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시·구례군·승주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천시·구례군·승주군은 과거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순천시 선거구와 구례군·승주군 선거구로 분리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박삼철, 유경현, 허경만 등이 있으며, 1973년부터 1985년까지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례군의 정치 - 구례군수 선거
구례군수 선거는 1995년부터 구례군수를 선출하는 선거로, 민선 시대 동안 여러 변화를 거치며 이동승, 전경태, 서기동, 김순호 등의 주요 후보와 함께 구례군민의 선택과 정치적 흐름을 보여준다. - 구례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구례군의회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구례군의회는 더불어민주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하고 민주평화당이 일부 의석을 확보했다. - 순천시 (전라남도)의 정치 - 순천시 (2000년 선거구)
순천시 (2000년 선거구)는 2000년 제16대 총선을 앞두고 순천시 갑, 을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된 선거구로, 2000년 김경재, 2004년 서갑원, 2011년 김선동이 당선되었으며, 2012년 순천시·곡성군 선거구로 개편되며 폐지되었다. - 순천시 (전라남도)의 정치 -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은 2020년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순천시 일부, 곡성군, 구례군, 광양시 일부를 관할하며 21대 총선에서는 소병철, 22대 총선에서는 김문수가 당선되었다. - 1973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부여군·서천군·보령군
부여군·서천군·보령군은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88년 부여군, 서천군, 대천시·보령군으로 재편될 때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1973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종로구·중구
종로구·중구는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종로구와 중구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1988년 소선거구제 실시로 분리되었다.
순천시·구례군·승주군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순천시·구례군·승주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전라남도 |
지도 연도 | 알 수 없음 |
연도 | 1973년 |
폐지 | 1988년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순천시·승주군 구례군·광양군 |
이후 선거구 | 순천시 구례군·승주군 |
유권자 | 알 수 없음 |
의원 | 알 수 없음 |
정당 | 알 수 없음 |
지방 의회 | 알 수 없음 |
지방 선거구 | 알 수 없음 |
인구 | 알 수 없음 |
의원 수 | 2인 |
2. 역사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순천시·승주군 선거구에 구례군이 편입되면서 신설되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순천시 선거구와 구례군·승주군 선거구로 분리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선거 후보 정당 득표수 득표율(%) 비고 1973년 박삼철 민주공화당 46,584 40.09 당선 강길만 무소속 23,728 20.42 당선 이현재 무소속 21,553 18.55 박용구 신민당 12,539 10.79 조종한 민주통일당 8,349 7.18 조상록 무소속 3,428 2.95 1978년 유경현 민주공화당 32,651 26.58 당선 허경만 신민당 29,246 23.81 당선 조규순 무소속 22,526 18.33 강길만 무소속 17,863 14.54 위찬호 무소속 15,254 12.41 박용구 민주통일당 5,288 4.30 1981년 허경만 민주한국당 37,075 29.46 당선 유경현 민주정의당 36,965 29.37 당선 조규순 한국국민당 36,441 28.95 박강근 민권당 11,172 8.87 이의달 민주사회당 4,181 3.32 1985년 유경현 민주정의당 47,963 35.63 당선 허경만 신한민주당 38,217 28.39 당선 조규순 한국국민당 36,507 27.12 박용구 민주한국당 6,251 4.64 박강근 근로농민당 5,652 4.19
4. 1. 제9대 국회의원 선거 (1973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박삼철 | 민주공화당 | 46,584 | 40.09 | 당선 |
강길만 | 무소속 | 23,728 | 20.42 | 당선 |
이현재 | 무소속 | 21,553 | 18.55 | |
박용구 | 신민당 | 12,539 | 10.79 | |
조종한 | 민주통일당 | 8,349 | 7.18 | |
조상록 | 무소속 | 3,428 | 2.95 | |
합계 | 116,181 | 100 | ||
무효표 | 1,618 | |||
유권자 | 144,417 |
4. 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1978년)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유경현 후보와 신민당 허경만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유경현 | 민주공화당 | 32,651 | 26.58 |
허경만 | 신민당 | 29,246 | 23.81 |
조규순 | 무소속 | 22,526 | 18.33 |
강길만 | 무소속 | 17,863 | 14.54 |
위찬호 | 무소속 | 15,254 | 12.41 |
박용구 | 민주통일당 | 5,288 | 4.30 |
합계 | 122,828 | 100 | |
무효표 | 1,745 | - |
4. 3.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1981년)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한국당 허경만 후보와 민주정의당 유경현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허경만 | 민주한국당 | 37,075 | 29.46 |
유경현 | 민주정의당 | 36,965 | 29.37 |
조규순 | 한국국민당 | 36,441 | 28.95 |
박강근 | 민권당 | 11,172 | 8.87 |
이의달 | 민주사회당 | 4,181 | 3.32 |
합계 | 125,834 | 100 |
4. 4.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1985년)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유경현 후보와 신한민주당 허경만 후보가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유경현 | 민주정의당 | 47,963 | 35.63 |
허경만 | 신한민주당 | 38,217 | 28.39 |
조규순 | 한국국민당 | 36,507 | 27.12 |
박용구 | 민주한국당 | 6,251 | 4.64 |
박강근 | 근로농민당 | 5,652 | 4.19 |
합계 | 134,590 | 100 | |
무효표 | 2,327 | -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