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천 용강서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천 용강서원은 조광조와 교류했던 양팽손과 그의 증손인 양신용을 추모하기 위해 1821년(순조 21년)에 건립된 서원이다.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1970년에 현재 위치에 복원되었다. 현재 강당, 동재, 서재, 낙천사 등의 건물을 갖추고 있으며, 양팽손과 양신용의 위패를 모시고 매년 제사를 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천시 (전라남도)의 문화유산 - 순천왜성
    순천왜성은 임진왜란 때 고니시 유키나가 등이 호남 공략 거점으로 삼아 순천에 약 3개월 만에 축조한 왜성으로, 남해안 왜성들을 연결하는 군사 요충지였으며 현재 전라남도기념물로 지정되어 왜교성 전투와 축성 방식으로도 주목받는다.
  • 순천시 (전라남도)의 문화유산 - 순천 낙안읍성
    순천 낙안읍성은 조선 시대에 왜구 방어를 위해 축조되어 임경업 장군에 의해 석성으로 개축된 읍성으로, 현재까지 전통적인 모습과 생활상을 잘 보존하여 국가사적 및 유네스코 세계 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었다.
  • 전라남도의 서원 - 장성 필암서원
    장성 필암서원은 1590년 김인후를 기리기 위해 창건되어 여러 차례 이건과 사액을 거쳐 1672년 현재의 위치에 자리 잡았으며,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존속되어 1975년 사적으로 지정되고 2019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된 호남 유학의 중심지이다.
  • 전라남도의 서원 - 율봉서원
    죄송합니다. 제공된 본문이 없어 율봉서원 위키 페이지의 도입부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 순천시 (전라남도)의 건축물 - 순천역 (전라남도)
    순천역은 전라남도 순천시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경전선과 전라선의 교차점으로서 호남 지역 교통의 중심지이며, KTX, SRT, ITX-새마을, ITX-마음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는 현대화된 시설을 갖춘 3면 6선의 섬식 승강장이다.
  • 순천시 (전라남도)의 건축물 - 개운역
    개운역은 전라선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철도역으로, 1936년 학구역으로 개업하여 구만역을 거쳐 2000년 개운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으나, 현재는 여객 및 화물 취급이 중지된 무배치간이역이다.
순천 용강서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용강서원
용강서원 이미지
용강서원
국가대한민국 전라남도
유형문화재자료
지정 번호121
지정일1985년 2월 25일
주소전라남도 순천시 금곡동 285번지

2. 역사

조선 순조 21년(1821) 해룡면 중흥리에 학포 양팽손과 장춘 양신용을 추모하는 사우를 지었다.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1970년에 현재 위치에 복원하면서 '용강서원'이라 불렀다.

2. 1. 건립 이전

양팽손1488년 (성종 19년)에 태어나 1545년(명종 즉위년)에 사망하였다. 1516년(중종 11년)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나 기묘사화 때 사직되어 고향인 능주로 돌아왔다. 이때 능주로 유배된 조광조와 교류하였다. 글과 그림에 능했던 그는 당시 신진사류의 한 사람으로 활약하였다.

양신용은 양팽손의 증손으로 도호부사를 지냈으며, 병자호란으로 상실된 국권 회복을 기원하다가 죽었다.

2. 2. 건립과 훼철 (조선 후기)

조선 순조 21년(1821) 학포 양팽손과 장춘 양신용을 추모하기 위해 해룡면 중흥리에 서원을 세웠다. 양팽손(1488∼1545)은 중종 11년(1516)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나 기묘사화 때 사직하여 고향 능주로 돌아와 조광조와 교류하였다. 그는 글과 그림에 능한 당시 신진사류의 한 사람이었다. 양신용은 양팽손의 증손으로 도호부사를 지냈으며 병자호란으로 상실된 국권 회복을 기원하다가 죽었다.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

2. 3. 복원과 현재 (1970년 ~ 현재)

1970년에 지금 있는 자리에 복원하면서 '용강서원'이라 불렀다.

건물 배치는 외삼문인 지춘문을 들어서면 용강서원이라는 현판이 걸린 강당이 있고, 강당 좌우에 동재와 서재가 있다. 뒤로 내삼문인 이정문이 있으며 그 뒤편으로 낙천사가 있다. 낙천사는 앞면 3칸·옆면 1칸 반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안쪽에는 양팽손을 중심으로 양신용의 위패를 모시고 있으며, 해마다 2월과 8월에 제사를 지낸다.

3. 인물

순천 용강서원은 양팽손과 양신용을 추모하기 위해 세워졌다. 양팽손기묘사화 이후 조광조와 교류하며 글과 그림에 능한 신진사류로 활약했으며, 그의 증손인 양신용은 병자호란 이후 국권 회복을 기원하다 생을 마감했다.

3. 1. 양팽손

'''양팽손'''(梁彭孫, 1488년 ~ 1545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자 화가이다. 중종 11년(1516년)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나 기묘사화 때 사직하고 고향인 능주로 돌아왔다. 이 때 능주로 유배된 조광조와 교류하였다. 글과 그림에 능하여 당시 신진사류의 한 사람으로 활약하였다.

3. 2. 양신용

양팽손의 증손으로, 도호부사를 지냈으며 병자호란 이후 국권 회복을 기원하다가 죽었다.

4. 건축

용강서원은 원래 순조 21년 해룡면 중흥리에 지어졌으나, 고종 5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문을 닫았다. 이후 1970년에 현재 위치에 복원되었다.

4. 1. 건물 배치

외삼문인 지춘문을 들어서면 용강서원이라는 현판이 걸린 강당이 있고, 강당의 좌우에 동재와 서재가 있다. 그 뒤로 내삼문인 이정문이 있으며 그 뒤편으로 사당인 낙천사가 있다. 낙천사는 앞면 3칸·옆면 1칸 반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4. 2. 건축 양식

건물 배치는 외삼문인 지춘문을 들어서면 용강서원이라는 현판이 걸린 강당이 있고, 강당의 좌우에 동재와 서재가 있다. 그 뒤로 내삼문인 이정문이 있으며 그 뒤편으로 낙천사가 있다. 낙천사는 앞면 3칸·옆면 1칸 반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이다.

5. 제례

양팽손과 양신용의 위패를 모시고 있으며, 해마다 2월과 8월에 제사를 지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