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민주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한민주당은 1985년 1월 18일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제5공화국 시절 정치 활동 규제에서 해금된 인사들과 민주한국당 탈당파를 중심으로 결성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67석을 얻어 제1야당으로 부상했으나, 이민우 총재의 '이민우 구상' 발표 이후 김영삼, 김대중 세력의 탈당으로 분열되었다. 결국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의석을 얻지 못하고 정당 등록이 취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 원내정당 - 한국국민당 (1981년)
한국국민당은 1981년 김종철을 중심으로 창당되어 제11대 총선에서 제3당이 되었으나, 분열과 의석 상실로 1988년 해산된 정당이다. -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 원내정당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은 전두환을 총재로 추대하여 창당, 1980년대 집권 여당으로 군림하다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에 흡수된 정당이다. - 1988년 해산된 정당 - 자유당 (영국)
휘그당을 전신으로 하는 영국의 자유당은 1859년부터 공식적으로 불렸으며, 1920년대까지 보수당과 함께 양대 정당으로서 수상을 배출했으나 노동당의 성장과 아일랜드 자치 문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쇠퇴하여 1988년 사회민주당과 합당, 자유민주당으로 개편되었다. - 1988년 해산된 정당 - 민주한국당
민주한국당은 1980년대 초 구 신민당 온건파 정치인들이 주축이 되어 창당되었으나, 관제 야당 논란과 내부 분열, 총선에서의 의석수 감소 끝에 해산되어 한국 정치사에서 특수한 사례로 평가받는 정당이다. -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 원내정당 - 평화민주당
평화민주당은 김대중을 중심으로 1987년 창당되어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제1야당으로 부상하였고, 민주화 운동과 사회 개혁을 추진하다가 신민주연합당으로 당명을 변경, 꼬마민주당과 합당하여 민주당으로 재편되었으며, 2010년 재창당되었으나 2012년 소멸된 정당이다. -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 원내정당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은 1987년 김영삼과 김대중에 의해 창당되어 김영삼이 총재를 맡았으며, 1987년 대통령 선거에서 낙선하고 1988년 총선에서 59석을 얻었으며, 1990년 민주자유당으로 합당하며 소멸했다.
신한민주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약칭 | NKDP |
국가 | 대한민국 |
창립 | 1984년 12월 17일 |
합법화 | 1985년 1월 18일 |
해산 | 1988년 4월 28일 |
합병 | 민중민주당 |
이념 및 성향 | |
이념 | 자유주의 (한국식 자유주의) |
정치 성향 | 중도에서 중도우파 |
색상 및 국기 | |
색상 | 다홍색 |
![]() | |
한국어 정보 | |
한국어 이름 | 신한민주당 |
한자 표기 | 新韓民主黨 |
로마자 표기 | Sinhanminjudang |
다른 한국어 이름 | 신민당 |
일본어 정보 | |
일본어 이름 | 新韓民主党 |
가타카나 표기 | シナンミンジュダン(シンミンダン) |
2. 창당 배경
1980년 전두환의 하나회가 집권하면서, 민주화 운동 인사들은 물론 기존 공화당 인사들까지 정치활동이 금지되었다.[1] 당시 민한당이 제1야당이었으나, 신군부가 만든 위성정당으로 여겨져 전두환 정권에 대한 비판 기능이 미약했다.[1]
1984년 12월 정치활동금지에서 해제된 인사들과 일부 민한당 탈당 인사들이 1985년 1월 18일 신한민주당을 창당했다. 전두환 대통령은 신한민주당의 돌풍을 최소화하기 위해 12대 총선 날짜를 1985년 2월 12일로 앞당겼다. 당시 선거제도는 여당에 유리했지만, 신한민주당이 제1야당이 될 경우 정국 주도권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1984년 12월, 정치활동 금지가 해제되면서, 전두환 정권을 견제할 수 있는 선명 야당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2] 이에 해금 인사들과 일부 민한당 탈당 인사들이 신당 창당을 결의, 1985년 1월 18일 신한민주당을 창당했다.[4][5] 원래는 신민주당을 재건할 계획이었으나,[3] "신민주당"이라는 명칭이 금지되어 "신한국민주당"을 선택했고, 약칭으로 "신민주당(NDP)"을 사용했다.[2]
김영삼은 옛 신민당 5선 의원 출신인 이민우에게 종로·중구 출마와 총재직을 제안했고, 이민우는 이를 수락했다. 1985년 1월 18일 창당대회에서 이민우를 총재로 추대하고, 직선제 개헌 등의 정강정책을 채택했다.[23]
3. 1985년 총선 돌풍과 그 영향
12대 총선 결과, 창당한 지 한 달도 안 된 신생 정당 신한민주당은 수도권을 비롯한 대도시 지역에서 압승을 거두며 지역구 50석, 전국구 17석을 획득하여 67석으로 제1야당이 되었다. 특히, 종로구·중구에서 이민우가 당선되면서 신한민주당의 돌풍은 더욱 거세졌다. 여당인 민정당은 과반 의석을 차지했지만, 전국구 의석 배분 결과 사실상 패배로 평가되었다.
이후 민한당, 국민당 탈당 의원들이 신한민주당에 합류하면서 의석수가 103석으로 늘어나 제1야당의 입지를 굳혔다. 기존의 제1, 제2야당이던 민한당과 국민당은 소속 당선자들의 잇따른 탈당으로 인해 교섭단체 등록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세력이 약화되었다.[26]
3. 1. 1985년 총선 결과에 대한 안기부의 분석 실패와 그에 따른 파장
당시 안기부는 제12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신한민주당이 최대 12~13석을 얻을 것이며, 특히 이민우 총재는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민정당 이종찬과 민한당 정대철에 밀려 3위로 낙선할 것이라고 예상했다.[25] 그러나 실제 선거 결과는 이러한 예상을 완전히 뒤엎고 신한민주당이 돌풍을 일으키며 제1야당으로 부상했다.
이러한 안기부의 분석 실패는 전두환 대통령이 신한민주당의 돌풍을 전혀 예측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선거 결과에 격노한 전두환은 잘못된 분석을 내놓은 노신영 안기부장을 질책하고 사실상 경질[25] 조처하였다.
4. 이민우 구상과 분당 사태
1986년 12월, 이민우 총재는 이른바 '이민우 구상'을 발표했다. 이는 전두환 정권이 민주화 조치를 선행할 경우 의원내각제 개헌을 수용할 수 있다는 내용이었다.[14]
김영삼(YS)과 김대중(DJ) 중심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파는 '이민우 구상'에 강력히 반발했고, 이철승, 이택돈 등 내각제 개헌파는 이를 지지했다.
1987년 4월, 양김은 자신들을 지지하는 의원 74명을 이끌고 집단 탈당하여 통일민주당을 창당했다.[15] 이로 인해 신한민주당은 존립에 큰 타격을 입었다.
4. 1. 이민우 구상의 내용과 의미
1986년 12월, 신한민주당 총재 이민우는 전두환 정권이 민주화 조치를 먼저 시행하면 의원내각제 개헌을 수용할 수 있다는 "이민우 구상"을 발표했다.[14] 이는 당시 야권의 주류였던 대통령 직선제 개헌 요구와 배치되는 내용이었다.이 구상에 대해 김영삼(YS)과 김대중(DJ)을 중심으로 한 대통령 직선제 개헌파는 강하게 반발했고,[14] 이철승, 이택돈 등의 내각제 개헌파가 이에 반박하면서 당내 분란이 일어났다. 이민우 구상은 여야 타협을 통한 점진적 민주화를 추구하려는 의도였으나, 결과적으로 야권 분열을 초래했다.
5. 몰락과 해산
1987년 4월, 김영삼과 김대중이 이끄는 의원 74명이 집단 탈당하여 통일민주당을 창당하면서 신한민주당은 큰 타격을 입었다.[15] 이로 인해 원내 제1당 지위를 상실하고 의석 수가 26석으로 급감했다.
신한민주당은 1987년 대통령 선거에 후보를 내지 못했다.[16] 1988년 총선에서는 이철승 등 일부 인사들이 분전했지만, 단 한 명의 당선자도 내지 못하고 정당법에 따라 등록이 취소되었다.[18][19]
6. 주요 당직자
번호 | 회장 | 재임 기간 |
---|---|---|
1 | 이민우 | 1985년 1월 18일 – 1987년 11월 6일 |
이택희 (권한대행) | 1987년 11월 27일 – 1988년 1월 5일 | |
2 | 신도환 | 1988년 1월 15일 – 1988년 4월 26일 |
7. 역대 전당대회
득표순위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이민우 | 471 | 56.8% | |
2 | 김재광 | 354 | 42.7% | |
총투표수 | 829 |
8. 주요 선거 결과
1985년 제12대 총선에서 신한민주당은 창당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신생 정당임에도 불구하고, 서울특별시와 부산직할시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돌풍을 일으키며 지역구 50석, 전국구 17석, 총 67석을 획득하여 제1야당이 되었다.[25] 이는 전두환 대통령이 야당 돌풍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선 날짜를 앞당겼음에도[25] 일어난 결과여서 더욱 충격적이었다. 당시 여당인 민정당이 과반수 의석을 차지했지만, 지역구에서 제1당이었던 민정당에 전국구 의석 중 2/3을 배분한 결과로 사실상 민정당이 패배한 선거였다. 민한당 등에서 이탈한 의원들이 신한민주당에 합류하면서 의석수가 103석까지 늘어나 명실상부한 제1 야당이 되었다.
8. 1. 국회의원 선거
회 | 날짜 | 의석 수 | 득표율 | ||
---|---|---|---|---|---|
합계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제12대 총선 | 1985년 2월 12일 | 67 | 50 | 17 | 29.3% |
제13대 총선 | 1988년 4월 26일 | 0 | 0 | 0 | 0.2% |
1985년 제12대 총선에서 신한민주당은 창당 한 달도 채 되지 않은 신생 정당임에도 불구하고, 서울특별시와 부산직할시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돌풍을 일으키며 지역구 50석, 전국구 17석, 총 67석을 획득하여 제1야당이 되었다.[25] 이는 전두환 대통령이 야당 돌풍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선 날짜를 앞당겼음에도[25] 일어난 결과여서 더욱 충격적이었다. 당시 여당인 민정당이 과반수 의석을 차지했지만, 지역구에서 제1당이었던 민정당에 전국구 의석 중 2/3을 배분한 결과로 사실상 민정당이 패배한 선거였다.
1988년 제13대 총선에서는 0.2%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단 한 석도 얻지 못하고 참패했다.[26]
9. 평가
신한민주당은 대한민국 제5공화국 시기에 민주화 운동을 주도하며 국민들에게 큰 희망을 안겨준 정당이다. 특히 1985년 총선에서의 돌풍은 전두환 정권의 독재에 대한 국민적 저항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6][2][7] 그러나 당내 갈등과 분열로 인해 그 역량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몰락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신한민주당의 민주화 투쟁 정신은 이후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1985년 총선에서 신한민주당은 득표율 29.3%로 67석을 차지하여 제1야당이 되었고, 이후 추가 입당으로 103석까지 확보했다.[7][2][8][9][10][11][12] 그러나 의원내각제를 지지하는 "이민우 구상" 발표 이후, 대통령제와 대통령 직선제를 옹호하는 김영삼(YS)과 김대중(DJ) 계열 의원들이 대거 탈당하여 통일민주당을 창당하면서 당세가 급격히 약화되었다.[14][15] 결국 1988년 총선에서 모든 의석을 잃고 해산되었다.[18][19]
참조
[1]
서적
한국 현대사 산책 1980년대편 2 : 광주학살과 서울올림픽
2003-05-12
[2]
서적
날치기 국회사
2016-04-10
[3]
뉴스
민추협과 2 • 12 총선
2018-12-11
[4]
뉴스
신한민주당 창당
https://newslibrary.[...]
2019-09-11
[5]
뉴스
신한민주당의 나갈 길
https://newslibrary.[...]
2019-09-11
[6]
뉴스
총선 2월12일 각의의결 확정
https://newslibrary.[...]
2019-09-11
[7]
뉴스
신민 대도시압승 제1야당
https://newslibrary.[...]
2019-09-11
[8]
뉴스
민한의원 21명 신민입당
https://newslibrary.[...]
2019-09-11
[9]
뉴스
조병봉·김완태의원 국민탈당 신민입당
https://newslibrary.[...]
2019-09-11
[10]
뉴스
박일씨 신민입당
https://newslibrary.[...]
2019-09-11
[11]
뉴스
이태구의원 신민입당
https://newslibrary.[...]
2019-09-11
[12]
뉴스
전의원12명 민한탈당 조윤형씨등 신민입당
https://newslibrary.[...]
2019-09-11
[13]
뉴스
유성환 신민의원 구속영장
https://newslibrary.[...]
2019-09-11
[14]
뉴스
「이민우구상」 신민 계속진통
https://newslibrary.[...]
2019-09-11
[15]
뉴스
가칭 통일민주당, 신당 창당 진통[하금렬]
http://imnews.imbc.c[...]
2019-09-11
[16]
뉴스
이민호(신민당 총재) 정계 은퇴 선언
http://imnews.imbc.c[...]
2019-09-11
[17]
뉴스
총재 신도환씨 선출 신민 임시전당대회
https://newslibrary.[...]
2019-09-11
[18]
뉴스
총선서 의석못낸 9개당 등록취소
https://newslibrary.[...]
2019-09-11
[19]
뉴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의석 못 낸 9개 정당 등록 취소 결정[박광온]
http://imnews.imbc.c[...]
2019-09-11
[20]
문서
旧新民党所属の政治家が中心となった組織で、金泳三派と金大中派の連合体的性格を持っていた。
[21]
서적
조선한국근현대사사전
일본평론사
(출판일자 미상)
[22]
문서
同上
[23]
문서
동상의 자료에 일부 가필
[24]
서적
대한 민국국회60년사
(출판일자 미상)
[25]
문서
이후 국무총리로 발탁되었다.
[26]
웹인용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
2019-04-1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