의동) 출발 노선
- * 동서울 → 대전청사 → 유성 (금남고속, 중부고속과 공동 운행, 주말(금토일) 차량 증회 운행, 전 차량 우등)
- * 동서울 → 자운대 (세종청사, 세종시 경유,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3]
- * 동서울 → 탕정 (죽전, 신갈영덕, 천안3공단, 선문대학교, 트라팰리스 경유,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평택시외버스터미널 출발 노선
- * 평택 → 동대구 (세종청사, 세종시, 구미 경유)
- * 평택 → 고현 (세종청사, 세종시, 거제 경유, 경원여객과 공동 운행)
- 청주시외버스터미널 (가경동) 출발 노선
- * 청주 → 공주 (조치원, 세종청사, 세종 경유)
- * 청주 → 논산 (조치원, 세종청사, 세종, 공주 경유)
- * 청주 → 강경 (조치원, 세종청사, 세종, 공주, 논산 경유)
- * 청주 → 부여 (조치원, 세종청사, 세종, 공주, 산성동 경유)
- 대전서남부터미널 (유천동) 출발 노선
- * 대전서남부 → 공주 ( 유성 경유 직행과 유성, 공암, 공주산성동 경유 완행 나뉨 ,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 대전서남부 → 청양 (유성, 공암, 공주, 정산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 대전서남부 → 보령 ( 유성, 공주, 정산, 청양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 대전서남부 → 예산 (유성, 공암, 공주, 유구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 대전서남부 → 당진 (유성, 공주, 기지시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대전복합터미널 (용전동) 출발 노선
- * 대전복합 → 태백 (상주, 꽃동산, 예천, 영주, 봉화, 장수, 도리원 경유)
- 유성시외버스터미널 (봉명동) 출발 노선
- * 유성 → 공주 (직행과 산성동 경유 완행 나뉨,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1일 1회 대평동, 세종, 장군면, 신관동, 공주터미널, 공주산성동 종착 단독 운행)
- 공주종합버스터미널 (신관동) 출발 노선
- * 공주 → 천안 (완행과 일부 시간대 세종, 세종청사 경유로 나뉘며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1일 1회 세종, 세종청사, 조치원, 전의 경유 종착 단독 운행)
- * 공주 → 부여 (완행과 공주역(KTX) 경유로 나뉨,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논산시외버스터미널 (취암동) 출발 노선
- * 논산 → 공주 (완행과 공주역(KTX) 경유로 나뉨,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부여시외버스터미널 출발 노선
- * 부여 → 천안 (공주 경유 완행, 금남고속, 대원고속과 공동 운행, 1일 1회 은산, 정산, 유구, 아산 경유 단독 운행)
- 진천시외버스터미널 출발 노선
- * 진천 → 인천 (이 노선은 태화상운에서 선진고속으로 1차 양수 후 다시 삼흥고속에 재 양수된 노선이다. 이월, 광혜원, 두원공대, 죽산, 우만동, 수원, 서수원, 안산 경유, 경일여객, 친선고속과 공동 운행)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출발 노선
- * 서산 → 포항 ( 당진, 기지시, 구미, 경주 경유,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 서산 → 울산 ( 당진, 기지시, 울산신복 경유,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 서산 → 동대구 (당진, 기지시, 구미 경유,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구미종합터미널 출발 노선
- * 구미 → 동대구 → 거창
3. 2. 1. 서울/경기권 출발 노선
- 동서울종합버스터미널 (구의동) 출발 노선
- * 동서울 → 공주 (잠실역, 가락시장, 장지역 경유, 금남고속, 대원고속[4]과 공동 운행)
- * 동서울 → 논산 (잠실역, 가락시장, 장지역, 공주, 산성동 경유,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1일 2회 강경 종착 운행)
- * 동서울 → 부여 (잠실역, 가락시장, 장지역, 공주, 산성동 경유,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서울남부버스터미널 (서초동) 출발 노선
- * 남서울 → 천안 (금남고속, 대원고속과 공동 운행)
- * 남서울 → 공주 (천안 경유 완행과 공주산성동 종착 우등형 직행으로 나뉨,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일부 시간대 세종청사, 세종 경유 운행)
- * 남서울 → 논산 (천안, 공주 경유 완행,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1일 5회 강경 종착 단독 운행)
- * 남서울 → 부여 (천안, 공주 경유 완행과 우등형 직행으로 나뉨,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 남서울 → 장항 (서천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 한양고속과 공동 운행)
3. 2. 2. 충청권 출발 노선
- 청주시외버스터미널 출발
- * 성남 (새서울고속과 공동 운행)
- * 안산 (금남고속, 새서울고속과 공동 운행)
- * 수원 (오산 경유, 새서울고속과 공동 운행)
- * 공주 (조치원, 세종청사, 세종 경유)
- * 논산 (조치원, 세종청사, 세종, 공주 경유)
- * 강경 (조치원, 세종청사, 세종, 공주, 논산 경유)
- * 부여 (조치원, 세종청사, 세종, 공주, 산성동 경유)
- * 안동 (경북대학교 상주캠퍼스, 예천 경유, 충북리무진, 친선고속과 공동 운행)
- 대전복합터미널 출발
- * 청주 (남부정류장 경유, 강원고속,[5] 금강고속,[5] 서울고속, 충북리무진, 코리아와이드대성, 친선고속,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 공주 (유성, 공암, 산성동 경유,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 보령 (유성, 공주, 정산, 쳥양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6]
- 유성시외버스터미널 출발
- * 공주 (직행과 산성동 경유 완행 나뉨,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1일 1회 대평동, 세종, 장군면, 신관동, 공주터미널, 공주산성동 종착 단독 운행)
- * 청양 (공주, 정산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 보령 (공주, 정산, 청양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 예산 (공주, 유구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 한양고속[7]과 공동 운행)
- * 당진 (공주, 기지시 경유, 금남고속,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천안종합버스터미널 출발
- * 논산 (공주 경유,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 강경 (공주, 논산 경유,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 * 부산 (대원고속 공동 운행)
- 공주종합버스터미널 출발
- * 인천국제공항 (금남고속, 동양고속 공동운행)
- 논산시외버스터미널 출발
- * 인천국제공항 (우등형 직행,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8]
- 부여시외버스터미널 출발
- * 인천국제공항 (무정차와 공주 경유로 나뉨, 금남고속과 공동 운행)
3. 2. 3. 기타 지역 출발 노선
- 평택시외버스터미널 출발 노선
- * 청주 (평택대 경유, 새서울고속, 충북리무진과 공동 운행)
- * 동대구 (세종청사, 세종시, 구미 경유)
- * 고현 (세종청사, 세종시, 거제 경유, 경원여객과 공동 운행)
- 진천시외버스터미널 출발 노선
- * 인천 (이월, 광혜원, 두원공대, 죽산, 우만동, 수원, 서수원, 안산 경유, 경일여객, 친선고속과 공동 운행)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출발 노선
- * 포항 ( 당진, 기지시, 구미, 경주 경유,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 울산 ( 당진, 기지시, 울산신복 경유,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 동대구 (당진, 기지시, 구미 경유, 충남고속과 공동 운행)
- 구미종합터미널 출발 노선
- * 동대구 → 거창
4. 운행 차량
삼흥고속은 현대자동차, 기아, 자일대우버스 등 다양한 제조사의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주요 차종으로는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기아 뉴 그랜버드, 자일대우 FX 시리즈가 있다.
현대자동차의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 차종을 운행한다.
기아의 기아 뉴 그랜버드 그린필드, 기아 뉴 그랜버드 파크웨이 차종을 운행한다.
자일대우버스의 자일대우 FXⅡ116 크루징 애로우, 자일대우 FXⅡ120 크루징 스타, 자일대우 FX120 에이스 차종을 운행한다.
5. 기타
5. 1. 노선 특징
5. 2. 사회적 기여
5. 3. 사진
참조
[1]
간행물
시외버스 일반현황
http://www.chungnam.[...]
충청남도청 도로교통과
2015-09-30
[2]
간행물
고속버스 운행계통표
국토교통부
2019-04-12
[3]
문서
기존의 동서울 →(세종청사,세종)→ 유성 노선 변경. 2015년 5월 1일부터 운행
[4]
문서
공주발 11:30, 동서울발 14:50 운행으로, 세종시를 경유하나 가락시장, 장지역, 잠실역을 경유하지 않는다.
[5]
문서
춘천 완행 노선에 한하여 구간 승차 운행
[6]
문서
2014년 5월 22일 신규 개통, 대전서남부발 일부 시간이 이전된다. 무정차는 금남고속이 단독 운행한다.
[7]
문서
공주 경유 예산 무정차 홍성행 1회만 운행한다.
[8]
문서
2013년 6월 20일자 (3회) 개통 운행, 2014년 12월 30일자 (6회) 증회 운행한다.
[9]
문서
부천-인천-공주 노선을 운행한다. 다만 공주 → 인천 노선을 운행하므로 본 내용에 포함시킨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