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보쿠 고속철도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센보쿠 고속철도선은 오사카부 센보쿠 뉴타운과 오사카 도심을 연결하기 위해 건설된 철도 노선이다. 1971년 나카모즈-이즈미가오카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연장을 거쳐 1995년 이즈미추오역까지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난카이 고야선에서 분기되어 나카모즈역에서 이즈미추오역까지 총 14.3km 구간을 운행하며, 특급 센보쿠 라이너, 구간 급행, 준급행, 각역 정차 등 다양한 운행 형태를 가진다. 2025년 4월 난카이 전기 철도에 흡수 합병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카이시 (오사카부)의 교통 -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은 오사카 최초이자 일본 최초의 정부 운영 지하철 노선으로, 에사카역에서 나카모즈역까지 20개의 역을 잇는 24.5km의 노선이며, 기타오사카 급행 전철 난보쿠선과 직결 운행하고, 10량 고정 편성 운용과 여성 전용 차량을 운영한다. - 사카이시 (오사카부)의 교통 - 한카이 전기 궤도
한카이 전기 궤도는 오사카부의 노면전차를 운영하는 회사로, 1895년 마차 철도 부설 출원을 시작하여 1910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한카이선과 우에마치선을 운행하고 2020년 10월 1일 개정된 230엔 균일 운임을 적용한다. - 이즈미시 (오사카부)의 교통 - 이즈미후추역
이즈미후추역은 오사카부 이즈미시에 위치한 JR 서일본 한와선의 역으로, 쾌속 및 특급 열차도 정차하는 이즈미시의 중심 시가지에 위치한다. - 이즈미시 (오사카부)의 교통 - 시노다야마역
시노다야마역은 서일본 여객철도 한와 선의 역으로 덴노지역에서 19.4km 떨어진 2면 2선의 지상역이며 이코카 및 제휴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고, 한와 전기 철도로 개업하여 난카이 전기 철도를 거쳐 국유화되었으며 현재 JR 서일본 교통 서비스에 역 업무가 위탁되어 관리되고 있고 2022년 기준 하루 평균 승차 인원은 3,393명이다. - 센보쿠 고속 철도 - 이즈미가오카역
이즈미가오카역은 1971년 센보쿠 고속철도 개업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8년 리모델링을 완료하고 2022년 발차 멜로디를 도입했으며, 2025년 난카이 전기 철도 센보쿠선으로 흡수 합병될 예정인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교상역이다. - 센보쿠 고속 철도 - 고묘이케역
고묘이케역은 오사카부 사카이시 미나미구에 있는 센보쿠 고속 철도선의 터미널 역으로, 특급 센보쿠 라이너가 정차하며 고묘이케 차량기지로 연결되고, 2025년 4월 1일 난카이 전기 철도에 흡수 합병될 예정이다.
센보쿠 고속철도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종류 | 통근 철도 |
노선 상태 | 운영 중 |
위치 | 오사카부 |
기점 | 나카모즈역 |
종점 | 이즈미추오역 |
역 수 | 6개 |
일일 승객 수 (2015년) | 168,949명 |
개통일 | 1971년 4월 1일 |
소유주 | 센보쿠 고속철도 |
운영자 | 센보쿠 고속철도 |
차량기지 | 나카모즈역 |
노선 길이 | 14.3km |
선로 수 | 2 |
궤간 | 1,067mm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
최고 속도 | 100km/h |
최소 곡선 반지름 | 400m |
노선도 | |
기본 정보 (일본어) | |
노선 이름 (일본어) | 泉北高速鉄道線 (Senboku Kōsoku Tetsudō-sen) |
운영 회사 (일본어) | 泉北高速鉄道 (Senboku Kōsoku Tetsudō) |
운행 정보 | |
사용 차량 | 사용 차량의 절 참조 |
폐색 방식 | 자동 폐색식 |
보안 장치 | ATS-N, ATS-PN |
노선 기호 | |
노선 기호 | SB |
노선 정보 (일본어) | |
병행 노선 | 센보쿠 1호선 |
차량기지 | |
차량기지 위치 | 고묘이케 차량기지 |
2. 역사
센보쿠 고속철도선은 오사카부 등이 출자하는 제3섹터 회사 오사카 부 도시개발이 운영하다가, 오사카 부가 보유 주식 100%를 난카이에 매각하여 자회사로 편입됨에 따라 현재는 센보쿠 고속철도에서 운영한다. 난카이 고야 선의 난바역까지 직결 운행한다. 사카이시 나카구, 니시구, 이즈미시, 기시와다시를 통과하는 사카이구, 오사카부의 통근, 통학 노선이다.
과거 난카이 전기 철도가 직접 경영하고 건설하는 것이 검토되었으나,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까지 난카이에 무거운 빚과 중대 사고가 덮쳐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신규 노선을 가지는 것을 포기했다. 1971년 개통 당시에는 난카이에 위탁을 하고 있었지만, 단계적으로 직영화를 진행해 1993년 4월 1일 모든 업무를 직영화했다.
2006년 7월 1일 전 구간에서 PiTaPa와 ICOCA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07년 4월 1일 「PiTaPa 정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13년 3월 23일 Kitaca, PASMO, Suica, manaca, TOICA, nimoca, 하야카켄, SUGOCA도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나카모즈-이즈미가오카 구간은 1971년 4월 1일에 개통되었으며, 복선으로 건설되었고, 직류 600V로 전철화되었다.[7] 1973년 10월 7일부터는 가선 전압이 직류 1500V로 승압되었고, 1973년 12월 7일에는 도가-미키타까지 연장되었다.[7] 1977년 8월 20일에는 고묘이케까지, 1995년 4월 1일에는 이즈미추오까지 연장되었다.[7]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실시하고 있으며, 사카이시 나카구, 센보쿠 뉴타운을 보유한 같은 시 미나미구, 트리베르 이즈미를 보유한 이즈미시의 각 연선 지역이나, 노선 자체는 뻗어 있지 않지만 기시와다시 동부 등에서 사카이시 사카이구, 오사카시 중심부로의 통근·통학 노선이 되고 있다.
2025년 4월 1일에 난카이 전기 철도가 센보쿠 고속철도를 흡수 합병할 예정이며, 같은 날부터 난카이 전기 철도의 "센보쿠선"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2024년 11월 1일, 국토교통성으로부터 센보쿠 고속철도의 난카이 전기 철도로의 합병이 인가되었다.
2. 1. 건설 배경
1960년대 일본의 고도 경제 성장기에 많은 젊은이들이 집단 취업 등으로 각지에서 대도시권으로 이주해 왔다. 오사카부도 예외는 아니었으며, 북오사카의 센리 뉴타운 등 교외에서의 도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던 중, 국철 (현재의 JR 서일본) 한와선 연선과 난카이 고야선 연선 사이의 지역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한다는 구상이 제기되었고, 센보쿠 뉴타운이 건설되었다.센보쿠 고속철도선은 센보쿠 뉴타운과 오사카 도심을 연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센보쿠 뉴타운의 철도 계획으로는 오사카 시영 지하철 1호선 (현재의 Osaka Metro 미도스지선)의 연장안, 국철 한와선, 난카이 고야선, 긴테쓰 미나미오사카선에서 분기하는 안이 검토되었다. 이 4가지 안 중에서 영업 구역상으로도 문제가 없고, 수송 능력에 여유가 있었던 난카이 고야선에서 분기하는 안이 채택되었다.[39] 난카이 전철 직영이 검토되었지만, 난카이 전철이 막대한 투자가 필요한 신규 노선을 갖는 것을 단념했고, 트럭 터미널을 운영하던 오사카부의 제3섹터 오사카 부 도시개발 (2014년에 난카이 그룹 산하로 편입되어 센보쿠 고속철도로 사명 변경)이 1969년 3월에 나카모즈 - 고묘이케 구간의 부설 면허를 취득했다.
2. 2. 연표
- 1969년 9월 16일: 나카모즈역 - 이즈미가오카역 구간 착공.[40]
- 1971년 4월 1일: 나카모즈역 - 이즈미가오카역 구간 개통.
- 1972년 6월 27일: 이즈미가오카역 - 쓰가·미키타역 구간 착공.[41]
- 1973년
- * 10월 7일: 가선 전압을 1500V로 승압.
- * 12월 7일: 이즈미가오카역 - 쓰가·미키타역 구간 개통.
- 1974년 2월 22일: 쓰가·미키타역 - 고묘이케역 구간 착공.[41]
- 1977년 8월 20일: 쓰가·미키타역 - 고묘이케역 구간 개통. 고묘이케 차량사업소 사용 개시.
- 1981년 11월 22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의 준급행 일부가 10량 편성으로 운행.[42]
- 1987년 3월 29일: 다이어 개정으로, 평일 아침 및 저녁에 구간 급행 신설.
- 1991년 12월 27일: 고묘이케역 - 이즈미추오역 구간 착공.[43]
- 1995년 4월 1일: 고묘이케역 - 이즈미추오역 구간 개통 및 전 구간 개통.[44]
- 1999년 4월 1일: 전 노선에서 스룻토 KANSAI 도입. 승차 카드 「블루 라이너 카드」 발매 개시.
- 2000년 12월 23일: 다이어 개정으로 저녁의 구간 급행 폐지. 낮 시간대의 준급행이 매시 4편에서 매시 5편으로 증편. 낮 시간에 매시 2편 운전되던 각역 정차 폐지.
- 2002년: 이즈미추오역이 제3회 긴키의 역 백선에 선정.
- 2006년 7월 1일: 전 노선에서 「PiTaPa」 도입. ICOCA와도 상호 이용 개시.
- 2013년 3월 23일: IC 승차 카드 전국 상호 이용 개시로, Kitaca, PASMO, Suica, manaca, TOICA, nimoca, 하야카켄, SUGOCA가 이용 가능하게 됨.
- 2015년 12월 5일: 유료 특급 「센보쿠 라이너」 운전 개시. 평일 아침 상행 구간 급행에 여성 전용 차량 도입. 다이어 개정으로 낮 시간에 구간 급행과 고야선 직통의 각역 정차를 각각 매시 2편 신설. 낮 시간대의 준급행이 매시 5편에서 매시 2편으로 감편. 저녁에 구간 급행을 재설정.
- 2017년 8월 26일: 다이어 개정으로, 「센보쿠 라이너」가 증편. 낮 시간대의 구간 급행이 매시 4편으로 증편. 저녁 이후의 구간 급행이 준급행으로 강등되어, 준급행이 매시 5편 (최대 매시 6편)으로 증편. 각역 정차가 모두 노선 내 운전이 됨.
- 2022년
- * 4월 25일: 전 역에서 VISA의 터치 결제에 의한 승차 실증 실험 시작.[45]
- * 12월 12일: VISA의 터치 결제에 의한 승차 실증 실험을, 정식 서비스로 이행.
- 2023년 10월 1일: 운임 개정으로 노선 내 소아 IC 운임을 일률 50JPY으로 함.[51]
- 2025년 4월 1일: 난카이 전기 철도로의 흡수 합병에 따라, 같은 회사의 「센보쿠선」이 될 예정.[46][10] 역 넘버링을 SB에서 NK로 변경.
2. 3. 주식 매각 문제
2008년부터 오사카부 도시개발의 주식을 매각하는 움직임이 보이기 시작했다. 최종적으로 2014년 7월 1일에 주식이 난카이 전기 철도에 양도되었기 때문에, 오사카부 도시 개발은 센보쿠 고속철도 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한 후, 난카이 그룹의 일원이 되었다. "센보쿠 고속철도"라는 명칭 자체는 구 사명인 오사카부 도시 개발 시대부터 철도 사업의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었다.[8]3. 노선 개요
센보쿠 고속철도선은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실시하며, 사카이시 나카구, 센보쿠 뉴타운을 포함한 미나미구, 트리베르 이즈미가 있는 이즈미시의 연선 지역과 기시와다시 동부 등에서 사카이시 사카이구, 오사카시 중심부로의 통근·통학 노선 역할을 한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경까지 난카이 전기 철도에 중대 사고가 빈발하여 막대한 부채를 안게 되면서, 난카이 전기 철도는 직접 건설 및 경영 대신 트럭 터미널 운영을 위해 오사카부가 설립한 제3 섹터인 오사카부 도시 개발 주식회사를 통해 신규 노선을 운영하게 되었다. 1971년 개업 당시에는 모든 업무를 난카이 전기 철도에 위탁했지만, 1993년 4월 1일 모든 업무를 직영화했다. 2008년부터 오사카부 도시 개발의 주식 매각이 진행되어 2014년 7월 1일 난카이 전기 철도에 주식이 양도되면서 오사카부 도시 개발은 센보쿠 고속철도 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 난카이 그룹의 일원이 되었다. "센보쿠 고속철도"라는 명칭은 오사카부 도시 개발 시절부터 철도 사업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2006년 7월 1일부터 전 노선에서 PiTaPa와 ICOCA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2007년 4월 1일부터는 PiTaPa에 정기권 기능을 추가한 "PiTaPa 정기 서비스" (난카이와의 연락 정기권에도 대응)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13년 3월 23일부터 IC 승차권 전국 상호 이용이 시작되어, Kitaca, PASMO, Suica, manaca, TOICA, nimoca, 하야카켄, SUGOCA도 이용 가능하다. 2022년 4월 25일부터 VISA 신용 카드 터치 결제에 대응하고 있다.
노선 심볼 마크는 센보쿠 고속철도의 사장(
2025년 4월 1일 난카이 전기 철도가 센보쿠 고속철도를 흡수 합병할 예정이며, 같은 날부터 난카이 전기 철도의 "센보쿠선"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2024년 11월 1일, 국토교통성으로부터 센보쿠 고속철도의 난카이 전기 철도로의 합병이 인가되었다. 운행 시간표는 변경되지 않으며, 라인 컬러는 연두색으로 변경된다. 후카이역 - 이즈미추오역 각 역의 역 넘버링은 삭도선의 속번이 되어, 후카이역부터 이즈미추오역까지 차례로 "NK88"…"NK92"로 변경된다. (고야선 분기 노선이지만, 공항선과 마찬가지로 본선 취급이므로 역 넘버링에 가지 번호는 붙지 않는다). 합병 후 노선 픽토그램은 미정이다.
3. 1. 노선 데이터
- 영업 거리: 14.3km
- 궤간: 1067mm
- 역 수: 6개
- 복선 구간: 전선 복선
- 전철화 구간: 전선 전철화 (직류 1500V)
- 폐색 방식: 자동 폐색식
- 최고 속도: 110km/h
3. 2. 연선 개황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실시하고 있으며, 사카이시 나카구, 센보쿠 뉴타운을 보유한 같은 시 미나미구, 트리베르 이즈미를 보유한 이즈미시의 각 연선 지역이나, 노선 자체는 뻗어 있지 않지만 기시와다시 동부 등에서 사카이시 사카이구·오사카시 중심부로의 통근·통학 노선 역할을 한다.대부분의 구간이 고가이며, 선로 양쪽에 도로가 병행하여 설치되어 있다. 건널목은 나카모즈역 동쪽에 있는 나카모즈 터널 앞 한 곳뿐이며, 나카모즈 터널 이후에는 전혀 설치되어 있지 않다.
- '''나카모즈역 - 후카이역 구간:''' 나카모즈역을 출발하면, 난카이 고야선의 상하선 사이에 끼어 잠시 병주한다. 시노노이케 부근에서 내리막길이 되고, 옛 나카모즈 야구장 앞에서 지하 터널인 나카모즈 터널에 들어가 남쪽으로 꺾여 난카이 고야선과 갈라진다. 선로는 그대로 남쪽으로 커브를 그리며 시라사기 공원 바로 밑을 지나, 다시 남서쪽으로 커브를 그리며 공원 안에서 다시 지상으로 나와 고가교 높이까지 오르막길이 된다. 공원을 지나면 바로 나카구에 들어가 고가역인 후카이역 앞에 거의 직선으로 진행한다. 선로가 남동쪽으로 커브를 그리는 지점에 후카이역이 있다.
- '''후카이역 - 이즈미가오카역 구간:''' 후카이역을 지나면 직선으로 진행하며, 선로 양쪽에 부도 사카이 사야마선(통칭:센보쿠 1호선)이 합류한다. 한와 자동차도(한와도)의 고가를 지나는 부근부터 도기강 유역의 전원 풍경이 펼쳐진다. 도기강을 건너는 부근에서 일단 상하선 간이 떨어진다. 이곳에는 과거 나라하(나라바)역 설치 구상이 있었고[11], 그 신역을 상정한 섬식 승강장 공간이 마련되었지만, 난개발로 이어진다는 우려로 결국 신역 설치는 보류되었고[12], 현재 그 장소에는 전원(타조노) 변전소가 설치되어 있다. 사카이시는 신역 설치에 대한 시민들의 요청에 대해 "막대한 사업비가 필요하므로, 그 비용과 효과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영향을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답변했다[13]。 전원 변전소를 지나 잠시 후 언덕 부근에 이르러, 부도 사카이 센보쿠 환상선의 덴엔다이바시를 지나면 미나미구에 들어간다. 여기부터 종점까지는 센보쿠 뉴타운을 횡단하여 토리베르 이즈미에 이르는 뉴타운 구간이 된다. 뉴타운 지구는 3개의 하천에 의해 4개 지구로 나뉘어, 구릉부에서는 개착 혹은 지평을, 침식곡에서는 고가를 달린다. 미나미구에 들어서면 선로는 남서쪽으로 커브를 그리고, 양 옆을 병주하는 센보쿠 1호선은 부도 사카이 사야마선이 분기하여 본선이 부도 도다바야시 이즈미오쓰선이 된다. 커브가 끝나는 부근에 이즈미가오카역이 있으며, 승강장 남단이 약간 커브를 이루고 있다.
- '''이즈미가오카역 - 이즈미추오역 구간:''' 이즈미가오카역을 지나면 종점까지 거의 직선이 된다. 이시즈강의 침식에 의한 가미코야를 건너, 다음 구릉부에 이르면 쓰가·미키타역이 있다. 쓰가 지구라고 불리는 이 구릉은 동서 폭이 짧고, 쓰가·미키타역을 지나면 바로 고가 구간이 되어, 와다가와의 침식에 의한 와다니를 건넌다. 또한, 와다니는 미키타라고 불리는 지역으로, 역명은 이 두 지명을 나란히 한 것이다. 아치교로 빨간색이 특징인 히노오다이바시를 지나 다음 구릉부를 올라 잠시 후 고묘이케역이 있다. 구릉상에 있는 이즈미가오카역에서 이즈미추오역까지의 뉴타운 4개 역 중 다른 3개 역은 모두 개찰구·콘코스가 승강장 위에 있는 교상역이지만, 고묘이케역만 고가역으로 되어 있다. 고묘이케 운전 면허 시험장의 최단역이기도 하며, 이즈미오쓰역·이즈미후추역 방면, 가와치나가노역 방면의 버스 노선도 충실하기 때문에 이용객이 많다. 고묘이케역을 출발하면 바로 이즈미시에 들어가, 남쪽에 분기하는 선로가 있는데,이것은 선로 옆에 설치된 고묘이케 차량기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차량기지에서는 전반 검사 등 차량 보수 업무도 이루어지고 있다. 고묘이케 차량기지로의 분기를 지나간 곳은 다시 개착 구간이 되어, 마키오강의 침식에 의한 이케다니를 건너는 부근에서 한와 자동차도의 고가가 오버크로스하여 선로 남쪽에 병주한다(부도는 더 나아가 그 양 옆을 달린다). 다음 구릉부에 이르면 종착역인 이즈미추오역에 도착한다. 반 지하역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깊은 개착으로, 병주하는 한와도는 역전 광장 아래의 터널을 지나고 있다. 인근에는 모모야마가쿠인대학교 등의 교육 기관과 테크노 스테이지 등의 기업 단지가 있다. 선로는 이즈미추오역에서 앞쪽으로 잠시 뻗어 있으며, 회송차 인상선으로 사용되고 있다.
4. 운행 형태
센보쿠 고속철도선은 나카모즈역 - 이즈미추오역 구간을 왕복 운행하는 각역 정차 열차와, 나카모즈역에서 난카이 고야선으로 직통 운행하여 난바역까지 운행하는 특급 센보쿠 라이너, 구간 급행, 준급행이 있다.
2017년 8월 26일 개정 기준, 낮 시간대에는 1시간에 8편(구간 급행 4편, 준급행·각역 정차 각 2편)이 운행된다.[14]
1981년 11월 22일 시간표 개정부터 평일 아침에 10량 편성 열차가 다수 운행되었으나,[15] 최근 승객 감소로 인해 2012년 11월 23일 시간표 변경부터 구간 급행은 모두 8량 편성으로 변경되었고, 10량 편성 구간 급행은 없어졌다.[16] 2013년 7월 22일 열차 편성량 수 변경에 따라, 10량 편성으로 운행되던 준급행 2왕복도 8량 편성으로 변경되면서, 모든 열차가 6량 또는 8량 편성으로 운용되게 되었다.[17]
센보쿠 고속철도선 내에는 추월 설비를 갖춘 중간역이 없으므로, 중간역에서 다른 열차를 추월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모든 열차는 센보쿠 고속철도선 내에서는 전 구간에서 먼저 도착하는 열차가 먼저 출발한다.
4. 1. 열차 종류
: 전 좌석 지정석이다. 2015년 12월 5일에 운행을 시작했다. 이즈미추오역 - 난바역 구간을 운행하며, 정차역은 이즈미추오역에서 이즈미가오카역까지의 각 역과 난카이 고야선의 덴가차야역, 신이마미야역, 난바역(종점)이다. 난카이 고야선의 특급 ''고야'', ''린칸'''이 정차하는 사카이히가시역과 구간 급행이 정차하는 후카이역은 통과한다. 2017년 8월 26일 개정 시점에서 평일 상행 12편, 하행 11편, 토휴일 12왕복 운행한다.
: 2017년 8월 26일 시간표 개정으로, 평일 아침에 1왕복, 저녁 이후에 4왕복, 토휴일에도 아침에 1왕복, 저녁 이후에 3왕복이 각각 증편되었다.[19]
: 2022년 11월 1일부터 난카이 50000계 (라피트 차량)가 운용에 투입되어, 일부 열차는 6량 편성으로 운전되었지만[20], 2023년 9월 30일로 종료되었다.[21][22][23]
: 사용되는 차량은 센보쿠 12000계 전동차, 난카이 11000계 전동차 (난카이 12000계 전동차로 대체될 때도 있음), 난카이 50000계 전동차 (2022년 11월부터)[3]이다. 2017년 1월 27일부터 새로운 센보쿠 12000계 전동차가 ''센보쿠 라이너'' 운행에 투입되었다.[4]
: 1987년 3월 29일, 오사카 메트로 미도스지선 나카모즈역 연장 개통에 맞춰 평일 아침 저녁 러시아워에 신설되었다. 센보쿠 고속철도선 이즈미추오역 - 후카이역의 각 역과 난카이 고야선의 사카이히가시역, 덴가차야역, 신이마미야역, 난바역에 정차한다. 센보쿠 고속철도선과 난카이 고야선의 경계역이자 지하철 미도스지선 환승역인 나카모즈역은 통과한다.
: 운행 초기에는 평일 아침 러시아워에 상행 4편, 저녁 러시아워에 하행 5편이 운행되었다.[25] 1995년 9월 1일 시간표 개정으로 저녁 러시아워 편수가 3편으로 줄었고,[26] 2000년 12월 23일부터 2015년 12월 5일 시간표 개정까지 평일 아침 7~8시대 상행 4편만 운행되었다.
: 2015년 12월 5일 시간표 개정부터 일부 준급행을 대체하여 운행 시간대가 상/하행 모두 거의 종일로 대폭 확대되었다. 특히 이즈미추오역 출발 평일 아침 7시대 난카이 고야선 직통 열차는 모두 구간 급행이 되었다.[27] 낮 시간대에도 처음으로 1시간에 2편이 설정되었고,[18] 그 외 시간대에도 1시간에 1~3편이 운행되고 있다.
: 2017년 8월 26일 시간표 개정에서는 저녁 이후 구간 급행이 모두 준급행으로 통일된 반면, 낮 시간대 구간 급행이 1시간 4편으로 증편되었다.[28][19]
: 평일 아침 러시아워 8량으로 운행되는 상행 열차(덴가차야역에 7:20~8:30에 도착하는 열차)는 이즈미추오역 - 덴가차야역 사이에서 난바 방향부터 4번째 차량인 4호차를 여성 전용차로 운영한다.[29]
: 1981년 11월 22일 시간표 개정부터 평일 아침에 10량 편성 열차가 다수 운행되었으나,[15] 승객 감소로 인해 2012년 11월 23일 시간표 변경부터 구간 급행은 모두 8량 편성으로 변경되었고, 10량 편성 구간 급행은 모두 없어졌다.[16]
- '''준급행'''
: 난카이 고야선과 직통 열차로 종일 운행된다. 센보쿠 고속철도선 각 역(나카모즈역 포함)과 난카이 고야선의 모즈하치만역, 미쿠니가오카역, 사카이히가시역, 덴가차야역, 신이마미야역, 난바역에 정차한다. 낮 시간대에는 1시간에 2편 운행된다.[18]
: 과거에는 낮 시간대에 6량 편성, 러시아워 시간대에 8량 편성으로 운행되는 열차가 많았으나, 2017년 8월 26일 시간표 개정 이후 대부분 8량 편성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하행 열차 중 고묘이케역 종착 준급행도 소수 운행되었으나 10량 편성 폐지와 함께 설정이 소멸되었다.
: 2000년 12월 22일까지는 난카이 고야선이 낮 시간대에 15분 간격으로 운행되어 낮 시간대에 1시간에 4편(그 외 선내 왕복 각역 정차 2편)이었으나, 이후 2015년 12월 4일까지는 난카이 고야선이 낮 시간대에 12분 간격으로 운행되어 낮 시간대에 각역 정차와 통합되어 1시간에 5편[18]이 운행되었다.
: 대부분 시발역에서 종착역까지 대피 없이 먼저 도착했으나, 2017년 8월 26일 시간표 개정으로 일부 준급행이 사카이히가시역에서 상/하행 모두 센보쿠 라이너 통과 대기를 하는 열차가 설정되었다. 고야선을 포함하여 준급행이 통과 대기를 하게 된 것은 처음이다.
: 2013년 7월 22일 열차 편성량수 변경에 따라, 남은 2왕복 10량 편성 준급행이 8량 편성으로 변경되면서,[17] 모든 열차가 6량 편성 또는 8량 편성으로 운용되게 되었다.
- '''각역 정차'''

: 나카모즈역 - 이즈미추오역(일부 고묘이케역) 구간 내에서 왕복 운행을 한다. 6량 편성 또는 8량 편성으로 운행한다.
: 과거에는 난바역까지 직통하는 열차가 평일 심야 상행 1편(2013년 10월 26일 시간표 변경 전까지 토요일, 공휴일에도 운행)과 2015년 12월 5일 이후 신설된 주간(이즈미추오역 발 12시대~14시대) 1시간에 2편이 운행되었지만, 2017년 8월 26일 시간표 변경으로 모두 운행을 종료했다. 주간 난바 발착은 모두 난카이 전기철도 차량 4량 편성으로 운행되었다.
: 선내 왕복 운전 열차는 나카모즈역에서 고야선 각역 정차와 연결이 고려되는 경우가 많다. 사카이히가시역에서 센보쿠선에 연결되는 각역 정차에 연결되는 가와치나가노, 하시모토 방면 급행(쾌속급행, 구간 급행)은 덴가차야역, 신이마미야역, 난바역에서 "사카이히가시에서 각역 정차 환승, 나카모즈에서 센보쿠선 연결"이라고 안내된다. 나카모즈역에서 구간 급행이나 센보쿠 라이너 통과 후 연결되기 때문에 하행은 센보쿠선 내, 상행은 사카이히가시역 이원 우등 열차 정차역까지 최선착 열차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 2015년 12월 5일 시간표 개정에서는 나카모즈역을 통과하는 특급 "센보쿠 라이너"나 구간 급행을 보완하는 설정이 되었기 때문에 선내 왕복 열차 운행 횟수가 줄어들었다.
: 사용되는 차량은 센보쿠 3000계 스테인리스강 차체 2량 및 4량 편성 전동차, 센보쿠 5000계 알루미늄 차체 8량 편성 전동차, 센보쿠 7000계 알루미늄 차체 2량, 4량 및 6량 편성 전동차, 센보쿠 7020계 알루미늄 차체 2량, 4량 및 6량 편성 전동차, 센보쿠 9300계 스테인리스강 차체 4량 편성 전동차(2023년 8월 8일~)이다.
센보쿠 고속철도선에는 추월 설비를 갖춘 중간역이 없으므로, 중간역에서 추월이 이루어지는 열차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든 종별은 센보쿠 고속철도선 내에서 전 구간 선착한다.
4. 2. 운임 및 요금
난카이 전기 철도와의 환승 할인 및 가산 운임이 적용되는 센보쿠 고속철도선의 운임 및 요금 체계는 다음과 같다.2023년 10월 1일 운임 개정이 이루어졌다.[51] 어른 보통 여객 운임은 아래 표와 같다. (어린이는 반액, 10엔 미만의 단수는 올림, 어린이 IC 운임은 일률 50엔).
킬로미터 | 운임 (엔) | |
---|---|---|
style="border-top:none;" | | 가산 운임 | |
- 2km | 180 | 200 |
3 - 4 | 200 | 220 |
5 - 6 | 220 | 240 |
7 - 8 | 240 | 260 |
9 - 10 | 260 | 280 |
11 - 12 | 280 | 300 |
13 - 14 | 300 | 320 |
15 - | 320 | 340 |
나카모즈역을 경유하여 난카이 전기 철도로 환승하는 경우, 보통 운임은 합산액에서 100엔 할인된다.[52] 예를 들어 난바역에서 이즈미추오역까지의 운임은 난카이 350엔 + 센보쿠 340엔 - 100엔 = 590엔이다. 단, 회수 승차권이나 주주 우대권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환승 할인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즈미추오역과 다른 역 사이를 승차하는 경우에는 20엔을 더한 가산 운임이 적용된다 (위 표의 가산 운임란 참고).
특급 요금은 520엔이다. (어린이 요금은 반액. 이즈미추오역 - 난바역 간 전 구간 동일)
5. 역 목록
오사카 고속 전기 궤도 미도스지선 (M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